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252B1 - 데크 고정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데크 고정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252B1
KR101419252B1 KR1020140049170A KR20140049170A KR101419252B1 KR 101419252 B1 KR101419252 B1 KR 101419252B1 KR 1020140049170 A KR1020140049170 A KR 1020140049170A KR 20140049170 A KR20140049170 A KR 20140049170A KR 101419252 B1 KR101419252 B1 KR 101419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fixing bracket
plate
joist line
j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철
김병구
Original Assignee
김병구
친환경조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구, 친환경조경(주) filed Critical 김병구
Priority to KR1020140049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를 오래 사용하더라도 데크를 고정하는 구조가 풀리지 않고, 데크의 수축이나 뒤틀림에도 데크의 초기 시공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크 고정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데크 고정브래킷은, 장선(9)의 상면(91) 또는 하면(92) 중 어느 한 면에 접하는 수평판(11,21,31,41), 수평판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장선(9)의 제1측면(93)과 제2측면(94)에 각각 접하는 한 쌍의 수직판(13,23,33,43), 상기 한 쌍의 수직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직판의 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되 수평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수직판의 연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단부가 반전되는 반전부(15,25,35,45), 상기 반전부의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날개판(17,27,37,47), 및 상기 날개판 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19,29,39,49)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수직판에는 수직판 사이의 간격이 장선(9)의 폭보다 좁은 영역을 두어 수직판이 장선의 측면(93,94)에 대해 억지끼움 되도록 하고, 상기 반전부에서 절곡되는 날개판의 절곡각은 날개판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되도록 하는 각도이며, 상기 반전부는 절곡 후 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크 고정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Deck Mounting Bracket and Mounting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데크 고정브래킷 및 데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크를 오래 사용하더라도 데크를 고정하는 구조가 풀리지 않고, 데크의 수축이나 뒤틀림을 방지하여 데크의 초기 시공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크 고정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크 부재를 이용한 데크 시공은 최근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삶의 질을 중시하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콘크리트의 삭막한 느낌에서 벗어나 자연 친화적인 소재 또는 그러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마감재를 이용하는 추세이다.
특히 데크 부재는 건축물 내부 공간의 바닥면이나 복도, 그리고 근린 공원의 산책로 조성 등에 다양하게 이용되는 바, 목재, 합판, 또는 합성 목재 등으로 부드러운 느낌을 창출하면서 사용자나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면서 조용한 환경의 조성에도 일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목재 데크를 설치할 때에는 바닥면에 멍에를 일정 간격 평행하게 설치하고, 다시 그 상부에 멍에에 직교하는 장선을 평행하게 설치하며, 장선 상부에 목재 데크를 설치한다.
목재 데크를 설치할 때에는 서로 마주하는 두 데크의 연결부분을 장선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데크를 설치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마주하는 두 데크의 측면에 홈을 형성하고, 이러한 두 데크의 홈에 클립을 체결하면서 클립을 장선의 상면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데크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클립 구조는 목재 데크의 수축이나 뒤틀림에 대한 고려 없이 설계된 것이 대부분이어서, 시간이 흘러 목재가 수축되어 데크가 이탈하거나 목재가 뒤틀려서 데크가 들려지는 등 목재의 변형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었다.
또한 목재의 변형은 차치하더라도, 사람들이 데크 상에서 보행하여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데크 사이의 클립이 데크에서 빠지거나 클립을 고정하는 나사 등이 지속적인 진동과 충격에 의해 풀려버려서 데크가 이탈해버리는 문제점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176363호 공개특허공보 제2013-30281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2-1368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3-37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공이 편리하면서도 데크를 장선에 밀착시키는 탄성력을 부가하여 데크의 뒤틀림이나 변형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고, 데크의 체결 구조에 탄성의 긴장재를 개재하여 데크를 오래 사용하더라도 체결요소가 풀려 데크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데크 고정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과정이 간편한 데크 고정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선(9)의 상면(91) 또는 하면(92) 중 어느 한 면에 접하는 수평판(11,21,31,41), 수평판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장선(9)의 제1측면(93)과 제2측면(94)에 각각 접하는 한 쌍의 수직판(13,23,33,43), 상기 한 쌍의 수직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직판의 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되 수평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수직판의 연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단부가 반전되는 반전부(15,25,35,45), 상기 반전부의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날개판(17,27,37,47), 및 상기 날개판 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19,29,39,49)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수직판에는 수직판 사이의 간격이 장선(9)의 폭보다 좁은 영역을 두어 수직판이 장선의 측면(93,94)에 대해 억지끼움 되도록 하고, 상기 반전부에서 절곡되는 날개판의 절곡각은 날개판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되도록 하는 각도이며, 상기 반전부는 절곡 후 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고정브래킷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데크 고정브래킷은, 수평판(11)은 장선(9)의 하면(92)에 접하고, 상기 반전부(15)는 한 쌍의 수직판(13)의 단부에서 각각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수직판(13)의 높이는 장선의 높이보다 작은 제1고정브래킷(10)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크 고정브래킷은, 상기 수평판(21)은 장선(9)의 상면(91)에 접하고, 상기 반전부(25)는 한 쌍의 수직판(23)의 단부에서 각각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날개판(27)은 수평판(2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제2고정브래킷(20)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크 고정브래킷은, 상기 수평판(31)은 장선(9)의 하면(92)에 접하고, 상기 반전부(35)는 한 쌍의 수직판(33)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수직판(33)의 높이는 장선의 높이보다 작은 제3고정브래킷(30)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크 고정브래킷은, 상기 수평판(41)은 장선(9)의 상면(91)에 접하고, 상기 반전부(45)는 한 쌍의 수직판(43)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날개판(47)은 수평판(4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제4고정브래킷(40)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고정브래킷을 사용한 데크 시공방법으로서, 장선(9)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제1고정브래킷(10)을 끼워주는 단계, 서로 맞대어지는 두 데크(7)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71), 충진재(5)의 관통구멍, 날개판(17)의 장공(19)의 순으로 이들을 관통하여 볼트(73)를 끼우고 타방에서 너트(75)로 결합하되, 충진재(5)가 데크(7)와 