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561B1 -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561B1
KR101982561B1 KR1020170169036A KR20170169036A KR101982561B1 KR 101982561 B1 KR101982561 B1 KR 101982561B1 KR 1020170169036 A KR1020170169036 A KR 1020170169036A KR 20170169036 A KR20170169036 A KR 20170169036A KR 101982561 B1 KR101982561 B1 KR 101982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y
vibration
bottom edge
earthquake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혜경
Original Assignee
김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길 filed Critical 김병길
Priority to KR1020170169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6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means clamping the armour of the condu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진 발생시 건축물부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 트레이와 지지대를 지지하는 클램프의 탈락으로 인하여, 혹은 외부적 충격으로 인하여 케이블 트레이 및 지지대의 이탈 및 파손은 물론 케이블 트레이간의 끊김을 방지하고,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면에서 내측으로 수평 연장된 상연부와 하측에서 내측으로 수평 연장된 바닥연부로 이루어진 사이드레일(1); 상기 사이드 레일(1)의 양측에 사이를 지지하는 가로부재(2); 상기 가로부재(2)로 연결된 양측 사이드 레일(1)의 하측 바닥연부(12)를 받치도록 상면이 개방된 U형 단면의 받침부재(4); 및 상기 사이드 레일(1)의 바닥연부(12)와 상기 받침부재(4) 사이에 흡진부재(32)를 사이에 끼워 볼트부재(31)로서 관통시킨 뒤 상기 받침부재(4) 하측에서 잠금너트(33)로서 잠금,결합하는 클램프(30);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30)는, 상기 받침부재(4)의 하방으로 가라앉듯이 위치하되 중심에 결합공(306)을 형성하고, 이 결합공(306)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소정길이 형성된 상,하 방진 수평면(305); 상기 상,하 방진 수평면(305)의 양단부에서 직각,절곡되어 상향 형성된 좌,우 방진 수직면(302); 상기 좌,우 방진 수직면(302)과 상기 상,하 방진 수평면(305)사이에 상기 상,하 방진 수평면(305) 보다 낮게 상기 받침부재(4)의 하측 바닥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안착면(303); 및 상기 좌,우 방진 수직면(302)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날개처럼 형성된 방진날개(301);를 포함하여, 상기 사이드 레일(1) 내측의 바닥연부(12) 사이에 상기 방진날개(301)가 걸려 지지되도록 소정 폭으로 연장되는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클램핑 장치{Seismic isolation clamping apparatus for use of cable tray}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클램핑 장치에 관 한 것으로, 지진 발생시 건축물부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 트레이와 지지대를 지지하는 클램프의 탈락으로 인하여, 혹은 외부적 충격으로 인하여 케이블 트레이 및 지지대의 이탈 및 파손은 물론 케이블 트레이간의 끊김을 방지하고,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와 지지대를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 구조로는 실용신안공보제1996-0009081호에서 알려진 체결구조는, 중앙에 볼트의 일단이 고정되고 좌우측 상면에 마찰요홈부가 형성된 너트 몸체, 방진날개가 하면에 형성되어 너트몸체가 삽입가능하게 하고 방진날개의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한 볼트부재가 리터언스프링에 감겨져 그 끝단에 리터언스프링의 끝단이 결합되어져 상부로 솟아오르게 설치한 절곡부가 있는 평철, 그리고 관통공의 직경은 리터언스프링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하여 리터언스프링이 억지끼워 맞춤되어있는 케이블 트레이 지지용 체결구가 알려져 있었고, 이것은 다각형 구조의 볼트부재의 상부, 다각형구조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볼트부재의 회전이 제한되어져 고정되어 있으나 볼트부재를 눌러주어 볼트부재의 상부가 관통공을 이탈하면 리터언스프링의 리터언작용으로 너트몸체가 약 90도 가량 회전하여 주므로 제6도에 도시하듯이 마찰요홈부에 M바의 절곡단이 맞닿아진 상태에서 너트를 조여주면 강한 나사체결력으로 평철이 케이블트레이의 윙부를 조여주어 체결력이 발휘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35520호는 