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474B1 -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 Google Patents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474B1
KR102482474B1 KR1020210153196A KR20210153196A KR102482474B1 KR 102482474 B1 KR102482474 B1 KR 102482474B1 KR 1020210153196 A KR1020210153196 A KR 1020210153196A KR 20210153196 A KR20210153196 A KR 20210153196A KR 102482474 B1 KR102482474 B1 KR 102482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all
terminal box
fixing
wall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경록
안광윤
Original Assignee
권경록
안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경록, 안광윤 filed Critical 권경록
Priority to KR1020210153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재를 단자함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하고, 높이조절부재에 고정판이 고정되어 벽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벽걸이 거치대가 벽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자함이 내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에 고정되는 고정판을 가로 또는 세로로 높이조절부재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벽면의 하단부에 형성된 단자함과, 벽면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단자함의 위치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부고정구와 하부고정구가 동시에 상부 및 하부로 이동하도록 높이조절부재를 구성하여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단자함의 높이나 깊이에 상관없이 간단하고, 긴밀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작업에 대한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재의 몸체 상에 측면나사홀에 드라이버 등과 같은 막대기 등을 삽입하여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어 좁은 단자함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Fixed bracket for wall mount}
본 발명은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높이조절부재를 단자함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하고, 높이조절부재에 고정판이 고정되어 벽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벽걸이 거치대가 벽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PDP 또는 LCD TV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는 그 표시 면적이 크고 평판 박형화된 표시장치로서 디스플레이를 벽면에 설치하기 위하여 시청각도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식 거치대가 이용된다.
디스플레이 벽걸이식 거치대를 이용하게 되면 스탠드형 TV가 놓일 때처럼 장식장이 필요 없게 되어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서도 디스플레이를 벽면에 걸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심미적인 효과와 더불어 별도로 장식장을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비용절감의 효과도 있다.
디스플레이 벽걸이식 거치대를 설치하기 위하여는 브라켓에 체결해야 하는데 벽면에 거치대가 장착될 때에는 벽면을 타공해야 하기 때문에 벽면이 손상되는 단점과 함께 소음 및 분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벽면을 타공하지 않고, 벽면에 형성된 단자함에 벽걸이 거치대를 고정설치하는 기술에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는 바, 특허문헌 1의 매입형 전선박스용 벽걸이 거치대 고정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에 나사 구멍(12)이 형성되어 상기 매입형 전선박스 내의 상면 또는 바닥면에 밀착 고정되어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고정 플레이트(10); 상기 나사 구멍(12)의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단 역할을 하는 나사 홈(2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10)가 배치되는 반대 측의 매입형 전선박스(100) 내의 상면 또는 바닥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게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20A)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20A)로부터 매입형 전선박스(100)의 외부로 소정 간격 돌출 형성되되, 상향 또는 하향으로 상기 벽걸이 거치대의 체결부위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 공(24)이 형성되며, 상단에 벽걸이 거치대를 장착시 장착을 위해 사용되는 공구 또는 도구가 삽입되어 사용할 수 있는 작업공간 홈이 형성되는 장착 플레이트(20B)가 일체로 형성되는 거치 앵글(20);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와 지지 플레이트(20A) 사이에 회전에 의해 그 고정 플레이트(10)와 지지 플레이트(20A)를 매입형 전선박스(100)의 상면 또는 바닥면으로 밀착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높이 조절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재를 조임 또는 풀림시 몽키와 스패너 같은 공구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때, 단자함이 좁은 곳에서는 공구를 사용하기에는 불편하여 설치작업 시간이 증가하고, 벽걸이 거치대가 체결되는 장착 플레이트가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어 벽걸이 거치대에 거치되는 전자기기 등의 무게를 지탱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144115호(2020년 08월 06일 등록) 매입형 전선박스용 벽걸이 거치대 고정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높이조절부재를 단자함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하고, 높이조절부재에 고정판이 고정되어 벽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벽걸이 거치대가 벽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그리고, 단자함이 내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에 고정되는 고정판을 가로 또는 세로로 높이조절부재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벽면의 하단부에 형성된 단자함과, 벽면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단자함의 위치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부고정구와 하부고정구가 동시에 상부 및 하부로 이동하도록 높이조절부재를 구성하여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단자함의 높이나 깊이에 상관없이 간단하고, 긴밀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작업에 