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3416A - 케이블 덕트 고정구 - Google Patents

케이블 덕트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3416A
KR20080023416A KR1020060087295A KR20060087295A KR20080023416A KR 20080023416 A KR20080023416 A KR 20080023416A KR 1020060087295 A KR1020060087295 A KR 1020060087295A KR 20060087295 A KR20060087295 A KR 20060087295A KR 20080023416 A KR20080023416 A KR 20080023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duct
channel
support member
inner suppor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9354B1 (ko
Inventor
윤용호
Original Assignee
윤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호 filed Critical 윤용호
Priority to KR1020060087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354B1/ko
Publication of KR20080023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각종 전기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이 설치되는 케이블 덕트를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 슬래브(120)에 고정 설치되는 채널(130)의 개구부(131)로 삽입되는 장방형의 내측 지지부재(11)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11)의 중앙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내측 지지부재(11)를 승강시키는 고정볼트(13)와; 상기 채널(130)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볼트(13)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공(14c)을 구비하며 상기 채널(130)과의 사이에 개재된 케이블 덕트(140)의 플랜지부(145)를 고정하는 외측 고정부재(14)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11)와 외측 고정부재(14)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인장 스프링(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지지부재(11)는, 상기 채널(130)의 개구부(131)로 삽입된 후 회전될 때 채널(130)의 돌출부(135)에 걸리지 않도록 회전 방향 모서리 부분에 경사부(11d)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케이블이 설치되는 케이블 덕트를 천장 슬래브에 설치된 채널에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인건비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케이블 덕트, 천장 슬래브, 채널, 고정구, 경사부, 인장스프링

Description

케이블 덕트 고정구{Cable Duct Mounting Assembly }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 덕트 설치구조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를 이용한 덕트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도면.
도 3은, 종래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의 설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덕트 고정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의 설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내측 지지부재의 배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덕트 고정구 11: 내측 지지부재
11a: 나사공 11b: 스프링 삽입홈
11c: 쐐기 홈 11d: 경사부
12: 인장 스프링 13: 고정볼트
14: 외측 고정부재 14a: 가압판
14b: 와셔부 14c: 볼트 삽입공
14d: 스프링 삽입홈 14e: 공구 결합용 홈
본 발명은 실내의 각종 전기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이 설치되는 케이블 덕트를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장 슬래브에 고정된 채널의 외측에서 케이블 덕트를 고정하도록 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각종 전기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은 통행 등의 편의를 위하여 천장 부분에 위치되도록 하고 있다. 다만, 케이블이 천장 플레이트 위에 위치할 경우 천장 플레이트가 처질 수 있으므로, 천장 슬래브의 하측에 케이블 고정 설비를 부착하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 고정 설비로는 주로 덕트가 사용되며, 케이블이 다수 삽입되는 덕트를 케이블 덕트라 한다. 상기한 케이블 덕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이 천장 플레이트(110)와 이격되도록 한 상태에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바(bar) 형태의 고정구(150)를 이용하여 천장 슬래브(120)에 고정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고정구(150)는 천장 슬래브(120)에 앵커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블 덕트(140)를 지지하고 있어 설치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그 형태상 케이블 덕트(140)의 하중을 견디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슬래브(120)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채널(130)을 이용하여 케이블 덕트(140)를 고정하는 방식이 개발되었다. 즉, 천장 슬래브(120)에 2개의 채널(130)을 나란하게 설치하고, 이 채널(130) 사이에 케이블 덕트(140)를 위치시킨 후 덕트 고정구(100)를 이용하여 채널(130)과 케이블 덕트(140)의 플랜지부가 고정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케이블 덕트(140)가 천장 슬래브(1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었으며, 케이블 덕트(140)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었다.
