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582B1 -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582B1
KR100528582B1 KR10-2003-0073292A KR20030073292A KR100528582B1 KR 100528582 B1 KR100528582 B1 KR 100528582B1 KR 20030073292 A KR20030073292 A KR 20030073292A KR 100528582 B1 KR100528582 B1 KR 100528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display device
coupled
ceil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8088A (ko
Inventor
김경욱
Original Assignee
(주)세아메카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아메카닉스 filed Critical (주)세아메카닉스
Priority to KR10-2003-0073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582B1/ko
Publication of KR20050038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pan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7Ceilin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DP(PLASMA DISPLAY PANEL)와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기기를 천정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자유롭게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기기를 설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는 천정에 고정되는 천정 브라켓과; 상기 천정 브라켓과 결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연결에 의해 연장되는 연결 브라켓과; 상기 연결 브라켓과 결합되고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되면서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된 각도조절 브라켓과; 상기 각도조절 브라켓에 관통하여 형성되고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되면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삽입된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양단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되는 거치 브라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DISPLAY DEVICE TO CEILING}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DP(PLASMA DISPLAY PANEL)와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기기를 천정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자유롭게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기기를 설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피디피 티브이의 천정 고정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피디피 티브이의 천정 고정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피디피 티브이의 천정 고정장치의 시청각도변화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종래의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창치를 설명하면, 종래의 피디피 티브이의 천정 고정장치는 PDP TV(10)의 배면부가 고정되는 메인프레임(20)이 설치되고, 메인프레임(20)에는 수평샤프트(30)가 직교 방향으로 관통 설치된다.
여기에서 메인프레임(20)은, 양측의 프레임(22)과, 이들 프레임(22)을 이어주는 판상의 연결프레임(24)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22)에는 원형에서 점차로 목이 좁아지는 형상의 걸림홈(22a)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PDP TV(10)의 배면에 나사 결합된 가이드포스트(80)가 체결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수평샤프트(30)에 끼워져 중앙부에 위치하는 높이조정 프레임(40)은 그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공(42)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공(42)에는 높이조정 파이프(50)가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정 파이프(50)에는 수직의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4개 이상의 제 1 높이조정용 홀(52)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높이조정 파이프(50)는, 그 일단이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정 프레임(40)과의 결합시 PDP TV(10)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회전결합부(54)로 구성된다.
한편, 높이조정 파이프(50)에는 그 일단이 끼워지는 천정고정 프레임(60)이 설치되며, 그 타단은 결합판(62)으로 하여 천정에 볼트로 고정 설치된다. 또한, 천정고정 프레임(60)에는 상기 높이조정 파이프(50)의 제 1 높이조정용 홀(52)과 대응되는 제 2 높이조정용 홀(64)이 동일한 크기와 개수로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프레임(20)중 연결프레임(24)에 일단이 힌지(72) 체결로 회동 가능하게 각도조정 레버(70)가 설치되며, 상기 각도조정 레버(70)의 타단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간격조정 홀(74)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정 프레임(40)의 체결공(44)에 볼트 체결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피디피 티브이의 천정 고정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조립은 메인프레임(20)의 양측 프레임(22)중 한 쪽에 수평샤프트(30)를 밀어 넣는다. 그리고 어느 정도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된 단부부터 높이조정 프레임(40)을 중앙부까지 밀어 넣어 볼트로 고정시킨다. 그 후 일부 삽입되던 수평샤프트(30) 일단을 밀어 넣어 타부의 프레임(22)에 관통시킨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연결프레임(24)의 중앙부에 각도조정 레버(70)를 힌지(72) 결합시키고, 가장 상부에 위치한 간격조정 홀(74)과 높이조정 프레임(40)의 체결공(44)을 일치시켜 볼트와 너트로 체결시키게 되면, PPD TV(10)는 수직 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로서 간격조정 홀(74)의 2번째와 체결공(44)을 체결하면 PDP TV(10)는 하방을 향하며 시청각도가 변화하게 된다.
이처럼 체결공(44)에 체결되는 간격조정 홀(74)의 선택에 따라 메인프레임(20)에 고정된 PDP TV(10)의 다양한 시청각도가 조정된다.
또한, 높이조정 프레임(40)의 연결공(42)에는 그 하부로부터 높이조정 파이프(50)의 상단부를 삽입시킴으로서, 회전결합부(54)가 연결공(42)의 내측 하단에 걸리게 하였다.
