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468B1 - 케이블 덕트 고정구 - Google Patents

케이블 덕트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468B1
KR101130468B1 KR1020100084996A KR20100084996A KR101130468B1 KR 101130468 B1 KR101130468 B1 KR 101130468B1 KR 1020100084996 A KR1020100084996 A KR 1020100084996A KR 20100084996 A KR20100084996 A KR 20100084996A KR 101130468 B1 KR101130468 B1 KR 101130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duct
channel
support member
inner suppor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0999A (ko
Inventor
윤용호
Original Assignee
윤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호 filed Critical 윤용호
Priority to KR1020100084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4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덕트의 내측 플랜지부를 채널에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bar) 형태의 연결구에 의해 천장 슬래브에서 하부로 일정길이 늘어뜨려진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채널상에 케이블 덕트를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덕트 고정구로서, 상기 채널의 상부 개구부로 삽입되며 가운데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을 기준으로 장축방향의 양측 상부면상에 쐐기홈이 각각 형성된 장방형의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채널의 개구부가 위치한 상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부와, 저부면에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를 수용하여 압착하는 압착판부와, 상기 압착판부가 상기 본체부와 일정 높이 단차를 이루며 연결되게 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외측 고정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의 상부면과 상기 외측 고정부재(30)의 저부면상에 양단이 접촉되는 스프링과; 상기 외측 고정부재의 관통공과 상기 스프링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내측 지지부재의 나사공과 나사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내측 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케이블 덕트 고정구{CABLE DUCT FIXER}
본 발명은 실내의 각종 전기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이 설치되는 케이블 덕트를 채널상에 고정시키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덕트의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를 채널에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각종 전기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은 통행 등의 편의를 위하여 천장 부분에 위치되도록 하고 있다.
천장 슬래브로부터 상하 방향의 일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태의 고정수단에 의해 다수의 채널이 늘어뜨려진 형태로 고정되고, 상기 다수의 채널 상측부에서 채널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케이블 덕트가 설치된다. 이때 케이블 덕트를 채널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케이블 덕트 고정구가 사용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부호 130은 채널을 나타내고, 케이블 덕트 고정구(10)는 내측 지지부재(11), 스프링(12), 상부덮개(14) 및 고정볼트(13)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종래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10)에서는, 내측 지지부재(11) 저부면의 중심부상에 스프링 삽입홈(11b)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부덮개(14)의 중심부에도 스프링(12)의 하단이 고정되는 스프링 삽입홈(14d)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종래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10)에서는, 스프링(12)이 상,하측에 위치한 내측 지지부재(11)와 상부덮개(14)에 고정되어 일체를 이룬다.
상기한 종래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10)를 사용할 경우, 내측 지지부재(11)의 상부덮개(14)상에 스프링 삽입홈을 별도로 형성해야 하는 것과 함께 상기 스프링 삽입홈에 스프링의 상단과 하단을 결착시키는 공정이 부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에 따른 추가의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10)에서는, 고정볼트(13)를 제외한 내측 지지부재(11)와 상부덮개(14) 및 그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12)이 일체형을 이루어 부품의 취급이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부품 조립시 각 부품의 독립적인 움직임을 구현할 수 없어 정밀한 조립과정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채널(130)의 플랜지부(135)를 고정하는 상부덮개(14)의 일측부의 길이가 짧아 케이블 덕트 고정구(10)의 유동이 발생할 경우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135)의 고정상태가 견고히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를 저부에 수용하여 압착하는 외측 고정부재의 압착판부를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나온 구조로 하여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의 압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 고정부재와 내측 