종래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102)이 견고하게 결합되고 천장 슬래브(120)에 고정 설치되는 채널(130)의 개구부(131)로 삽입되는 내측 지지부재(101)와, 일단이 상기 내측 지지부재(10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채널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는 압축 스프링(102)과, 상기 내측 지지부재(101)의 중앙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내측 지지부재(101)를 승강시키는 고정볼트(103)와, 상기 채널(130)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볼트(103)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공(103')이 구비되며 상기 채널(130)과의 사이에 개재된 케이블 덕트(140)의 플랜지부(145)를 고정하는 외측 고정부재(105)와, 상기 고정볼트(103)의 머리부와 상기 외측 고정부재(105)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104)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 지지부재(101)는 상기 고정볼트(103)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101a)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 스프링(102)이 삽입 고정되는 스프링 삽입홈(101b)을 구비하고, 그 이면에 상기 채널(130)의 돌출부(135)가 삽입되는 쐐기 홈(101c)이 양측에 구비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는, 채널에 설치되어 채널의 외측부와 외측 고정부재 사이에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를 개재한 상태로 체결되어 케이블 덕트를 고정하고 있다.
채널(130)의 소정 위치로 압축 스프링(102)이 일체로 형성된 내측 지지부재(101)를 이동시킨 후, 상기 압축 스프링(102)을 압축시키면서 채널(130)의 개구부(131)로 내측 지지부재(101)를 삽입한다. 이어, 상기 내측 지지부재(101)를 90도 회전시켜 내측 지지부재(101)의 쐐기 홈(101c)에 상기 채널(130)의 돌출부(135)가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 스프링(102)의 탄성력에 의하여 내측 지지부재(101)는 상기 채널(130)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채널(130)의 외측부에 케이블 덕트(140)의 플랜지부(145)와 외측 고정부재(105)를 위치시킨 후, 외측 고정부재(105)의 볼트 삽입공(105')을 관통하여 삽입한 고정볼트(103)를 상기 내측 지지부재(101)의 나사공(101a)에 체결함으로써 케이블 덕트(140)의 플랜지부(145)가 상기 외측 고정부재(105)와 채널(130)의 외측부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103)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볼트(103)의 체결력을 상기 외측 고정부재(105)에 고루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외측 고정부재(105)와 상기 고정볼트(103)의 머리부 사이에 와셔(104)를 개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는 압축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내측 지지부재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작업이 쉽지 않고 정확한 위치 설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는 외측 고정부재와 고정볼트 사이의 체결력 을 고루 분포시키기 위하여 와셔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각 부품이 별개의 구성으로 되어 있어 취급시 분실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를 채널에 고정함에 있어서 빠르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내측 지지부재를 채널 내부에 설치할 때 내측 지지부재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충분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케이블 덕트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 고정부재를 와셔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별도의 와셔를 요구하지 않고 작업 능률이 향상되도록 한 케이블 덕트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덕트 고정구에 따르면, 천장 슬래브에 고정 설치되는 채널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장방형의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의 중앙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내측 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고정볼트와; 상기 채널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공을 구비하며 상기 채널과의 사이에 개재된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를 고정하는 외측 고정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고정부재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따르면, 상기 내측 지지부재는 상기 채널의 개구부로 삽입된 후 회전될 때 채널의 돌출부에 걸리지 않도록 회전 방향 모서리 부분에 경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따르면, 상기 내측 지지부재는 단축 방향은 상기 채널의 개구부에 비해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장축 방향은 상기 채널의 개구부에 비해 큰 폭으로 형성된 장방형 구조물이고, 장축 방향 양측에 상기 채널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쐐기 홈이 형성되며, 중앙의 나사공 주위에 상기 인장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스프링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따르면, 상기 외측 고정부재는, 상기 덕트의 플랜지부를 개재하여 상기 채널의 외측에 밀착되는 사각 형태의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의 중앙에서 상기 고정볼트의 결합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와셔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따르면, 상기 와셔부는 중앙에 형성된 볼트 삽입공 주위에 상기 인장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스프링 삽입 홈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판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내측 지지부재의 단축 방향 양측면에 형성된 공구 결합용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덕트 고정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의 설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내측 지지부재의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덕트 고정구는, 천장 슬래브(120)에 고정 설치되는 채널(130)의 개구부(131)로 삽입되는 장방형의 내측 지지부재(11)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11)의 중앙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내측 지지부재(11)를 승강시키는 고정볼트(13)와; 상기 채널(130)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볼트(13)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공(14c)을 구비하며 상기 채널(130)과의 사이에 개재된 케이블 덕트(140)의 플랜지부(145)를 고정하는 외측 고정부재(14)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11)와 외측 고정부재(14)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인장 스프링(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내측 지지부재(11)는 단축 방향은 상기 채널(130)의 개구부(131)에 비해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장축 방향은 상기 채널(130)의 개구부(131)에 비해 큰 폭으로 형성된 장방형 구조물이다. 그리고, 상기 내측 지지부재(11)가 상기 채널(130)의 개구부(131)로 삽입된 후 회전될 때 채널(130)의 돌출부(135)에 걸리지 않도록 회전 방향 모서리 부분에 경사부(11d)가 형성된다.
