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348B1 -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 Google Patents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348B1
KR101702348B1 KR1020160099206A KR20160099206A KR101702348B1 KR 101702348 B1 KR101702348 B1 KR 101702348B1 KR 1020160099206 A KR1020160099206 A KR 1020160099206A KR 20160099206 A KR20160099206 A KR 20160099206A KR 101702348 B1 KR101702348 B1 KR 101702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filling unit
piece member
unit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렬
Original Assignee
에스와이우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와이우드(주) filed Critical 에스와이우드(주)
Priority to KR1020160099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재 장선(100)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금속재 장선(100)의 상부에는 목재데크(200)가 길이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결착되는 것으로, 상기 금속재 장선(100)의 일측에는 단면이 ㄷ자형인 제1 요입부(11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요입부(110)에는 충진유닛(300)이 길이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되, 상기 충진유닛(300)의 몸체부(310)는 피스부재(250)가 결속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목재데크(20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피스부재(250)가 상기 충진유닛(300)을 연달아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충진유닛(300)의 몸체부(310) 상부면 일측에는 데크간격유지부(400)가 형성되되, 상기 데크간격유지부(400)는 데크끼움부(410)의 일측 하부로 간격유지부(420)가 형성되어 금속재 장선에 피스부재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목재데크를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목재데크를 피스부재에 의해 더욱 밀착시켜 이동 하중에 따른 소음 흡수가 우수해지며, 동시에 목재데크의 간격 유지가 되면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업자가 시공할 수 있는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닥데크 구조시스템{STRUCTURAL SYSTEM FOR FLOOR DECK}
이 발명은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재 장선에 피스부재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목재데크를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 호수, 산 등과 같은 사람들의 원활한 보행을 요하는 산책로나 등산로에는 주변의 자연경관에 맞추어 자연친화적인 미려한 환경을 조성하거나 보행자의 보행이 어려운 지형에서 보행자의 안전 및 편의를 도모하고자 보행자에게 최적의 보행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수단으로 다양한 바닥데크 구조를 시공하여 사용되고 있다.
최근, 주변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자연친화적 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주택, 펜션과 같은 건축물 등에도 적용하여 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의 기본적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지형에 따라 지면에 전반적인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빔과, 상기 고정빔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받침역할을 하는 장선과, 상기 장선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결착되고 보행가능한 바닥면을 이루는 목재데크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은 목재데크를 단순히 ㅁ자형 각관으로 구성된 장선에 결속하게 되어 피스부재의 체결력에 한계가 있어 시간이 흐를수록 이동 하중에 의한 충격으로 결속 부위의 파손 및 손상을 야기시키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현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은 목재데크의 간격이 유지되면서 결착되도록 별도의 간격재 또는 클립부재를 부가함으로써, 시공작업이 복잡해지고 시공기간이 길어지며 자재비용이 증가하여 시공단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금속재 장선에 피스부재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목재데크를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이동 하중에 따른 소음 흡수가 우수해지며, 동시에 목재데크의 간격 유지가 되면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업자가 시공할 수 있는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인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은 금속재 장선(100)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금속재 장선(100)의 상부에는 목재데크(200)가 길이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결착되는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금속재 장선(100)의 일측에는 단면이 ㄷ자형인 제1 요입부(11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요입부(110)에는 충진유닛(300)이 길이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되, 상기 충진유닛(300)의 몸체부(310)는 피스부재(250)가 결속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목재데크(20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피스부재(250)가 상기 금속재 장선(100)의 수평면을 세 차례 관통하면서도, 제1 요입부(11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된 충진유닛(300)을 연달아 관통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충진유닛(300)의 몸체부(310) 길이방향 일측에는 요입부 형상의 연결홈부(32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연결홈부(320)에 대응되는 돌출부 형상의 연결돌부(330)가 구비되며, 상기 충진유닛(300)의 몸체부(310) 상부면 일측에는 데크간격유지부(400)가 일 유닛으로 일체화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데크간격유지부(400)는 데크끼움부(410)의 일측 하부로 간격유지부(420)가 일체화되게 형성되되, 상기 간격유지부(420)가 상기 금속재 장선(100)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부(310)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향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부(420)와 데크끼움부(410)는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재데크(200)를 지지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완충부재(500)가 상기 금속재 장선(100)과 목재데크(200)의 사이에 면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크간격유지부(400)의 데크끼움부(410)의 양측 단부는 상기 목재데크(200)의 측면에 형성된 데크홈부(220)에 억지끼워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진유닛(300)의 몸체부(310) 상부면 일측에는 데크간격유지부(400)가 두 개 이상 형성되되, 데크간격유지부(400) 간의 간격은 목재데크(20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데크간격유지부(400)의 데크끼움부(410)는 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재 장선(100)은, 상기 제1 요입부(110)가 형성된 금속재 장선(100)의 동일한 측면에 단면이 ㄷ자형인 제2 요입부(12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 요입부(120)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충진재가 삽입 결합되어 상기 피스부재(250)가 수직으로 연달아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금속재 장선에 피스부재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목재데크를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이동 하중에 따른 결속 부위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목재데크를 피스부재에 의해 더욱 밀착시켜 이동 하중에 따른 소음 흡수가 우수해지는 이점이 있다.
