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422B1 - 데크바닥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데크바닥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422B1
KR101829422B1 KR1020170114604A KR20170114604A KR101829422B1 KR 101829422 B1 KR101829422 B1 KR 101829422B1 KR 1020170114604 A KR1020170114604 A KR 1020170114604A KR 20170114604 A KR20170114604 A KR 20170114604A KR 101829422 B1 KR101829422 B1 KR 101829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longitudinal direction
deck
cross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렬
Original Assignee
에스와이우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와이우드(주) filed Critical 에스와이우드(주)
Priority to KR1020170114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바닥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선부(100)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장선부(100)의 상부면에는 목재 단위데크(200)가 피스부재(30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결착되는 데크바닥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장선부(100)는 속이 비워진 ㅁ자 형상의 제1 단면(110)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단면의 내부에는 삼각 형상의 제2 단면(120)이 끼워지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 단면(120)은 상기 제1 단면(110)에 있어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양측 모서리에 끼워지는 경사 부재(121)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단면(110)은 금속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단면(120)은 비금속재로 구성됨으로써, 목재 단위데크가 견고히 설치되면서도, 고정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신축 및 팽창을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으며, 시공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데크바닥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데크바닥 결합구조{DECK-FLOOR CONSTRU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목재용 데크바닥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용 데크바닥과 이를 지지하는 장선 등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 호수, 산 등과 같은 사람들의 원활한 보행을 요하는 산책로나 등산로에는 주변의 자연경관에 맞추어 자연친화적인 미려한 환경을 조성하거나 보행자의 보행이 어려운 지형에서 보행자의 안전 및 편의를 도모하고자 보행자에게 최적의 보행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수단으로 다양한 데크바닥 구조를 시공하여 사용되고 있다.
최근, 주변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자연친화적 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주택, 펜션과 같은 건축물 등에도 적용하여 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데크바닥의 기본적 결합구조를 살펴보면(도 1 참조), 먼저 지형에 따라 지면에 전반적인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받침역할을 하는 장선부(10)와, 상기 장선부(10)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결착되고 보행가능한 바닥면을 이루는 목재 단위데크(20) 및 이를 장선부(10)에 결속시키는 피스부재(30)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 같은 기본적 결합구조를 지닌 종래의 데크바닥는 목재 단위데크를 단순히 각관 형상으로 구성된 금속재 장선부에 피스부재를 통하여 단일 관통되도록 결속시킴으로써, 시간이 흐를수록 보행자의 반복 하중이 누적되어 피스부재 등의 유동이 발생하고, 나아가 피스부재의 이탈 또는 결속부위의 파손 및 손상을 야기시켜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데크바닥은 단위데크 및 피스부재의 결속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클립부재 등을 부가함으로써 시공작업이 복잡해지고, 시공기간 및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장선부에 목재 단위데크를 고정시킴에 있어 피스부재의 다중 관통이 이루어져 유동을 방지하고 목재 단위데크가 견고히 설치되면서도, 고정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기후적 변화 등에 따른 목재 단위데크의 신축 및 팽창을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는 데크바닥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선부의 제작과정을 단순화하여 시공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데크바닥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데크바닥 결합구조로, 장선부(100)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장선부(100)의 상부면에는 목재 단위데크(200)가 피스부재(30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결착되는 데크바닥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장선부(100)는 속이 비워진 ㅁ자 형상의 제1 단면(110)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단면의 내부에는 삼각 형상의 제2 단면(120)이 끼워지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 단면(120)은 상기 제1 단면(110)에 있어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양측 모서리에 끼워지는 경사 부재(121)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단면(110)은 금속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단면(120)은 비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단면(120)에는 상기 경사 부재(121)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단면(110)의 상부면과 평행하며, 상기 경사 부재(121)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단면(1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어느 한 면만을 가압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수평 부재(122)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부재(122)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비되되, 상하 등간격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데크(200)를 지지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완충부재(400)가 상기 장선부(100)와 단위데크(200)의 사이에 면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단면(110)의 내부에는 상기 제2 단면(120)을 제외한 나머지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된 EPS 블록(130)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데크바닥 결합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장선부에 목재 단위데크를 고정시킴에 있어 피스부재의 다중 관통이 이루어져 유동을 방지하고 목재 단위데크가 견고히 설치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장선부의 폭방향 결속위치 및 피스부재의 크기에 따라 고정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목재 단위데크의 외부적 요인에 따른 신축 및 팽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장선부를 이루는 제2 단면이 제1 단면에 안정적이고 쉽게 삽입되는 구조이어서 제작용이성이 확보되어 