천장에 현수 지지된 지지봉에 양측단이 고정되는 찬넬을 형성하되 찬넬의 내부 중앙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찬넬의 상면에 밀착면을 형성하며, 밀착면의 끝단을 공간부로 절곡하여 절곡단부를 대칭되게 형성하고, 찬넬의 밀착면에 얹혀지는 윙부를 구비한 빔을 찬넬의 양측으로 형성하여, 빔을 찬넬에 고정하는 클램프에 있어서;상기 클램프는 절곡시켜 중앙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찬넬의 절곡단부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며, 경사면에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펀칭 되어 보강리브를 형성한 경사부와;상기 경사부의 경사면 하부측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고정면을 형성하되, 고정면을 경사면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하고, 넓게 형성된 고정면의 선단부 양측에 저면에서 상측으로 가압하여 돌출시킨 밀착면을 평면형태로 형성하여 찬넬의 절곡단부에 밀착되도록 하며, 고정면의 후단부를 상,하 방진 수평면으로 형성하면서 그 중앙에 고정볼트부재가 결합되는 고정공을 형성하여 고정볼트부재 회전시 고정볼트부재 하부측이 찬넬의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면이 고정볼트부재를 따라 상승되어 상,하 방진 수평면이 찬넬의 절곡단부에밀착 고정되는 고정부및;상기 경사부의 경사면 상부측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빔의 윙부를 가압하는 가압면을 형성하되,경사면의 폭 보다 더 넓게 형성하면서 만곡지게 곡면으로 형성하고, 가압면의 선단을 후단보다 더 하측에 위치하도록 만곡시켜 선단이 윙부에 밀착되도록 하며, 고정볼트부재 회전시 고정부의 상,하 방진 수평면이 찬넬의 절곡단부에 밀착되면서 곡면이 텐션되어 후단이 윙부에 밀착되어 선단과 후단이 윙부를 동시에 가압 고정하는 가압부로 구성된 트레이 클램프가 알려져 있었다.
또한, 등록특허제 10-1719128호는 지지패드는 케이블 트레이/덕트의 폭 방향(W)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즉, 지지패드는 케이블트레이/덕트의 폭 방향(W)으로 배치된 지지패드를 인장 후크 직하에 케이블 트레이/덕트를 지지하도록 케이블 트레이/덕트에 부착된다. 여기서 지지패드는 케이블 트레이/덕트의 폭 방향(W) 양
쪽으로 하나 씩 하나의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트레이 덕트를 상부에 배치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지지패드는 상부가 수직 지지대로부터 45ㅀ 구부러진 끝단이 형성됨으로써, 제 2 텐션 와이어의 한쪽끝단이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지지패드의 상단 홀은 라운딩(rounding) 되어 와이어(wire) 소선이 급격히 구부러지지 않도록 한다. 제 2 텐션 와이어는 케이블 트레이/덕트의 폭(W) 방향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텐션 와이어는 지지패드를 인장 후크 직하에 케이블 트레이/덕트를 지지하도록 지지패드의 상단홀에 부착하여, 케이블 트레이/덕트의 폭 방향(W)을 중심으로 높이 방향(H)으로 45˚의 기울기로 구부린 상태로 지지패드의 폭 방향(W)의 양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 알려진 케이블 트레이 지지구조는 가로부재인 렁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사이드 레일을 결합한 케이블 트레이의 전체 구조물 하측에서 지지부재 혹은 받침부재로서 받치며, 길이 방향 형성된 바닥연부를 받침부재에 지지하기 위하여 첨부 도면 도 1a, 도 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클램핑 장치로 설치된다. 즉,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프 구조는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바닥연부(12) 양측에서 각각 지지하던 두 개의 클램핑 장치(볼트,지지편,너트가 하나의 셋트를 이룸)로서 설치하던 것이므로 조립 부품수가 많으며, 이들을 조립 설치하는 시간도 증가되었다. 특히, 이러한 클램프 부품들은 내진 설계를 구현하려면 일일이 흡진구조로 구조를 변경하여야 하지만 현장 시공 상황에서 그러한 구조들의 변경은 불가능하므로 기 가공되어 제품화한 클램프 구조를 구입 시공하여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케이블 트레이의 내측의 두 줄로 나란히 형성된 바닥연부를 지지하기 위한 클램핑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특히, 두 줄의 바닥연부의 내측에서 각각 받침부재위에 결합하여 고정하던 클램핑 장치를 좌,우 양측이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바닥연부 양측을 단번에 결합토록하는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클램핑 장치로서 종래 클램프 구조에 비하여 부품수가 줄어들고, 조립,체결구조가 간단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클램핀 장치로서 케이블 트레이에 가해진 진동을 흡수,완충하는 내진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려 한다.