날개판(17) 사이에서 압축되고 하향 절곡된 날개판이 상방으로 탄성변형되도록 볼트(73)와 너트(75)를 조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크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3고정브래킷을 사용한 데크 시공방법으로서, 장선(9)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제3고정브래킷(30)을 끼워주는 단계, 데크(7)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71), 충진재(5)의 관통구멍, 날개판(37)의 장공(39)의 순으로 이들을 관통하여 볼트(73)를 끼우고 타방에서 너트(75)로 결합하되, 충진재(5)가 데크(7)와 날개판(37) 사이에서 압축되고 하향 절곡된 날개판이 상방으로 탄성변형되도록 볼트(73)와 너트(75)를 조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크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2고정브래킷을 사용한 데크 시공방법으로서, 장선(9)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제2고정브래킷(20)을 끼워주는 단계, 제2고정브래킷(20)과 장선(9)을 고정하는 단계, 서로 맞대어지는 두 데크(7)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71), 충진재(5)의 관통구멍, 날개판(27)의 장공(29)의 순으로 이들을 관통하여 볼트(73)를 끼우고 타방에서 너트(75)로 결합하되, 충진재(5)가 데크(7)와 날개판(27) 사이에서 압축되고 하향 절곡된 날개판이 상방으로 탄성변형되도록 볼트(73)와 너트(75)를 조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크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4고정브래킷을 사용한 데크 시공방법으로서, 장선(9)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제4고정브래킷(40)을 끼워주는 단계, 제4고정브래킷(40)과 장선(9)을 고정하는 단계, 데크(7)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71), 충진재(5)의 관통구멍, 날개판(47)의 장공(49)의 순으로 이들을 관통하여 볼트(73)를 끼우고 타방에서 너트(75)로 결합하되, 충진재(5)가 데크(7)와 날개판(47) 사이에서 압축되고 하향 절곡된 날개판이 상방으로 탄성변형되도록 볼트(73)와 너트(75)를 조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크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래킷과 체결되는 데크의 단부를 제외한 영역에서 데크(7)가 장선(9) 상에 놓여질 때에는 장선(9)의 상면에 고무패드(6)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진재(5)의 관통구멍은 볼트(73)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크 고정브래킷의 반전부의 탄성에 의해 데크를 장선에 밀착시킬 수 있어 데크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데크 고정브래킷이 재질 자체의 탄성뿐만 아니라 반전부의 형상에 의한 탄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데크 고정브래킷의 반전부의 탄성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충진재의 긴장에 의해 지속적인 반복 충격에도 볼트와 너트가 풀리지 않도록 하여 데크가 탈락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데크 고정브래킷을 장선에 간단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데크 고정브래킷을 별다른 고정 구조 없이 억지로 끼우는 것만으로도 데크 고정브래킷을 장선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충진재가 볼트에 억지끼움되어 볼트 너트 체결 과정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고정브래킷(10)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고정브래킷(30)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고정브래킷과 제3고정브래킷을 이용하여 데크(7)를 시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중앙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대어지는 두 데크의 단부 부분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고정브래킷(20)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4고정브래킷(40)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고정브래킷과 제4고정브래킷을 이용하여 데크(7)를 시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중앙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대어지는 두 데크의 단부 부분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9는 데크에 연결부가 없는 구간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데크에 연결부가 없는 구간이면서 멍에 상에 장선이 설치된 구간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5고정브래킷(50)의 사시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5고정브래킷을 멍에와 장선이 나란히 가는 구간에 시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고정브래킷과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고정브래킷(10)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고정브래킷(30)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고정브래킷과 제3고정브래킷을 이용하여 데크(7)를 시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중앙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대어지는 두 데크의 단부 부분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판 데크(7)를 장선(9)에 고정하는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상판 데크를 고정하여 설치하는 절차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멍에(8)를 설치하고 다시 멍에(8)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그 상부에 일정 간격 장선(9)을 설치하며, 이러한 장선(9) 상에 수직 방향으로 데크(7)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데크(7)를 장선(9) 상에 설치하는 것은 데크(7)의 단부를 장선(9)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서로 맞대어지는 데크(7)의 단부가 장선(9) 상에 위치하게 하고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 고정브래킷으로 이들을 장선에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 절차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고정브래킷(10)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고정브래킷(30)을 제공한다.
[제1고정브래킷]
제1고정브래킷(10)은 장선(9)의 하면(92)과 접하는 수평판(11), 수평판(11)의 양 단부로부터 상향 절곡되어 장선(9)의 양 측면(93,94)에 접하는 한 쌍의 수직판(13), 상기 수직판의 단부에서 외향 절곡되어 그 단부가 하향 반전되는 반전부(15), 그리고 반전부(15)의 단부에서 다시 외측을 향해 절곡된 날개판(17)을 포함한다.
수평판(11)은 장선(9)의 하면(92)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하거나 그보다 약간 큰 폭을 이루도록 하여 제1고정브래킷(10)이 장선(9)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 쌍의 수직판(13)은 수평판(11)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절곡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판(13)은 상부로 갈수록 그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는 각도로 수평판으로부터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절곡함으로써 수직판의 일정 구간에서는 두 수직판 사이의 간격이 장선(9)의 폭보다 좁도록 구성할 수 있고, 제1고정브래킷(10)을 장선(9)에 끼울 때 수직판의 상술한 일정 구간이 장선(9)의 양 측면(93,94)을 눌러주도록 함으로써 제1고정브래킷(10)을 장선(9)에 억지끼움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수직판(13)의 높이는 장선(9)의 높이보다 작게 함으로써 장선(9)의 상부에 얹어지는 데크(7)와 제1고정브래킷(10)을 고정할 때 수직판(13)의 상단이 데크(7)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데크(7)가 장선(9)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수직판의 단부에는 수직판으로부터 외측으로 외향 절곡되며 그 단부가 하향하도록 수직판의 연장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반전시키는 반전부(15)가 연장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부는 수직판의 연장 방향을 대략 135°정도 외측으로 반전시키도록 수직판으로부터 절곡되며, 수평판에 대한 수직판의 절곡반경보다 크게 구성하여 반전부(15)가 대체적으로 포물선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이처럼 반전부(15)를 곡면으로 구성하면, 제1고정브래킷(10)을 장선(9)에 끼울 때 반전부의 상단의 폭이 장선(9)보다 크게 되도록 할 수 있어 반전부의 곡면이 장선(9)을 제1고정브래킷(10)에 수용시키는 가이드면의 기능을 하도록 하여 제1고정브래킷(10)을 장선(9)에 억지끼우는 절차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곡면의 형상 자체가 반전부(15)를 탄성체로서 기능하게 함으로써 후술할 날개판(17)이 데크(7)를 아랫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잡아당겨주도록 하여 준다.