또, 장축 방향 양측에 상기 채널(130)의 돌출부(135)가 삽입되는 쐐기 홈(11c)이 형성되며, 중앙의 나사공(11a) 주위에는 상기 인장 스프링(12)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스프링 삽입홈(11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 삽입홈(11b)은 그 외측에서 가하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인장 스프링(12)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외측 고정부재(14)는 상기 케이블 덕트(140)의 플랜지부(145)를 개재하여 상기 채널(130)의 외측에 밀착되는 사각 형태의 가압판(14a)과, 상기 가압 판(14a)의 중앙에서 상기 고정볼트(13)의 결합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와셔부(14b)로 구성된다. 상기 와셔부(14b)는 중앙에 형성된 볼트 삽입공(14c) 주위에 상기 인장 스프링(12)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스프링 삽입홈(14d)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삽입홈(14d) 역시 그 외측에서 가하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인장 스프링(12)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판(14a)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내측 지지부재(11)의 단축 방향 양측면에 형성된 공구 결합용 홈(14e)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는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고정부재가 인장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움직이게 되며, 외측 고정부재를 90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내측 지지부재를 채널의 돌출부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인장 스프링(12)에 의해 서로 연결된 내측 지지부재(11)와 외측 고정부재(14)를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고 내측 지지부재(11)를 채널(130)의 개구부(131)에 삽입한 후, 공구를 이용하여 외측 고정부재(14)를 90도 회전시키면 내측 지지부재(11) 역시 90도 회전되면서 내측 지지부재(11)의 장축 부분에 형성된 쐐기 홈(11c)에 채널(130)의 돌출부(135)가 삽입되어 내측 지지부재(11)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내측 지지부재(11)의 모서리 부분에 경사부(11d)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측 지지부재(11)가 쉽게 회전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인장 스프링(12)이 인장되었다 다시 압축되면서 내측 지지부재(11)를 채널(130)에 고정하게 된다.
이후, 상기 외측 고정부재(15)의 볼트 삽입공(11c)을 통해 고정볼트(13)를 삽입하여 내측 지지부재(11)와 나사 체결하게 된다. 물론, 상기 내측 지지부재(11)를 채널(130)에 삽입하기 이전에 고정볼트(13)를 나사 체결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볼트(13)가 상기 내측 지지부재(11)에 어느 정도 체결된 상태에서 외측 고정부재(14)를 아래쪽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인장 스프링(12)이 인장되면서 외측 고정부재(15)와 채널(130)의 외측부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이때로, 상기 외측 고정부재(15)와 채널(130)의 외측부 사이에 케이블 덕트(140)의 플랜지부(145)를 개재하고, 상기 고정볼트(13)를 상기 내측 지지부재(11)에 완전히 체결하게 되면 상기 케이블 덕트(140)의 플랜지부(145)가 상기 채널(13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상에서는 케이블 덕트를 고정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의 덕트 고정구는 케이블 덕트의 고정뿐만이 아니라 환기용 덕트 등의 고정시에도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따르면, 케이블이 설치되는 케이블 덕트를 천장 슬래브에 설치된 채널에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인건비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따르면, 외측 고정부재를 90도 회전시 키는 것만으로 내측 지지부재가 채널의 돌출부에 안착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따르면,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고정부재에 각각 형성된 스프링 삽입홈에 인장 스프링의 양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고정부재를 일체화할 수 있고 각종 부품의 분실 위험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따르면, 외측 고정부재가 와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와셔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정볼트가 외측 고정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따르면, 외측 고정부재의 가장자리에 공구 결합용 홈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공구를 이용한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천장 슬래브(120)에 고정 설치되는 채널(130)의 개구부(131)로 삽입되는 장방형의 내측 지지부재(11)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11)의 중앙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내측 지지부재(11)를 승강시키는 고정볼트(13)와;
