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925Y1 - 책상몸체 프레임 - Google Patents

책상몸체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925Y1
KR200487925Y1 KR2020170000733U KR20170000733U KR200487925Y1 KR 200487925 Y1 KR200487925 Y1 KR 200487925Y1 KR 2020170000733 U KR2020170000733 U KR 2020170000733U KR 20170000733 U KR20170000733 U KR 20170000733U KR 200487925 Y1 KR200487925 Y1 KR 200487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support
frame
floor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519U (ko
Inventor
권연호
Original Assignee
권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연호 filed Critical 권연호
Priority to KR2020170000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925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5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5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9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66Workstations
    • A47B2200/0075Computer kiosks or sta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몸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지지프레임(110)과, 상기 바닥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책상판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100)이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바닥지지프레임(110)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책상몸체 프레임(10)에 있어서, 상기 책상판프레임(130)은, 후방책상판(1)이 놓여지도록 지면과 평행하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후방책상판지지부(131)와; 상기 후방책상판지지부(131)의 전방에서 상기 후방책상판지지부(131)에 대해 1 내지 10°로 하부를 향해 기울어져 전방책상판(3)이 놓여지는 전방책상판지지부(133)와; 일측단부는 상기 바닥지지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수평 연장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전방책상판지지부(133) 및 상기 후방책상판지지부(131)가 연결된 영역에 결합되어 하방 연장된 절곡판으로 형성되는 상기 전방책상판지지부(133) 및 상기 후방책상판지지부(131)가 연결된 영역의 하중에 의한 응력으로부터 상기 책상판프레임(130)을 지지함과 동시에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지지프레임(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책상몸체 프레임 {Desk body frame}
본 고안은 책상몸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행하게 배치되는 후방책상판지지부와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전방책상판지지부가 서로 결합되는 지점에 하중에 의한 응력에 대해 지지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책상몸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서관이나 독서실은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앉아 공부하는 자습실로써, 장시간 책을 보거나 외부로부터의 소음 또는 간섭으로부터 벗어나 집중하여 공부해야 하는 경우에 주로 이용한다. 이러한 사용자를 위하여, 도서관이나 독서실에는 책상이 구비되어 집중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복수의 컴퓨터가 배치된 피시방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특히 컴퓨터가 배치된 책상의 경우, 다리 역할을 하는 바닥지지프레임과, 바닥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책상판을 기본 구성으로 하여 책상판 상에 컴퓨터본체,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컴퓨터관련 기기가 함께 놓여져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책상판 중 모니터가 놓이는 영역의 경우에는 모니터가 제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지면과 평행하게 책상판이 배치되어야 하지만, 키보드 및 마우스 등과 같이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작동시키는 컴퓨터관련 기기의 경우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키보드 및 마우스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책상판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종래기술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458987호 각도 조절 가능한 상판을 구비하는 테이블' 또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477392호 각도조절형 독서대가 구비된 책상' 등과 같이 책상판의 각도가 조절되는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평행하게 배치된 책상판과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책상판이 서로 결합되는 지점에 하중에 의한 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책상 프레임의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평행한 책상판과 기울어진 책상판 사이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책상 프레임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458987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477392호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평행하게 배치되는 후방책상판지지부와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전방책상판지지부가 서로 결합되는 지점에 하중에 의한 응력에 대해 지지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책상몸체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지지프레임(110)과, 상기 바닥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책상판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100)이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바닥지지프레임(110)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책상몸체 프레임(10)에 있어서, 상기 책상판프레임(130)은, 후방책상판(1)이 놓여지도록 지면과 평행하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후방책상판지지부(131)와; 상기 후방책상판지지부(131)의 전방에서 상기 후방책상판지지부(131)에 대해 1 내지 10°로 하부를 향해 기울어져 전방책상판(3)이 놓여지는 전방책상판지지부(133)와; 일측단부는 상기 바닥지지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수평 연장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전방책상판지지부(133) 및 상기 후방책상판지지부(131)가 연결된 영역에 결합되어 하방 연장된 절곡판으로 형성되는 상기 전방책상판지지부(133) 및 상기 후방책상판지지부(131)가 연결된 영역의 하중에 의한 응력으로부터 상기 책상판프레임(130)을 지지함과 동시에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지지프레임(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몸체 프레임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지지프레임(150)은 상기 전방책상판지지부(133) 및 상기 후방책상판지지부(131)가 연결된 영역으로부터 각각 2 내지 4cm씩 연장되어 상기 전방책상판지지부(133) 및 상기 후방책상판지지부(131)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몸체 프레임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납지지프레임(150)의 타측단부는 90 내지 110°의 각도로 하방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몸체 프레임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수납지지프레임을 통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후방책상판지지부와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전방책상판지지부가 서로 결합되는 지점에 하중에 의한 응력에 대해 지지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책상몸체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책상몸체 프레임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책상몸체 프레임이 적용된 책상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책상몸체 프레임(10)을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몸체 프레임(10)은 지지프레임(100)이 한 쌍으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지지프레임(100)은 바닥지지프레임(110) 및 책상판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이때 책상몸체 프레임(10)은 바닥지지프레임(110)에 설치되는 프레임연결부(111)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나 경우에 따라서 프레임연결부(111)를 책상판프레임(130)에 설치하여 책상판프레임(130)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도 있다.