다음으로 반전부(15)의 단부에서는 다시 외측 방향으로 날개판(17)이 절곡 형성된다. 날개판은 평판의 형상이며, 수평선에 대해 대략 5°정도 하향하도록 반전부(15)로부터 절곡된다. 날개판(17) 상에는 제1고정브래킷(10)의 길이방향으로 장공(19)이 2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고정브래킷(10)을 이용하여 데크(7)를 설치하는 절차에 대해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장선(9)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제1고정브래킷(10)을 끼워 넣는다. 장선(9)의 폭보다는 반전부(15)의 상단의 폭이 넓기 때문에 반전부(15)의 곡면 형상에 의해 장선(9)은 자연스럽게 제1고정브래킷(10)의 상단을 통해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일단 장선(9)이 제1고정브래킷(10)에 끼워지면 제1고정브래킷(10)의 수직판(13) 중 장선(9)의 폭보다 그 간격이 좁은 영역에 의해 장선(9)이 억지끼움 됨으로써 제1고정브래킷(10)이 장선(9)에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처럼 일단 제1고정브래킷을 장선에 억지끼움으로써 제1고정브래킷을 별도로 붙잡거나 고정하는 수고 없이 편하게 다음 절차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두 데크(7)의 맞닿는 부분(연결부)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71)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73)를 끼워 넣고, 관통공(71)을 통해 관통된 볼트 부분에 다시 탄성 재질의 충진재(5)의 관통구멍(도면부호 없음)을 끼워 넣는다.
이 때 충진재(5)의 관통구멍의 직경을 볼트(73)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하면 충진재(5)를 볼트(73)에 억지 끼울 수 있어, 볼트(73)가 충진재(5)에 의해 고정된 채로 데크(7)의 관통공(71)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충진재를 붙들고 있어야 하거나 관통공(71)에서 볼트(73)가 빠지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작업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게 되는바, 시공이 더욱 편리해진다.
다음으로 충진재(5)의 관통구멍을 통해 관통된 볼트 부분을 다시 제1고정브래킷(10)의 장공(19)으로 통과시키고, 그 단부를 통해 너트(75) 체결을 한다. 그러면 너트(75)가 장공(19)에 간섭되므로 볼트(73)가 장공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장공(19)이 제1브래킷(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데크(7)의 관통공(71)의 위치에 대해 제1고정브래킷(10)의 위치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3의 중앙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7)의 연결부위를 제1고정브래킷(10)과 체결하며 장선(9)에 설치하면 도 4와 같은 상태가 된다. 볼트(73)와 너트(75)는 날개판(17)이 대략적으로 수평이 될 때까지 조여서, 중간에 개재된 충진재(5)가 데크(7)의 하면과 날개판(17)의 상면에 의해 압축되도록 한다.
충진재(5)는 탄성 고분자 재질이므로, 볼트(73)와 너트(75)의 조임에 의해 압축되면, 그 탄성에 의해 데크(7)는 상방으로 밀어주고 날개판(17)은 하방으로 밀어주는 가압력이 발생한다. 이에 더하여 충진재(5)는 탄성 재질이기 때문에 데크(7) 상에 사람이 걸어서 발생하는 충격을 날개판(17)에 전달하기 전에 일정 부분 흡수하게 된다. 이처럼 충진재(5)가 데크(7)와 날개판(17) 사이에 압축된 상태에서 데크(7)와 날개판(17)을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면서 충격을 흡수하므로, 데크(7)와 날개판(17)을 서로 고정시켜주는 볼트(73)와 너트(75)가 항시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볼트(73)와 너트(75)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지속적인 반복 충격에 의해 볼트(73)와 너트(75)가 풀려버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약간 하향 절곡되어 있던 날개판(17)이 볼트(73)와 너트(75)에 의해 대략적으로 수평이 될 때까지 조여진다. 이렇게 날개판(17)이 상향 변형된 변위는 대부분 그 형상 자체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반전부(15)의 변형이 흡수한다. 따라서 반전부(15)의 변형에 따른 탄성복원력은 날개판(17)을 아래로 내리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데크(7)에 전달되어 데크(7)가 장선(9)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고정브래킷(10)의 탄성력이 데크(7)가 장선(9)에 확실히 밀착되도록 지속적으로 작용하므로 데크(7)가 뒤틀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볼트(73)와 너트(75)에 의해 대략적으로 수평이 될 때까지 조여지는 날개판(17)의 변형 변위의 일부는 마주하는 두 수직판(13)이 서로 가까이 오므라드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볼트(73)와 너트(75)에 의해 날개판(17)과 데크(7)를 조여주면 수직판(13)이 장선(9)을 더 조여주어 제1고정브래킷(10)이 장선(9)에 더욱 확실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고정브래킷(10)을 제작할 때에는 평판 형상의 철판을 절곡 가공하고, 가공 과정에서 특히 반전부(15) 부근을 열처리하여 소성 변형에 의해 소실된 탄성이 다시 회복되도록 함으로써 반전부(15)가 탄성체로서의 기능을 확실히 가지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고정브래킷(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데크와 대응하는 길이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장선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관통공(71)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3고정브래킷]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제3고정브래킷(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데크를 시공할 때 데크가 설치되는 면적의 단부에서는 더 이상 데크가 장선을 기준으로 연결되지 않고, 도 3의 양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데크의 단부가 장선(9) 상에 고정된다. 이렇게 하나의 데크의 단부를 장선(9)에 설치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고정브래킷(30)을 제공한다.
