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774B1 - 비상구 유도등 - Google Patents

비상구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774B1
KR100508774B1 KR10-2003-0079586A KR20030079586A KR100508774B1 KR 100508774 B1 KR100508774 B1 KR 100508774B1 KR 20030079586 A KR20030079586 A KR 20030079586A KR 100508774 B1 KR100508774 B1 KR 100508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ver member
bracket
fixed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5503A (ko
Inventor
김학열
Original Assignee
김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열 filed Critical 김학열
Priority to KR10-2003-0079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8774B1/ko
Publication of KR2005004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4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mounted by means of a rigid support, e.g. bracket or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 작업이 매우 신속하면서도 간편하며, 다수개를 설치하더라도 정렬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된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천정(2)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5)과, 이 고정브라켓(15)의 전면에 결합되어 천정(2)에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일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비상구 표지판(37)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5)과 마주하는 일측에는 고정브라켓(15)을 은폐하는 커버부재(25)가 구비된 케이스(35)와, 이 케이스(35)에 내장되는 발광램프(45)를 포함하는 통상의 비상구 유도등에 있어서, 그 일측단이 상기 고정브라켓(15)에 승강됨과 더불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그 타측단은 상기 케이스(35)의 일측에 고정되는 로드 형태의 연결부재(55)와, 이 연결부재(55)의 일측단과 상기 고정브라켓(15)의 배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케이스(35)의 커버부재(25)가 천정(15)에 탄성적으로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6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비상구 유도등{An exit guide lamp}
본 발명은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작업이 매우 신속하면서도 간편하며, 다수개를 설치하더라도 정렬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된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구 유도등은 비상구에 인접된 벽체에 매립 설치되거나 벽체나 천정에 둘출 설치된다. 이중에서 천정에 돌출 설치되는 비상구 유도등은 대략 직사각형의 지지브라켓과, 이 지지브라켓의 전면에 스크류를 매개로 결합되어 지지브라켓을 가려주도록 된 대략 직사각형의 커버부재와, 이 커버부재의 전면에 스크류에 의해 결합되며 그 일면에는 도광판이 구비된 정사각형의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발광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비상구 유도등에 의하면, 상기 커버부재에 스크류를 통해 고정된 상기 케이스를 미리 분리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을 스크류에 의해 천정에 고정한 다음, 상기 커버부재를 스크류를 통해 다시 지지브라켓에 고정하여 건물의 천정에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비상구 유도등은 상기 커버부재를 지지브라켓에 고정한 다수개의 스크류를 풀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을 먼저 천정에 별도의 스크류에 의해 설치한 다음, 상기 커버부재와 케이스를 다시 지지브라켓에 스크류 체결하여 정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작업이 불편하면서도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비상구 유도등은 보통 건물의 복도 천장이나 벽체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데, 이처럼 다수개 설치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비상구 유도등이 정렬되지 못하고 삐뚤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정에 설치하기 용이하면서도 매우 신속하고, 다수개를 설치하더라도 삐뚤어지지 않고 정렬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비상구 유도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천정(2)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5)과, 이 고정브라켓(15)의 전면에 결합되어 천정(2)에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일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비상구 표지판(37)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5)과 마주하는 일측에는 고정브라켓(15)을 은폐하는 커버부재(25)가 구비된 케이스(35)와, 이 케이스(35)에 내장되는 발광램프(45)를 포함하는 통상의 비상구 유도등에 있어서, 그 일측단이 상기 고정브라켓(15)에 승강됨과 더불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그 타측단은 상기 케이스(35)의 일측에 고정되는 로드 형태의 연결부재(55)와, 이 연결부재(55)의 일측단과 상기 고정브라켓(15)의 배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케이스(35)의 커버부재(25)가 천정(15)에 탄성적으로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6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재(25)는 고정브라켓(15)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브라켓(15)의 둘레면과 커버부재(25)의 내벽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재(25)의 전면에는 커버부재(25)의 배면으로 관통되는 고정스크류(75)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스크류(75)를 조여서 고정브라켓(15)의 전면에 가압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스(35)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비상구 유도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건물의 천정(2)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5)과, 이 고정브라켓(15)의 전면을 가려주는 커버부재(25)와, 이 커버부재(25)의 중앙부에 커버부재(25)와 나란하게 고정되어 건물의 천정(2)에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일면에는 반투명의 비상구 표시판(37)이 구비된 케이스(35)와, 이 케이스(35)에 내장되는 발광램프(45)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본 발명은 연결부재(55)에 의해 상기 케이스(35)와 커버부재(25)가 고정브라켓(15)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35)와 커버부재(25)는 탄성부재(65)에 의해 고정브라켓(15) 방향으로 탄지된다.
