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455A - 데크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데크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455A
KR20170118455A KR1020160046254A KR20160046254A KR20170118455A KR 20170118455 A KR20170118455 A KR 20170118455A KR 1020160046254 A KR1020160046254 A KR 1020160046254A KR 20160046254 A KR20160046254 A KR 20160046254A KR 20170118455 A KR20170118455 A KR 20170118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base
assembling apparatus
support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3632B1 (ko
Inventor
태 희 조
조서령
Original Assignee
태 희 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 희 조 filed Critical 태 희 조
Priority to KR1020160046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63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8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데크 조립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데크 조립장치는: 베이스와, 베이스 상에 다수 안치되고, 양측에 결합홈을 갖는 데크와, 어느 하나의 데크와 다른 하나의 데크를 상호 연결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크 조립장치{APPARATUS FOR ASSEMBLING DECK}
본 발명은 데크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크를 설치부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데크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deck)는 주택 또는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는 목재 등을 이용한 바닥재로서, 체결부재 또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데크 간에 상호 조립한다.
이때, 체결부재는 데크 상측에서 체결되어 베이스에 결합되는 나사 또는 볼트이다. 연결부재는 데크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부에 삽입 설치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에 결합 설치된다. 베이스는 장선이리고 부르기도 하며, 목재 또는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져 한 쌍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상측에 안치된 데크를 지지한다.
그런데, 기존의 체결부재는 장시간 사용시 데크를 빈번하게 밟는 과정에서 베이스에서 나사가 풀려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연결부재는 금속재로 이루어져 데크의 함몰홈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당기거나 젖힐 수 없으므로 조립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데크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장시간 사용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8126호 (2006.15.30, 발명의 명칭: 바닥재용 데크)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설치부를 연성재질로 형성하여 돌기부를 데크의 결합홈에 당기거나 젖힌 상태로 삽입하여 결합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크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를 연결부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므로 지지부와 돌기부를 별개로 휴대할 필요성이 없고, 조립 위치를 쉽게 정할 수 있는 데크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크의 결합홈에 돌기부를 설치하고 상측 틈새부에 완충부를 장착하여 데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상측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데크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기부 또는 완충부에 이탈방지부를 형성하여 데크 가압시 완충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데크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조립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다수 안치되고, 양측에 결합홈을 갖는 데크; 및 어느 하나의 상기 데크와 다른 하나의 상기 데크를 상호 연결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마주보는 상기 결합홈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부는 상기 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 상기 돌기부 및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데크를 설치하거나 상기 결합홈에 상기 돌기부를 삽입할 때 공간 확보를 위해 당겨지거나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은 상기 돌기부 상측 또는 하측으로 틈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틈새부에 삽입되어 상기 데크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돌기부 상측에 지지되는 한 쌍의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결합홈의 저면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이탈방지부에 의해 상기 데크에서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조립장치는, 설치부를 연성재질로 형성하여 돌기부를 데크의 결합홈에 젖힌 상태로 삽입하여 결합하므로 조립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를 연결부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므로 지지부와 돌기부를 별개로 휴대할 필요성이 없고, 조립 위치를 쉽게 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크의 결합홈에 돌기부를 설치하고 상측 틈새부에 완충부를 장착하여 데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상측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기부 또는 완충부에 이탈방지부를 형성하여 데크 가압시 완충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장치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장치의 조립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장치에서 완충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장치에서 완충부 설치 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장치에서 변형예의 이탈방지부가 구비된 상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에 다른 변형예의 이탈방지부가 구비된 상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장치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장치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장치의 조립과정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장치에서 완충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장치에서 완충부 설치 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장치에서 변형예의 이탈방지부가 구비된 상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에 다른 변형예의 이탈방지부가 구비된 상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장치는, 베이스(100), 데크(200) 및 설치부(300)를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바닥에 놓여져 데크(20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설정 간격 이격되는 상태로 한 쌍 배치된다. 베이스(100)는 목재 또는 시각 금속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데크(200)는 베이스(100) 상에 다수 안치되고, 양측에 결합홈(210)을 갖는다. 데크(200)는 상면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주름 또는 물결 무뉘 형태의 홈이 다수개 형성된다. 데크(200)는 천연목재 또는 합성목재를 설정 두께로 가공하여 사용한다.
결합홈(210)은 데크(200)의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으로서, 후술하는 설치부(300)의 돌기부(320)가 삽입 설치된다.
설치부(300)는 어느 하나의 데크(200)와 다른 하나의 데크(200)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설치부(300)는 데크(200)와 이웃하는 데크(200) 간의 결합홈(210)에 각각 삽입된 후 베이스(100)에 결합됨으로써, 데크(200)를 베이스(100)에 고정할 수 있다.
설치부(300)는 베이스(100)의 상측에 지지되는 지지부(310)와, 지지부(310)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마주보는 결합홈(210)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돌기부(320)를 포함한다.