제3고정브래킷(30)은 장선(9)의 하면(92)과 접하는 수평판(31), 수평판(31)의 양 단부로부터 상향 절곡되어 장선(9)의 양 측면(93,94)에 접하는 한 쌍의 수직판(33), 상기 두 수직판 중 어느 한 수직판의 단부에서 외향 절곡되어 그 단부가 하향 반전되는 반전부(35), 그리고 반전부(35)의 단부에서 다시 외측을 향해 절곡된 날개판(37)을 포함한다. 제1고정브래킷(10)과 비교하면 제3고정브래킷(30)은 반전부(35)와 날개판(37)이 일측 수직판(33)에만 설치된 점에 차이가 있다.
수평판(31)은 장선(9)의 하면(92)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하거나 그보다 약간 큰 폭을 이루도록 하여 제3고정브래킷(30)이 장선(9)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 쌍의 수직판(33)은 수평판(31)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절곡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판(33)은 상부로 갈수록 그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는 각도로 수평판으로부터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절곡함으로써 수직판의 일정 구간에서는 두 수직판 사이의 간격이 장선(9)의 폭보다 좁도록 구성할 수 있고, 제3고정브래킷(30)을 장선(9)에 끼울 때 수직판의 상술한 일정 구간이 장선(9)의 양 측면(93,94)을 눌러주도록 함으로써 제3고정브래킷(30)을 장선(9)에 억지끼움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수직판(33)의 높이는 장선(9)의 높이보다 작게 함으로써 장선(9)의 상부에 얹어지는 데크(7)와 제3고정브래킷(30)을 고정할 때 수직판(33)의 상단이 데크(7)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데크(7)가 장선(9)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일측 수직판의 단부에는 수직판으로부터 외측으로 외향 절곡되며 그 단부가 하향하도록 수직판의 연장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반전시키는 반전부(35)가 연장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부는 수직판의 연장 방향을 대략 135°정도 외측으로 반전시키도록 수직판으로부터 절곡되며, 수평판에 대한 수직판의 절곡반경보다 크게 구성하여 반전부(35)가 대체적으로 포물선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이처럼 반전부(35)를 곡면으로 구성하면, 제3고정브래킷(30)을 장선(9)에 끼울 때 일측에 형성된 반전부(35)의 상단과 타측의 수직판(33)의 상단의 폭이 장선(9)보다 크게 되도록 할 수 있어 반전부의 곡면이 장선(9)을 제3고정브래킷(30)에 수용시키는 가이드면의 기능을 하도록 하여 제3고정브래킷(30)을 장선(9)에 억지끼우는 절차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반전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타측 수직판 쪽으로 먼저 장선의 타측부를 끼우면서 일측 반전부의 곡면에 장선의 일측부가 접하도록 하면 곡면으로써 장선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음), 또한 곡면의 형상 자체가 반전부(35)를 탄성체로서 기능하게 함으로써 후술할 날개판(37)이 데크(7)를 아랫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잡아당겨주도록 하여 준다.
다음으로 일측에 형성된 반전부(35)의 단부에서는 다시 외측 방향으로 날개판(37)이 절곡 형성된다. 날개판은 평판의 형상이며, 수평선에 대해 대략 5°정도 하향하도록 반전부(35)로부터 절곡된다. 날개판(37) 상에는 제3고정브래킷(30)의 길이방향으로 장공(39)이 2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3고정브래킷(30)을 이용하여 데크(7)를 설치하는 절차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장선(9)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제3고정브래킷(30)을 끼워 넣는다. 장선(9)의 폭보다는 일측에 형성된 반전부(35)의 상단과 타측의 수직판(33)의 상단 사이의 폭이 넓기 때문에 반전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타측 수직판 쪽으로 먼저 장선의 타측부를 끼우면서 일측 반전부의 곡면에 장선의 일측부가 접하도록 하며 장선을 삽입하면 반전부(35)의 곡면 형상에 의해 장선(9)은 자연스럽게 제3고정브래킷(30)의 상단을 통해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일단 장선(9)이 제3고정브래킷(30)에 끼워지면 제3고정브래킷(30)의 수직판(33) 중 장선(9)의 폭보다 그 간격이 좁은 영역에 의해 장선(9)이 억지끼움 됨으로써 제3고정브래킷(30)이 장선(9)에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일단 제3고정브래킷을 이렇게 장선에 억지끼움으로써 제3고정브래킷을 별도로 붙잡거나 고정하는 수고 없이 편하게 다음 절차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데크(7)에 형성된 관통공(71)을 통해 볼트(73)를 도 3의 우측 또는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 넣고, 관통공(71)을 통해 관통된 볼트 부분에 다시 충진재(5)를 끼워 넣는다.
이 때 충진재(5)의 관통구멍의 직경을 볼트(73)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하면 앞서 제1고정브래킷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이 매우 편리해진다.
다음으로 충진재(5)의 관통구멍을 통해 관통된 볼트 부분을 다시 제3고정브래킷(30)의 장공(39)으로 통과시키고, 그 단부에 너트(75) 체결을 한다. 장공(39)에 의해 데크(7)와 제3고정브래킷(30)의 위치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음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날개판(37)이 대략적으로 수평이 될 때까지 볼트(73)와 너트(75)를 조여서, 중간에 개재된 충진재(5)가 데크(7)의 하면과 날개판(37)의 상면에 의해 압축되도록 하면, 탄성 고분자 재질의 충진재(5)가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지속적인 반복 충격에 의해 볼트(73)와 너트(75)가 풀려버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고정브래킷(30) 역시 날개판(37)이 볼트(73)와 너트(75)에 의해 대략적으로 수평이 될 때까지 조여지므로, 제1고정브래킷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3고정브래킷(30)의 탄성력이 데크(7)가 장선(9)에 확실히 밀착되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데크(7)가 뒤틀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일측 수직판(33)이 장선(9)을 더 조여 주어 제3고정브래킷(30)이 장선(9)에 더욱 확실히 고정된다.