대한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높이조절부재의 몸체 상에 측면나사홀에 드라이버 등과 같은 막대기 등을 삽입하여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어 좁은 단자함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를 고정하는 벽걸이 거치대(1000)를 설치하기 위하여 건축물 벽면(2000)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함(30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3000)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부와 하부가 상기 단자함(3000)의 상면(3100)과 하면(3200)에 밀착 고정되는 높이조절부재(20)와; 직사각형의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조절부재(20)에 체결부재(4000)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판(30)과; 상기 고정판(30)의 양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벽면(2000)과 상기 고정판(3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벽걸이 거치대(1000)가 고정되는 지지바(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에서 상기 높이조절부재(20)는 상부와 하부에 상부나사홀(211)과 하부나사홀(212)이 형성되고, 외주면 상에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측면나사홀(213)이 형성되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상부나사홀(211)에 나사 체결되도록 외주면 상에 나사(221)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단자함(3000)의 상면(3100)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밀착구(222)가 형성되는 상부고정구(22)와; 상기 몸체(21)의 하부나사홀(212)에 나사 체결되도록 외주면 상에 나사(231)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단자함(3000)의 하면(3200)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밀착구(232)가 형성되는 하부고정구(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에서 상기 상부고정구(22)의 나사(221)와 상기 하부고정구(23)의 나사(231)는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에서 상기 고정판(30)은 길이방향의 양측은 내측에 비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에서 상기 고정판(30)은 중심측에서 상하로 이격되어 제1관통홀(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31)의 상부와 하부에서 이격되어 수직되는 방향으로 장방형의 제2관통홀(32)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31)의 양측에서 이격되어 수평되는 방향으로 장방형의 제3관통홀(33)이 형성되며, 상기 제3관통홀(33)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제4관통홀(34)이 형성되고, 상기 제4관통홀(34)의 양측에서 이격되어 수평되는 방향으로 장방형의 제5관통홀(35)이 형성되며, 사분면 상에 상기 지지바(40)가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제6관통홀(3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에서 상기 고정판(30)의 중심측에서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관통홀(31)의 이격거리, 상기 제1관통홀(31)과 제2관통홀(32)의 이격거리, 제4관통홀(34)과 제5관통홀(35)의 이격거리는 상기 높이조절부재(20)의 몸체(21)의 외주면 상에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측면나사홀(213)의 이격거리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에 의하면, 높이조절부재를 단자함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하고, 높이조절부재에 고정판이 고정되어 벽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벽걸이 거치대가 벽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단자함이 내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에 고정되는 고정판을 가로 또는 세로로 높이조절부재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벽면의 하단부에 형성된 단자함과, 벽면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단자함의 위치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부고정구와 하부고정구가 동시에 상부 및 하부로 이동하도록 높이조절부재를 구성하여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단자함의 높이나 깊이에 상관없이 간단하고, 긴밀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작업에 대한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재의 몸체 상에 측면나사홀에 드라이버 등과 같은 막대기 등을 삽입하여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어 좁은 단자함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에서 높이조절부재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에서 높이조절부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에서 소정판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에서 단자함의 위치에 따라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10)은 디스플레이를 고정하는 벽걸이 거치대(1000)를 설치하기 위하여 건축물 벽면(2000)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함(30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자함(3000)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부와 하부가 단자함(3000)의 상면(3100)과 하면(3200)에 밀착 고정되는 높이조절부재(20)와, 직사각형의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높이조절부재(20)에 체결부재(4000)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판(30)과, 고정판(30)의 양측으로 이격되어 벽면(2000)과 고정판(30) 사이에 위치되고, 벽걸이 거치대(1000)가 고정되는 지지바(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높이조절부재(20)는 상부와 하부에 상부나사홀(211)과 하부나사홀(212)이 형성되고, 외주면 상에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측면나사홀(213)이 형성되는 몸체(21)와, 몸체(21)의 상부나사홀(211)에 나사 체결되도록 외주면 상에 나사(221)가 형성되고, 상부에 단자함(3000)의 상면(3100)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밀착구(222)가 형성되는 상부고정구(22)와, 몸체(21)의 하부나사홀(212)에 나사 체결되도록 외주면 상에 나사(231)가 형성되고, 하부에 단자함(3000)의 하면(3200)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밀착구(232)가 형성되는 하부고정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부고정구(22)와 하부고정구(23)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21)의 상부와 하부에 대칭되어 나사 체결되어 진다.