지지부(310)는 베이스(100) 상에서 수직으로 배치되어 돌기부(320)를 지지한다.
돌기부(310)는 지지부(310)의 상측에서 수평으로 배치된다. 돌기부(320)는 지지부(3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지지부(310)와 돌기부(320)는 전체적으로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설치부(300)는 지지부(31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330)를 포함한다. 연결부(330)는 지지부(310)의 하단부에서 양측 수평으로 연결 배치되어 이웃하는 지지부(310)까지 연결되어 다수개의 지지부(310)를 상호 연결한다.
연결부(330)는 베이스(100)의 너비에 대응하는 너비를 갖는 것이 좋다. 물론, 연결부(300)의 너비는 베이스(100)의 너비보다 조금 좁게 형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100)는 시각 블록 형태를 갖는다.
베이스(100)는 바닥 상측에 한 쌍 배치되되, 등 간격으로 배치된다.
연결부(330)는 체결부재(340)에 의해 베이스(100) 상에 결합된다. 체결부재(3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연결부(330)에 대하여 베이스(100)에 1개 체결된다. 물론, 체결부재(340)의 조립 개수는 연결부(33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증가시킬 수 있다.
지지부(310), 돌기부(320) 및 연결부(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데크(200)를 설치하거나 결합홈(210)에 돌기부(320)를 삽입할 때 공간 확보를 위해 당겨지거나 젖혀질 수 있다.
기존에는 연결부재가 금속재등의 강체로 이루어져 데크(200)를 안착하는 과정에서 연결부재를 당기거나 젖힐 수 없으므로 공간확보가 어려워 조립성이 저하되는 반면에, 본원발명의 지지부(310), 돌기부(320) 및 연결부(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 상에 데크(200)를 안착하거나 돌기부(320)를 결합홈(21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지지부(310), 돌기부(320) 및 연결부(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당기거나 젖혀주어 설치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설치부(300)를 이용하여 베이스(100) 상에 데크(200)를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3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데크(200)를 베이스(100) 상에 안치하고, 돌기부(320)를 결합홈(210)에 결합한다.
연이어, 도 3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데크(100)를 경사지게 안치하고, 좌측 결합홈(210)을 돌기부(320)의 우측에 결합하면서, 데크(200)의 우측 결합홈(210)에서 지지부(310)를 우측으로 젖혀주면서 설치 공간을 획보한 상태에서 데크(200)를 베이스(100) 상에 안착시킨다.
그 다음, 도 3의 세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 데크(200)를 베이스(100) 안착시킨 상태에서, 우측으로 젖혀져 있던 지지부(310)를 놓아주어 원상 복귀시키면 돌기부(310)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회전되면서 데크(200)의 우측 결합홈(210)에 삽입 설치된다. 이로써, 지지부(310), 돌기부(320) 및 연결부(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당겨주거나 젖혀줌으로써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하여 데크(200)의 조립성이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된다.
결합홈(210)은 돌기부(320) 상측으로 틈새부(22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장치는, 틈새부(220)에 삽입되어 데크(200)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400)가 포함될 수 있다.
완충부(400)는 돌기부(320) 상측에 지지되는 한 쌍의 받침부(410)와, 받침부(410)를 상호 연결하고, 결합홈(210)의 저면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420)를 포함한다.
받침부(410)는 돌기부(320)와 접지력을 높이기 위해 수평으로 설정간격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420)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탄성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완충부(400)는 최대치로 눌려질 때 돌기부(320) 면적의 60 내지 98% 범위를 갖는 것이 좋다. 완충부(400)는 최대치로 눌려질 때 돌기부(320) 면적의 98%를 넘는 경우, 받침부(410)가 돌기부(320)에서 벗어나 지지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완충부(400)는 이탈방지부(500)에 의해 데크(200)에서 이탈이 방지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탈방지부(500)는 완충부(400)의 중심부위에 형성되는 구멍일 수 있다.
이탈방지부(500)는 완충부(400)에서 탄성부(420)의 중심부위에 상하로 관통 성되어 완충부(400)가 틈새부(220)에 설치되어 돌기부(320) 상에 안착될 때, 탄성부(420)의 중심부위가 데크(200)의 틈새부(220) 상면에 접촉되면서 구멍인 이탈방지부(500)에 미세하게 삽입되어 완충부(400)가 데크(200)에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완충부(400)가 데크(2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탈방지부(500)는 타원형상의 구멍으로 도시하지만 다양한 다른 형상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탈방지부(500)는 돌기부(320)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완충부(400)를 걸어주어 측면 이동을 방지하는 걸림돌부일 수 있다.
이탈방지부(500)는 돌기부(320)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 또는 너비방향 양측 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완충부(400)가 눌려질 때 돌기부(320) 상에 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탈방지부(500)는 완충부(400)의 중심부위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일 수 있다.
