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909A - 평판조명 - Google Patents

평판조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7909A
KR20150127909A KR1020140054187A KR20140054187A KR20150127909A KR 20150127909 A KR20150127909 A KR 20150127909A KR 1020140054187 A KR1020140054187 A KR 1020140054187A KR 20140054187 A KR20140054187 A KR 20140054187A KR 20150127909 A KR20150127909 A KR 20150127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light source
cover
illumin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미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자인라이트패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자인라이트패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자인라이트패널
Priority to KR1020140054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7909A/ko
Publication of KR20150127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조명에 관한 것으로서,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로 LED바를 구동시키되, 상기 SMPS의 지지기반으로서 조명 설치면에 복수개의 볼트로 결합되는 부착프레임; 상기 부착프레임의 저부에 위치되고, 조명 불빛이 발산되는 도넛형상의 조명판부; 상기 조명판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조명판부의 내경부를 통해 상기 부착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조명 불빛용 광원인 LED바를 구비한 링형광원부; 및 상기 링형광원부의 하벽 내주면의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안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링형광원부의 개구부를 덮는 크기의 원판 형상을 갖는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평판조명{FLAT LIGHTINGS}
본 발명은 평판조명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ED 광원을 조명 중앙에 배치하고, 조명 설치면에 직접 부착하여 사용하는 평판조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광판(Light Guide Plate)은 백라이트 유니트(BLU)의 휘도와 균일한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으로서, 액정 표시 장치(LCD) 또는 LED 조명 내에서 빛을 인도하는 아크릴 사출물을 일 수 있다.
한편, LED 조명은 내광성이 좋고 수천 가지의 색채를 띠는 장점이 있어 실외에서의 건축 조명으로서 각광 받고 있다.
다만, 조명 제품은 설치도 용이하여야 하고, 조명 설치면에 부착 또는 설치시 고정 수단으로 사용되는 볼트를 커버로 가려서 심미적으로도 미려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천정등 반사판인 특허문헌1은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기구로서 천정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케이스를 덮어주는 커버를 구비하되, 케이스의 볼트에 나사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커버에는 너트홈이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의 케이스가 천정에 직접 부착되는 경우, 설치 작업자가 케이스의 아래쪽에서 위를 향하는 위치에서 커버의 너트홈이 케이스의 볼트에 가려지기 때문에, 상기 볼트와 너트홈의 체결에 있어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설치 작업자는 커버를 수평하게 유지시키면서도 커버의 너트홈과 볼트의 나사 결합을 설치 작업자의 촉감에 의지하여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수많은 시행착오를 통해서 커버를 너트홈에 결합시킬 수 있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한편, 특허문헌2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균일도를 제어하는 도광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은 조명등 자체를 조명 설치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부재되어 있고, 그러한 고정수단을 용이하게 마감할 수 있는 수단도 부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2는 광원수단인 LED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는 수단이 부재되어 있고, 조명등으로서 제작 및 설치가 매우 어렵고, 특히, 조명등의 본체를 조명 설치면에 고정시킨 후, 커버를 본체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수단이 부재되어서, 설치 및 유지 보수가 불편할 수 있다.