지지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이 그 상단과 하단이 접촉하는 해당부위와 미끄럼 접촉하는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하여 각 구성부품의 제조가 용이하도록 한 케이블 덕트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는 바(bar) 형태의 연결구에 의해 천장 슬래브에서 하부로 일정길이 늘어뜨려진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채널상에 케이블 덕트를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덕트 고정구로서, 상기 채널의 상부 개구부로 삽입되며 가운데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을 기준으로 장축방향의 양측 상부면상에 쐐기홈이 각각 형성된 장방형의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채널의 개구부가 위치한 상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부와, 저부면에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를 수용하여 압착하는 압착판부와, 상기 압착판부가 상기 본체부와 일정 높이 단차를 이루며 연결되게 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외측 고정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의 상부면과 상기 외측 고정부재의 저부면상에 양단이 접촉되는 스프링; 및 상기 외측 고정부재의 관통공과 상기 스프링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내측 지지부재의 나사공과 나사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내측 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내측 지지부재는 단축 방향은 상기 채널의 개구부에 비해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장축 방향은 상기 채널의 개구부에 비해 큰 폭으로 형성된 장방향 형상의 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 지지부재는 상기 채널의 개구부로 삽입된 후 회전될 때 채널의 돌출부에 걸리지 않도록 회전 방향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 처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비틀림에 의한 휨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의 강성을 가지며, 상단과 하단이 상기 외측 고정부재의 본체부 저부면과 상기 내측 지지부재의 상부면상에 미끄럼 접촉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외측 고정부재의 압착판부는 상기 본체부와 같은 수평한 상태로 형성되거나 단부가 하향하는 형태로 경사진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의하면, 스프링의 상단과 하단이 접촉하는 외측 고정부재 저부면과 내측 지지부재의 상부면상에 별도의 스프링 삽입홈이 형성되지 않아 구성부품의 구조가 단순하고, 이에 따라 제조가 용이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내측 지지부재의 압착판부가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부로부터 일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나온 구조를 이룸으로써,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작업시 케이블 덕트 고정구를 케이블 덕트 플랜지부에 바짝 밀착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여유 공간을 가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재들이 일체로 고정되지 않고 분리되는 구조이므로 케이블 덕트 고정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채널상에 종래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된 상태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의 사시도,
도 2b는 상기 도 2a의 정면도,
도 2c는 상기 도 2a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덕트 고정구가 채널에 체결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를 이용한 사용 상태도로서, 케이블 덕트를 채널상에 고정시킨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케이블 덕트가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의해 채널에 결합된 상태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상기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덕트 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상기 도 2a의 측면도이며,
도 2c 는 상기 도 2a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d는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가 채널에 결합되는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덕트 고정구(100)는 채널(200)의 상부 개구부(210)로 삽입되는 장방형의 내측 지지부재(50)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50)의 나사공(55)과 나사 결합하여 상기 내측 지지부재(50)를 승강시키는 고정볼트(20)와, 채널(200)의 상부 외측에 위치하고 고정볼트(20)가 삽입되는 관통공(37)을 구비하며, 채널(200)과의 사이에 개재된 케이블 덕트(도 3의 300)의 플랜지부(310)를 고정하는 외측 고정부재(30)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50)와 상기 외측 고정부재(30)의 사이에 위치하여 양단이 상기 해당 접촉부와 미끄럼 접촉하는 스프링(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서, 내측 지지부재(50)는 단축 방향은 채널(200)의 개구부(210)에 비해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장축 방향은 상기 채널(200)의 개구부(210)에 비해 큰 폭으로 형성된 장방향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내측 지지부재(50)가 상기 채널의 개구부(210)로 삽입된 후 회전될 때 채널(200)의 돌출부(230)에 걸리지 않도록 회전 방향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 처리가 되어 있다. 도 2c와 도 2d에서 부호 54 와 56 은 내측 지지부재(50)의 모서리부에서 라운딩 처리된 부위를 나타낸다.
