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676B1 -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 Google Patents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676B1
KR101184676B1 KR1020120026755A KR20120026755A KR101184676B1 KR 101184676 B1 KR101184676 B1 KR 101184676B1 KR 1020120026755 A KR1020120026755 A KR 1020120026755A KR 20120026755 A KR20120026755 A KR 20120026755A KR 101184676 B1 KR101184676 B1 KR 101184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wood board
reinforcement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연
우승명
김보영
Original Assignee
상록엔비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록엔비텍(주) filed Critical 상록엔비텍(주)
Priority to PCT/KR2012/00655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3752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94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목재판들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 온도에 의한 수축 또는 팽창시 합성목재판의 파손을 방지하는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는, 제1 방향으로 신장 배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신장 배치되는 합성목재판, 및 상기 합성목재판의 제1 결합홈에 결합되는 판상의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 상기 제2 방향에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합성목재판의 제2 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판상의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결합홈에 접촉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부, 및 상기 보강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접촉되어 고정부재로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WOOD PLASTIC COMBINATION PLATE COUPLING STRACTURE AND BRACKET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합성목재판들을 결합하여 지지부재 상에 고정 설치하는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합성목재는 목재 분말과 발포제(發泡劑)를 혼합한 플라스틱을 발포시킨 재료로 사출 성형 또는 압출 성형으로 만들어진다. 합성목재는 천연목재와 비슷한 외관과 성질을 가지며, 내부식성이 우수하여 데크(deck) 및 계단을 시공하는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합성목재의 구성요소인 플라스틱은 온도에 의한 크게 수축 및 팽창하므로 합성목재판은 온도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한다. 또한 합성목재판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는 금속재의 사각 파이프로 구성된다.
따라서 지지부재 상에 합성목재판을 놓고 세트 스크류로 체결하는 경우, 합성목재판과 지지부재의 수축 및 팽창의 차이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합성목재판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목재판들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 온도 변화에 의한 수축 또는 팽창시 합성목재판의 파손을 방지하는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목재판의 손상을 방지하고, 합성목재판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며, 시공 후 미관을 향상시키는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브래킷과 합성목재판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합성목재판의 뒤틀림에도 합성목재판을 지지부재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시) 지지부재 상에서 합성목재판의 진동 및 흔들림과 소음을 방지하는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는, 제1 방향으로 신장 배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신장 배치되는 합성목재판, 및 상기 합성목재판의 제1 결합홈에 결합되는 판상의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 상기 제2 방향에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합성목재판의 제2 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판상의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결합홈에 접촉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제3 방향으로 형성되는 보강부, 및 상기 보강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접촉되어 고정부재로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설정되는 폭을 동일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홈과 상기 제2 결합홈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설정되는 폭을 동일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결합홈의 일측에서 상기 제2 결합홈과 높이 차이를 형성하는 상기 합성목재판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폭보다 좁은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이격되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대응하는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1 보강부의 양측에서 상기 제2 결합홈 각각에 대응하는 1쌍의 제2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는,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보조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코팅층 및 패드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용 브래킷은, 판상의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 높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평행한 판상의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높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보강부, 및 상기 보강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평행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높이 차이를 형성하는 보조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폭보다 좁은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대응하는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1 보강부의 양측에서 상기 제1 보강부와 이격되는 1쌍의 제2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용 브래킷은,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보조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코팅층 및 패드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합성목재판의 제1, 제2 결합홈에 브래킷의 제1, 제2 지지부를 결합하고, 이웃하는 합성목재판들 사이에 연결부를 배치하여 합성목재판들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므로 온도 변화에 의한 수축 또는 팽창시 합성목재판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재로 브래킷을 지지부재에 고정하고, 브래킷에 합성목재판을 결합하여 합성목재판에 고정부재가 체결되지 않으므로 합성목재판의 손상을 방지하고, 합성목재판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며, 시공 후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래킷의 제1, 제2 플레이트로 높이 차이를 가지고 합성목재판을 지지하므로 브래킷과 합성목재판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합성목재판의 뒤틀림에도 합성목재판을 지지부재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래킷에 완충부재 또는 완충부를 구비하므로 지지부재 상에서 합성목재판의 진동 또는 흔들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브래킷과 합성목재판 및 지지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에 적용되는 브래킷과 합성목재판 및 지지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브래킷과 합성목재판 및 지지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100)는 지지부재(10), 합성목재판(20) 및 브래킷(30)을 포함한다.