시공기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장선부의 나머지 공간에는 EPS 블록이 삽입됨으로써 단열로 인한 결로를 방지하고 강한 외부충격에 따른 피스부재의 이탈에 대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완충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보행자의 반복하중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켜 안정적인 보행감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데크바닥 결합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데크바닥 결합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데크바닥 결합구조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인 데크바닥 결합구조의 장선부의 폭방향 결속위치에 따른 종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인 데크바닥 결합구조의 단위데크 길이방향에 따른 장선부의 결속태양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데크바닥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데크바닥 결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인 데크바닥 결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선부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데크바닥 결합구조 및 기초부의 일 실시예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인 데크바닥 결합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데크바닥 결합구조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크바닥 결합구조는, 장선부(100)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장선부(100)의 상부면에는 목재 단위데크(200)가 피스부재(30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결착되는 데크바닥 결합구조를 기초로 하면서, 상기 장선부(100)는 속이 비워진 ㅁ자 형상의 제1 단면(110)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단면(110)의 내부에는 삼각 형상의 제2 단면(120)이 끼워지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 단면(120)은 상기 제1 단면(110)에 있어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양측 모서리에 끼워지는 경사 부재(121)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단면(110)의 상부면(110a)에는 단위데크(200)가 안착되고, 상기 제1 단면(110)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단면(1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의 제2 단면(120)이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 구조에 의하여, 상기 단위데크(200) 위에서 결착되는 피스부재(300)는 상기 단위데크(200)를 시작으로 상기 제1 단면(110)의 상부면(110a)을 관통하여 제2 단면(120)을 다중 관통하게 되는 결합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장선부(100) 내부에서 목재 단위데크(200) 및 피스부재(300)가 견고하게 설치되는 결합구조를 단순하고 작업소요가 적은 장선부(100) 제작 과정을 통하여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단면(110)은 금속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단면(120)은 비금속재로 구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단면(120)은 피스부재(300)가 고정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1 단면(11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일정한 탄성 또는 물성을 지닌 재질로 구성되도록 목재 단위데크(200)와 같은 재질의 합성목재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부식성이 개선된 합성수지재로서 PE(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단면(120)에는 상기 경사 부재(121)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단면(110)의 상부면과 평행하며, 상기 경사 부재(121)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단면(1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어느 한 면만을 가압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수평 부재(122)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경사 부재(121) 및 수평 부재(122)로 구성된 제2 단면(120)을 관통하는 피스부재(300)에 의한 다중 결속이 이루어져 보행자의 반복 하중에 의한 유동 또는 충격을 방지하고, 나아가 장기간 누적에 따른 피스부재(300)의 이탈 또는 결속부위의 파손을 방지하여 안전한 보행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 부재(122)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비되되, 상하 등간격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 부재(122)는 4개로 구성되되(122a, 122b, 122c, 122d), 경사 부재(121)의 좌측면(110b)을 가압하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평 부재(122)들은 상하 간격이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최상단 수평 부재(122a)는 상기 제1 단면(110)의 상부면(110a)과 맞대어져 상기 상부면(110a)도 가압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스부재(300)는 상기 장선부(100)의 폭방향 결속위치에 따라 상기 피스부재(300)의 고정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라 4개의 수평 부재(122)가 상하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2 단면(120)의 경우, 제1 결속위치 내지 제3 결속위치(A1, A2, A3)에 따른 피스부재(300)의 고정력은 다중 관통되는 수평 부재(122)의 개수 및 경사 부재(121)의 관통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인 데크바닥 결합구조의 장선부(100)의 폭방향 결속위치(A)에 따른 종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면, 4개의 수평 부재(122)가 상하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2 단면(120)을 구성하면서, 상기 피스부재(300)의 크기가 제1 결속위치(A1)에 결속된 경우 3개의 수평 부재(122a, 122b, 122c)를 다중 관통할 수 있는 길이를 지닌 실시예로서, 도 4의 (b)와 같이, 상기 피스부재(300)가 제2 결속위치(A2)에 결속되는 경우 2개의 수평 부재(122a, 122b) 및 경사 부재(121)를 관통하도록 하여 그 고정력을 다소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기후적 변화 등에 따른 상기 목재 단위데크(200)의 신축 및 팽창을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목재 단위데크(200)를 장선부(100)에 결속시킴에 있어 다중 관통에 의한 충분한 고정력을 얻으면서도, 일부 지점은 그 고정력을 허용 범위 내에서 다소 완화시켜 목재 단위데크(2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신축 및 팽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의 (c)를 참조하면, 4개의 수평 부재(122)가 상하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2 단면(120)을 구성하면서, 상기 피스부재(300)의 크기가 제1 결속위치(A1)에 결속된 경우 2개의 수평 부재(122a, 122b)만을 다중 관통할 수 있는 길이를 지닌 실시예로서, 이처럼 피스부재(300)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이에 따른 고정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피스부재(300)의 크기 및 종류에 따른 호환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인 데크바닥 결합구조의 단위데크 길이방향에 따른 장선부(100)의 결속태양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단위데크(200)의 길이방향의 중심부가 안착되는 장선부(100b)에는 강한 고정력을 