제3고정브래킷(30)의 제작방법은 형상적인 차이를 제외하고는 제1고정브래킷(10)과 마찬가지로 할 수 있는바,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고정브래킷(20)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4고정브래킷(40)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고정브래킷과 제4고정브래킷을 이용하여 데크(7)를 시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8은 도 7의 중앙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대어지는 두 데크의 단부 부분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크(7)는 일정 간격으로 멍에(8)를 설치하고 다시 멍에(8)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그 상부에 일정 간격 장선(9)을 설치하며, 이러한 장선(9) 상에 수직 방향으로 데크(7)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장선(9)의 하부에 공간이 있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고정브래킷(10)과 제3고정브래킷(30)으로 데크의 시공이 가능하지만, 장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멍에(8) 상에 장선(9)이 설치된 구간에서는 장선(9)의 하부에 공간이 없기 때문에 제1고정브래킷(10)과 제3고정브래킷(30)으로 데크의 시공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구간에서는 장선(9)의 상부로부터 고정브래킷을 설치하는 방법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고정브래킷(20)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4고정브래킷(40)을 제공한다.
[제2고정브래킷]
제2고정브래킷(20)은 장선(9)의 상면(91)과 접하는 수평판(21), 수평판(21)의 양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장선(9)의 양 측면(93,94)에 접하는 한 쌍의 수직판(23), 상기 수직판의 단부에서 외향 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향 반전되는 반전부(25), 그리고 반전부(25)의 단부에서 다시 외측을 향해 절곡된 날개판(27)을 포함한다.
수평판(21)은 장선(9)의 상면(91)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하거나 그보다 약간 큰 폭을 이루도록 하여 제2고정브래킷(20)이 장선(9)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 쌍의 수직판(23)은 수평판(2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판(23)은 하부로 갈수록 그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는 각도로 수평판으로부터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절곡함으로써 수직판의 일정 구간에서는 두 수직판 사이의 간격이 장선(9)의 폭보다 좁도록 구성할 수 있고, 제2고정브래킷(20)을 장선(9)에 끼울 때 수직판의 상술한 일정 구간이 장선(9)의 양 측면(93,94)을 눌러주도록 함으로써 제2고정브래킷(20)을 장선(9)에 억지끼움 가능하게 한다.
수직판의 단부에는 수직판으로부터 외측으로 외향 절곡되며 그 단부가 상향하도록 수직판의 연장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반전시키는 반전부(25)가 연장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부는 수직판의 연장 방향을 대략 135°정도 외측으로 반전시키도록 수직판으로부터 절곡되며, 수평판에 대한 수직판의 절곡반경보다 크게 구성하여 반전부(25)가 대체적으로 포물선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이처럼 반전부(25)를 곡면으로 구성하면, 마찬가지로, 제2고정브래킷(20)을 장선(9)에 끼울 때 반전부의 하단의 폭이 장선(9)보다 크게 되도록 할 수 있어 반전부의 곡면이 장선(9)을 제2고정브래킷(20)에 수용시키는 가이드면의 기능을 하도록 하여 제2고정브래킷(20)을 장선(9)에 억지끼우는 절차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곡면의 형상 자체가 반전부(25)를 탄성체로서 기능하게 함으로써 후술할 날개판(27)이 데크(7)를 아랫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잡아당겨주도록 하여 준다.
다음으로 반전부(25)의 단부에서는 다시 외측 방향으로 날개판(27)이 절곡 형성된다. 날개판은 평판의 형상이며, 마찬가지로 수평선에 대해 대략 5°정도 하향하도록 반전부(25)로부터 절곡된다. 날개판(27) 상에는 제2고정브래킷(20)의 길이방향으로 장공(29)이 2개 형성되어 있다.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판(27)은 수평판(2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날개판(27)과 데크(7)를 볼트(73)와 너트(75)로 조일 때 데크(7)가 수평판(21) 상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도 8 참조).
이러한 제2고정브래킷(20)을 이용하여 데크(7)를 설치하는 절차에 대해서는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장선(9)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제2고정브래킷(20)을 끼워 넣는다. 장선(9)의 폭보다는 반전부(25)의 하단의 폭이 넓기 때문에 반전부(25)의 이러한 곡면 형상에 의해 장선(9)은 자연스럽게 제2고정브래킷(20)의 하단을 통해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일단 장선(9)이 제2고정브래킷(20)에 끼워지면 제2고정브래킷(20)의 수직판(23) 중 장선(9)의 폭보다 그 간격이 좁은 영역에 의해 장선(9)이 억지끼움 됨으로써 제2고정브래킷(20)이 장선(9)에 확실히 위치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고정브래킷(20)의 상부에서 수평판(21)을 관통하며 드릴 나사를 박아 넣어 제2고정브래킷(20)의 수평판(21)이 장선(9)의 상면(91)에 확실히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두 데크(7)의 맞닿는 부분(연결부)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71)을 통해 볼트(73)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 넣고, 관통공(71)을 통해 관통된 볼트 부분에 다시 충진재(5)를 끼워 넣는다.
이 때 충진재(5)의 관통구멍의 직경을 볼트(73)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하면 앞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이 매우 편리해진다.
다음으로 충진재(5)의 관통구멍을 통해 관통된 볼트 부분을 다시 제2고정브래킷(20)의 장공(29)으로 통과시키고, 그 단부를 통해 다시 너트(75) 체결을 한다. 장공(29)에 의해 데크(7)와 제2고정브래킷(20)의 위치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음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날개판(27)이 대략적으로 수평이 될 때까지 볼트(73)와 너트(75)를조여서, 중간에 개재된 충진재(5)가 데크(7)의 하면과 날개판(27)의 상면에 의해 압축되도록 하면, 탄성 고분자 재질의 충진재(5)가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지속적인 반복 충격에 의해 볼트(73)와 너트(75)가 풀려버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고정브래킷(20) 역시 날개판(27)이 볼트(73)와 너트(75)에 의해 대략적으로 수평이 될 때까지 조여지므로, 제2고정브래킷(20)의 탄성력이 데크(7)가 장선엄밀하게는 수평판(21)에 확실히 밀착되도록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데크(7)가 뒤틀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2고정브래킷(20)의 제작방법은 형상적인 차이를 제외하고는 제1고정브래킷(10)과 마찬가지로 할 수 있는바,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4고정브래킷]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제4고정브래킷(4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데크를 시공할 때 데크가 설치되는 면적의 단부에서는 더 이상 데크가 장선을 기준으로 연결되지 않고, 도 7의 양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데크의 단부가 장선(9) 상에 고정된다. 이렇게 하나의 데크의 단부를 멍에(8) 상에 위치하는 장선(9)의 구간에 설치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4고정브래킷(40)을 제공한다.
