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961B1 -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 - Google Patents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961B1
KR101635961B1 KR1020140106994A KR20140106994A KR101635961B1 KR 101635961 B1 KR101635961 B1 KR 101635961B1 KR 1020140106994 A KR1020140106994 A KR 1020140106994A KR 20140106994 A KR20140106994 A KR 20140106994A KR 101635961 B1 KR101635961 B1 KR 101635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hole
case member
convex portion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1567A (ko
Inventor
김현기
김보솔
김학만
Original Assignee
김현기
김보솔
김학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기, 김보솔, 김학만 filed Critical 김현기
Priority to KR1020140106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96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1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의 하부에 개인용 컴퓨터가 설치될 수 있어 책상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고, 케이스의 너비를 가변시킬 수 있어 컴퓨터의 두께와 상관없이 수납이 가능한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책상의 하부에 동일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되 다수의 체결구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좌, 우측 고정브래킷과,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좌측 고정브래킷의 길이방향 측에 "┗" 모양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체결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구의 삽입이 가능한 다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 1 관통공이 형성된 제 1 요철부가 형성되는 제 1 케이스부재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우측 고정브래킷의 길이방향 측에 "┛" 모양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체결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구의 삽입이 가능한 다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 1 요철부가 너비 조절 가능하게 안착되는 제 2 요철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요철부가 안착 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제 2 관통공이 형성된 제 2 케이스부재와, 상기 제 1 요철부가 제 2 요철부에 안착 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관통공 및 제 2 관통공 내에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케이스부재 및 제 2 케이스부재가 서로 고정되게 하는 고정핀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WIDTH VARIABLE COMPUTER CASE FOR DESK}
본 발명은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의 하부에 개인용 컴퓨터가 설치될 수 있어 책상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고, 케이스의 너비를 가변시킬 수 있어 컴퓨터의 두께와 상관없이 수납이 가능한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업무용 또는 학습용으로 대량으로 컴퓨터가 보급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모니터는 책상 상부에, 본체는 책상 상부나 하부 일측에 선택적으로 배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책상 상부에는 컴퓨터 사용 외에도 다른 업무의 용도로 일정 면적 이상이 확보되어야 하고 소음의 문제도 있어 일반적으로 본체는 책상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책상 하부에 컴퓨터 본체가 배치될 경우 다리를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의도치 않게 발로 본체를 건드릴 경우 또는 물청소시 물기가 유입될 경우 오류가 발생 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가 각각 그 내부에 내장 가능한 책상이 소개되고 있으나 기존의 책상에는 적용할 수 없어 초기비용이 많이 지출되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28547호(2001.04.13)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230571호(1999.08.2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책상의 하부에 개인용 컴퓨터가 설치될 수 있어 책상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고, 케이스의 너비를 가변시킬 수 있어 컴퓨터의 두께와 상관없이 수납이 가능한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책상의 하부에 동일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되 다수의 체결구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좌, 우측 고정브래킷과,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좌측 고정브래킷의 길이방향 측에 "┗" 모양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체결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구의 삽입이 가능한 다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 1 관통공이 형성된 제 1 요철부가 형성되는 제 1 케이스부재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우측 고정브래킷의 길이방향 측에 "┛" 모양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체결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구의 삽입이 가능한 다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 1 요철부가 너비 조절 가능하게 안착되는 제 2 요철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요철부가 안착 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제 2 관통공이 형성된 제 2 케이스부재와, 상기 제 1 요철부가 제 2 요철부에 안착 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관통공 및 제 2 관통공 내에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케이스부재 및 제 2 케이스부재가 서로 고정되게 하는 고정핀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좌, 우측 고정브래킷 중 책상에 