설명 안된 도면부호 42는 상기 발광램프(45)의 빛을 전달하는 도광판(42)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광판(42)의 둘레부 일면에 상기 발광램프(45)가 인접 배치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5)은 스크류에 의해 건물의 벽체나 천정(2)에 고정되는 것으로, 그 중앙부에는 후술할 연결부재(55)의 일단부가 결합되도록 된 관통공(13a)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55)는 원형로드(막대)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일단부가 상기 고정브라켓(15)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13a)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55)는 고정브라켓(15)의 관통공(13a)에 전후 방향으로 출몰됨과 더불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상기 연결부재(55)의 타단부는 상기 커버부재(25)의 중앙부와 케이스(35)의 일측 중앙부를 관통하여 그 타측 둘레부가 상기 케이스(35)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55)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15)에 케이스(35)가 장착된다.
상기 탄성부재(65)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55)의 일측단 둘레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55)의 일단부에 돌출된 걸림턱(56a)과 상기 고정브라켓(15)의 배면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탄성부재(65)는 상기 커버부재(25)와 케이스(35)를 고정브라켓(15) 방향으로 탄지하여 상기 케이스(35)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커버부재(25)가 건물의 벽체나 천정(2)에 가압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비상구 유도등을 천정(2)에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케이스(35)와 이에 구비된 커버부재(25)를 고정브라켓(15)에 대하여 90°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라켓(15)을 천정(2)의 지정된 위치에 고정스크류(75)로 체결하여 고정하면, 상기 커버부재(25)와 케이스(35)가 천정(2)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35)를 파지하여 천정(2)의 반대 방향으로 당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15)이 케이스(35)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케이스(35)를 고정브라켓(15)에 대하여 다시 90° 방향(즉, 상기 고정브라켓(15)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 복귀시킨다. 이어서, 상기 케이스(35)를 놓게 되면,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15)이 커버부재(25)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65)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25)와 이에 고정된 케이스(35)가 천정(2)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당겨져서 천정(2)에 가압 고정된다.
이때, 비상구 유도등은 건물의 복도 천정(2)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데, 상기 커버부재(25)가 고정브라켓(15)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브라켓(15)의 사각 둘레면과 커버부재(25)의 사방 내벽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비상구 유도등을 천정(2)에 다수개 설치할 때의 작업 오차나 사용중의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35)가 소정 각도 삐뚤어지게 설치된다 하더라도, 상기 케이스(35)를 고정브라켓(15)과 커버부재(25)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의 범위 내에서 천정(2)의 텍스라인 등에 맞추어 소정 각도 회동시킴으로써, 각각의 유도등을 줄을 맞추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25)의 전면 중앙부 일측에는 상기 커버부재(25)의 배면으로 관통되는 고정스크류(75)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스크류(75)를 조여서 고정브라켓(15)의 전면에 가압 밀착시키게 되면, 상기 케이스(35)가 천정(2)에 가압 고정되므로, 외부의 힘에 의해 상기 케이스(35)가 삐뚤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브라켓(15)을 먼저 천정(2)에 설치하고 상기 커버부재(25)와 케이스(35)를 다시 고정브라켓(15)에 고정해야 했던 종래와 달리, 상기 고정브라켓(15)을 천정(2)에 고정하고, 상기 커버부재(25)와 케이스(35)를 회동시키기만 하면, 천정(2)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작업이 매우 신속하면서도 간편하다. 또한, 이처럼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므로, 작업수가 줄어들게 되는 등 생산성이나 경제성 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25)의 사방 내벽면과 고정브라켓(15)의 사각 둘레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설치 작업에 따른 오차나 사용중의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케이스(35)가 삐뚤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케이스(35)를 소정 각도 회동시켜 올바른 위치로 되돌려 놓을 수 있기 때문에, 천정(2)의 텍스라인 등에 상기 케이스(35)를 정렬된 상태로 맞추어 다수개의 비상구 유도등을 올바로 정렬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을 밝혀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고정브라켓을 천정에 고정하고, 상기 케이스와 이에 결합된 커버부재를 회동시키기만 하면, 천정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작업이 매우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고, 생산성이나 경제성 면에서 유리하며, 설치시의 작업 오차나 사용중의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케이스가 삐뚤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케이스를 소정 각도 회동시켜 올바른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설치 라인에 맞추어 가지런하게 정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구 유도등의 케이스와 커버부재가 고정브라켓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천정에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비상구 유도등이 하측으로 당겨진 상태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저면도
도 4은 도 2의 비상구 유도등의 케이스와 커버부재가 고정브라켓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의 배면도
도 5는 도 4의 비상구 유도등이 천정으로 탄지되어 고정된 상태의 배면도
도 6는 도 5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고정브라켓 25. 커버부재
35. 케이스 55. 연결부재
65. 탄지수단