    상기 채널(130)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볼트(13)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공(14c)을 구비하며 상기 채널(130)과의 사이에 개재된 케이블 덕트(140)의 플랜지부(145)를 고정하는 외측 고정부재(14)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11)와 외측 고정부재(14)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인장 스프링(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재(11)는, 상기 채널(130)의 개구부(131)로 삽입된 후 회전될 때 채널(130)의 돌출부(135)에 걸리지 않도록 회전 방향 모서리 부분에 경사부(11d)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재(11)는, 단축 방향은 상기 채널(130)의 개구부(131)에 비해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장축 방향은 상기 채널(130)의 개구부(131)에 비해 큰 폭 으로 형성된 장방형 구조물이고, 장축 방향 양측에 상기 채널(130)의 돌출부(135)가 삽입되는 쐐기 홈(11c)이 형성되며, 중앙의 나사공(11a) 주위에 상기 인장 스프링(12)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스프링 삽입홈(11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삽입홈(11b)은, 그 외측에서 가하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인장 스프링(12)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고정부재(14)는, 상기 케이블 덕트(140)의 플랜지부(145)를 개재하여 상기 채널(130)의 외측에 밀착되는 사각 형태의 가압판(14a)과, 상기 가압판(14a)의 중앙에서 상기 고정볼트(13)의 결합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와셔부(14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부(14b)는, 중앙에 형성된 볼트 삽입공(14c) 주위에 상기 인장 스프링(12)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스프링 삽입홈(14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14a)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내측 지지부재(11)의 단축 방향 양측면에 형성된 공구 결합용 홈(14e)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1020060087295A 2006-09-11 2006-09-11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100849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295A KR100849354B1 (ko) 2006-09-11 2006-09-11 케이블 덕트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295A KR100849354B1 (ko) 2006-09-11 2006-09-11 케이블 덕트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416A true KR20080023416A (ko) 2008-03-14
KR100849354B1 KR100849354B1 (ko) 2008-07-29

Family

ID=3939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295A KR100849354B1 (ko) 2006-09-11 2006-09-11 케이블 덕트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3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468B1 (ko) * 2010-08-31 2012-03-27 윤용호 케이블 덕트 고정구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466B1 (ko) 2009-05-27 2011-03-08 윤용호 케이블 덕트 고정구
CN107444424B (zh) * 2017-08-16 2019-01-11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底架设备安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081Y1 (ko) * 1994-01-10 1996-10-14 송완근 케이블 트레이지지용 체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468B1 (ko) * 2010-08-31 2012-03-27 윤용호 케이블 덕트 고정구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354B1 (ko) 2008-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1419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building members
US7306482B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US20060258207A1 (en) Panel-mounted, low voltage terminal
US6840800B2 (en) Deflecting securement anchor for electrical fixtures
US7083467B2 (en) Connection box stabilizer
KR100849354B1 (ko) 케이블 덕트 고정구
US20090003970A1 (en) Threaded anchor having a head portion comprising a hexagonally configured drive section, and an integral projection having a transverse bore formed therein
JP3956235B2 (ja) 埋込型機器
KR101020466B1 (ko) 케이블 덕트 고정구
US7049511B2 (en) Connection box stabilizer
JP3823349B2 (ja) 埋込型機器の取付装置
US6537155B2 (en) Counterweight arbor guide system
JP5103271B2 (ja) 被取付物を取付用レールに取り付けるための取付金具
JP5001896B2 (ja) 冷却ファンの取付構造
KR200432238Y1 (ko) 와셔 일체형 지지구
KR101209402B1 (ko) 와셔 일체형 케이블 덕트 고정구
US20050067545A1 (en) Ceiling fixture support with shallow housing
CN107461619B (zh) 灯具及其灯具组件
KR101944334B1 (ko) 일체형 사이드레일 클램프
CN205534943U (zh) 一种安装架
CN215257198U (zh) 预紧固组件及具有其的杆体
KR200444210Y1 (ko) 전구 소켓 고정구조
CN107461618B (zh) 灯具及其灯具组件
JP2024063427A (ja) 配線器具用取付枠
KR100508774B1 (ko) 비상구 유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