면접되는 측에는 체결나사가 삽입되기 위한 다수의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1 케이스부재 상에는 상기 제 1 관통공 및 제 2 관통공 내에 삽입된 고정핀부재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게 그 단부가 고정되는 잠금부재가 구비되며, 이를 위해 상기 고정핀부재의 단부는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1 요철부는 하나의 단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요철부는 전방과 후방 두 개의 단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의 단턱이 후방의 단턱에 비해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후방의 단턱은 제 1 요철부의 단턱과 동일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요철부의 단턱이 제 2 요철부 전방의 단턱 상에 안착 된 다음 전방의 단턱과 후방의 단턱 사이에의 이동 여부에 따라 제 1 케이스부재와 제 2 케이스부재의 너비가 조절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에 의하면 책상의 하부에 개인용 컴퓨터가 설치될 수 있어 책상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고, 케이스의 너비를 가변시킬 수 있어 컴퓨터의 두께와 상관없이 수납이 가능한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의 사용상태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a 및 도 3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의 작동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책상의 하부에 동일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되 다수의 체결구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좌, 우측 고정브래킷과,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좌측 고정브래킷의 길이방향 측에 "┗" 모양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체결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구의 삽입이 가능한 다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 1 관통공이 형성된 제 1 요철부가 형성되는 제 1 케이스부재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우측 고정브래킷의 길이방향 측에 "┛" 모양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체결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구의 삽입이 가능한 다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 1 요철부가 너비 조절 가능하게 안착되는 제 2 요철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요철부가 안착 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제 2 관통공이 형성된 제 2 케이스부재와, 상기 제 1 요철부가 제 2 요철부에 안착 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관통공 및 제 2 관통공 내에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케이스부재 및 제 2 케이스부재가 서로 고정되게 하는 고정핀부재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1)의 구성부재와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좌, 우측 고정브래킷(10a,10b)은 추후에 설명될 케이스부재들을 책상 하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책상의 하부에 "┓┓" 방향 또는 "┏┏" 방향과 같은 동일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되 다수의 체결구(11)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좌, 우측 고정브래킷(10a,10b)은 서로 수직 절곡되게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면은 책상의 하부면에 수직되게 위치되고 상부면은 책상 하부면에 면접 배치된다. 이때 책상 하부면에 면접되는 면에는 좌, 우측 고정브래킷(10a,10b)을 책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되는 체결나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삽입공(12)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좌, 우측 고정브래킷(10a,10b)은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책상 하부의 좌측에 배치될 경우 해당 공간에 죽은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방향으로 배치되고, 책상 하부 우측에 배치될 경우 해당 공간에 죽은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좌, 우측 고정브래킷(10a,10b)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책상 하부면에 면접되게 고정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절곡 및 결합면이 형성되어 책상 다리의 일측이나 책상 내부에 구비되는 서랍 일측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체결구(11)는 추후에 설명될 케이스부재들이 체결공(21,31)을 통해 고정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각각 내부를 향해 "┛"자 형상과 "┗"나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케이스부재(20)는 좌측 고정브래킷(10a) 측에 그리고 제 2 케이스부재(30)는 우측 고정브래킷(10b) 측에 밀착 위치된 뒤 자중에 의해 고정된다.
전술한 좌, 우측 고정브래킷(10a,10b)은 각각 한 개씩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60)의 전, 후방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도록 두 개씩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좌측 고정브래킷(10a) 내부면에는 제 1 케이스부재(20)가 고정 설치되는데, 전술한 제 1 케이스부재(20)는 추후에 설명될 제 2 케이스부재(30)와 함께 컴퓨터 본체(60)가 수용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1 케이스부재(2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측 고정브래킷(10a)의 길이방향 측에 "┗" 모양으로 고정 설치되고 체결구(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구(11)의 삽입이 가능한 다수의 체결공(21)이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 1 관통공(23)이 형성된 제 1 요철부(22)가 형성된다.
즉, 전술한 제 1 케이스부재(20)에는 길이방향으로 체결공(21)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 전술한 좌측 고정브래킷(10a)의 체결구(11)가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하부에 형성된 제 1 요철부(22)는 추후에 설명될 제 2 케이스부재(30)의 제 2 요철부(32)와 함께 길이조절되며 그 전체 폭이 조절된다.