특히, 이러한 클램핑장치로서 양측 케이블 트레이에 가해진 지진등의 진동으로 케이블 트레이 전체가 유동함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파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클램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클램핑 장치는 상면에서 내측으로 수평 연장된 상연부와 하측에서 내측으로 수평 연장된 바닥연부로 이루어진 사이드레일과; 상기 사이드 레일의 양측에 사이를 지지하는 가로부재와; 상기 가로부재로 연결된 양측 사이드 레일의 하측 바닥연부를 받치도록 상면이 개방된 U형 단면의 받침부재; 및 상기 사이드 레일의 바닥연부와 상기 받침부재 사이에 흡진부재를 사이에 끼워 볼트부재로서 관통시킨 뒤 상기 받침부재 하측에서 잠금너트로서 잠금,결합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받침부재의 하방으로 가라앉듯이 위치하되 중심에 결합공을 형성하고, 이 결합공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소정길이 형성된 상,하 방진 수평면; 상기 상,하 방진 수평면의 양단부에서 직각,절곡되어 상향 형성된 좌,우 방진 수직면; 상기 좌,우 방진 수직면과 상기 상,하 방진 수평면사이에 상기 상,하 방진 수평면 보다 낮게 상기 받침부재의 하측 바닥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안착면; 및 상기 좌,우 방진 수직면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날개처럼 형성된 방진날개;를 포함하여, 상기 사이드 레일 내측의 바닥연부 사이에 상기 방진날개가 걸려 지지되는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로서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의 상기 흡진부재는 내진패드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의 상기 결합공은 상,하면 내측으로 상기 흡진부재가 안정적으로 삽입,설치되도록 돌출테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프 구조는 종래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바닥연부 양측을 각각 지지하던 두 개의 클램핑을 위한 클램프, 볼트부재, 너트로서 셋트를 이루어 바닥연부를 지지하던 클램핑 장치를 개선하여 부품수가 줄어들 수 있으며, 조립,체결시에 단번에 체결,고정되는 구조를 제공하게 되었으며, 지진등의 진동이 가해지면 방진작용을 통하여 케이블 트레이 전체의 진동을 완화하여 케이블 트레이의 파손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a는 종래 케이블 트레이에 구현된 클램핑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클램핑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리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의 설치예를 타나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의 클램핑 장치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의 클램프의 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단면도이고,
도 6c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의 설치예를 타나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의 클램핑 장치의 발췌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클램핑 장치는 사이드 레일(1),가로부재(2), 클램핑부(3), 받침부재(4)로 이루어진다.
사이드레일(1)은 대략 "[ "형 단면의 일측과, " ]"형 단면의 반대측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으로 이루어진좌,우 방진 수직면부(10)와 좌,우 방진 수직면부(10)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짧게 수평 연장된 상연부(11)와, 좌,우 방진 수직면부(10)의 하측에서 내측으로 짧게 수평 연장된 바닥연부(12)로 이루어진다.
가로부재(2, rung,이하 가로부재라 함)는 상기 사이드 레일(1)의 사이에 위치하되 하측 바닥연부(12)에서 양측을 연결할 수 있으며, 혹은 바닥연부(12)사이를 다수의 가로부재(2)로서 연결하듯이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드레일(1) 두 개를 나란하게 마주보게 하고, 그 사이에 가로부재(2)로서 연결한 형태로 케이블 트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받침부재(4)는 전체가 바닥을 이루는 케이블 트레이(1)의 바닥 하측에서 혹은 상기 가로부재(2)로 연결된 양측 사이드 레일(1)의 하측 바닥연부(12)를 떠받치듯이 설치되며, 상면이 개방된 U형 단면의 채널로 이루어진다.