또한, 광원수단은 LED의 구동을 위해서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를 구비하는데, 이때, SMPS가 다른 부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량물이므로, 그 중량물인 광원수단이 어떻게 천장과 같은 조명 설치면에 견고하게 위치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1)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1959호(2009.11.25)
(특허문헌2)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24923호(2013.11.15)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SMPS의 지지기반이 되고 복수개의 설치볼트에 의해 조명 설치면에 직접 부착되는 부착프레임을 제공하고, 부착프레임을 기반으로 결합되는 조명판부 및 링형광원부와, 링형광원부에 취부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조명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커버와 링형광원부간 취부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평판조명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로 LED바를 구동시키는 평판조명에 있어서, 상기 SMPS의 지지기반으로서 조명 설치면에 복수개의 볼트로 결합되는 부착프레임; 상기 부착프레임의 저부에 위치되고, 조명 불빛이 발산되는 도넛형상의 조명판부; 상기 조명판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조명판부의 내경부를 통해 상기 부착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조명 불빛용 광원인 LED바를 구비한 링형광원부; 및 상기 링형광원부의 하벽 내주면의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안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링형광원부의 개구부를 덮는 크기의 원판 형상을 갖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조명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부착프레임은, 복수개로 구비된 상기 SMPS의 디밍(dimming) 구동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SMPS의 사이를 기준으로 상기 부착프레임의 저면에 고정되어서, 외부 리모트 콘트롤러로 조명 온(ON), 오프(OFF), 디밍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센서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명판부는, 상기 LED바와 대면하는 내경부; 상기 내경부의 반대쪽으로 상기 조명판부의 외경에 해당하는 빛샘방지부; 상기 내경부와 상기 빛샘방지부의 사이로 상부에 위치한 반사판; 상기 반사판의 저면에 적층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저면에 적층된 확산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링형광원부는, 상기 조명판부의 상기 내경부에 삽입되는 링형상의 상벽; 상기 상벽의 내주면을 따라 배열된 복수개의 방열판; 상기 상벽의 외주면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확산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링형상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저면에 형성되어서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를 복수개로 구비한 링형상의 하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링형광원부는, 상기 지지부의 윗면과 상기 확산판의 저면에 접착되는 링 형상의 접착테이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링형광원부는, 상기 LED바의 접속구를 안치 및 통과시키도록, 상기 상벽에 절개 형상의 절개홈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링형광원부의 하벽 내주면에서 하향 경사로 돌출되게 형성된 하향경사면; 상기 하향경사면 중간 위치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고정턱부; 상기 하향경사면 양측끝단에서 상하 단면적이 줄어드는 삽입부; 및 상기 하향경사면의 아래쪽으로 이격되어서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링형광원부의 하벽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수평저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착돌기는, 상기 커버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연장벽; 상기 연장벽의 중간 위치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버의 테두리 상면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수직벽; 상기 하향경사면에 대응한 경사 각도로 기울어져 있고, 상기 수직벽과 상기 연장벽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고정돌기의 상기 상향경사면 또는 상기 고정턱부를 덮는 안착판부; 상기 안착판부의 일측 저면에 형성된 제 1 턱안착홈; 및 상기 안착판부의 타측 저면에 형성된 제 2 턱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턱안착홈 또는 상기 제 2 턱안착홈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위치한 결합 공간을 통해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링형광원부의 하벽의 저면에 접촉하여 상기 커버의 수평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링형광원부의 하벽의 저면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의 테두리 상면쪽 위치에 벽미끄럼부를 더 형성하고 있다.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평판조명은 복수개의 설치볼트에 의해 천장과 같은 조명 설치면에 고정되는 부착프레임을 제공하고, 그 부착프레임에 상대적인 중량물인 SMPS을 비롯하여, 적외선 센서와, 조명판부 및 링형광원부를 결합시키고 있고, 커버만을 링형광원부에서 취부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있음에 따라서, 조명을 견고하게 조명 설치면에 부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고 조명 불빛이 발산되는 도넛형상의 조명판부를 부착프레임의 저부에 위치시킨 후, 링형광원부로 조명판부를 지지하도록, 링형광원부가 조명판부의 내경부를 통해 부착프레임에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서, 설치 작업자는 단순히 설치볼트를 이용하여 부착프레임, 조명판부 및 링형광원부로 이루어진 조립체를 조명 설치면에 설치한 후, 커버만을 링형광원부에서 취부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평판조명을 견고하게 조명 설치면에 부착 및 고정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개의 안착돌기를 커버에 형성하고, 커버 회전 중심이 링형광원부에 용이하게 맞춰질 수 있는 커버와, 커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안착돌기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돌기가 마련된 링형광원부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링형광원부와 상기 커버간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링형광원부의 상벽 내주면에 복수개의 방열판을 형성하여, 링형광원부의 상벽 외주면에 끼워진 LED바의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시켜서, LED바의 열하중에 의한 손상을 줄여주고 조명 제품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조명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평판조명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링형광원부의 LED바와 링형프레임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원 A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원 B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평판조명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평판조명의 정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평판조명의 부분 확대 단면을 보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평판조명의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들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조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평판조명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조명은 복수개의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 복수개의 디밍(dimming) 구동회로, 복수개의 LED바를 구비한 것으로서, 커버(400)로 덮여있는 평판조명의 중앙부인 링형광원부(300)에서 가장자리로 광균일도를 제어하여서, 조명판부(200)에서 광분포가 균일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직접 부착식 조명 장치, 즉 도넛직부등일 수 있다. 여기서, 광분포의 균일한 발광 원리는 본 출원이 출원하고 공개된 상기 특허문헌2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음으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생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조명은 부착프레임(100), 조명판부(200), 링형광원부(300), 커버(400)를 포함한다.