부여하기 위한 결속위치에 피스부재(300b)를 결속시키고, 단위데크(200)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안착되는 장선부(100a, 100c)에는 다소 완화된 고정력을 부여하기 위한 결속위치에 피스부재(300a, 300c)를 결속시킴으로써(도 5의 (a) 참조), 단위데크(200)의 길이방향 중심부는 반복 하중에 따른 흔들림을 완전히 차단하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신축에 따른 유연성을 부여하여 파손 및 손상을 장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단위데크(20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가 안착되는 장선부(100c)에는 강한 고정력을 부여하기 위한 결속위치에 피스부재(300c)를 결속시키고, 단위데크(200)의 길이방향 중심부가 안착되는 장선부(100b)에는 다소 완화된 고정력을 부여하기 위한 결속위치에 피스부재(300b)를 결속시키며, 단위데크(20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가 안착되는 장선부(100a)에는 보다 완화된 고정력을 부여하기 위한 결속위치에 피스부재(300a)를 결속시킴으로써(도 5의 (b) 참조), 필요에 따라 신축 흡수를 위한 부분을 단위데크(200)의 일단부에만 부여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는 본 발명인 데크바닥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장선부(100)와 단위데크(200)의 사이에는 추가적으로 상기 단위데크(200)를 지지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완충부재(400)가 면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400)는 소음 흡수의 우수성을 지닌 우레탄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완충부재가 상기 장선부(100)의 상부면에 추가 구비됨으로써, 보행자의 반복하중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켜 안정적인 보행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인 데크바닥 결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고, 도 8의 (a) 및 (b)는 장선부(100)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분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단면(110)의 내부에는 상기 제2 단면(120)을 제외한 나머지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된 EPS 블록(130)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PS 블록(130)은 PS(Poly-Styrol)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장선부(100)의 나머지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단열로 인한 결로를 방지하고 강한 외부충격에 따른 피스부재(300)의 이탈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성질의 합성수지재이면 족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EPS 블록(130)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선부(100)를 이루는 제2 단면(120)의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개수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단면(120)이 최상단 수평 부재(122a)와 일체로 연결된 경사 부재(121)로 구성된 경우, 나머지 단면은 이분되어 제1 EPS 블록(130a) 및 제2 EPS 블록(130b)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다른 실시예로, 제2 단면(120)이 최상단 수평 부재(122a)를 포함한 2개의 수평 부재(122)와 일체로 연결된 경사 부재(121)로 구성된 경우, 나머지 단면은 삼분되어 제1 EPS 블록 내지 제3 EPS 블록(131a, 131b, 131c)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8의 (a) 참조).
또 다른 실시예로, 제2 단면(120)이 4개의 수평 부재(122)와 일체로 연결된 경사 부재(121)로 구성된 경우, 나머지 단면은 오분되어 제1 EPS 블록 내지 제5 EPS 블록(132a, 132b, 132c, 132d, 132e)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8의 (b) 참조).
이처럼, 상기 EPS 블록(130)은 제1 단면(110) 내부에서 제2 단면(120)과 같이 끼워짐으로써, 제1 단면(110) 및 제2 단면(120)을 다중 관통하는 피스부재(300)가 동시에 상기 EPS 블록(130)도 관통하게 되어 더욱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면서도, 내부 공간의 결로 발생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인 데크바닥 결합구조 및 기초부(500)의 일 실시예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데크바닥 결합구조는 이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부(500)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초부(500)는 장선부(100)를 고정하여 수평으로 받쳐주는 고정빔(510)과, 직립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빔(510)과 지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초(530) 사이를 고정하는 지주(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데크바닥 결합구조는 다양한 지형에 적응하면서 변경될 수 있는 상기 기초부(500)에 지지되어 브릿지(Bridge) 등과 같은 형태로 구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인 데크바닥 결합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장선부에 목재 단위데크를 고정시킴에 있어 피스부재의 다중 관통이 이루어져 유동을 방지하고 목재 단위데크가 견고히 설치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장선부의 폭방향 결속위치 및 피스부재의 크기에 따라 고정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목재 단위데크의 외부적 요인에 따른 신축 및 팽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선부를 이루는 제2 단면이 제1 단면에 안정적이고 쉽게 삽입되는 구조이어서 제작용이성이 확보되어 시공기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데크바닥 결합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 100 : 장선부 110 : 제1 단면
120 : 제2 단면 121 : 경사 부재
122 : 수평 부재 130 : EPS 블록
20, 200 : 단위데크 30, 300 : 피스부재
400 : 완충부재 500 : 기초부

Claims (5)

  1. 장선부(100)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장선부(100)의 상부면에는 목재 단위데크(200)가 피스부재(30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결착되는 데크바닥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장선부(100)는 속이 비워진 ㅁ자 형상의 제1 단면(110)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단면의 내부에는 삼각 형상의 제2 단면(120)이 끼워지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 단면(120)은 상기 제1 단면(110)에 있어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양측 모서리에 끼워지는 경사 부재(121)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단면(110)은 금속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단면(120)은 비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바닥 결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데크(200)를 지지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완충부재(400)가 상기 장선부(100)와 단위데크(200)의 사이에 면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바닥 결합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면(110)의 내부에는 상기 제2 단면(120)을 제외한 나머지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된 EPS 블록(130)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바닥 결합구조.