높이조절부재(20)의 몸체(2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육각형상으로 형성하여 각면에 측면나사홀(213)을 형성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각형상, 원형 등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높이조절부재(20)의 몸체(21)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나사홀(213)은 드라이버 등과 같은 막대기 등을 삽입하여 몸체(21)를 회전시킬 수 있어 좁은 단자함(3000)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부고정구(22)의 나사(221)와 상기 하부고정구(23)의 나사(231)는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로 형성되어 진다. 즉, 상부고정구(22)의 나사(221)가 오른 나사로 형성되면 하부고정구(23)의 나사(231)는 왼 나사로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높이조절부재(20)는 단자함(3000)의 내부에 위치되어 몸체(21)의 회전에 의해 상부고정구(22)와 하부고정구(23)가 동시에 상부 및 하부로 이동하므로 벽면(2000)에 설치되어 있는 단자함(3000)의 높이나 깊이에 상관없이 간단하고, 긴밀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작업에 대한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고정판(30)은 직사각형의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높이조절부재(20)에 체결부재(4000)에 의해 체결되어 진다. 이와 같은 고정판(3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면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의 양측은 내측에 비해 거리 d만큼 돌출되어 형성되어 진다. 이는 내측 즉, 중심측이 체결부재(4000)에 의해 높이조절부재(20)에 체결시 양측은 탄성력이 작용하여 지지바(40)를 벽면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판(30)은 중심측에서 상하로 이격되어 제1관통홀(31)이 형성되며, 제1관통홀(31)의 상부와 하부에서 이격되어 수직되는 방향으로 장방형의 제2관통홀(32)이 형성되고, 제1관통홀(31)의 양측에서 이격되어 수평되는 방향으로 장방형의 제3관통홀(33)이 형성되며, 제3관통홀(33)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제4관통홀(34)이 형성되고, 제4관통홀(34)의 양측에서 이격되어 수평되는 방향으로 장방형의 제5관통홀(35)이 형성되며, 사분면 상에 지지바(40)가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제6관통홀(36)이 형성되어 진다.
한편, 고정판(30)의 중심측에서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관통홀(31)의 이격거리, 제1관통홀(31)과 제2관통홀(32)의 이격거리, 제4관통홀(34)과 제5관통홀(35)의 이격거리는 높이조절부재(20)의 몸체(21)의 외주면 상에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측면나사홀(213)의 이격거리와 대응되어 진다.
상술한 고정판(30)에서 중심측에서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관통홀(31), 제1관통홀(31) 및 제2관통홀(32), 제4관통홀(34) 및 제5관통홀(35)의 이격거리를 높이조절부재(20)의 몸체(21)에 형성된 측면나사홀(213)의 이격거리와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은 체결부재(4000)에 의해 고정판(30)이 높이조절부재(20)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1관통홀(31), 제1관통홀(31) 및 제2관통홀(32)에 체결시에는 고정판(30)이 가로로 위치되어 체결되고, 제4관통홀(34) 및 제5관통홀(35)에 체결시에는 고정판(30)이 세로로 위치되어 높이조절부재(20)에 체결되어 진다.
고정판(30)을 높이조절부재(20)에 가로 또는 세로로 체결 고정하는 것은 단자함(3000)이 벽면(2000)의 하단부에 형성된 경우와, 단자함(3000)이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벽면(2000)의 중간부에 형성된 경우에 따라서 고정판(30)의 체결이 다르게 체결된다. 즉, 단자함(3000)이 벽면(2000)에 형성된 위치에 따라 고정판(30)을 가로 또는 세로로 높이조절부재(20)에 체결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도 8의 (a)는 단자함(3000)이 벽면(2000)의 중간부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고정판(30)을 가로로 높이조절부재(20)에 체결하고, 지지바(40)의 상부에 벽걸이 거치대(1000)를 체결 고정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8의 (b)는 다자함(3000)이 벽면(2000)의 하단부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고정판(30)을 세로로 높이조절부재(20)에 체결하고, 지지바(40)의 상부에 벽걸이 거치대(1000)를 체결 고정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지지바(40)는 벽면(2000)과 고정판(30) 사이에 위치되고, 벽걸이 거치대(1000)가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판(30)의 사분면에 형성된 제6관통홀(36)에 체결부재(4000)에 의해 체결 고정되어 진다.