클램핑부(3)는 두 개의 사이드 레일(1)과 가로부재(2)로 연결된 케이블 트레이의 하측을 받치는 받침부재(4)와, 바닥연부(12)사이를 클램핑(clamping)결합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클램핑부(3)는 소정 형상의 클램프(30)와, 볼트부재(31)와, 흡진부재(32)와, 잠금너트(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주보는 바닥연부(12)의 아래에서 바깥쪽으로 벌어져 바닥연부(12)에 걸리듯이 대향 위치하는 방진날개(301)와, 양측 방진날개(301)에서 하방으로 수직 연장된 좌,우 방진 수직면(302)과, 좌,우 방진 수직면(302)의 하측에서 받침부재(4)의 홈(U형 공간의 바닥)에 짧은 길이로 접촉하여 안착되는 안착면(303)과, 이 안착면(303)사이에 약간의 높이를 갖고 뜬 상태로 수평,연장되는 상,하 방진 수평면(305)과, 이 상,하 방진 수평면(305)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결합공(306)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클램프(30)는 방진날개(301)가 올려져 결합되는 바닥연부(12)에 밀착될 수 있고, 이러한 마주보듯 수평형성된 바닥연부(12)의 위에서 올려지듯 설치된 방진날개(301)로서 하측으로 당겨지도록 설치되어 바닥연부(12) 일체의 케이블 트레이에 가해진 좌,우측 방향의 진동이 흡수될 수 있다(바닥연부(12)와 방진날개(301)은 고정상태가 아니라 겹쳐져 좌,우 이동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임).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를 받침부재(4)위에 클램핑하기 위한 구조는 케이블 트레이와, 받침부재(4)와, 전술한 클램프(3)외에 클램프(30)의 결합공(306)에서 관통되는 볼트부재(31)와, 결합공(306)을 관통한 받침부재(4) 사이에 개재되는 흡진부재(32)와, 받침부재(4) 하측에서 볼트부재(31)를 잠금 고정하기 위한 잠금너트(33)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진부재(32)는 판스프링,코일스프링 혹은 수축력과 흡착력이 좋은 방진패드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좌,우 방진 수직면(302)는 이러한 본 발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진동을 완충하거나 진동을 흡입할 수 있도록 주름부(307)를 형성할 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4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도 5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의 클램프의 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에 지진등의 진동이 발생하면, 케이블 트레이 바닥연부(12)에 접속된 방진날개(301)는 고정되지 않았으므로 양측 좌,우 방진 수직면(302)이 좌우로 움직이면서 방진날개가 1차적으로 좌,우로 움직여 케이블 트레이에 가해진 진동이 흡수, 방진될 수 있다. 특히, 이와 동시에 케이블 트레이의 수직방향으로 가해진 상,하 진동은 클램프(30) 중심부의 결합공(306) 하측과 받침부재(4)사이에 관통된 볼트부재(31)에 전달되지만 볼트부재(31)에 그대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고, 볼트부재(31)를 감싸듯이 탄설된 흡진부재(32,스프링)에서 상,하방향의 진동을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으로 완충되면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공(306)이 상방으로 돌출된 테두리로 돌출되지만 그 내측의 저부와 받침부재(4)사이에 떠 있듯이 흡진부재(32)가 탄착되어 있으므로 케이블 트레이를 받치는 클램프(30)에 가해지는 하중,진동이 받침부재(4)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고 흡진부재(32)로 전달되어 반복적인 상,하 완충작용으로 진동이 흡수,방진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프 구조는 종래 도 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바닥연부(12) 양측에서 각각 지지하던 두 개의 클램핑 장치(볼트부재,지지편,너트가 하나의 셋트를 이룸)를 하나의 클램프(30)로 개선하여 부품수를 줄이며, 조립,체결구조를 간단화 하였으며, 지진등의 진동이 가해지면 방진작용이 이루어지는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게 된 것이다.