지지부재(10)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지지부재(10)는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100)의 기초를 형성하고, 시공 면적에 대응하는 복수로 제공되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10)는 금속재의 사각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합성목재판(20)은 지지부재(10) 상에서 지지부재(10)와 교차하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편의상, 제1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0)와 합성목재판(20)의 수직으로 교차하여 배치된다. 합성목재판(20)은 설정된 두께와 폭 및 길이를 가지며, 다양한 단면 구조를 가지고 공지의 압출 성형 또는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합성목재판(20)은 제2 방향(y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 상태로 형성되는 제1 결합홈(21)과 제2 결합홈(22)을 가진다.
제1, 제2 결합홈(11, 12)은 y축 방향으로 설정되는 폭(W1)을 동일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결합홈(21)은 측방(y축 및 x축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를 형성하고, 제2 결합홈(22)은 측방(y축 및 x축 방향) 및 하방(z축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를 형성한다.
제1, 제2 결합홈(11, 12)은 합성목재판(20)의 폭 방향(y축 방향)의 양측면에서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제1, 제2 결합홈(11, 12)은 합성목재판(20)의 폭 방향 양단에서 동일하게 형성되고, 이웃하는 합성목재판들(10)은 동일 구조로 형성된다.
브래킷(30)은 지지부재(10) 상에 합성목재판(20)을 용이하게 고정 설치하며, 즉 이웃하는 합성목재판(20)에 결합되어 지지부재(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브래킷(30)은 제1 지지부(31), 연결부(33) 및 제2 지지부(32)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31)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합성목재판(20)의 제1 결합홈(21)에 결합되고, 제2 지지부(31)는 제1 지지부(31)와 평행한 판상으로 형성되어 합성목재판(20)의 제2 결합홈(22)에 결합된다.
제1, 제2 지지부(31, 32)는 합성목재판(20)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작용을 하며, 제2 지지부(32)는 지지부재(10)에 고정하는 작용을 더 한다. 연결부(33)는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제2 지지부(31, 32)를 서로 일체로 연결한다.
제2 지지부(32)는 2겹 구조를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321)와 제2 플레이트(322) 및 제1, 제2 플레이트(321, 322)를 연결하는 보강부(323)를 포함한다. 보강부(323)는 z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 플레이트(321)는 합성목재판(20)의 제2 결합홈(22)에 삽입 및 접촉되고, 제2 플레이트(322)는 지지부재(10)의 상면에 접촉된다. 제2 플레이트(322)가 고정부재(324)로 지지부재(10)에 고정되므로 브래킷(30)은 지지부재(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지지부(32)의 제1 플레이트(321)와 제1 지지부(31)는 y축 방향으로 설정되는 폭(W2)을 동일 크기로 형성한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321)와 제1 지지부(31)가 합성목재판(20)의 제1, 제2 결합홈(11, 12)에 결합될 때, 제1 지지부(31)와 제1 플레이트(321)는 상호 삽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제2 지지부(32)의 보강부(323)는 y축 방향에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1 보강부(231)와 제2 보강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강부(231)는 연결부(33)에 대응하여 제1, 제2 플레이트(321, 322)를 서로 연결하므로 제1 결합홈(21)과 제1 지지부(31) 및 연결부(33)를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보강 작용한다.
제2 보강부(232)는 제1 보강부(231)의 양측에서 제1, 제2 플레이트(321, 322)를 서로 연결하므로 제2 결합홈(22) 각각에 대응하여 제1, 제2 플레이트(321, 322)를 서로 연결하므로 제2 결합홈(22)과 제1 플레이트(321)를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보강 작용한다.
한편, 제2 플레이트(322)는 제1 플레이트(321)에 대응하는 범위를 넘어서 y축 방향으로 더 연장되며, 그 단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조 지지부(221)를 더 포함한다. 즉 보조 지지부(221)는 고정부재(324)를 사이에 두고 제1 플레이트(321)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보조 지지부(221)는 제1 플레이트(321)와 높이 차이(H)를 가진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321)가 제2 결합홈(22)에 결합될 때, 보조 지지부(221)는 합성목재판(20)의 하면을 접촉 지지한다.