이탈방지부(500)는 완충부(400)에서 탄성부(420)의 중심부위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완충부(400)가 돌기부(320) 상에 안착될 때, 탄성부(420)의 중심부위가 데크(200)의 틈새부(220) 상면에 접촉되면서 돌기인 이탈방지부(500)가 데크(200)에 미세하게 삽입되어 완충부(400)가 데크(200)에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데크(200)에서 완충부(40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탈방지부(500)는 완충부(420)를 상측으로 돌출시킨 돌기로 도시하였지만, 별도의 돌기를 완충부(400)에 부착하거나 다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장치는, 설치부를 연성재질로 형성하여 돌기부를 데크의 결합홈에 젖힌 상태로 삽입하여 결합하므로 조립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를 연결부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므로 지지부와 돌기부를 별개로 휴대할 필요성이 없고, 조립 위치를 쉽게 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크의 결합홈에 돌기부를 설치하고 상측 틈새부에 완충부를 장착하여 데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상측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기부 또는 완충부에 이탈방지부를 형성하여 데크 가압시 완충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베이스 200 : 데크
210 : 결합홈 220 : 틈새부
300 : 설치부 310 : 지지부
320 : 돌기부 330 : 연결부
340 : 체결부재 400 : 완충부
410 : 받침부 420 : 탄성부
500 : 이탈빙지부

Claims (10)

  1.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다수 안치되고, 양측에 결합홈을 갖는 데크; 및
    어느 하나의 상기 데크와 다른 하나의 상기 데크를 상호 연결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마주보는 상기 결합홈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조립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조립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조립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기 돌기부 및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데크를 설치하거나 상기 결합홈에 상기 돌기부를 삽입할 때 공간 확보를 위해 당겨지거나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조립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돌기부 상측 또는 하측으로 틈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조립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부에 삽입되어 상기 데크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조립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돌기부 상측에 지지되는 한 쌍의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결합홈의 저면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조립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이탈방지부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조립장치.
KR1020160046254A 2016-04-15 2016-04-15 데크 조립장치 KR101873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254A KR101873632B1 (ko) 2016-04-15 2016-04-15 데크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254A KR101873632B1 (ko) 2016-04-15 2016-04-15 데크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455A true KR20170118455A (ko) 2017-10-25
KR101873632B1 KR101873632B1 (ko) 2018-07-02

Family

ID=6030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254A KR101873632B1 (ko) 2016-04-15 2016-04-15 데크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6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133B1 (ko) * 2018-08-09 2019-04-22 주식회사 해일 데크플레이트 연결구
CN109826394A (zh) * 2019-01-26 2019-05-31 温州市华汇艺术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环保防潮实木地板及其铺设方法
KR102016282B1 (ko) * 2019-03-15 2019-10-21 주식회사 해일 데크몰딩을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687B1 (ko) * 2010-10-28 2011-09-21 (주)코리아우드 마루바닥 시공장치
KR101184676B1 (ko) * 2012-02-20 2012-09-20 상록엔비텍(주)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133B1 (ko) * 2018-08-09 2019-04-22 주식회사 해일 데크플레이트 연결구
CN109826394A (zh) * 2019-01-26 2019-05-31 温州市华汇艺术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环保防潮实木地板及其铺设方法
KR102016282B1 (ko) * 2019-03-15 2019-10-21 주식회사 해일 데크몰딩을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632B1 (ko) 201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356091B2 (en) Bar system
KR101873632B1 (ko) 데크 조립장치
KR101871264B1 (ko) 횡방향 런너 커넥터 및 메인 런너 수용 홀
KR101805802B1 (ko) 마루틀 지지대
KR102341552B1 (ko)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
KR20210115689A (ko) 조립식 앵글
JP5377196B2 (ja) 固定金具
KR20180013630A (ko) 나사못 없이 원터치 탄성 결합이 가능한 목재 데크 판재
JP5265494B2 (ja) 取り付け構造、及び取り付け具
KR20170061304A (ko) 가구용 판재 조립구
KR101419252B1 (ko) 데크 고정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JP6450548B2 (ja) 床材の固定装置
KR101880208B1 (ko) 데크 조립체와 이의 조립방법
KR20140019182A (ko)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0299579Y1 (ko) 악세스 플로어패널의 엣지 보강구조
US20160114740A1 (en) Fixture for a vehicle
JP6197435B2 (ja) ソケット及びハンガーラック
KR102145064B1 (ko) 몰탈 유출 방지용 조립식 보드 결합구조
KR102034843B1 (ko) 목재 데크용 결속구와 목재 데크 및 목재 데크의 시공방법
WO2019218689A1 (zh) 滑板车座椅的安装结构及滑板车
KR20120061120A (ko) 천장판 설치구조
KR20090103378A (ko) 다규격 호환 파티션 받침대
JP3102210U (ja) 木質床板の挟止座による組立て構造
KR200479228Y1 (ko) 의자
JP4304046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