부착프레임(100)은 SMPS(110), 조명 온(ON), 오프(OFF), 디밍 등의 조명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디밍 구동회로(120), 적외선센서(130) 등의 지지기반으로서, 조명 설치면(예: 건물 내부의 천장, 측벽면 등)에 복수개의 설치볼트(140)로 결합된다. 이러한 부착프레임(100)은 판금 제작 및 천공을 통해서 원반형 프레임 몸체에 링형상의 주름과 각종 설치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부착프레임(100)은 복수개로 구비된 SMPS(110)의 디밍(dimming) 구동회로(1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SMPS(110)의 사이를 기준으로 부착프레임(100)의 중항의 저면에 고정되어서, 외부 리모트 콘트롤러(미 도시)로 조명 온(ON), 오프(OFF), 디밍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센서(130)를 구비한다.
조명판부(200)는 부착프레임(100)의 저부에 위치되고, 조명 불빛이 발산되는 도넛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는 조명판부(200)의 중앙부에 링형광원부(300)를 배치하고 있다. 즉, 링형광원부(300)가 조명판부(200)의 레이아웃 또는 디자인 형상에 따라 변형될 필요가 없으므로, 조명판부(200)를 도넛형 또는 원형뿐만 아니라, 별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팔각형 또는 다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외곽 곡선을 갖는 레이아웃 혹은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 구성으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판부(200)는 LED바(310)와 대면하는 내경부(210)와, 상기 내경부(210)의 반대쪽으로 상기 조명판부(200)의 외경에 해당하는 빛샘방지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빛샘방지부(220)는 영문 C자형 단면을 갖는 마감재일 수 있다. 즉, 빛샘방지부(220)는 하기의 반사판(230), 도광판(240) 및 확산판(250)의 외곽 레이아웃을 금속 형상의 외표면으로 마감할 수 있도록, 빛샘방지부(220)의 외표면에 금속 증착층을 구비하고 있으며, 빛샘방지부(220)의 내표면에 광확산재를 구비하여 빛 흡수를 방지하면서 상기 외곽 레이아웃을 따라 휘어져서 밀착 될수 있도록 가요성 재질 또는 연성 재질의 백색 합성수지층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조명판부(200)는 내경부(210)와 빛샘방지부(220)의 사이로 상부에 위치한 반사판(230)과, 상기 반사판(230)의 저면에 적층된 도광판(240)과, 상기 도광판(240)의 저면에 적층된 확산판(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반사판(230), 도광판(240) 및 확산판(250)의 작용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문헌2에 설명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링형광원부(300)는 조명판부(200)를 지지하도록, 조명판부(200)의 내경부(210)의 홀을 통해 삽입된 후, 복수개의 체결볼트(301)를 이용하여 부착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이러한 링형광원부(300)는 조명 불빛용 광원인 LED바(310)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400)는 링형광원부(300)의 하벽 내주면의 복수개의 고정돌기(원 A 참조)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안착돌기(원 B 참조)를 구비하고, 링형광원부(300)의 개구부(302)를 하부에서 상부쪽으로 덮는 크기의 원판 형상을 갖는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링형광원부의 LED바와 링형프레임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링형광원부(300)는 조명판부(200)의 내경부(210)에 삽입되고, LED바(31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링형상의 상벽(320)을 포함한다.
LED바(310)는 2개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LED를 LED바(3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하고 있다. 이러한 LED바(310)는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갖도록 휘어져 있으며, 전원을 복수개의 LED에 공급하기 위한 접속구(311)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각 접속구(311)의 전선은 복수개의 LED를 서로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접속회로(미 도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링형광원부(300)는 LED바(310)의 접속구(311)를 안치 및 통과시키도록, 상벽(320)에 절개 형상의 절개홈부(321)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LED바(310)의 접속구(311)가 2개이므로, 이에 따라 절개홈부(321)도 상벽(320)에 2개로 대향 배치 및 형성된다.
또한, 절개홈부(321)를 기준으로 지지부(340)의 상면에는 스토퍼벽(322)이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스토퍼벽(322)은 상벽(320)의 외주면으로부터 LED바(310)의 두께만큼 이격 배치되어 지지부(340)의 상면에 수직하게 세워져 있고, LED바(310)의 LED와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갖는다. 이러한 스토퍼벽(322)은 원형으로 구부러진 LED바(310)를 원래의 1자 형태로 펼쳐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바와 같이, LED바(310)의 원형 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다.