또한 전술한 제 1 관통공(23)은 추후에 설명될 고정핀부재(40)가 삽입되는 것으로, 고정핀부재(40)가 수평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제 1 요철부(22) 상의 동일 수평선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케이스부재(20) 상에는 잠금부재(5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 잠금부재(50)는 고정핀부재(40)의 임의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잠금부재(50)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제 1 케이스부재(20)와 추후에 설명될 제 2 케이스부재(30)는 전술한 좌, 우측 고정브래킷(10a,10b)의 설치개수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우측 고정브래킷(10b) 내부면에는 제 2 케이스부재(30)가 고정 설치되는데, 전술한 제 2 케이스부재(30)는 전술한 제 1 케이스부재(20)와 함께 컴퓨터 본체(60)가 수용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2 케이스부재(3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우측 고정브래킷(10b)의 길이방향 측에 "┛" 모양으로 고정 설치되고 체결구(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구(11)의 삽입이 가능한 다수의 체결공(31)이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 1 요철부(22)가 너비 조절 가능하게 안착되는 제 2 요철부(32)가 형성되되 제 1 요철부(22)가 안착 된 상태에서 제 1 관통공(23)과 연통되도록 제 2 관통공(33)이 형성된다.
즉, 전술한 제 2 케이스부재(30)에는 제 1 케이스부재(20)와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으로 체결공(31)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 전술한 좌측 고정브래킷(10a)의 체결구(11)가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하부에 형성된 제 2 요철부(32)는 전술한 제 1 요철부(22)와 함께 길이조절되며 그 전체 폭이 조절된다.
또한 전술한 제 2 관통공(33)은 추후에 설명될 고정핀부재(40)가 삽입되는 것으로, 고정핀부재(40)가 수평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제 1 관통공(23)과 동일 수평선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좌, 우측 고정브래킷(10a,10b)의 체결구(11)와 제 1 케이스부재(20) 및 제 2 케이스부재(30)의 체결공(21,31)의 선택적 결합에 의해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요철부(22)가 제 2 요철부(32)에 안착 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관통공(23) 및 제 2 관통공(33) 내에는 고정핀부재(40)가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삽입되는데, 전술한 고정핀부재(40)는 전술한 제 1 케이스부재(20) 및 제 2 케이스부재(30)가 서로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좌, 우측 고정브래킷(10a,10b) 내에 "┗┛"자 형상으로 위치된 제 1 케이스부재(20)와 제 2 케이스부재(30)는 그 하부가 제 1 요철부(22) 및 제 2 요철부(32)에 의해 서로 중첩되게 결합되며 최종적으로 제 1 관통공(23) 및 제 2 관통공(33) 내에 고정핀부재(40)가 일체로 삽입된다. 이는 컴퓨터 본체(60)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제 1 케이스부재(20) 및 제 2 케이스부재(30)의 하부가 견고하게 지지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고정핀부재(40)의 단부가 절곡 형성되어 있어 제 1 관통공(23) 및 제 2 관통공(33) 내에 삽입된 뒤 그 절곡 된 단부가 잠금부재(50) 내에 고정되도록 회전시켜 고정핀부재(4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제 1 요철부(22)는 하나의 단턱으로 이루어지고 전술한 제 2 요철부(32)는 전방과 후방 두 개의 단턱으로 이루어지되 전방의 단턱이 후방의 단턱에 비해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후방의 단턱은 제 1 요철부(22)의 단턱과 동일높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제 1 요철부(22)의 단턱이 제 2 요철부(32) 전방의 단턱 상에 안착 된 다음 전방의 단턱과 후방의 단턱 사이에의 이동 여부에 따라 제 1 케이스부재(20)와 제 2 케이스부재(30)의 너비가 조절된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제 1 요철부(22)와 제 2 요철부(32)의 너비 조절에 따라 전체 폭이 조절될 수 있어 전술한 길이조절 방법과 함께 어떠한 크기의 컴퓨터 본체(60)라도 용이하게 책상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
10a : 좌측 고정브래킷
10b : 우측 고정브래킷
11 : 체결구
12 : 삽입공
20 : 제 1 케이스부재
21,31 : 체결공
22 : 제 1 요철부
23 : 제 1 관통공
30 : 제 2 케이스부재
32 : 제 2 요철부
33 : 제 2 관통공
40 : 고정핀부재
50 : 잠금부재
60 : 컴퓨터 본체

Claims (4)

  1.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책상의 하부에 동일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되 다수의 체결구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좌, 우측 고정브래킷;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좌측 고정브래킷의 길이방향 측에 "┗" 모양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체결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구의 삽입이 가능한 다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 1 관통공이 형성된 제 1 요철부가 형성되는 제 1 케이스부재;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우측 고정브래킷의 길이방향 측에 "┛" 모양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체결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구의 삽입이 가능한 다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 1 요철부가 너비 조절 가능하게 안착되는 제 2 요철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요철부가 안착 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제 2 관통공이 형성된 제 2 케이스부재; 및