또한, 내측 지지부재(50)의 장축 방향의 양측 상부면상에는 상기 채널(200)의 돌출부(230)가 삽입되는 쐐기홈(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나사공(55)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공(55)의 주위에는 앞서 설명한 종래의 구조와 달리 스프링(40)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스프링 삽입홈은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외측 고정부재(3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20)가 통과하는 관통공(37)이 형성된 본체부(31)와, 상기 본체부(31)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어 나온 가압판부(33)와, 상기 본체부(31)와 상기 가압판부(33)를 이어주며 일정 각도 단차를 이루는 연장부(35)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가압판부(33)는 본체부(31)에 비해 상측으로 돌출되어 나와 본체부(31)와 같은 평면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그 단부가 하향하는 형태로 경사를 이루는 구조를 이룬다. 가압판부(33)의 저부에는 케이블 덕트(300)의 내측 플랜지부(310)가 채널(300)과의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외측 고정부재(30)의 가압판부(33)는 본체부(31)에 비해 상부로 돌출되어 나와 단차를 이루고 있으므로 그 저부에 케이블 덕트(300)의 플랜지부(310)가 개재되어도 외측 고정부재(30)의 타측단이 상부로 들려 올라가는 현상이 생기지 않게 된다. 즉, 고정볼트(20)로 케이블 덕트(300)가 채널(200)상에 최종적으로 고정된 후에는 본체부(31) 주변부의 들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링(40)은 종래의 스프링에 비해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는 강성을 가진 스프링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스프링(40)의 상단과 하단이 내측 고정부재(50)의 상부면과 외측 고정부재(30)의 저부면에 고정되지 않고 미끄럼 접촉이 되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100)는 내측 지지부재(50), 외측 고정부재(30), 고정볼트(20) 및 스프링(40)로 이루어지는 각 구성부재들이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100)를 이용하여 케이블 덕트(300)를 채널(200)상에 고정하는 과정을 도 2d를 주로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측 지지부재(5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채널(200)의 개구부(210) 내부에 삽입한 후, 90도 회전시켜 내측 지지부재(50)의 장축 부분에 형성된 쐐기홈(53)에 채널(200)의 돌출부(230)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내측 지지부재(50)의 모서리 부분은 라운딩 처리가 되어 있으므로, 내측 지지부재(50)가 채널(200)의 내측 공간 안에서 쉽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스프링(40)을 채널(200)의 개구부(210) 안으로 삽입하여 스프링(40)의 하단이 상기 내측 지지부재(50)의 상부면상에 안착되게 하고, 채널(200)의 외측 상부에 외측 고정부재(3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20)로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20)는 외측 고정부재(30)의 본체부(31)에 형성된 관통공(37) 안으로 삽입되고, 스프링(40)의 가운데를 지나 내측 지지부재(50)의 나사공(55) 안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볼트(20)는 외측 고정부재(30)의 관통공(37)을 통해서는 회전 여부에 관계없이 직선이동하고, 내측 지지부재(50)의 나사공(55)과는 회전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와 같이, 고정볼트(20)의 하단이 상기 내측 지지부재(50)의 나사공(55)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내측 지지부재(50)의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고정볼트(20)의 머리부 저부에 위치한 외측 고정부재(30)의 본체부(31)가 하향 이동하게 되어 스프링(40)을 압축시키게 된다. 이때 내측 지지부재(50)는 장축의 쐐기홈(53)상에 채널(200)의 돌출부(230)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고정볼트(20)의 회전이동에 따라 외측 고정부재(30)와의 거리가 좁혀지므로 더욱 견고한 결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외측 고정부재(30)는 본체부(31)에 비해 상부로 굴곡되어 단차를 이루는 가압판부(33)가 본체부(31)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온 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고정볼트(20)와 케이블 덕트(300)의 플랜지부(310)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해도 되므로, 채널(200)상에서의 체결위치에 있어서 여유가 있게 된다.