바닥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책상판프레임(130)은 책상판(1, 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후방책상판지지부(131) 및 전방책상판지지부(133)를 포함한다. 후방책상판지지부(131)는 후방책상판(1)이 놓여지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후방책상판(1)은 주로 모니터 또는 책장과 같이 고정되어야 하는 구성을 올려놓는 영역이기 때문에 모니터 또는 책장이 제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방책상판(1)이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후방책상판지지부(131)는 지면과 평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책상판지지부(133)는 후방책상판지지부(131)의 전방에 형성되고, 후방책상판지지부(131)에 대해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전방책상판(3)이 놓여지도록 구성된다. 전방책상판(3)의 경우에는 후방책상판(1)과 달리 키보드 및 마우스 등과 같이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작동시키는 컴퓨터관련 기기의 경우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키보드 및 마우스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전방책상판(3)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책상판지지부(133)는 전방책상판(3)이 기울어지도록 후방책상판지지부(131)에 대해 소정각도로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전방책상판지지부(133)는 1 내지 10°로 하부를 향해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책상판지지부(133)가 후방책상판지지부(131)에 대해 1°미만으로 기울어질 경우 기울임이 미미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우며, 10°를 초과할 경우 경사가 급하여 키보드 및 마우스가 전방책상판(3)에서 떨어질 우려가 있다.
바닥지지프레임(110)은 바닥으로부터 책상판프레임(130)이 상부로 이격배치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바닥지지프레임(110)은 책상판프레임(13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총 4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책상을 벽면에 부착하거나 그 외의 상황에 따라 개수를 조절 가능하다. 이러한 바닥지지프레임(110)은 강도가 높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역시 경우에 따라서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바닥지지프레임(110)은 컴퓨터본체를 설치하거나 서랍을 구비하기 위한 수납지지프레임(150)이 결합된다. 수납지지프레임(150)은 수납이 용이하도록 일정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수납지지프레임(150)의 상부는 전방책상판지지부(133) 및 후방책상판지지부(131)가 연결된 영역에 결합되며, 수납지지프레임(150)의 하부는 바닥지지프레임(110)에 직교하는 각도로 결합된다.
즉, 상기 수납지지프레임(150)은 일측단부는 상기 바닥지지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수평 연장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전방책상판지지부(133) 및 상기 후방책상판지지부(131)가 연결된 영역에 결합되어 하방 연장된 절곡판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납지지프레임(150)은 전방책상판지지부(133) 및 후방책상판지지부(131)가 연결된 영역에 하중에 의한 응력으로부터 책상판프레임(130)을 지지함과 동시에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방책상판지지부(133)는 후방책상판지지부(131)에 대해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각각의 상부에 배치되는 전방책상판(3) 및 후방책상판(1)의 하중에 의해 전방책상판지지부(133)와 후방책상판지지부(131)가 연결된 영역에 가장 많은 응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제대로 지지하여 전방책상판(3) 및 후방책상판(1)이 안정적으로 배치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수납지지프레임(150)이 전방책상판지지부(133)와 후방책상판지지부(131)가 연결된 영역을 지지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컴퓨터본체 또는 서랍을 구비하기 위한 수납공간도 제공하기 때문에 하나의 프레임 설치로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둘 다 수행한다.
이러한 수납지지프레임(150)의 각도는 90 내지 110°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납지지프레임(150)의 하부가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부는 이에 대응하여 90 내지 110°로 형성된다. 전방책상판지지부(133)가 1 내지 10°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이들의 연결된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수납지지프레임(150)의 안정적인 각도는 전방책상판지지부(133)에 대응되는 90 내지 110°이다. 만약 수납지지프레임(150)의 각도가 90°미만일 경우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어려우며, 110°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납지지프레임(150)이 안정적으로 책상판프레임(130)을 지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때 수납지지프레임(150)은 바닥지지프레임(110)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책상판(3)의 경우 일반적으로 길이가 약 30cm 정도이고 폭은 2cm 정도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에 대해 수납지지프레임(150)은 전방책상판지지부(133) 및 후방책상판지지부(131)가 연결된 영역으로부터 각각 2 내지 4cm씩 연장되어 전방책상판지지부(133) 및 후방책상판지지부(131)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수납지지프레임(150)의 두께는 4 내지 8c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납지지프레임(150)이 2cm 미만으로 각각 연장되어 전방책상판지지부(133) 및 후방책상판지지부(131)를 지지할 경우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여 응력에 의해 수납지지프레임(150)이 훼손될 수 있으며, 4cm를 초과할 경우 안정적으로 지지하기는 하지만 그만큼 부피를 많이 차지하게 되어 수납 공간이 감소하게 되고 무게가 증가하여 설치시 작업자가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종래의 평행하게 배치된 책상판과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책상판이 서로 결합되는 지점에 하중에 의한 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책상 프레임의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수납지지프레임(150)을 통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후방책상판지지부(131)와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전방책상판지지부(133)가 서로 결합되는 지점에 하중에 의한 응력에 대해 지지부(131, 133)를 지지함과 동시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후방책상판
3: 전방책상판
10: 책상몸체 프레임
100: 지지프레임
110: 바닥지지프레임
111: 프레임연결부
130: 책상판프레임
131: 후방책상판지지부
133: 전방책상판지지부
150: 수납지지프레임

