KR200284279Y1 - 텔레비젼지지대의 폭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텔레비젼지지대의 폭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279Y1
KR200284279Y1 KR2020020012799U KR20020012799U KR200284279Y1 KR 200284279 Y1 KR200284279 Y1 KR 200284279Y1 KR 2020020012799 U KR2020020012799 U KR 2020020012799U KR 20020012799 U KR20020012799 U KR 20020012799U KR 200284279 Y1 KR200284279 Y1 KR 200284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width
television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국승
Original Assignee
이국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국승 filed Critical 이국승
Priority to KR2020020012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2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279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텔레비젼의 크기에 따라 측면판을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정하면서 안정적인 지지를 이루게 하는 텔레비젼지지대의 폭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조절장치는 한 쌍의 측면판의 하부를 밴딩하여 저면판이 형성되고 그 저면판의 중앙 상면에 설치되는 결속구와, 상기 결속구의 내부에 배치되며 측단이 밴딩된 지지안내판으로 이루어지는 받침판과, 상기 하나의 측면판에 끼워지고 상기 지지안내판을 관통하여 하나의 결속구와 나선결합되는 장볼트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폭 조절부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고, 장볼트를 돌려서 폭 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내장구의 슬라이드운동으로 폭조절이 가능한 것으로서, 제작비를 저렴하게 하면서 조립작업공수를 줄이고, 수납 설치되는 텔레비젼의 규격에 따라 폭 조절작업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이루어지게 하여서 사용자의 편리성를 증대한다.

Description

텔레비젼지지대의 폭 조절장치{Apparatus of Width Control for Television Cabinet}
본 고안은 텔레비젼을 설치하는 지지대의 폭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텔레비젼의 크기에 따라 측면판을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정하면서 안정적인 지지를 이루게 하는 텔레비젼지지대의 폭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병원, 터미널, 교육장소, 콘도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는 시청각이나 교육 및 홍보를 위하여 텔레비젼이 설치되어 있고, 주로 벽면의 높은 곳이나 천정에 설치되는 지지대에 의하여 놓여져 여러사람이 시청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텔레비젼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는 이미 다양한 형태가 제안되어 있으며, 주로 무거운 모니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고, 소정의 폭 조절장치를 통하여 텔레비젼의 크기에 따라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종래의 폭조절장치는 한 방향으로만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조정길이가 극히 제한되어 길이가 길어지는 최근의 텔레비젼을 수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양방향조절을 이루게 되는 것은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폭 조절장치의 제작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진 텔레비젼에 대응하여 폭조절량을 이루게 하여 텔레비젼의 수납을 누구나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텔레비젼 지지대의 폭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리고 풀어주는 작용으로 측면판이 조정되어 폭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텔레비젼 지지대의 폭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구조물에 부착되는 고정판의 저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부가 설치되고, 그 고정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대에 양측에 출입이 가능하며 측면판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구가 설치되고, 상기 측면판의 사이에 배치된 받침판으로 측면판이 폭조절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하부를 밴딩하여 저면판이 형성되고 그 저면판의 중앙 상면에 설치되는 결속구와, 상기 결속구의 내부에 배치되며 측단이 밴딩된 지지안내판으로 이루어지는 받침판과, 상기 하나의 측면판에 끼워지고 상기 지지안내판을 관통하여 하나의 결속구와 나선결합되는 장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지지대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고안에 의한 지지대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폭조절장치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폭조절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 측면판 12 ; 지지판
20 ; 받침판 22,22a ; 저면판
24,24a ; 지지안내판 30,30a ; 결속구
32 ; 보울트 34 ; 너트
36 ; 나선공 40 ;장볼트
42,42a ; 지지관 44 ;육각머리부
46 ; 육각홈 48 ; 체결공
50 ; 콘센트 52,52a ; 내장구
56 ; 고정볼트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지지대를 전체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2은 본 고안에 의한 지지대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폭조절장치를 요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텔레비젼지지대의 폭 조절장치는 건축 실내 구조물에 부착되는 고정판(62)의 저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부(6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60)의 저면에 가로방향으로 지지대(64)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대(64)의 양측에는 지지구(66)(66a)가 출입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면의 소정영역에는 콘센트(50)가 설치되어 텔레비젼 설치시 전원코오드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구(66)(66a)는 한 쌍의 측면판(10)(10a)에 형성되어 있는 축공(68)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측면판(10)(10a)의 사이에는 받침판(20)이 배치되어 폭조절부(100)에 의하여 폭조절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폭조절부(100)은 측면판(10)(10a)와, 결속구(30)(30a)와, 받침판(20)과, 장볼트(40)로 이루어진다.