방열판(330)은 상벽(320)의 내주면을 따라 동일한 이격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개로 배열된다. 방열판(330)은 LED바(310)에 밀착된 상벽(320)을 통해 전달되는 열 하중을 링형광원부(300)의 개구부(302) 쪽으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상벽(320)에는 방열판(330) 중 어느 하나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너트홈부(331)가 형성된다. 너트홈부(331)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부착프레임(100)의 볼트구멍에 끼워진 각각의 체결볼트(301)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링형광원부(300)의 상벽(320)의 하부 외측에는 상벽(320)의 외측면과 수직한 지지부(340)가 상벽(3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340)는 링형상을 갖는다. 이런 지지부(340)는 상벽(310)의 외주면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되어서 조명판부(200)의 확산판(25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특히, 링형광원부(300)는 지지부(340)의 윗면과 상기 확산판(250)의 저면에 접착되는 링 형상을 갖는 양면 접착형의 접착테이프(341)를 더 포함한다. 즉, 링형광원부(300)와 조명판부(200)의 결합 전에, 접착테이프(341)는 지지부(340)의 윗면에 미리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링형광원부(300)는 지지부(340)의 저면에 형성되어서 개구부(302)를 형성하고, 고정돌기(350)를 복수개로 구비한 링형상의 하벽(360)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돌기(350)는 하벽(360)의 내주면을 따라 커버(400)의 안착돌기(원 B 참조)에 대응하게 배치 및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원 A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원 B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돌기(350)는 링형광원부(300)의 하벽(360) 내주면에서 하향 경사로 돌출되게 형성된 하향경사면(351)과, 상기 하향경사면(351) 중간 위치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고정턱부(352)와, 상기 하향경사면(351) 양측끝단에서 상하 단면적이 줄어드는 삽입부(353)와, 상기 하향경사면(351)의 아래쪽으로 이격되어서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링형광원부(300)의 하벽(360) 내주면에 돌출된 수평저면(354)을 포함한다. 특히, 하향경사면(351)은 같은 폭의 수평평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마찰력 증대 및 가이드면 증대의 역할을 통해서, 커버의 안착돌기에 대하여 견고한 체결 상태의 유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안착돌기(450)는 커버(400)의 상면의 테두리쪽 부위에 형성된 보강리브(401)상에 설치되어 구조적으로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돌기(450)는 커버(400)에서 상향으로, 더욱 상세하게, 커버(400)의 보강리브(401)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연장벽(451)과, 연장벽(451)의 중간 위치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버(400)의 테두리 상면(402)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수직벽(452)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장벽(451)은 링형광원부(300)의 하벽(360)의 곡면 기울기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안착돌기(450)는 링형광원부(300)의 고정돌기(350)의 하향경사면(351)에 대응한 경사 각도로 기울어져 있고, 상기 수직벽(452)과 상기 연장벽(451)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고정돌기(450)의 상향경사면(351) 또는 고정턱부(352)를 덮는 안착판부(453)를 포함한다.
이때, 안착돌기(450)는 안착판부(453)의 일측 저면에 형성된 제 1 턱안착홈(453-1)과, 상기 안착판부(453)의 타측 저면에 형성된 제 2 턱안착홈(453-2)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턱안착홈(453-1) 또는 상기 제 2 턱안착홈(453-2)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위치한 결합 공간(R1,R2), 즉 제 1 턱안착홈(453-1) 또는 상기 제 2 턱안착홈(453-2)의 하부쪽으로 수직벽(452)과 상기 연장벽(451)에 의해 구획되는 결합 공간(R1,R2) 중 하나를 이용하여 커버(400)의 안착돌기(450)와 링형광원부(300)의 고정돌기(350)가 서로 결합된다.
즉, 안착돌기(450)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개방된 입구를 구비한 2개의 결합 공간(R1,R2)을 가지고 있으므로, 링형광원부(300)와 커버(400)의 상호 결합시, 커버(4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링형광원부(3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반대로 커버(4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역시 링형광원부(3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은 설치 작업자 측면에서 커버(400)를 링형광원부(300)에 결합시킬 때 매우 유리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평판조명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평판조명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평판조명의 부분 확대 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설치 작업자는 설치볼트(140)를 이용하여 부착프레임, 조명판부(200) 및 링형광원부(300)로 이루어진 조립체를 조명 설치면에 설치한 후, 커버(400)만을 링형광원부(300)에서 취부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또는 설치 과정을 도 7 또는 도 8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작업 설치자는 직접 부착 방식을 준용하여서, 커버(400)를 링형광원부(300)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조명 설치면(C)에 미리 마련된 전원공급선(미 도시)에 평판조명의 전선을 접속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본 실시예의 평판조명은 설치볼트(140)로 조명 설치면(C)에 고정 또는 설치된다. 즉, 부착프레임(100)이 조명 설치면(C)에 접촉된 상태일 때, 설치 작업자가 2개의 설치볼트(140)를 조여서 평판조명을 고정한다.