제4고정브래킷(40)은 장선(9)의 상면(91)과 접하는 수평판(41), 수평판(41)의 양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장선(9)의 양 측면(93,94)에 접하는 한 쌍의 수직판(43), 상기 두 수직판 중 어느 한 수직판의 단부에서 외향 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향 반전되는 반전부(45), 그리고 반전부(45)의 단부에서 다시 외측을 향해 절곡된 날개판(47)을 포함한다. 제2고정브래킷(20)과 비교하면 제4고정브래킷(40)은 반전부(45)와 날개판(47)이 일측 수직판(43)에만 설치된 점에 차이가 있다.
수평판(41)은 장선(9)의 상면(91)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하거나 그보다 약간 큰 폭을 이루도록 하여 제4고정브래킷(40)이 장선(9)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 쌍의 수직판(43)은 수평판(4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판(43)은 하부로 갈수록 그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는 각도로 수평판으로부터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절곡함으로써 수직판의 일정 구간에서는 두 수직판 사이의 간격이 장선(9)의 폭보다 좁도록 구성할 수 있고, 제4고정브래킷(40)을 장선(9)에 끼울 때 수직판의 상술한 일정 구간이 장선(9)의 양 측면(93,94)을 눌러주도록 함으로써 제4고정브래킷(40)을 장선(9)에 억지끼움 가능하게 한다.
일측 수직판의 단부에는 수직판으로부터 외측으로 외향 절곡되며 그 단부가 상향하도록 수직판의 연장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반전시키는 반전부(45)가 연장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부는 수직판의 연장 방향을 대략 135°정도 외측으로 반전시키도록 수직판으로부터 절곡되며, 수평판에 대한 수직판의 절곡반경보다 크게 구성하여 반전부(45)가 대체적으로 포물선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이처럼 반전부(45)를 곡면으로 구성하면, 제4고정브래킷(40)을 장선(9)에 끼울 때 일측에 형성된 반전부(45)의 하단과 타측의 수직판(43)의 폭이 장선(9)보다 크게 되도록 할 수 있어 반전부의 곡면이 장선(9)을 제4고정브래킷(40)에 수용시키는 가이드면의 기능을 하도록 하여 제4고정브래킷(40)을 장선(9)에 억지끼우는 절차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반전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타측 수직판 쪽으로 먼저 장선의 타측부를 끼우면서 일측 반전부의 곡면에 장선의 일측부가 접하도록 하면 곡면에 의해 장선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음), 또한 곡면의 형상 자체가 반전부(45)를 탄성체로서 기능하게 함으로써 후술할 날개판(47)이 데크(7)를 아랫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잡아당겨주도록 하여 준다.
다음으로 일측에 형성된 반전부(45)의 단부에서는 다시 외측 방향으로 날개판(47)이 절곡 형성된다. 날개판은 평판의 형상이며, 수평선에 대해 대략 5°정도 하향하도록 반전부(45)로부터 절곡된다. 날개판(47) 상에는 제4고정브래킷(40)의 길이방향으로 장공(49)이 2개 형성되어 있다.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판(47)은 수평판(4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날개판(47)과 데크(7)를 볼트(73)와 너트(75)로 조일 때 데크(7)가 수평판(41) 상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4고정브래킷(40)을 이용하여 데크(7)를 설치하는 절차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장선(9)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제4고정브래킷(40)을 끼워 넣는다. 장선(9)의 폭보다는 일측에 형성된 반전부(45)의 하단과 타측의 수직판(43) 사이의 폭이 넓기 때문에 반전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타측 수직판 쪽으로 먼저 장선의 타측부를 끼우면서 일측 반전부의 곡면에 장선의 일측부가 접하도록 하며 장선을 삽입하면 반전부(45)의 곡면 형상에 의해 장선(9)은 자연스럽게 제4고정브래킷(40)의 상단을 통해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일단 장선(9)이 제4고정브래킷(40)에 끼워지면 제4고정브래킷(40)의 수직판(43) 중 장선(9)의 폭보다 그 간격이 좁은 영역에 의해 장선(9)이 억지끼움 됨으로써 제4고정브래킷(40)이 장선(9)에 확실히 위치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4고정브래킷(40)의 상부에서 수평판(41)을 관통하며 드릴 나사를 박아 넣어 제4고정브래킷(40)의 수평판(41)이 장선(9)의 상면(91)에 확실히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7의 우측 또는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7)에 형성된 관통공(71)을 통해 볼트(73)를 끼워 넣고, 관통공(71)을 통해 관통된 볼트 부분에 다시 충진재(5)를 끼워 넣는다.
이 때 충진재(5)의 관통구멍의 직경을 볼트(73)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하면 앞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이 매우 편리해진다.