측면판(10)(10a)은 넓은 판상에 소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일측은 직각면을 가지며 타측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과 저면은 밴딩되어서 지지판(12)과 저면판(22)(22a)을 형성하고 있다.
결속구(30)(30a)는 상기 저면판(22)(22a)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나의 결속구(30)는 일측의 측면판(10)과 보울트(32)와 너트(34)로 체결되어서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의 결속구(30a)는 다른 일측의 측면판(10a)를 관통하는 장볼트(40)가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속구(30)의 일측은 상기 장볼트(40)와 나선결합을 이루는 나선공(36)이 마련되어 있다.
받침판(20)은 사각형태의 판상 양단을 세워서 지지안내판(24)(24a)이 구비어 장볼트(40)가 관통되고 있으며, 세워지지 않은 전후면은 지지관(42)(42a)의 저면이 고정되어 있다.
장볼트(40)는 하나의 측면판(10a)에 끼워져 있으며, 일측에는 육각머리부(44)와 육각홈(46)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나선이 마련되어결속구(30)에 결합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폭조절장치를 요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측면판(10)(10a)에는 한쌍의 내장구(52)(52a)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내장구(52)(52a)는 내부가 중공부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하나의 체결공(48)이 형성된 지지관(42)(42a)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48)에는 고정볼트(56)가 조립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고정부(66)가 부착되어 있는 지지대(64)의 양측에 지지구(66)(66a)를 끼워 조합하고, 지지구(66)(66a)의 하단을 측면판(10)(10a)에 회동이 자유롭게 고정하는 데 일측은 보울트(32)와 너트(34)로 체결되고 일측은 장볼트(56)로 핀축결합하여서 축공(68)을 따라 회동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면판(10)(10a) 사이에는 받침판(20)이 배치되고 장볼트(46)에 지지안내판(24)(24a)가 결속되어서 설치되어 있으며, 여기서 장볼트(46)는 지지안내판(24)(24a)과 측면판(10)(10a)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결속구(30)(30a)에 끼워짐과 동시에 나선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텔레비젼을 수납할 수 있는 케비넷을 형성하여 안전한 수납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수납되는 텔레비젼의 규격에 따라 케비넷의 폭을 조정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장볼트(40)의 육각머리부(44)와 육각홈(46)을 이용할 수 있는 공구를 사용하여 장볼트(40)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나선결합되어 있는 결속구(30)가 장볼트(40)로부터 분리되어 일측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결속구(30)가 밀려나감과 동시에 측면판(10)이 일측으로 밀려나가므로 폭(거리)은 확장되고 일측의 측면판(10a)은 자유롭게 좌우측으로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텔레비젼을 받침판(20) 상부에 올려 놓은 후 장볼트(40)를 이용하여 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결속구(30)의 나선공(36)과 장볼트(40)의 일측이 나선결합되므로 확장되었던 결속구(30)(30a)의 폭은 축소되어 측면판(10)(10a)이 텔레비젼의 측면을 밀착하게 되므로 안전한 텔레비젼수납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텔레비젼의 크기에 따라 장볼트(40)를 조이고 풀어주는 동작에 의하여 측면판(10)(10a)이 배치되어 폭을 조정하므로 텔레비젼을 안전하고 규격에 맞는 상태로 수납을 이루게 한다.
또한 지지대(64)의 상면 소정영역에는 콘센트(50)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텔레비젼과 연결되는 전선 코오드를 꽂아 전원공급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장볼트(40)로 조정되는 조절부와는 별도로 도 4에서와 같이 측면판(10)(10a)의 일측에 내장구(52)(52a)를 부착하고 그 자유단이 전후로 배치되어 있는 지지관(42)(42a)에 삽입하여 체결공(48)과 결합공(54)를 고정볼트(56)로 결속하게 되면 안정한 고정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텔레비젼수납을 이룰 수 있는 케비넷을 제공하게 되므로 텔레비젼수납을 이루게 된다.