동시에, 목재데크의 간격 유지가 되면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업자가 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간격유지용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어 시공에 있어 비용과 시간을 단축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결합된 목재데크의 열 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을 최소화하여 시간이 지나도 품질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이 발명인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인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인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인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의 일 구성인 충진유닛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이 발명인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의 일 구성인 충진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이 발명인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의 일 구성인 충진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이 발명인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의 일 구성인 충진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이 발명인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이 발명인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폭방향 단면도이다.
이 발명에 따른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인 바닥데크 구조시스템(A)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모습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이 발명인 바닥데크 구조시스템(A)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및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 발명인 바닥데크 구조시스템(A)은 금속재 장선(100)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금속재 장선(100)의 상부에는 목재데크(200)가 길이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결착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금속재 장선(100)의 일측에는 단면이 ㄷ자형인 제1 요입부(11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요입부(110)에는 충진유닛(300)이 길이방향으로 삽입 결합된다.
또한, 상기 충진유닛(300)의 몸체부(310)는 피스부재(250)가 결속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목재데크(20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피스부재(250)가 상기 충진유닛(300)을 연달아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금속재 장선(100)은 철제 각관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도 3을 참조하면, 단면이 ㄷ자형인 제1 요입부(110)가 일측에 형성되게 가공되어 상하로 관통하는 피스부재(250)에 의해 수평면이 3번 관통되도록 체결되면서도, 제1 요입부(11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된 충진유닛(300)이 관통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금속재 장선(100)에 피스부재(250)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목재데크를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이동 하중에 따른 결속 부위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충진유닛(300)에 피스부재(250)가 관통됨으로써, 목재데크(200)를 피스부재(250)에 의해 더욱 밀착시켜 이동 하중에 따른 소음 흡수가 우수해지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충진유닛(300)의 몸체부(310) 상부면 일측에는 데크간격유지부(400)가 형성되되, 상기 데크간격유지부(400)는 데크끼움부(410)의 일측 하부로 간격유지부(42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목재데크(200)의 간격 유지가 되면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업자가 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간격유지용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어 시공에 있어 비용과 시간을 단축시키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충진유닛(300)은 데크간격유지부(400)와 일체화되어 일 유닛으로 기제작됨으로써, 부재가 단순화되어 시공성 및 경제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진유닛(300)은 피스부재(250)가 고정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1 요입부(11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일정한 탄성 또는 물성을 지닌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충진유닛(300)은 목재데크(200)와 같은 재질의 합성목재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부식성이 개선된 합성수지재로서 PE(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데크간격유지부(400)의 데크끼움부(410)의 양측 단부는 상기 목재데크(200)의 측면에 형성된 데크홈부(220)에 억지끼워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결합된 목재데크의 열 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을 최소화하여 시간이 지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크간격유지부(400)는, 상기 간격유지부(420)가 상기 금속재 장선(100)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부(310)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향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부(420)와 데크끼움부(410)는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420)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목재데크(200)의 제1 데크돌출부(210)가 삽입되도록 헤드홈(421)이 형성되고, 상기 데크끼움부(410)에는 상기 목재데크(200)의 측면에 형성된 데크홈부(220)에 억지끼워지도록 헤드돌출편(4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재데크(200)의 상부면에는 피스부재(250)의 캡부(252)가 삽입되도록 결속홀(240)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부재(250)의 나사부(251)는 나선형 삽입날이 형성되어 금속재 장선(100)의 수평면이 3번 관통되게 된다.