KR1020170114604A 2017-09-07 2017-09-07 데크바닥 결합구조 KR101829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604A KR101829422B1 (ko) 2017-09-07 2017-09-07 데크바닥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604A KR101829422B1 (ko) 2017-09-07 2017-09-07 데크바닥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422B1 true KR101829422B1 (ko) 2018-02-20

Family

ID=61394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604A KR101829422B1 (ko) 2017-09-07 2017-09-07 데크바닥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4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096B1 (ko) * 2021-01-19 2021-05-04 주식회사 에스비데크 데크 바닥 구조를 구비한 데크 구조물
KR102249297B1 (ko) * 2020-11-24 2021-05-07 주식회사 에스에스팀버 데크 시스템
KR102249302B1 (ko) * 2020-11-24 2021-05-07 주식회사 에스에스팀버 데크 시스템
KR102322993B1 (ko) * 2021-06-15 2021-11-09 (주)제이엠멀티 부식 방지용 체결 구조를 가진 데크로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869Y1 (ko) 1999-08-03 2000-02-15 기승철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
KR101648424B1 (ko) 2015-07-17 2016-08-16 (주)지케이우드 데크로드 시스템 및 시공 방법
KR101730120B1 (ko) 2016-05-31 2017-04-27 주식회사 제이엠멀티 부분 충진 각관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869Y1 (ko) 1999-08-03 2000-02-15 기승철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
KR101648424B1 (ko) 2015-07-17 2016-08-16 (주)지케이우드 데크로드 시스템 및 시공 방법
KR101730120B1 (ko) 2016-05-31 2017-04-27 주식회사 제이엠멀티 부분 충진 각관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297B1 (ko) * 2020-11-24 2021-05-07 주식회사 에스에스팀버 데크 시스템
KR102249302B1 (ko) * 2020-11-24 2021-05-07 주식회사 에스에스팀버 데크 시스템
KR102248096B1 (ko) * 2021-01-19 2021-05-04 주식회사 에스비데크 데크 바닥 구조를 구비한 데크 구조물
KR102322993B1 (ko) * 2021-06-15 2021-11-09 (주)제이엠멀티 부식 방지용 체결 구조를 가진 데크로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422B1 (ko) 데크바닥 결합구조
US9290889B2 (en) Deck fastening device
KR101702348B1 (ko)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KR101203978B1 (ko) 교량의 상부 구조물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KR101492132B1 (ko) 목재 바닥 데크의 완충구조
US9016016B2 (en) Insulated perimeter roof curb
KR101683196B1 (ko)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KR101704701B1 (ko) 지진 대비 방진 및 완충 기능을 갖는 무용접 목재 데크
KR101747104B1 (ko) 장스팬 층고절감형 u형 합성보 및 그 시공방법
KR101867933B1 (ko) 고무패드 샌드위치 일체형 탄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05851B1 (ko) 데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KR101385630B1 (ko)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
US9074369B1 (en) Metal reinforced concrete beam and metal reinforced buildings incorporating such beams
KR20150134852A (ko) 목재 데크 구조물
KR101537762B1 (ko) 복합소재 인발 패널 및 그것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663825B1 (ko) 자석을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KR101635523B1 (ko) 복합 원형 트러스교
KR20230022208A (ko) 공학적 목구조 시스템
KR102120382B1 (ko) 시공이 간편한 합성목재 데크 시스템
KR102059542B1 (ko) 시공이 용이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시공방법
KR102655192B1 (ko)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0466413B1 (ko) 교량연결구조
KR101027751B1 (ko) 강관 거더
KR102590835B1 (ko) 데크재의 변형방지와 고정력 향상을 위한 데크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