즉 제1 플레이트(321)가 제2 결합홈(22)에서 합성목재판(20)을 지지하고, 보조 지지부(221)가 제2 결합홈(22)과 높이 차이(H)를 가지는 합성목재판(20)의 하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브래킷(30)은 비틀림 작용력에 대하여, 합성목재판(20)을 지지부재(10) 상에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324)는 제1 플레이트(321)와 보조 지지부(221)보다 낮은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322)의 관통공을 통하여 지지부재(10)에 고정된다. 즉 합성목재판(20)은 고정부재(324)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100)에서 상면의 미관이 향상될 수 있고, 합성목재판(20)은 지지부재(10)의 수축 및 팽창에 무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온도 변화, 진동 및 비틀림으로부터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연결부(33)는 y축 방향에서 제1, 제2 지지부(31, 32)의 폭보다 좁은 두께로 돌출 형성된다. 즉 연결부(33)는 판상의 제1, 제2 지지부(31, 32)를 일체로 연결하며, 제1 지지부(31)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2 지지부(32)로 전달한다.
또한, 연결부(33)는 이웃하는 합성목재판들(10) 사이에 개재되어, 합성목재판들(10)의 x축 방향 단부가 z축 방향에서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경우, 합성목재판들(10) 사이에 간격(G)을 설정한다.
연결부(33)는 양측에 완충부재(34)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완충부재(34)는 연결부(33)를 둘러싸는 원형의 고무밴드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34)는 z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완충부재(34)는 연결부(33)와 합성목재판들(10)을 y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착시켜 보행으로 인하여 합성목재판들(10)의 y축 방향의 진동 및 흔들림과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부재(34)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제1 결합홈(21)과 제1 지지부(31)는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2 지지부(32)의 제1 플레이트(321)와 제2 결합홈(22)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편의상,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에 적용되는 브래킷과 합성목재판 및 지지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200)는 제1 실시예의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100)(완충부재를 제거한 상태)에서 브래킷(50)에 구비되는 완충부(60)를 더 포함한다.
완충부(60)는 제1 지지부(31), 제1 플레이트(321), 연결부(33) 및 보조 지지부(221) 중 한 곳 또는 복수의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부(60)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로 형성되어, 합성목재판(20)에서 지지부재(10)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60)는 코팅층 또는 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부(60)는 제1 지지부(31), 제1 플레이트(321), 연결부(33) 및 보조 지지부(221)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완충부(61), 제2 완충부(62), 제3 완충부(63) 및 제4 완충부(64)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31), 제1 플레이트(321) 및 보조 지지부(221)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1, 제2, 제4 완충부(61, 62, 64)는 합성목재판(20)에서 z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완화한다. 연결부(33)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3 완충부(63)는 이웃하는 합성목재판(20)에서 y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완화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지지부재 20 : 합성목재판
21, 22 : 제1, 제2 결합홈 30, 50 : 브래킷
31, 32 : 제1, 제2 지지부 33 : 연결부
34 : 완충부재 60 : 완충부
61, 62 : 제1, 제2 완충부 63, 64 : 제3, 제4 완충부
100, 200 :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221 : 보조 지지부
231, 232 : 제1, 제2 보강부 321, 322 : 제1, 제2 플레이트
323 : 보강부 324 : 고정부재
G : 간격 H : 높이 차이
W1, W2 : 폭

Claims (16)

  1. 제1 방향으로 신장 배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신장 배치되는 합성목재판;
    상기 합성목재판의 제1 결합홈에 결합되는 판상의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 상기 제2 방향에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합성목재판의 제2 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판상의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브래킷; 및
    패드로 형성되어 상기 브래킷에 구비되는 완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결합홈에 접촉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부, 및
    상기 보강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접촉되어 고정부재로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이격되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대응하는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1 보강부의 양측에서 상기 제2 결합홈 각각에 대응하는 1쌍의 제2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완충부, 제2 완충부 및 제3 완충부를 포함하는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설정되는 폭을 동일 크기로 형성하는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홈과 상기 제2 결합홈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설정되는 폭을 동일 크기로 형성하는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결합홈의 일측에서 상기 제2 결합홈과 높이 차이를 형성하는 상기 합성목재판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폭보다 좁은 두께로 형성되는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보조 지지부에 구비되는 제4 완충부
    를 더 포함하는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 중 하나로 형성되는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9. 삭제
  10. 판상의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 높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평행한 판상의 제2 지지부; 및
    패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구비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높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보강부, 및
    상기 보강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평행한 제2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대응하는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1 보강부의 양측에서 상기 제1 보강부와 이격되는 1쌍의 제2 보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완충부, 제2 완충부 및 제3 완충부를 포함하는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용 브래킷.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높이 차이를 형성하는 보조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용 브래킷.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폭보다 좁은 두께로 형성되는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용 브래킷.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보조 지지부에 구비되는 제4 완충부
    를 더 포함하는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용 브래킷.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 중 하나로 형성되는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용 브래킷.
