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801B1 -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801B1
KR102038801B1 KR1020190074313A KR20190074313A KR102038801B1 KR 102038801 B1 KR102038801 B1 KR 102038801B1 KR 1020190074313 A KR1020190074313 A KR 1020190074313A KR 20190074313 A KR20190074313 A KR 20190074313A KR 102038801 B1 KR102038801 B1 KR 102038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fixing
opening
deck material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준
Original Assignee
이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준 filed Critical 이경준
Priority to KR102019007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801B1/ko
Priority to JP2019129156A priority patent/JP2021001526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801B1/ko
Priority to CN201980033791.9A priority patent/CN112424424A/zh
Priority to PCT/KR2019/016405 priority patent/WO2020256239A1/ko
Priority to US17/056,008 priority patent/US2021026217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6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metal,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other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3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a continuous tongue or groov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1Strips or bars, e.g. nail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퀵 클립 모듈을 이용해 데크재 패널을 고정시켜 시공 및 하자보수가 용이한 데크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재 어셈블리은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에 클립 삽입홈이 함몰 형성된 데크재 패널과, 데크재 패널의 하부에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데크재 패널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어셈블리{DECK ASSEMBLY INCLUDING QUICK CLIP MODULE}
본 발명은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퀵 클립 모듈을 이용해 데크재 패널을 고정시켜 시공 및 하자보수가 용이한 데크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테라스, 산책로, 등산로 등의 바닥 시공에 데크재 어셈블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데크재 어셈블리는 지반에 하부 지지대를 배치하고, 그 위에 데크재 패널을 다수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데크재 어셈블리의 시공 방식은 못,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이용해 하부 지지대에 데크재 패널을 결합하는 직결 피스 시공 방식과, 하부 지지대에 복수의 클립을 결합하고, 클립 사이에 데크재 패널을 고정하는 클립 시공 방식으로 나눠질 수 있다.
그런데 직결 피스 시공 방식은 데크재 패널의 손상 시, 체결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보행자에게 부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클립 시공 방식은 체결구를 이용해 하부 지지대에 일정 간격마다 클립을 일일히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클립을 모듈화하여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특정 부분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데크재 어셈블리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70192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클립을 모듈화하여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특정 부분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데크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에 클립 삽입홈이 함몰 형성된 데크재 패널과, 데크재 패널의 하부에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데크재 패널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어셈블리에 있어서, 퀵 클립 모듈은 다단 형태의 복수의 개구부가 제1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각 개구부와 일대일 대응되게 연통되는 클립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와, 각 개구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면에 클립 관통홀과 연통되는 클립 삽입홈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클립 고정부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와, 클립 삽입홈 및 클립 관통홀에 배치되며, 일부는 외부로 돌출되는 클립부를 포함하고, 클립 관통홀은 상면, 하면 및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클립 삽입홈은 상면 및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클립 고정부는 클립 삽입홈의 내측면에 클립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클립 고정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데크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퀵 클립 모듈은 몸체의 상면에 클립 관통홀과 일대일 대응되게 형성되며, 하부 지지대에 걸림 가능한 ┓자 형태의 지지부와, 각 개구부마다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덮개부는 개구부에 삽입 가능하고, 탄성 재질로 형성된 판 형상의 메인부재와, 메인부재의 일단에 인접하도록 메인부재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와, 메인부재의 타단에 인접하도록 메인부재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는 상호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개구부에 메인부재가 삽입되는 경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는 개구부의 단턱에 걸리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덮개부는 메인부재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클립 관통홀을 관통하여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3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클립부는 일정한 폭을 갖는 금속판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자 형상의 본체와, 본체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형성되며 복수의 절곡구간 및 아치형태로 절곡된 곡선구간을 갖는 제1연장부재와, 본체의 타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형성되며 복수의 절곡구간 및 아치형태로 절곡된 곡선구간을 갖는 제2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제1연장부재와 제2연장부재는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부는 몸체의 상면에 한 쌍의 지지부 사이마다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재와, 돌출부재에 결합되는 탄성재질의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하고, 충격흡수부재는 돌출부재가 삽입 가능한 돌출부재 삽입홈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데크재 패널을 나사 등과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모듈화된 퀵 클립 모듈을 이용해 고정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시간이 짧다.
또한, 본 발명의 퀵 클립 모듈은 각 클립부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클립부에 하자가 발생한 경우, 해당 클립만을 교체하여 사용하면 됨으로 하자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클립부는 일정한 폭을 갖는 금속판이 절곡되어 형성됨으로,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데크재 패널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재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 클립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 클립 모듈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 클립 모듈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 클립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 클립 모듈과 데크재 패널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재 어셈블리(1)의 분해도이다.
데크재 어셈블리(1)는 산책로, 등산로, 테라스 등의 바닥 시공에 이용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데크재 패널(10), 하부 지지대(20) 및 퀵 클립 모듈(30)을 포함한다.