첨부 도면중 도 6a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시하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를 받침부재(4)위에 클램핑하기 위한 구조는 케이블 트레이와, 받침부재(4)와, 전술한 클램프(3)외에 클램프(30)의 결합공(306)에서 관통되는 볼트부재(31)와, 결합공(306)을 관통한 받침부재(4) 사이에 개재되는 흡진부재(32)와, 받침부재(4) 하측에서 볼트부재(31)를 잠금 고정하기 위한 잠금너트(33)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진부재(32)는 판스프링,코일스프링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좌,우 방진 수직면(302)는 이러한 본 발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진동을 완충하거나 진동을 흡입할 수 있도록 주름부(307)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면(302)의 주름부(307)는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연부(12)에 접속한 방진날개(301)를 통하여 좌,우진동이 발생되는 과정에서 주름을 통하여 흡수 완충될 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6b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를 받침부재(4)위에 클램핑하기 위한 구조는 케이블 트레이와, 받침부재(4)와, 전술한 클램프(3)외에 클램프(30)의 결합공(306)에서 관통되는 볼트부재(31)와, 결합공(306)을 관통한 받침부재(4) 사이에 개재되는 흡진부재(32)와, 받침부재(4) 하측에서 볼트부재(31)를 잠금 고정하기 위한 잠금너트(33)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진부재(32)는 수축력과 흡착력이 좋은 방진패드등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방진패드는 방진날개(301)의 저면측에 형성되는 내진패드를 형성할 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6c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를 받침부재(4)위에 클램핑하기 위한 구조는 케이블 트레이와, 받침부재(4)와, 전술한 클램프(3)외에 클램프(30)의 결합공(306)에서 관통되는 볼트부재(31)와, 결합공(306)을 관통한 받침부재(4) 사이에 개재되는 흡진부재(32)와, 받침부재(4) 하측에서 볼트부재(31)를 잠금 고정하기 위한 잠금너트(33)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진날개(301)는 미끄럼부내에 금속구(5)을 내장하여 바닥연부(12)의 좌,우 진동 발생시 흔들림을 좌,우로 미끄럼 이동하여 진동이 흡수(면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공(306)의 상,하면으로 상기 흡진부재가 안정적으로 삽입,설치되도록 돌출테를 형성하여 흡진부재(32)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진동의 전달이 원활하게 흡진부재(32)에 전달되도록 하여 내진효율이 더욱 좋아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본 발명 내진 클램핑 장치의 방진날개(301)의 저면측, 안착면(303)의 저부측에 내열성 방염패드를 적용하여 케이블 트레이 화재발생시 고열로 열화되거나 고열을 전달하여 내부 케이블을 손상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내진패드(방염패드라고도 할 수 있다)는 방염제가 형성되는 것으로 가연물에 불꽃을 점화해도 스스로 계속 연소되거나 번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처리제로서, 내세탁성(耐洗濯性)을 고려하여 영구적 방염제가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방염기능을 갖는 수지로는 테프론,네오프론 수지등의 불화성수지 할 수 있고, Fluorocarbon polymer(不火性 실리콘계)소재의 패드로도 할 수 있다. 혹은 질식소화 기능을 가지며, 150℃ 이상의 화염과 접촉시 팽창 및 탄화되는 제1화염접촉 팽창시트층과, 150℃ 이상의 화염과 접촉시 팽창 및 탄화되는 제2화염접촉 팽창시트층과, 상기 제1화염접촉 팽창시트층과 제2화염접촉 팽창시트층 사이에 위치하며, 1,500℃이하의 화염과 접촉시열변형되지 않는 내열시트층과, 상기 제1화염접촉 팽창시트층, 제2화염접촉 팽창시트층 및 내열시트층을 동시에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화염이 접촉하여 팽창 및 탄화되는 상기 제1화염접촉 팽창시트층 또는 제2화염접촉 팽창시트층에 의하여 산소의 공급이 차단되어 화염이 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흡진패드(32)가 결합공(306)에 삽입되어 있음에 따라 내진 클램핑 장치의 체결력이 강화될 수 있기 때문에, 지진과 같은 충격의 흡수가 용이하고 지진발생시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내진패드가 밀리거나 하는 문제점도 없다.