  16. 삭제
KR1020120026755A 2012-02-20 2012-03-15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KR101184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6559 WO2013137524A1 (ko) 2012-03-15 2012-08-17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983 2012-02-20
KR20120016983 2012-0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4676B1 true KR101184676B1 (ko) 2012-09-20

Family

ID=4711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755A KR101184676B1 (ko) 2012-02-20 2012-03-15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67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242B1 (ko) * 2015-03-31 2017-06-05 (주) 나무들 날개형 고정 클립과 목재 데크의 설치 구조
KR101774635B1 (ko) * 2015-03-16 2017-09-05 장석조 데크구조물 및 데크시공방법
KR101873632B1 (ko) * 2016-04-15 2018-07-02 태 희 조 데크 조립장치
KR101930059B1 (ko) * 2018-05-15 2019-03-14 우드밸리 주식회사 다기능 목재 데크
KR102349261B1 (ko) * 2021-04-12 2022-01-10 아이앤지산업(주)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376341B1 (ko) * 2021-08-27 2022-03-18 주식회사 임성 데크고정클립
KR102465315B1 (ko) * 2022-08-17 2022-11-11 에스와이우드(주) 데크 고정용 클립을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19714B1 (ko) * 2022-08-16 2023-04-11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정전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합성목재를 이용한 구조물
KR20240011428A (ko) * 2022-07-19 2024-01-26 주식회사 리스아이피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250B1 (ko) * 2005-06-15 2007-04-06 피티엘중공업 주식회사 이중 바닥재의 지지대 및 그의 제조 방법과 그 지지대의사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250B1 (ko) * 2005-06-15 2007-04-06 피티엘중공업 주식회사 이중 바닥재의 지지대 및 그의 제조 방법과 그 지지대의사용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635B1 (ko) * 2015-03-16 2017-09-05 장석조 데크구조물 및 데크시공방법
KR101743242B1 (ko) * 2015-03-31 2017-06-05 (주) 나무들 날개형 고정 클립과 목재 데크의 설치 구조
KR101873632B1 (ko) * 2016-04-15 2018-07-02 태 희 조 데크 조립장치
KR101930059B1 (ko) * 2018-05-15 2019-03-14 우드밸리 주식회사 다기능 목재 데크
KR102349261B1 (ko) * 2021-04-12 2022-01-10 아이앤지산업(주)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376341B1 (ko) * 2021-08-27 2022-03-18 주식회사 임성 데크고정클립
KR20240011428A (ko) * 2022-07-19 2024-01-26 주식회사 리스아이피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2655194B1 (ko) * 2022-07-19 2024-04-11 주식회사 리스아이피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2519714B1 (ko) * 2022-08-16 2023-04-11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정전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합성목재를 이용한 구조물
KR102465315B1 (ko) * 2022-08-17 2022-11-11 에스와이우드(주) 데크 고정용 클립을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676B1 (ko)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KR101095959B1 (ko) 교량용 면진 신축이음장치
KR101579726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JP4415381B2 (ja) 弾性フロアのためのフロアボードとフロアカバリング
KR101829422B1 (ko) 데크바닥 결합구조
US20180313097A1 (en) Modular Sprung Floor
KR101212841B1 (ko) S자형 슬릿이 형성된 강재 댐퍼
KR101177502B1 (ko)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JP6118194B2 (ja) 防音床構造
RU2321517C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корпус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з полимерного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20120020891A (ko) 건축용 마감재
KR101585769B1 (ko) 모듈러 구조물
KR20130096196A (ko)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JP2006257688A (ja) 制振形のボルト接合構造
KR20200065414A (ko) 접합 댐퍼구조물 및,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물
KR20170043248A (ko) 복층건물의 바닥충격음 완충재
KR101209367B1 (ko) 철골 모멘트 골조 내진보강용 가새의 좌굴방지 후보강구조
KR20130095689A (ko)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KR102120382B1 (ko) 시공이 간편한 합성목재 데크 시스템
KR200380425Y1 (ko) 건축용 보강금구
KR101337645B1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WO2013137524A1 (ko)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KR101364687B1 (ko) 복합형 스터드
JP2018532917A5 (ko)
JP4167627B2 (ja) 建築物又は建造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