이런 다음, 설치 작업자는 상기 분리해 둔 커버(400)를 회전시켜서 링형광원부(300)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설치 작업자는 커버(400)를 링형광원부(300) 쪽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안착돌기(450)와 고정돌기(350)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커버(400)는 그의 테두리 상면쪽 위치에 벽미끄럼부(460)를 더 형성하고 있다. 벽미끄럼부(460)는 링형광원부(300)의 하벽(360)의 저면(361)을 안착 및 접촉시킬 수 있는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커버(400)의 수평 회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서, 벽미끄럼부(460)는 상기 링형광원부(300)의 하벽(360)의 저면(361)에 대응하여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벽미끄럼부(4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00)의 상면(예: 커버 내표면)의 중심부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커버리브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8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벽미끄럼부(460)는 함몰된 라운드형 곡면부(462)를 구비하고 있다. 라운드형 곡면부(462)는 링형광원부(300)의 하벽(360)의 저면(361)의 양측에 마련된 라운드형 코너부(362)와의 접촉을 통해서, 커버(400)의 회전 중심이 링형광원부(300)의 중심에 일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벽미끄럼부(460) 및 그의 라운드형 곡면부(462)와 하벽(360)의 라운드형 코너부(362)간의 접촉 구조적 특징은 커버(400)를 들어서 링형광원부(300) 쪽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설치 작업자의 측면에서, 커버(400)가 링형광원부(300)의 저부를 가리고 있고, 설치 작업자의 촉각이나 매우 제한적인 시각만을 이용하여 커버(400)가 링형광원부(300)에 결합되는 상황이므로, 커버(400)의 회전 중심을 링형광원부(300)의 중심에 일치시키는데 매우 유리하여, 결과적으로 커버(400)와 링형광원부(300)간 결합 작업 혹은 전체 조명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설치 작업자는 커버(40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링형광원부(300)의 고정돌기(350)가 커버(400)의 안착돌기(450)의 결합 공간 쪽으로 삽입된다. 즉, 설치 작업자는 커버(400) 회전 방향을 숙지하지 않더라도, 커버(400)를 링형광원부(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후 고정돌기(350)의 삽입부의 측면이 수직벽(452)에 접촉될 때, 커버(400)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고정돌기(350)의 고정턱부(352)는 안착돌기(450)의 제 1 턱안착홈(453-1) 또는 제 2 턱안착홈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이런 경우, 커버(400)와 링형광원부(300)의 결합이 완료된다.
물론, 재설치 또는 유지 보수를 위하여, 커버(400)를 역회전시킬 경우, 고정돌기(350)와 안착돌기(450)의 분리가 이루어지고, 그 결과 커버(400)는 링형광원부(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부착프레임 200 : 조명판부
300 : 링형광원부 350 : 고정돌기
400 : 커버 450 : 안착돌기

Claims (9)

  1.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로 LED바를 구동시키는 평판조명에 있어서,
    상기 SMPS의 지지기반으로서 조명 설치면에 복수개의 볼트로 결합되는 부착프레임;
    상기 부착프레임의 저부에 위치되고, 조명 불빛이 발산되는 도넛형상의 조명판부;
    상기 조명판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조명판부의 내경부를 통해 상기 부착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조명 불빛용 광원인 LED바를 구비한 링형광원부; 및
    상기 링형광원부의 하벽 내주면의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안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링형광원부의 개구부를 덮는 크기의 원판 형상을 갖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조명.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프레임은 복수개로 구비된 상기 SMPS의 디밍(dimming) 구동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SMPS의 사이를 기준으로 상기 부착프레임의 저면에 고정되어서, 외부 리모트 콘트롤러로 조명 온(ON), 오프(OFF), 디밍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조명.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판부는,
    상기 LED바와 대면하는 내경부;
    상기 내경부의 반대쪽으로 상기 조명판부의 외경에 해당하는 빛샘방지부;
    상기 내경부와 상기 빛샘방지부의 사이로 상부에 위치한 반사판;
    상기 반사판의 저면에 적층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저면에 적층된 확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조명.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광원부는,
    상기 조명판부의 상기 내경부에 삽입되는 링형상의 상벽;
    상기 상벽의 내주면을 따라 배열된 복수개의 방열판;
    상기 상벽의 외주면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확산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링형상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저면에 형성되어서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를 복수개로 구비한 링형상의 하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조명.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광원부는,