1: 사이드 레일, 2:가로부재, 3:클램핑부, 4:받침부재, 5:금속구(球),
10: 수직면부, 11:상연부, 12:바닥연부, 30:클램프, 31:볼트부재,
32:흡진부재, 33:잠금너트, 301:방진날개, 302:수직면, 303:안착면,
305:수평면, 306:결합공, 307:주름부,

Claims (5)

  1. 상면에서 내측으로 수평 연장된 상연부와 하측에서 내측으로 수평 연장된 바닥연부로 이루어진 사이드레일;
    상기 사이드 레일의 양측에 사이를 지지하는 가로부재;
    상기 가로부재로 연결된 양측 사이드 레일의 하측 바닥연부를 받치도록 상면이 개방된 U형 단면의 받침부재; 및
    상기 사이드 레일의 바닥연부와 상기 받침부재 사이에 흡진부재를 사이에 끼워 볼트부재로서 관통시킨 뒤 상기 받침부재 하측에서 잠금너트로서 잠금,결합하는 클램프;
    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받침부재의 하방으로 가라앉듯이 위치하되 중심에 결합공을 형성하고, 이 결합공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소정길이 형성된 상,하 방진 수평면;
    상기 상,하 방진 수평면의 양단부에서 직각,절곡되어 상향 형성된 좌,우 방진 수직면;
    상기 좌,우 방진 수직면과 상기 상,하 방진 수평면사이에 상기 상,하 방진 수평면 보다 낮게 상기 받침부재의 하측 바닥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안착면; 및
    상기 좌,우 방진 수직면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날개처럼 형성된 방진날개;
    를 포함하여, 상기 사이드 레일 내측의 바닥연부 사이에 상기 방진날개가 걸려 지지되도록 소정 폭으로 연장되는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진부재는 내진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의 상,하면으로 상기 흡진부재가 안정적으로 삽입,설치되도록 돌출테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면은 주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날개는 저면측으로 노출되는 금속구를 홈에 내장하여 진동 발생시 바닥연부와 접촉하여 면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내진 클램핑 장치.
KR1020170169036A 2017-12-11 2017-12-11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클램핑 장치 KR101982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036A KR101982561B1 (ko) 2017-12-11 2017-12-11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036A KR101982561B1 (ko) 2017-12-11 2017-12-11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561B1 true KR101982561B1 (ko) 2019-05-29

Family

ID=6667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036A KR101982561B1 (ko) 2017-12-11 2017-12-11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5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081Y1 (ko) * 1994-01-10 1996-10-14 송완근 케이블 트레이지지용 체결구
KR20070023110A (ko) * 2005-08-23 2007-02-28 김영산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120020999A (ko) * 2010-08-31 2012-03-08 윤용호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20140132845A (ko) * 2013-05-08 2014-11-19 김승호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081Y1 (ko) * 1994-01-10 1996-10-14 송완근 케이블 트레이지지용 체결구
KR20070023110A (ko) * 2005-08-23 2007-02-28 김영산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120020999A (ko) * 2010-08-31 2012-03-08 윤용호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20140132845A (ko) * 2013-05-08 2014-11-19 김승호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3453B1 (ko) 판스프링형 탄성체를 구비한 태양광 패널 지붕 설치용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 지붕
JP2010539420A (ja) 2つの取付け部材を1つの支持部材に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
KR102099289B1 (ko) 내진용 케이블 트레이
KR101573849B1 (ko) 통신케이블 트레이용 방진구
KR20190014329A (ko) 천장 설치물 지지를 위한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
KR20200019322A (ko) 다중 슬립하중 마찰댐퍼
KR101982561B1 (ko)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클램핑 장치
KR101535375B1 (ko) 방진 받침대
US20160115987A1 (en) Fixture for a vehicle
US20160115979A1 (en) Fixture for a vehicle
KR101713634B1 (ko) 내진설계 무대장치
KR101826481B1 (ko) 실외기용 방진 구조물 설치 방법
KR102179147B1 (ko)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KR101828265B1 (ko)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설치 공법
KR100830701B1 (ko) 커넥터클립
KR20170118455A (ko) 데크 조립장치
JP2017145662A (ja) 連結構造及び壁材
CN110081125B (zh) 悬吊式隔振器
US20160114740A1 (en) Fixture for a vehicle
KR102591557B1 (ko) 내진용 트레이 지지장치
KR101257315B1 (ko) 천장판 설치구조
JP5279798B2 (ja) 免震床構造
KR102575620B1 (ko) 내진기능이 적용된 건물 천장 마감재용 천장틀 시스템
JP4636961B2 (ja) パネルの建付け構造
KR200495052Y1 (ko) 내진기능이 적용된 건물 천장 마감재용 천장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