이는, PDP TV(10)를 시청하기 위한 시청자의 위치에 따라 회전결합부(54)의 PDP TV(10)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360°도 회전되어 시청자의 어떠한 위치에서도 시청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높이조정 파이프(50)에는 먼저, 천정에 결합판(62)으로 볼트 고정된 천정고정 프레임(60)이 삽입되며, 이 때 천정의 높이에 따라 높이조정 파이프(50)의 제 1 높이조정용 홀(52)과 천정고정 프레임(60)의 제 2 높이조정용 홀(64)을 길이 정도에 따라 서로 대응시켜 볼트 고정시킨다.
이로서 천장 높이에 따른 높이 조정이 제 1 높이조정용 홀(52)과 제 2 높이조정용 홀(64)의 간격 조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천정고정 장치에 PDP TV(10)가 고정되는데, 먼저 PDP TV(10)의 배면에 볼트 체결되어 있는 가이드포스트(80)로 하여 상기 프레임(22)의 걸림홈(22a) 원형에 가이드포스트(80)를 삽입시킨 후, 하방으로 내려 가이드포스트(80)가 고정되게 한다.
이렇게 종래의 피디피 티브이의 천정 고정장치는 PDP TV(10)의 중량을 고려한 안정적인 구조와, 시청각도의 용이한 조정과 360°도 회전가능하게 하여 시청자의 시청 제한을 극복하였다. 또한, 천정 높이에 따른 단계 조정이 이루어져 설치 장소의 선택에도 많은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피디피 티브이의 천정 고정장치는 안정적인 구조와, 좌우방향으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상하 방향으로의 각도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서 상하 방향의 각도 조절을 위해서는 각도조정 레버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다양한 크기의 피디피 티브이를 설치할 수 없으며, 피디피 티브이의 크기에 따라 각각의 고정장치가 생산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40인치의 피디피 티브이를 설치한 후 60인치의 피디피 티브이를 다시 설치하는 경우 천정 고정장치도 함께 다시 구입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우 방향은 물론 상하 방향의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기기를 하나의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는 천정에 고정되는 천정 브라켓과; 상기 천정 브라켓과 결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연결에 의해 연장되는 연결 브라켓과; 상기 연결 브라켓과 결합되고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되면서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된 각도조절 브라켓과; 상기 각도조절 브라켓에 관통하여 형성되고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되면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삽입된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양단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되는 거치 브라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의 양측에는 상기 거치 브라켓이 다양한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는 일측이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천정 브라켓과; 상기 천정 브라켓의 끝단과 결합되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연결 브라켓과; 상기 연결 브라켓의 끝단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통공부가 구비된 마찰부재 케이스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끝단에 결합되는 고정링이 구비되고, 상기 마찰부재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원통형의 공간이 형성된 마찰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마찰부재 케이스를 양측에서 단단히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이와 결합되는 고정나사가 형성된 각도조절 브라켓과; 상기 각도조절 브라켓의 내부에 구비된 마찰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대략 원통형상의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양측에 결합되며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된 후면 브라켓이 고정되는 거치 브라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브라켓의 양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양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 브라켓 및 일측이 각도조절 브라켓과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에는 상기 지지 브라켓의 회전에 따라 각도조절 브라켓의 내측면에 걸려 상기 지지 브라켓의 회전각도가 소정 범위로 제한될 수 있도록 각도제한 볼트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의 양측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홀과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의 홀이 형성된 너비조절 바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거치 브라켓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 브라켓 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된 원판형상의 이탈방지 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는 천정에 고정되는 천정 브라켓(100)과, 상기 천정 브라켓(100)과 결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나 또는 둘이상의 연결에 의해 연장되는 연결 브라켓(200)과, 상기 연결 브라켓(200)과 결합되고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됨으로써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각도조절 브라켓(300)과, 상기 각도조절 브라켓(300)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400)과, 상기 지지 브라켓(400)의 양측에 고정되며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되는 거치 브라켓(500)이 포함된다.
보다 상세한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결합부위를 별도의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천정 브라켓(100)은 고정홀(110)을 통해 천정에 고정되고 반대측 끝단이 상기 연결 브라켓(200)에 결합된다. 상기 천정 브라켓(100)과 연결 브라켓(200)의 결합은 다양한 방법이 제시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양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재(230)을 사용한다. 상기 연결부재(230)에는 일측에 3개의 홀이 형성되고, 반대측에 하나의 홀이 형성된다.