    상기 지지부의 윗면과 상기 확산판의 저면에 접착되는 링 형상의 접착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조명.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광원부는,
    상기 LED바의 접속구를 안치 및 통과시키도록, 상기 상벽에 절개 형상의 절개홈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조명.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링형광원부의 하벽 내주면에서 하향 경사로 돌출되게 형성된 하향경사면;
    상기 하향경사면 중간 위치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고정턱부;
    상기 하향경사면 양측끝단에서 상하 단면적이 줄어드는 삽입부; 및
    상기 하향경사면의 아래쪽으로 이격되어서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링형광원부의 하벽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수평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조명.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돌기는,
    상기 커버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연장벽;
    상기 연장벽의 중간 위치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버의 테두리 상면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수직벽;
    상기 하향경사면에 대응한 경사 각도로 기울어져 있고, 상기 수직벽과 상기 연장벽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고정돌기의 상기 상향경사면 또는 상기 고정턱부를 덮는 안착판부;
    상기 안착판부의 일측 저면에 형성된 제 1 턱안착홈; 및
    상기 안착판부의 타측 저면에 형성된 제 2 턱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턱안착홈 또는 상기 제 2 턱안착홈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위치한 결합 공간을 통해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조명.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링형광원부의 하벽의 저면에 접촉하여 상기 커버의 수평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링형광원부의 하벽의 저면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의 테두리 상면쪽 위치에 벽미끄럼부를 더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조명.
KR1020140054187A 2014-05-07 2014-05-07 평판조명 KR20150127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187A KR20150127909A (ko) 2014-05-07 2014-05-07 평판조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187A KR20150127909A (ko) 2014-05-07 2014-05-07 평판조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909A true KR20150127909A (ko) 2015-11-18

Family

ID=5483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187A KR20150127909A (ko) 2014-05-07 2014-05-07 평판조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790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542B1 (ko) * 2016-12-09 2018-05-03 심위식 외장가변식 엘이디 엣지등
KR200491032Y1 (ko) * 2019-02-11 2020-02-07 주식회사 삼원하이텍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
KR20210000474A (ko) * 2019-06-25 2021-01-05 (주)뷰텍이에스 조명기구 고정장치
KR20220022699A (ko) *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알토 조명기구 고정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542B1 (ko) * 2016-12-09 2018-05-03 심위식 외장가변식 엘이디 엣지등
KR200491032Y1 (ko) * 2019-02-11 2020-02-07 주식회사 삼원하이텍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
KR20210000474A (ko) * 2019-06-25 2021-01-05 (주)뷰텍이에스 조명기구 고정장치
KR20220022699A (ko) *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알토 조명기구 고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74762A1 (en) Twist and lock mounting bracket
KR20150127909A (ko) 평판조명
US9618195B2 (en) Sealing cover for a recessed light
WO2021077943A1 (zh) 防止塌陷的灯具
JP2014082067A (ja) 照明器具
JP2014082066A (ja) 照明器具
US20210095839A1 (en) Mounting assembly, panel light having mounting assembly and panel light combination
JP6443697B2 (ja) 照明器具
JP2014082068A (ja) 照明器具
KR20180043498A (ko) 부착식 엘이디 조명장치
JP5846383B2 (ja) 照明器具
JP6112185B2 (ja) 照明器具
JP2012146668A (ja) 照明器具
KR101770514B1 (ko) 엘이디 조명기구용 등 커버 고정장치
JP6044758B2 (ja) 光源ユニットおよび照明器具
JP2013251142A (ja) 光源ユニットおよび照明器具
KR20160113506A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1673569B1 (ko) 일체형의 커버프레임이 구비된 led 평판조명장치
KR100976274B1 (ko) 엘이디 조명장치
JP4793728B2 (ja) 配線器具
KR102103101B1 (ko) 원터치 고정구조를 갖는 천장 직착등
JP2014072077A (ja) 照明装置
JP2016171034A (ja) 照明装置
KR101327309B1 (ko) 매입형 조명장치
KR101340945B1 (ko) 매입형 조명장치용 몸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