아울러, 상측으로 절곡되어 나온 외측 고정부재(30)의 가압판부(33)의 저부에 케이블 덕트(300)의 플랜지부(310)가 삽입되므로 가압판부(33)의 하부 이동에 따라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310)를 압착하는 것에 따른 영향이 외측 고정부재(30)의 본체부(31)에는 미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40)이 일정한 강성을 유지하므로 외측 고정부재(30)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할 경우 일정한 긴장상태를 유지시켜 주므로 견고한 결합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덕트 고정구는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고정부재상에 스프링 삽입홈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는 구조를 이루어 제조가 용이하며, 외측 고정부재의 압착판부가 본체부로부터 상부로 절곡되어 상하 방향의 높이에 있어 단차를 이루므로, 케이블 덕트의 채널상에 고정된 상태가 안정된 결합구조가 되도록 한다. 아울러,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 측으로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외측 고정부재의 본체부를 가까이 접근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결착시 작업 여유도를 갖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20 : 고정볼트 30 : 외측 고정부재
31 : 본체부 33 : 압착판부
35 : 연장부 37 : 관통공
40 : 스프링 50 : 내측 지지부재
51 : 본체부 53 : 쐐기홈
54,56 : 라운드 처리부 55 : 나사공
100 : 케이블 덕트 고정구 200 : 채널
210 : 채널 개구부 230 : 채널 돌출부
300 : 케이블 덕트 310 : 플랜지부

Claims (5)

  1. 다수의 채널상에 케이블 덕트를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덕트 고정구로서,
    상기 채널의 상부 개구부로 삽입되며 가운데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을 기준으로 장축방향의 양측 상부면상에 쐐기홈이 각각 형성된 장방형의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채널의 개구부가 위치한 상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부와, 저부면에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를 수용하여 압착하는 압착판부와, 상기 압착판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부로 절곡되어 일정 높이 단차를 이루며 연결되게 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외측 고정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의 상부면과 상기 외측 고정부재의 저부면상에 상단과 하단의 양단이 미끄럼 접촉하며, 비틀림에 의한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 크기의 강성을 가지는 스프링과,
    상기 외측 고정부재의 관통공과 상기 스프링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내측 지지부재의 나사공과 나사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내측 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084996A 2010-08-31 2010-08-31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101130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996A KR101130468B1 (ko) 2010-08-31 2010-08-31 케이블 덕트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996A KR101130468B1 (ko) 2010-08-31 2010-08-31 케이블 덕트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999A KR20120020999A (ko) 2012-03-08
KR101130468B1 true KR101130468B1 (ko) 2012-03-27

Family

ID=4612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996A KR101130468B1 (ko) 2010-08-31 2010-08-31 케이블 덕트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4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580B1 (ko) * 2012-10-19 2014-10-13 김봉수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102071450B1 (ko) * 2017-12-06 2020-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조립식 트레이
KR101982561B1 (ko) * 2017-12-11 2019-05-29 김병길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클램핑 장치
KR102133911B1 (ko) * 2020-02-11 2020-07-14 이종국 클램프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993U (ko) * 1994-01-10 1995-08-23 송완근 케이블 트레이지지용 체결구
KR200236124Y1 (ko) * 2001-03-13 2001-10-08 김영산 케이블츄레이 고정구
KR100710022B1 (ko) * 2005-08-23 2007-04-20 김영산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080023416A (ko) * 2006-09-11 2008-03-14 윤용호 케이블 덕트 고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993U (ko) * 1994-01-10 1995-08-23 송완근 케이블 트레이지지용 체결구
KR200236124Y1 (ko) * 2001-03-13 2001-10-08 김영산 케이블츄레이 고정구
KR100710022B1 (ko) * 2005-08-23 2007-04-20 김영산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080023416A (ko) * 2006-09-11 2008-03-14 윤용호 케이블 덕트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999A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468B1 (ko) 케이블 덕트 고정구
RU2441304C2 (ru) Проволочная кабельная линия, в частности кабельная линия для быт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US8491343B2 (en) Socket assembly
KR20130006454A (ko) 고전류 커넥터
US10249976B1 (en) Connector housing assembly with a dress cover having finger feature and ribs
KR101266615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KR101531812B1 (ko) 조립형 테이블
JP5513848B2 (ja) インダクタ
KR102083191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CN107431285B (zh) 带有外部的电气构件的接线盒
WO2017097044A1 (zh) 交流接触器
KR100849354B1 (ko)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101407734B1 (ko) 커넥터
JP5754827B1 (ja) フロアパネル
TWI409024B (zh) 具有電源分配模組的機架
KR200239521Y1 (ko) 조립식 바닥부재
KR200478228Y1 (ko) 기둥 거푸집 밴드
JP7083729B2 (ja) ワンタッチ取付ヒンジ
KR101136249B1 (ko) 원터치 조립식 피티오 전선용 금속재 케이스
KR20130003377U (ko) 레버타입 커넥터
JP2017085690A (ja) 電線ガイド
CN106532338B (zh) 模块化插座
KR101209402B1 (ko) 와셔 일체형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101910951B1 (ko) 데크 플레이트 연결구
KR200452701Y1 (ko) 케이블 접속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