Claims (5)

  1.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지지프레임(110)과, 상기 바닥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책상판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100)이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바닥지지프레임(110)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책상몸체 프레임(10)에 있어서,
    상기 책상판프레임(130)은,
    후방책상판(1)이 놓여지도록 지면과 평행하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후방책상판지지부(131)와;
    상기 후방책상판지지부(131)의 전방에서 상기 후방책상판지지부(131)에 대해 1 내지 10°로 하부를 향해 기울어져 전방책상판(3)이 놓여지는 전방책상판지지부(133)와;
    일측단부는 상기 바닥지지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수평 연장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전방책상판지지부(133) 및 상기 후방책상판지지부(131)가 연결된 영역에 결합되어 하방 연장된 절곡판으로 형성되는 상기 전방책상판지지부(133) 및 상기 후방책상판지지부(131)가 연결된 영역의 하중에 의한 응력으로부터 상기 책상판프레임(130)을 지지함과 동시에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지지프레임(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몸체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지지프레임(150)은 상기 전방책상판지지부(133) 및 상기 후방책상판지지부(131)가 연결된 영역으로부터 각각 2 내지 4cm씩 연장되어 상기 전방책상판지지부(133) 및 상기 후방책상판지지부(131)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몸체 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지지프레임(150)의 타측단부는 90 내지 110°의 각도로 하방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몸체 프레임.
  4. 삭제
  5. 삭제
KR2020170000733U 2017-02-13 2017-02-13 책상몸체 프레임 KR200487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733U KR200487925Y1 (ko) 2017-02-13 2017-02-13 책상몸체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733U KR200487925Y1 (ko) 2017-02-13 2017-02-13 책상몸체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519U KR20180002519U (ko) 2018-08-22
KR200487925Y1 true KR200487925Y1 (ko) 2018-11-22

Family

ID=63405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733U KR200487925Y1 (ko) 2017-02-13 2017-02-13 책상몸체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92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893A (ko) 2021-08-26 2023-03-07 최한수 석고보드 방향제 모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8554A (ja) * 2002-06-07 2004-01-15 Kokuyo Co Ltd
CN103584483A (zh) * 2012-08-15 2014-02-19 西安润丰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人体力学双桌板办公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987Y1 (ko) 2008-07-29 2012-03-21 아트소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각도 조절 가능한 상판을 구비하는 테이블
US8359809B1 (en) * 2009-05-29 2013-01-29 Scott Ericks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furbishing a work station
KR200477392Y1 (ko) 2013-12-19 2015-06-09 김동기 각도조절형 독서대가 구비된 책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8554A (ja) * 2002-06-07 2004-01-15 Kokuyo Co Ltd
CN103584483A (zh) * 2012-08-15 2014-02-19 西安润丰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人体力学双桌板办公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519U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1564B2 (en) Combination frame structure for table combination table using combination frame structure
EP2962033B1 (en) Multiple footprint stand for a tablet computer
US5896817A (en) Computer desk with tilted work surface
US11622622B2 (en) Modular table
KR101725394B1 (ko) 높이조절형 칸막이와 모니터 및 수납도구의 거치 기능을 갖는 레일바가 장착된 스마트오피스 데스크
EP3485765B1 (en) Computer desk
KR200487925Y1 (ko) 책상몸체 프레임
US20050211863A1 (en) Computer workstation
FI77967C (fi) Adb-bord.
US20040065235A1 (en) Ergonomic desk
US10750884B2 (en) Skateboard stand
KR101896290B1 (ko) 컴퓨터 설치시스템
US9320351B2 (en) Portable desk device
US5961084A (en) Computer storage system
US20080197261A1 (en) Bedreader
US201403521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aining tablet computer
KR101830369B1 (ko) 책상몸체 프레임
JP2019063236A (ja) 天板の支持装置
JP2017192551A (ja) 学習家具
US20060180058A1 (en) Technician's laptop table
JP7064380B2 (ja) 天板付き什器
CN205625141U (zh) 一种便携式书法桌
JP2002095531A (ja) 家 具
JP3130151U (ja) 家具
KR200485770Y1 (ko) 책상용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