이로써, 길이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결착되는 목재데크(200)들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면서도, 상기 목재데크(200)들이 금속재 장선(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이 발명인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의 일 구성인 충진유닛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이 발명인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의 일 구성인 충진유닛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데크끼움부(410)의 양측에 형성된 제1 헤드돌출편(411a) 및 제2 헤드돌출편(411b)에는 각 목재데크(200)의 데크홈부(220)가 억지끼워질 수 있으며, 인접한 하부에는 간격유지부(420)의 양측에 제1 헤드홈(421a) 및 제2 헤드홈(421b)이 형성되어 각 목재데크(200)의 제1 데크돌출부(210)가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5를 참조하면, 충진유닛(30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시공상 정확성을 증대시키도록 충진유닛(300)의 몸체부(310) 길이방향 일측에는 요입부 형상의 연결홈부(32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연결홈부(320)에 대응되는 돌출부 형상의 연결돌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끼움부(410)의 중앙부에는 열수축 방지홀(41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양 측에 결합된 목재데크(200)의 열 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충진유닛(300)에는 두 개 이상의 데크간격유지부(400)가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데크간격유지부(400) 간의 간격은 목재데크(20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각각 데크끼움부(410)의 일측 하부로 간격유지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목재데크(200)를 유닛화하여 시공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데크간격유지부(400)의 데크끼움부(410)는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진유닛(300)의 상부면 일측에는 데크간격유지부(400)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데크끼움부(410)가 수평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로 간격유지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데크간격유지부(400)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를 줄이면서도 구조를 더욱 단순화하여 시공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이 발명인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의 폭방향 단면도로서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목재데크(200)를 지지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완충부재(500)가 상기 금속재 장선(100)과 목재데크(200)의 사이에 면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목재데크(200)와 금속재 장선(100) 사이의 이동 하중에 의한 울림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목재데크(200)와 피스부재(250)의 견고한 고정력에 의한 소음 흡수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완충부재(500)는 소음 흡수의 우수성을 지닌 우레탄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500)에는 상하면에 각각 상기 목재데크(200) 및 상기 금속재 장선(100)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5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의 상하면에 접하는 상기 목재데크(200) 및 상기 금속재 장선(100)의 접촉면에는 각각 상기 완충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돌기부와 끼움결합되는 인입부(520)를 형성할 수 있어 상기 완충부재(500)의 타 부재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금속재 장선(100)은, 상기 제1 요입부(110)가 형성된 금속재 장선(100)의 동일한 측면에 단면이 ㄷ자형인 제2 요입부(12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 요입부(120)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충진재가 삽입 결합되어 상기 피스부재(250)가 수직으로 연달아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단면이 ㄷ자형인 제1 요입부(110) 및 제2 요입부(120)가 일측에 나란히 형성되게 가공되어 상하로 관통하는 피스부재(250)에 의해 수평면이 5번 관통되도록 체결되면서도, 제1 요입부(11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된 충진유닛(300)과 제2 요입부(120)에 삽입 결합된 충진재를 관통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이동 하중을 고려하여 더욱 강화된 금속재 장선(100)에 피스부재(250)의 결속력이 요구되는 경우, 목재데크를 상기 금속재 장선(100)에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 상기 금속재 장선(100)의 내공(130)에는 콘크리트재가 전부 또는 일부에 타설되어 금속재 장선(100)의 강성을 전체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이 발명에 의한 바닥데크 구조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이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금속재 장선 110 : 제1 요입부
120 : 제2 요입부 200 : 목재데크
220 : 데크홈부 250 : 피스부재
300 : 충진유닛 400 : 데크간격유지부
410 : 데크끼움부 420 : 간격유지부
500 : 완충부재

Claims (7)

  1. 금속재 장선(100)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금속재 장선(100)의 상부에는 목재데크(200)가 길이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결착되는 바닥데크 구조시스템(A)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 장선(100)의 일측에는 단면이 ㄷ자형인 제1 요입부(11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요입부(110)에는 충진유닛(300)이 길이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되,
    상기 충진유닛(300)의 몸체부(310)는 피스부재(250)가 결속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목재데크(20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피스부재(250)가 상기 금속재 장선(100)의 수평면을 세 차례 관통하면서도, 제1 요입부(11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된 충진유닛(300)을 연달아 관통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충진유닛(300)의 몸체부(310) 길이방향 일측에는 요입부 형상의 연결홈부(32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연결홈부(320)에 대응되는 돌출부 형상의 연결돌부(330)가 구비되며,
    상기 충진유닛(300)의 몸체부(310) 상부면 일측에는 데크간격유지부(400)가 일 유닛으로 일체화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데크간격유지부(400)는 데크끼움부(410)의 일측 하부로 간격유지부(420)가 일체화되게 형성되되, 상기 간격유지부(420)가 상기 금속재 장선(100)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부(310)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향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부(420)와 데크끼움부(410)는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데크(200)를 지지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완충부재(500)가 상기 금속재 장선(100)과 목재데크(200)의 사이에 면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간격유지부(400)의 데크끼움부(410)의 양측 단부는 상기 목재데크(200)의 측면에 형성된 데크홈부(220)에 억지끼워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유닛(300)의 몸체부(310) 상부면 일측에는 데크간격유지부(400)가 두 개 이상 형성되되, 데크간격유지부(400) 간의 간격은 목재데크(20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간격유지부(400)의 데크끼움부(410)는 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 장선(100)은,
    상기 제1 요입부(110)가 형성된 금속재 장선(100)의 동일한 측면에 단면이 ㄷ자형인 제2 요입부(12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 요입부(120)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충진재가 삽입 결합되어 상기 피스부재(250)가 수직으로 연달아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데크 구조 시스템.