다음으로 충진재(5)의 관통구멍을 통해 관통된 볼트 부분을 다시 제4고정브래킷(40)의 장공(49)으로 통과시키고, 다시 너트(75) 체결을 한다. 장공(49)에 의해 데크(7)와 제4고정브래킷(40)의 위치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음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날개판(47)이 대략적으로 수평이 될 때까지 볼트(73)와 너트(75)를 조여서, 중간에 개재된 충진재(5)가 데크(7)의 하면과 날개판(47)의 상면에 의해 압축되도록 하면, 탄성 고분자 재질의 충진재(5)가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지속적인 반복 충격에 의해 볼트(73)와 너트(75)가 풀려버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4고정브래킷(40) 역시 날개판(47)이 볼트(73)와 너트(75)에 의해 대략적으로 수평이 될 때까지 조여지므로 제4고정브래킷(40)의 탄성력이 데크(7)가 장선엄밀하게는 수평판(41)에 확실히 밀착되도록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데크(7)가 뒤틀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4고정브래킷(40)의 제작방법은 형상적인 차이를 제외하고는 제1고정브래킷(10)과 마찬가지로 할 수 있는바,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통상 데크의 길이가 장선 간의 간격보다 수배 더 길게 제작되는 점을 감안하면, 데크의 연결부위가 아닌 데크의 중간 부분 밑으로 장선이 지나가는 구간도 있다. 도 9는 데크에 연결부가 없는 구간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10은 데크에 연결부가 없는 구간이면서 멍에 상에 장선이 설치된 구간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7)의 양단은 제3고정브래킷(30)으로 고정을 하고, 도 9의 중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의 연결부위가 아닌 데크의 중간 부분 밑으로 장선이 지나가는 구간에서는 장선 상에 고무패드(6)를 설치하여 데크에서 보행자에 의해 받는 충격을 고무패드가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멍에(8) 상에 장선(9)이 설치된 구간에서도, 데크(7)의 양단은 제4고정브래킷(40)으로 고정을 하고, 도 10의 중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의 연결부위가 아닌 데크의 중간 부분 밑으로 장선이 지나가는 구간에서는 장선 상에 고무패드(6)를 설치하여 데크에서 보행자에 의해 받는 충격을 고무패드가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데크의 일측에는 제1고정브래킷(10)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제3고정브래킷(30)이 설치된 경우, 데크의 일측에는 제2고정브래킷(20)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제4고정브래킷(40)이 설치된 경우, 데크의 양측 모두 제1고정브래킷(10)이 설치된 경우, 그리고 데크의 양측 모두 제2고정브래킷(20)이 설치된 경우에도, 데크의 연결부위가 아닌 데크의 중간 부분 밑으로 장선이 지나가는 구간에서는 장선 상에 고무패드(6)를 설치하여 데크에서 보행자에 의해 받는 충격을 고무패드가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제5고정브래킷]
한편, 멍에 상에 장선을 설치하다 보면 멍에와 장선의 길이방향이 일치하는 경우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5고정브래킷(50)의 사시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5고정브래킷을 멍에와 장선이 나란히 가는 구간에 시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에는 멍에(8) 상에 장선(9)이 멍에와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렇게 멍에와 장선의 길이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제2고정브래킷(20)이나 제4고정브래킷(40)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제1고정브래킷(10) 또는 제3고정브래킷(30)에서 수평판(11,31)이 없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수직판(53) 상에도 장공(54)이 형성된 제5고정브래킷(50)을 활용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고정브래킷(50)은 수직판(53) 상단에 반전부(55)가 형성되고, 반전부(55) 단부에서 다시 날개판(57)이 외향 연장되며, 수직판(53)과 날개판(57) 상에 길이방향으로 장공(54,59)이 천공된 구조이다.
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53)에 형성된 장공(54)을 통해 나사(77)를 관통시켜 제5고정브래킷(50)을 장선(9) 측면에 고정하는 점에서 제3고정브래킷(30)과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시공방법은 제3고정브래킷(30)과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제1고정브래킷
20: 제2고정브래킷
30: 제3고정브래킷
40: 제4고정브래킷
50: 제5고정브래킷
11,21,31,41: 수평판
13,23,33,43,53: 수직판
15,25,35,45,55: 반전부
17,27,37,47,57: 날개판
19,29,39,49,54,59: 장공
5: 충진재
6: 고무패드
7: 데크
71: 관통공
73: 볼트
75: 너트
8: 멍에
9: 장선

Claims (11)

  1. 장선(9)의 상면(91) 또는 하면(92) 중 어느 한 면에 접하는 수평판(11,21,31,41),
    수평판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장선(9)의 제1측면(93)과 제2측면(94)에 각각 접하는 한 쌍의 수직판(13,23,33,43),
    상기 한 쌍의 수직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직판의 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되 수평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수직판의 연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단부가 반전되는 반전부(15,25,35,45),
    상기 반전부의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날개판(17,27,37,47), 및
    상기 날개판 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19,29,39,49)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수직판에는 수직판 사이의 간격이 장선(9)의 폭보다 좁은 영역을 두어 수직판이 장선의 측면(93,94)에 대해 억지끼움 되도록 하고,
    상기 반전부에서 절곡되는 날개판의 절곡각은 날개판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되도록 하는 각도이며,
    상기 반전부는 절곡 후 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고정브래킷.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11)은 장선(9)의 하면(92)에 접하고,
    상기 반전부(15)는 한 쌍의 수직판(13)의 단부에서 각각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수직판(13)의 높이는 장선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고정브래킷.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21)은 장선(9)의 상면(91)에 접하고,
    상기 반전부(25)는 한 쌍의 수직판(23)의 단부에서 각각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날개판(27)은 수평판(2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고정브래킷.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31)은 장선(9)의 하면(92)에 접하고,
    상기 반전부(35)는 한 쌍의 수직판(33)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수직판(33)의 높이는 장선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고정브래킷.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41)은 장선(9)의 상면(91)에 접하고,
    상기 반전부(45)는 한 쌍의 수직판(43)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날개판(47)은 수평판(4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고정브래킷.
  6. 데크 고정브래킷을 사용한 데크 시공방법으로서,
    장선(9)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청구항 2의 데크 고정브래킷(10)을 끼워주는 단계,
    서로 맞대어지는 두 데크(7)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71), 충진재(5)의 관통구멍, 날개판(17)의 장공(19)의 순으로 이들을 관통하여 볼트(73)를 끼우고 타방에서 너트(75)로 결합하되, 충진재(5)가 데크(7)와 날개판(17) 사이에서 압축되고 하향 절곡된 날개판이 상방으로 탄성변형되도록 볼트(73)와 너트(75)를 조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시공방법.