만일 텔레비젼의 규격이 크거나 작은 경우에 케비넷의 크기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고정볼프(56)을 풀어 내장구(52)(52a)를 지지관(42)(42a)에서 자유롭게 좌우로 폭조정을 하고 텔레비젼의 규격에 맞춘 후 지지관(42)(42a)의 체결공(48)에 고정볼트(56)를 체결하면 내장구(52)(52a)가 고정되므로 폭 조정을 이룬 상태로 조립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결속구(30)(30a)와 장볼트(40)을 이용하거나 내장구(52)(52a)와 지지관(42)(42a)를 이용하여 조절하거나 이들을 병행한 상태에서도 폭 조절을 가능하게 하므로 시청자나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폭 조절부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고, 장볼트를 돌려서 폭 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내장구의 슬라이드운동으로 폭조절이 가능한 것으로서, 제작비를 저렴하게 하면서 조립작업공수를 줄이고, 수납 설치되는 텔레비젼의 규격에 따라 폭 조절작업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이루어지게 하여서 사용자의 편리성를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구조물에 부착되는 고정판의 저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부가 설치되고, 그 고정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대에 양측에 출입이 가능하며 측면판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구가 설치되고, 상기 측면판의 사이에 배치된 받침판으로 측면판이 폭조절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하부를 밴딩하여 저면판이 형성되고 그 저면판의 중앙 상면에 설치되는 결속구와;
    상기 결속구의 내부에 배치되며 측단이 밴딩된 지지안내판으로 이루어지는 받침판과;
    상기 하나의 측면판에 끼워지고 상기 지지안내판을 관통하여 하나의 결속구와 나선결합되는 장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지지대의 폭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은 내부가 중공부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된 지지관에 삽입되고 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결합공이 상기 체결공과 고정볼트로 조립되는 내장구를 설치하여서 구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지지대의 폭 조절장치.
KR2020020012799U 2002-04-26 2002-04-26 텔레비젼지지대의 폭 조절장치 KR200284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799U KR200284279Y1 (ko) 2002-04-26 2002-04-26 텔레비젼지지대의 폭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799U KR200284279Y1 (ko) 2002-04-26 2002-04-26 텔레비젼지지대의 폭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279Y1 true KR200284279Y1 (ko) 2002-08-03

Family

ID=73121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799U KR200284279Y1 (ko) 2002-04-26 2002-04-26 텔레비젼지지대의 폭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2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218B1 (ko) 2004-06-10 201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벽걸이장치
KR20160021567A (ko) * 2014-08-18 2016-02-26 김현기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218B1 (ko) 2004-06-10 201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벽걸이장치
KR20160021567A (ko) * 2014-08-18 2016-02-26 김현기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
KR101635961B1 (ko) * 2014-08-18 2016-07-06 김현기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400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ably Mounting a Speaker
US7384021B2 (en) Rotation mechanism for televisions
US7014154B2 (en) LCD monitor stand
US20140270910A1 (en) Reconfigurable video and peripheral mounting system
US6918562B2 (en) Device for combining electronic appliances and displaying apparatuses employing the same
JP2008081056A (ja) 機器支持スタンド
KR20210029705A (ko)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
US20150048224A1 (en) Spring tension device for supporting a television
US20160174783A1 (en) Water closet
US7382419B2 (en) Liquid crystal television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200284279Y1 (ko) 텔레비젼지지대의 폭 조절장치
KR200397713Y1 (ko) 각도 및 거리조절 기능을 갖는 벽걸이형 텔레비젼의고정장치
JP2009021731A (ja) 薄型テレビジョンの支持構造
US20080037206A1 (en) Hinge assembly for display
KR101867585B1 (ko)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
KR20220064261A (ko)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KR200284277Y1 (ko) 텔레비젼 지지대의 높이조절장치
KR200284276Y1 (ko) 텔레비젼 지지대의 각도조절장치
JP3152510U (ja) 薄型テレビ用転倒防止具
KR200221720Y1 (ko) 텔레비젼 지지대
KR0136424Y1 (ko) 천정 설치용 텔레비젼 지지대
JP3146674U (ja) 薄型テレビ用転倒防止具
KR100528582B1 (ko)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
KR200279068Y1 (ko) 천장형 텔레비전 스탠드
KR200175150Y1 (ko) 모니터용기능성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