이와 같은 지지바(40)는 사각형상의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와 하부에 고무재질의 패킹(41)이 구비되어 진다. 이는 지지바(40)가 벽면(2000)에 밀착시 벽면(2000)에 스크래치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에 의하면, 높이조절부재를 단자함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하고, 높이조절부재에 고정판이 고정되어 벽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벽걸이 거치대가 벽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단자함이 내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에 고정되는 고정판을 가로 또는 세로로 높이조절부재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벽면의 하단부에 형성된 단자함과, 벽면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단자함의 위치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부고정구와 하부고정구가 동시에 상부 및 하부로 이동하도록 높이조절부재를 구성하여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단자함의 높이나 깊이에 상관없이 간단하고, 긴밀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작업에 대한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재의 몸체 상에 측면나사홀에 드라이버 등과 같은 막대기 등을 삽입하여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어 좁은 단자함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20 : 높이조절부재 21 : 몸체
211 : 상부나사홀 212 : 하부나사홀
213 : 측면나사홀 22 : 상부고정구
221 : 나사 222 : 밀착구
23 : 하부고정구 231 : 나사
232 : 밀착구 30 : 고정판
31 : 제1관통홀 32 : 제2관통홀
33 : 제3관통홀 34 : 제4관통홀
35 : 제5관통홀 36 : 제6관통홀
40 : 지지바
1000 : 벽걸이 거치대
2000 : 벽면
3000 : 단자함 3100 : 상면
3200 : 하면
4000 : 체결부재

Claims (6)

  1. 디스플레이를 고정하는 벽걸이 거치대(1000)를 설치하기 위하여 건축물 벽면(2000)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함(30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브라켓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에 상부나사홀(211)과 하부나사홀(212)이 형성되고, 외주면 상에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측면나사홀(213)이 형성되는 몸체(21)를 갖고, 상기 몸체(21)의 상부나사홀(211)에 나사 체결되도록 외주면 상에 나사(221)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단자함(3000)의 상면(3100)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밀착구(222)가 형성되는 상부고정구(22)를 가지며, 상기 몸체(21)의 하부나사홀(212)에 나사 체결되도록 외주면 상에 나사(231)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단자함(3000)의 하면(3200)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밀착구(232)가 형성되는 하부고정구(23)를 갖는 높이조절부재(20)와;
    직사각형의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의 양측은 내측에 비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20)에 체결부재(4000)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판(30)과;
    상기 고정판(30)의 양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벽면(2000)과 상기 고정판(3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벽걸이 거치대(1000)가 고정되는 지지바(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구(22)의 나사(221)와 상기 하부고정구(23)의 나사(231)는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30)은 중심측에서 상하로 이격되어 제1관통홀(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31)의 상부와 하부에서 이격되어 수직되는 방향으로 장방형의 제2관통홀(32)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31)의 양측에서 이격되어 수평되는 방향으로 장방형의 제3관통홀(33)이 형성되며, 상기 제3관통홀(33)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제4관통홀(34)이 형성되고, 상기 제4관통홀(34)의 양측에서 이격되어 수평되는 방향으로 장방형의 제5관통홀(35)이 형성되며, 사분면 상에 상기 지지바(40)가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제6관통홀(3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30)의 중심측에서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관통홀(31)의 이격거리, 상기 제1관통홀(31)과 제2관통홀(32)의 이격거리, 제4관통홀(34)과 제5관통홀(35)의 이격거리는 상기 높이조절부재(20)의 몸체(21)의 외주면 상에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측면나사홀(213)의 이격거리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KR1020210153196A 2021-11-09 2021-11-09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KR102482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196A KR102482474B1 (ko) 2021-11-09 2021-11-09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196A KR102482474B1 (ko) 2021-11-09 2021-11-09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474B1 true KR102482474B1 (ko) 2022-12-28

Family

ID=84538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196A KR102482474B1 (ko) 2021-11-09 2021-11-09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4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323U (ko) * 1997-12-19 1999-07-15 김영환 탄성력을 갖는 벽걸이용 브라케트
KR102144115B1 (ko) 2020-02-21 2020-08-12 김경호 매입형 전선박스용 벽걸이 거치대 고정장치
KR102220311B1 (ko) * 2020-07-29 2021-02-25 서상훈 벽걸이 티브이 브래킷용 고정부재
KR20210029705A (ko) * 2020-12-07 2021-03-16 김우신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323U (ko) * 1997-12-19 1999-07-15 김영환 탄성력을 갖는 벽걸이용 브라케트
KR102144115B1 (ko) 2020-02-21 2020-08-12 김경호 매입형 전선박스용 벽걸이 거치대 고정장치
KR102220311B1 (ko) * 2020-07-29 2021-02-25 서상훈 벽걸이 티브이 브래킷용 고정부재
KR20210029705A (ko) * 2020-12-07 2021-03-16 김우신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232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US10400947B2 (en) Wall mount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KR102285123B1 (ko) 상하판 분리 결합형 벽걸이 거치대 고정브라켓
US8152119B2 (en) Luminaire bracket assembly
US11408556B2 (en) Wall hanging piece and display device
WO2016051613A1 (ja) 支持装置
KR102482474B1 (ko)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KR102515158B1 (ko)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KR102617326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JP3110700U (ja) 薄型テレビの壁掛け装置
KR102520148B1 (ko)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 거치대
WO2016065835A1 (zh) 一种显示装置
JP5334628B2 (ja) パネル装置
JP6047377B2 (ja) 什器
JP5807141B1 (ja) 支持装置
JP2009118224A (ja) 薄型テレビ用スタンドおよび薄型テレビの設置構造
KR20240053417A (ko)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 거치대
JP3102924U (ja) 薄型ディスプレイの取り付け装置
JP3233788U (ja) 卓上パーティション
CN219577595U (zh) 线路板支架及线路板固定结构
JP3188937U (ja) テレビ壁掛け用の壁側プレート
CN219036218U (zh) 壁挂装置及壁挂式电器
JPH11133883A (ja) パネル型表示装置の支持装置
JP2009031624A (ja) 薄型表示装置用スタンド
JP2023029034A (ja) 設備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