KR1020160099206A 2016-08-04 2016-08-04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KR101702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206A KR101702348B1 (ko) 2016-08-04 2016-08-04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206A KR101702348B1 (ko) 2016-08-04 2016-08-04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348B1 true KR101702348B1 (ko) 2017-02-06

Family

ID=5810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206A KR101702348B1 (ko) 2016-08-04 2016-08-04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34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27742A1 (en) * 2018-02-14 2019-08-21 Kyeong Jun Lee Deck module including quick clip module
KR102038801B1 (ko) * 2019-06-21 2019-10-30 이경준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어셈블리
KR102086303B1 (ko) * 2019-11-07 2020-03-06 조광덕 체결력이 향상된 연결브라켓을 갖는 데크로드
KR102429083B1 (ko) * 2022-03-24 2022-08-03 조창제 높이조절이 가능한 바닥재용 멀티 지지대
KR102535528B1 (ko) * 2022-12-13 2023-05-26 주식회사 이지우드 T형 퀵 클립 모듈
KR102656295B1 (ko) * 2023-06-23 2024-04-08 김종창 데크패널 유동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데크유니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7289A (ko) * 2008-05-09 2009-11-12 (주)엘지하우시스 채널형 클립이 적용되는 테크 자재의 결합 시스템
JP2010242365A (ja) * 2009-04-06 2010-10-28 Matteii Japan:Kk 床材連結金具
KR20120118971A (ko) * 2011-04-20 2012-10-30 김경석 목재 바닥판 조립체
KR20120125919A (ko) * 2011-05-09 2012-11-19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목재데크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7289A (ko) * 2008-05-09 2009-11-12 (주)엘지하우시스 채널형 클립이 적용되는 테크 자재의 결합 시스템
JP2010242365A (ja) * 2009-04-06 2010-10-28 Matteii Japan:Kk 床材連結金具
KR20120118971A (ko) * 2011-04-20 2012-10-30 김경석 목재 바닥판 조립체
KR20120125919A (ko) * 2011-05-09 2012-11-19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목재데크의 결합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27742A1 (en) * 2018-02-14 2019-08-21 Kyeong Jun Lee Deck module including quick clip module
KR102038801B1 (ko) * 2019-06-21 2019-10-30 이경준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어셈블리
WO2020256239A1 (ko) * 2019-06-21 2020-12-24 이경준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어셈블리
JP2021001526A (ja) * 2019-06-21 2021-01-07 ジュン リー、キョン クイック・クリップ・モジュールを含むデッキ材アセンブリー
KR102086303B1 (ko) * 2019-11-07 2020-03-06 조광덕 체결력이 향상된 연결브라켓을 갖는 데크로드
KR102429083B1 (ko) * 2022-03-24 2022-08-03 조창제 높이조절이 가능한 바닥재용 멀티 지지대
KR102535528B1 (ko) * 2022-12-13 2023-05-26 주식회사 이지우드 T형 퀵 클립 모듈
KR102656295B1 (ko) * 2023-06-23 2024-04-08 김종창 데크패널 유동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데크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348B1 (ko)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KR101663806B1 (ko) 목재클립유닛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목재데크 구조.
US20130291471A1 (en) Wooden deck fastening device
KR101792440B1 (ko) 산책로용 목재 데크
KR101880490B1 (ko) 딥데크 슬래브용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KR101184676B1 (ko)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KR102086303B1 (ko) 체결력이 향상된 연결브라켓을 갖는 데크로드
KR101829422B1 (ko) 데크바닥 결합구조
KR101751184B1 (ko) 레일 데크
KR101794532B1 (ko) 목재 데크용 시공 부재
KR20120125919A (ko) 목재데크의 결합구조
JP4709592B2 (ja) まくら木の連結構造
KR101880492B1 (ko) 단부 h형강이 구성된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KR101385630B1 (ko)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
KR101338538B1 (ko) 바닥재 데크보드 구조물
KR101588325B1 (ko) 바닥데크용 결합구조
KR200466046Y1 (ko) 목재데크 연결고정구
KR101608627B1 (ko) 바닥 구조물
KR102218887B1 (ko) 알루미늄바를 이용한 데크의 조립구조
KR101772069B1 (ko) 데크 프레임 조립구조
KR101537762B1 (ko) 복합소재 인발 패널 및 그것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6421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101870676B1 (ko) 조립형 울타리
KR20220026192A (ko) 조립식 타일 데크로드 구조체
KR101635523B1 (ko) 복합 원형 트러스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