이것은 천정 브라켓(100)과 연결 브라켓(200)의 풀림을 방지하여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한 것으로서, 결합전에 걸림쇠(220)를 연결부재(230)의 내측에서 3개의 홀 중 양 끝단의 홀에 적당히 삽입하고 상기 걸림쇠(220)의 홀에 걸림볼트(210)를 삽입하여 적당히 조여준 후 천정 브라켓(100)과 연결 브라켓(200)을 연결부재(230)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볼트(210)를 완전히 조이게 되면 상기 걸림쇠(220)가 상기 천정 브라켓(100)과 연결 브라켓(200)이 쉽게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연결 브라켓(200)와 결합부재(310)의 결합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걸림볼트(240)와 걸림쇠(250)가 보다 견고하게 연결 브라켓(200)과 결합부재(310)를 쉽게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각도조절 브라켓(300)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각도조절 브라켓(300)은 디스플레이기기가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적당한 마찰력이 발생되는데, 결합부재(310)가 마찰부재 케이스(350)의 통공부(351)에 삽입되어 고정링(340)과 결합되며, 상기 통공부(351)의 상하에 마찰링(320)(330)을 배치하여 좌우방향의 회전시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아울러, 마찰부재 케이스(350)(380)에 마찰부재(360)(370)가 부착되고, 상기 마찰부재(360)(370)가 지지 브라켓(400)을 감싸듯이 형성되어 디스플레이기기의 상하방향의 회전시 소정이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부재(390)와 고정나사(391)는 마찰부재 케이스(350)(380)의 양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마찰부재 케이스(350)(380)가 결합되도록 하며, 그 결합정도에 따라 마찰력이 제어된다.
더불어, 각도제한 볼트(410)는 지지 브라켓(400)에 삽입되어 디스플레이기기의 상하회전시 마찰부재 케이스(350)에 걸리게 되어 디스플레이기기의 상하방향의 각도를 소정의 범위내에서 제한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너비조절 바(440)와 너비조절 링(450)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너비조절 바(440)는 지지 브라켓(400)의 양측에 부착되는데, 상기 너비조절 바(440)와 지지 브라켓(400)에는 소정 간격으로 홀이 형성되며, 이 홀의 간격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에 거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기기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너비조절 바(440)의 다수의 홀에는 거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기기의 크기가 기재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거치 브라켓(500)의 간격이 조절가능하고 아울러, 너비조절 바(440)가 형성됨에 따라 너비조절 링(450)이 회전됨없이 고정되도록 한다. 즉, 너비조절 바(440)가 구비되지 않는다면 너비조절 링(450)이 회전되어 거치 브라켓(500)의 상하방향의 각도조절이 불가능하게 된다.
너비조절 링(450)을 좌우로 이동하면서 스프링(421)이 삽입된 너비조절 핀(420)을 이용하여 너비조절 링(45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되는데, 너비조절 핀(420)을 당기게 되면 너비조절 핀(420)의 끝단이 상기 너비조절 링(450)의 내측의 홈에서 빠져나와 너비조절 링(450)의 고정이 해체되고, 너비조절 핀(420)을 놓으면 스프링(421)의 탄성력에 의해 너비조절 핀(420)이 너비조절 링(450)의 내측의 홈에 삽입되면서 너비조절 링(450)이 고정된다.
상기 너비조절 링(450)은 거치 브라켓(500)의 끝단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너비조절 링(450)이 삽입된 거치 브라켓(500)의 끝단이 상기 지지 브라켓(400)에 삽입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거치 브라켓(5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브라켓(400)의 양끝단에는 이탈방지 부재(430)가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 부재(430)는 상기 지지 브라켓(400)의 지름보다 그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거치 브라켓(500)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면 브라켓(520)이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되고, 상기 후면 브라켓(520)이 거치 브라켓(500)에 고정됨으로써 디스플레이기기가 고정되는데, 상기 거치 브라켓(500)의 내측에 고정 핀(510)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 브라켓(520)의 상측을 거치 브라켓(500)의 상측에 걸고 후면 브라켓(520)의 하측을 상기 거치 브라켓(500)으로 밀면 외부로 돌출된 고정 핀(510)이 내측으로 밀리면서 후면 브라켓(520)이 결합된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 브라켓(500)은 지지 브라켓(400)과 결합되어 지지되며, 좌우로 이동되면서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기기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도조절 브라켓에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되면서 상하 좌우로 자유롭게 디스플레이기기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지지 브라켓의 양단에 디스플레이기기가 거치되는 거치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거치 브라켓 간의 간격이 조절가능하도록 하여 거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기기의 크기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기기를 좌우 방향은 물론 상하 방향으로 각도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기기를 하나의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피디피 티브이의 천정 고정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피디피 티브이의 천정 고정장치의 배면도.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피디피 티브이의 천정 고정장치의 시청각도변화에 따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천정 브라켓과 연결 브라켓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각도조절 브라켓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서 너비조절 바와 너비조절 링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서 거치 브라켓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PDP TV 20 ; 메인프레임 22 ; 프레임
22a ; 걸림홈 24 ; 연결 프레임 30 ; 수평샤프트
40 ; 높이조정 프레임 42 ; 연결공 44 ; 체결공
50 ; 높이조정 파이프 52 ; 제 1 높이조절용 홀 54 ; 회전결합부
60 ; 천정고정 프레임 62 ; 결합판 64 ; 제2높이조정용 홀
70 ; 각도조정 레버 72 ; 힌지 74 ; 간격조정 홀
80 ; 가이드포스트 100 ; 천정 브라켓 110 ; 고정홀
200 ; 연결 브라켓 210 ; 걸림볼트 220 ; 걸림쇠
230 ; 연결부재 240 ; 걸림볼트 250 ; 걸림쇠
300 ; 각도조절 브라켓 310 ; 결합부재 320 ; 마찰링
330 ; 마찰링 340 ; 고정링 350 ; 마찰부재 케이스
351 ; 통공부 360 ; 마찰부재 370 ; 마찰부재