    상기 제 1 요철부가 제 2 요철부에 안착 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관통공 및 제 2 관통공 내에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케이스부재 및 제 2 케이스부재가 서로 고정되게 하는 고정핀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제 1 요철부는 하나의 단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요철부는 전방과 후방 두 개의 단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의 단턱이 후방의 단턱에 비해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후방의 단턱은 제 1 요철부의 단턱과 동일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요철부의 단턱이 제 2 요철부 전방의 단턱 상에 안착 된 다음 전방의 단턱과 후방의 단턱 사이에의 이동 여부에 따라 제 1 케이스부재와 제 2 케이스부재의 너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 고정브래킷 중 책상에 면접되는 측에는 체결나사가 삽입되기 위한 다수의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부재 상에는 상기 제 1 관통공 및 제 2 관통공 내에 삽입된 고정핀부재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게 그 단부가 고정되는 잠금부재가 구비되며, 이를 위해 상기 고정핀부재의 단부는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
  4. 삭제
KR1020140106994A 2014-08-18 2014-08-18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 KR101635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994A KR101635961B1 (ko) 2014-08-18 2014-08-18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994A KR101635961B1 (ko) 2014-08-18 2014-08-18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567A KR20160021567A (ko) 2016-02-26
KR101635961B1 true KR101635961B1 (ko) 2016-07-06

Family

ID=5544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994A KR101635961B1 (ko) 2014-08-18 2014-08-18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9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028B1 (ko) * 2017-08-08 2019-09-09 (주)큰산인디컴 열람테이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279Y1 (ko) * 2002-04-26 2002-08-03 이국승 텔레비젼지지대의 폭 조절장치
KR200409319Y1 (ko) * 2005-11-21 2006-02-24 박상덕 컴퓨터 본체 보관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571B1 (ko) 1997-12-30 1999-11-15 성창남 모니터와 컴퓨터 본체가 내장된 책상
KR200228547Y1 (ko) 2000-12-11 2001-06-15 박광수 컴퓨터 책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279Y1 (ko) * 2002-04-26 2002-08-03 이국승 텔레비젼지지대의 폭 조절장치
KR200409319Y1 (ko) * 2005-11-21 2006-02-24 박상덕 컴퓨터 본체 보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567A (ko) 2016-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52229S1 (en) Classroom desk
USD825924S1 (en) Stackable drawer with a stand
US20160143431A1 (en) Multi-board desk
US20100237756A1 (en) Pedestal vanity
KR101635961B1 (ko) 너비 가변형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
US20130056431A1 (en) Tool-Displaying Apparatus
US6363839B1 (en) Grill device with a connecting unit for preventing wobbling of an upper grill unit relative to a lower grill unit during movement from a closed position to an open position
KR102147195B1 (ko) 조립식 가구의 선반받침조립체
USD868560S1 (en) Door handle for switchgear cabinets
US201403521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aining tablet computer
US6726397B2 (en) Interlocking device
JP3106660U (ja) 接続具
US20190116971A1 (en) Mountable laptop caddy
US20190125090A1 (en) Space Saving Secure Storage Device
US20150327391A1 (en) Support rack for wireless electronic devices
KR200454550Y1 (ko) 책상
JP2007044084A (ja) 履物収納用部材
JP3138940U (ja) メタルキャビネット
JP3868994B1 (ja) 水回り設備用の人体支持装置
US20180070746A1 (en) Slot board structure for a shelf
US20150147115A1 (en) Hidden fastening device for boards
KR200195885Y1 (ko) 박스형 컴퓨터책상
CN203966017U (zh) 一种新式计算机显示屏
JP3174841U (ja) 張り出し棚板付きキャビネット
CN207136672U (zh) 方便摆放的桌上相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