  7. 데크 고정브래킷을 사용한 데크 시공방법으로서,
    장선(9)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청구항 4의 데크 고정브래킷(30)을 끼워주는 단계,
    데크(7)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71), 충진재(5)의 관통구멍, 날개판(37)의 장공(39)의 순으로 이들을 관통하여 볼트(73)를 끼우고 타방에서 너트(75)로 결합하되, 충진재(5)가 데크(7)와 날개판(37) 사이에서 압축되고 하향 절곡된 날개판이 상방으로 탄성변형되도록 볼트(73)와 너트(75)를 조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시공방법.
  8. 데크 고정브래킷을 사용한 데크 시공방법으로서,
    장선(9)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청구항 3의 데크 고정브래킷(20)을 끼워주는 단계,
    데크 고정브래킷(20)과 장선(9)을 고정하는 단계,
    서로 맞대어지는 두 데크(7)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71), 충진재(5)의 관통구멍, 날개판(27)의 장공(29)의 순으로 이들을 관통하여 볼트(73)를 끼우고 타방에서 너트(75)로 결합하되, 충진재(5)가 데크(7)와 날개판(27) 사이에서 압축되고 하향 절곡된 날개판이 상방으로 탄성변형되도록 볼트(73)와 너트(75)를 조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시공방법.
  9. 데크 고정브래킷을 사용한 데크 시공방법으로서,
    장선(9)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청구항 5의 데크 고정브래킷(40)을 끼워주는 단계,
    데크 고정브래킷(40)과 장선(9)을 고정하는 단계,
    데크(7)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71), 충진재(5)의 관통구멍, 날개판(47)의 장공(49)의 순으로 이들을 관통하여 볼트(73)를 끼우고 타방에서 너트(75)로 결합하되, 충진재(5)가 데크(7)와 날개판(47) 사이에서 압축되고 하향 절곡된 날개판이 상방으로 탄성변형되도록 볼트(73)와 너트(75)를 조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시공방법.
  10.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과 체결되는 데크의 단부를 제외한 영역에서 데크(7)가 장선(9) 상에 놓여질 때에는 장선(9)의 상면에 고무패드(6)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시공방법.
  11.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5)의 관통구멍은 볼트(73)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시공방법.
KR1020140049170A 2014-04-24 2014-04-24 데크 고정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KR101419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170A KR101419252B1 (ko) 2014-04-24 2014-04-24 데크 고정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170A KR101419252B1 (ko) 2014-04-24 2014-04-24 데크 고정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9252B1 true KR101419252B1 (ko) 2014-07-17

Family

ID=5174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170A KR101419252B1 (ko) 2014-04-24 2014-04-24 데크 고정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2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132B1 (ko) 2014-07-18 2015-02-11 주식회사 더우드 목재 바닥 데크의 완충구조
KR20180048114A (ko) * 2016-11-02 2018-05-10 신혜경 조립식 목제 데크 보수용 브라켓
KR102373054B1 (ko) * 2021-06-30 2022-03-11 이성우 상·하부판을 스냅-핏 요철결합으로 폐합한 다격실 사각튜브형 데크모듈과 이를 연속이음한 자전거·보행로데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7946A (ja) 2000-11-30 2002-06-11 Sanyo Industries Ltd 床取付け構造
KR20110111652A (ko) * 2010-04-05 2011-10-12 한문수 바닥재 데크보드 고정용 클립유지부재
KR20120100227A (ko) * 2011-03-03 2012-09-12 김운봉 조인트 클립
KR101312955B1 (ko) 2013-04-02 2013-10-14 주식회사 누리텍 목재 체결용 티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7946A (ja) 2000-11-30 2002-06-11 Sanyo Industries Ltd 床取付け構造
KR20110111652A (ko) * 2010-04-05 2011-10-12 한문수 바닥재 데크보드 고정용 클립유지부재
KR20120100227A (ko) * 2011-03-03 2012-09-12 김운봉 조인트 클립
KR101312955B1 (ko) 2013-04-02 2013-10-14 주식회사 누리텍 목재 체결용 티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132B1 (ko) 2014-07-18 2015-02-11 주식회사 더우드 목재 바닥 데크의 완충구조
KR20180048114A (ko) * 2016-11-02 2018-05-10 신혜경 조립식 목제 데크 보수용 브라켓
KR102373054B1 (ko) * 2021-06-30 2022-03-11 이성우 상·하부판을 스냅-핏 요철결합으로 폐합한 다격실 사각튜브형 데크모듈과 이를 연속이음한 자전거·보행로데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0810B1 (en) Sprinkler mounting device
KR101848258B1 (ko) 나사못이 필요 없는 목재 데크 판재용 원터치 탄성 고정 장치
KR101419252B1 (ko) 데크 고정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KR101789158B1 (ko) 성능이 향상된 목재 데크 설치 장치
KR101666118B1 (ko) 천장 마감 몰딩
CA2640845A1 (en) Suspended rail fastening apparatus
KR102460462B1 (ko) 충격 흡수용 알루미늄데크
KR102256356B1 (ko) 데크조립체
KR101260667B1 (ko) 데크 플레이트 고정 구조
KR20180013630A (ko) 나사못 없이 원터치 탄성 결합이 가능한 목재 데크 판재
KR101873632B1 (ko) 데크 조립장치
KR101731313B1 (ko) 목재 데크용 ㄷ자형 고정 클립
JP4800858B2 (ja) トンネルの覆工に板状体を固定する固定具
KR101789777B1 (ko) 외단열 시공용 단열보드 고정부재
KR200475359Y1 (ko) 케이블 트레이용 지지대
KR101320568B1 (ko) 천장구조물용 행거
JP5227644B2 (ja) 床材用支持脚
JP2016060613A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2014077254A (ja) コンクリート壁の吸音板取付構造
KR20160140016A (ko) 목재 데크용 고정 클립
KR200466580Y1 (ko) 메탈 패널 고정용 브라켓
KR101001094B1 (ko) 배선·배관용 클램프
KR200313751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커버 체결장치
KR101943014B1 (ko)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
KR101062234B1 (ko) 상하면 동시 방진 장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