380 ; 마찰부재 케이스 390 ; 고정부재 391 ; 고정나사
400 ; 지지 브라켓 410 ; 각도제한 볼트 420 ; 너비조절 핀
421 ; 스프링 430 ; 이탈방지 부재 440 ; 너비조절 바
450 ; 너비조절 링 500 ; 거치 브라켓 510 ; 고정 핀
520 ; 후면 브라켓

Claims (7)

  1. 천정에 고정되는 천정 브라켓과;
    상기 천정 브라켓과 결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연결에 의해 연장되는 연결 브라켓과;
    상기 연결 브라켓과 결합되고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되면서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된 각도조절 브라켓과;
    상기 각도조절 브라켓에 관통하여 형성되고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되면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삽입된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양단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되는 거치 브라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의 양측에는 상기 거치 브라켓이 다양한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
  3. 일측이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천정 브라켓과;
    상기 천정 브라켓의 끝단과 결합되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연결 브라켓과;
    상기 연결 브라켓의 끝단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통공부가 구비된 마찰부재 케이스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끝단에 결합되는 고정링이 구비되고, 상기 마찰부재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원통형의 공간이 형성된 마찰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마찰부재 케이스를 양측에서 단단히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이와 결합되는 고정나사가 형성된 각도조절 브라켓과;
    상기 각도조절 브라켓의 내부에 구비된 마찰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대략 원통형상의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양측에 결합되며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된 후면 브라켓이 고정되는 거치 브라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의 양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양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 브라켓 및 일측이 각도조절 브라켓과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에는 상기 지지 브라켓의 회전에 따라 각도조절 브라켓의 내측면에 걸려 상기 지지 브라켓의 회전각도가 소정 범위로 제한될 수 있도록 각도제한 볼트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의 양측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홀과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의 홀이 형성된 너비조절 바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햐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거치 브라켓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 브라켓 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된 원판형상의 이탈방지 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
KR10-2003-0073292A 2003-10-21 2003-10-21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 KR100528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292A KR100528582B1 (ko) 2003-10-21 2003-10-21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292A KR100528582B1 (ko) 2003-10-21 2003-10-21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088A KR20050038088A (ko) 2005-04-27
KR100528582B1 true KR100528582B1 (ko) 2005-11-15

Family

ID=3724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292A KR100528582B1 (ko) 2003-10-21 2003-10-21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5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902B1 (ko) 2005-11-12 2012-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088A (ko)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108B1 (ko) 디스플레이 설치장치 및 설치장치용 지그
US7503536B2 (en) Universal projector mount
US7481410B2 (en) Equipment security apparatus
US7090182B2 (en) Appliance mounting device
US6964399B1 (en) Appliance mounting device
US20140270910A1 (en) Reconfigurable video and peripheral mounting system
US7267314B1 (en) Monitor ceiling mount
US8550415B2 (en) Adjustable flat panel display mounting system
US20090184221A1 (en) Flat panel display mounting
US20060250347A1 (en) Flat panel display mounting system
US20070152112A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flat screen display device to a lift mechanism
KR10046578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전자기기용 결합장치
KR20210029705A (ko)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
KR200415564Y1 (ko) 안테나 체결 장치
KR100528582B1 (ko)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정장치
KR20040062728A (ko) 천정 걸이형 평판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 조절장치
KR200241392Y1 (ko)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
KR200241391Y1 (ko)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
KR100396595B1 (ko) 평판표시패널용 천장형 고정장치
KR101867585B1 (ko)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
KR101857259B1 (ko)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US20050268431A1 (en) Support and angle adjustable device for monitors
KR200319602Y1 (ko)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
KR100672329B1 (ko) 영상 표시 장치의 벽걸이 어셈블리
KR20030019815A (ko) 피디피 티브이의 천정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