Claims (3)

  1. 건물의 천정(2)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5)과, 이 고정브라켓(15)의 전면에 결합되어 천정(2)에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일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비상구 표지판(37)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5)과 마주하는 일측에는 고정브라켓(15)을 은폐하는 커버부재(25)가 구비된 케이스(35)와, 이 케이스(35)에 내장되는 발광램프(45)를 포함하는 통상의 비상구 유도등에 있어서, 그 일측단이 상기 고정브라켓(15)에 승강됨과 더불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그 타측단은 상기 케이스(35)의 일측에 고정되는 로드 형태의 연결부재(55)와, 이 연결부재(55)의 일측단과 상기 고정브라켓(15)의 배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케이스(35)의 커버부재(25)가 천정(15)에 탄성적으로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6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5)는 고정브라켓(15)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브라켓(15)의 둘레면과 커버부재(25)의 내벽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5)의 전면에는 커버부재(25)의 배면으로 관통되는 고정스크류(75)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스크류(75)를 조여서 고정브라켓(15)의 전면에 가압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스(35)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
KR10-2003-0079586A 2003-11-11 2003-11-11 비상구 유도등 KR100508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586A KR100508774B1 (ko) 2003-11-11 2003-11-11 비상구 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586A KR100508774B1 (ko) 2003-11-11 2003-11-11 비상구 유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503A KR20050045503A (ko) 2005-05-17
KR100508774B1 true KR100508774B1 (ko) 2005-08-17

Family

ID=37245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586A KR100508774B1 (ko) 2003-11-11 2003-11-11 비상구 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8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245B1 (ko) 2008-11-26 2010-11-12 정환민 도광판의 용이한 결합구조를 갖는 피난 유도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245B1 (ko) 2008-11-26 2010-11-12 정환민 도광판의 용이한 결합구조를 갖는 피난 유도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503A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608C (zh) 隐蔽式灯具
US7824081B2 (en) Helicoidal system for recessed light fixture assembly
KR100508774B1 (ko) 비상구 유도등
KR20160100062A (ko) 조명장치
KR20150127909A (ko) 평판조명
KR200330066Y1 (ko) 천정등 커버의 결합구조
KR101212410B1 (ko) 등기구 고정장치
JP2005276703A (ja) ダウンライト
JP6169537B2 (ja) Led照明装置
JP2015125976A (ja) 照明具用取付具
JP2015095453A (ja) Led照明装置の取付方法
KR200295405Y1 (ko) 천정등
EP3260772B1 (en) Installation mechanism for led lightings
US8561961B1 (en) Captive hardware for improved installation
KR100523700B1 (ko) 비상구 유도등
JP5695238B2 (ja) Led照明装置
KR200493003Y1 (ko) 탈착형 조명기구
KR101894281B1 (ko) 내진용 엘이디 조명등 설치구조
JP6262392B2 (ja) Led照明装置
JP4281918B2 (ja) 照明器具
EP1664623B1 (en) Recessed type lighting fixture with device for quickly mounting and dismounting the lamp
KR20180050459A (ko) 천장등 고정구
KR200247381Y1 (ko) 형광등기구의 장착장치
KR200220294Y1 (ko) 조명등커버의 결합구조
KR200275506Y1 (ko) 천정에 등(燈)기구의 협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