데크재 패널(10)은 퀵 클립 모듈(30)에 의해 고정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나무,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데크재 패널(1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된 직시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면에 퀵 클립 모듈(30)이 삽입 가능한 클립 삽입홈(11)이 제1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데크재 패널(10)은 상면에 보행 시 미끄러움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방향은 데크재 패널(10)이 연장되는 방향(y)이고, 후술할 제2방향은 하부 지지대(20)가 연장되는 방향(x)으로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이며, 후술할 제3방향은 돌출부재(313)가 돌출되는 방향(z)으로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수직한 방향이다.
하부 지지대(20)는 퀵 클립 모듈(3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제2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 지지대(20)는 데크재 패널(10)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퀵 클립 모듈(30)은 데크재 패널(10)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성요로소서, 하부 지지대(20)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퀵 클립 모듈(30)은 못, 너트 등과 같은 체결구(미도시)에 의해 하부 지지대(2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 클립 모듈(30)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 클립 모듈(30)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퀵 클립 모듈(30)은 하부 지지대(20)에 결합되는 베이스부(31) 및 데크재 패널(10)을 고정하는 복수의 클립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부(31)는 제2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311) 및 클립부(32)가 배치 가능한 클립 고정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311)는 복수의 개구부(3111)가 제1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각 개구부(3111)는 다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개구부(3111)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개구부(3111)가 다단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몸체(311)는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부(이하, 일측면 개구부)의 면적이 타측면에 형성된 개구부(이하, 타측면 개구부)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몸체(311)는 상면에 개구부(3111)와 연통되는 클립 관통홀(3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클립 관통홀(3112)은 각 개구부(3111)와 일대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면, 하면 및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311)는 일단 및 타단에 다른 퀵 클립 모듈(30)과의 레벨을 정렬(Align)하기 위한 레벨 조절단(3113)이 형성될 수 있다. 레벨 조절단(3113)은 다른 레벨 조절단과의 결합을 위한 요철이 형성될 수 있으며, 레벨 조절단(3113)의 요철의 볼록단과 오목단은 비대칭 형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방향으로 맞닿는 두 개의 퀵 클립 모듈(30)은 요철이 맞물릴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속하는 두 개의 퀵 클립 모듈(30)은 레벨 조절단(3113) 간의 상대적인 체결 위치에 따라 상호 간의 높이 레벨이 조절될 수 있다.
클립 고정부(312)는 일측면 개구부(3111)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일측면 개구부(3111)의 종단면적보다 작은 종단면적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클립 고정부(312)는 몸체(311)의 일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몸체(311)의 개구부(3111)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클립 고정부(312)에 의해 개구부(3111)가 구획될 수 있다.
클립 고정부(312)는 상면에 클립 관통홀(3112)과 연통되는 클립 삽입홈(3121)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클립 삽입홈(3121)은 상면 및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립 고정부(312)는 클립 삽입홈(3121)의 내측면에 클립부(32)로 삽입되는 육면체 형상의 클립 고정 돌기(31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클립 고정 돌기(3122)가 형성된 클립 삽입홈(3121)의 내측면은 클립 삽입홈(3121)의 개방된 일측면과 대향하는 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립 고정 돌기(3122)가 형성됨으로 인해, 클립 삽입홈(3121)에 삽입된 클립부(32)는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서만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클립 고정 돌기(3122)는 체결구가 삽입 가능한 제1체결구 삽입홀(312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클립 고정 돌기(3122)에 형성된 제1체결구 삽입홀(3123)로 체결구를 삽입하여 퀵 클립 모듈(30)과 하부 지지대(20)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클립 고정부(312)는 몸체(31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클립 삽입홈(3121)이 형성된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자 형상의 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클립부(32)는 베이스부(3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데크재 패널(10)을 고정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클립부(32)는 제1영역이 클립 관통홀(3112) 및 클립 삽입홈(312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영역을 제외한 제2영역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영역은 베이스부(31)와 결합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제2영역은 데크재 패널(10)을 고정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클립부(32)는 베이스부(31)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클립부(32)에 하자가 생긴 경우, 사용자는 퀵 클립 모듈(30) 전체를 교환할 필요없이 해당 클립부(32)만을 교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클립부(32)는 일정한 폭을 갖는 금속판이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는 “┗┛”자 형상의 본체(321), 본체(321)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연장부재(322) 및 본체(321)의 타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연장부재(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체(321)의 내측공간에는 클립 고정 돌기(3122)가 삽입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연장부재(322) 및 제2연장부재(323)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복수의 절곡구간 및 아치형태로 절곡된 곡선구간을 가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1연장부재(322)는 제1절곡구간(3221), 제2절곡구간(3222) 및 곡선구간(3223)이 본체(32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차례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연장부재(322)는 제1절곡구간(3221)에 의해 둔각 형태로 절곡될 수 있으며, 제2절곡구간(3222)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수직 절곡될 수 있고, 곡선구간(3223)에 의해 원호의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이때, 곡선구간(3223)은 데크재 패널(10)의 클립 삽입홈(1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원호는 반원 또는 1/4원의 원호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클립부(32)는 단순한 형상을 지니면서도 충분한 탄성력을 지닐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클립부(32)의 양측에 위치한 데크재 패널(10)의 클립 삽입홈(1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데크재 패널(10)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퀵 클립 모듈(30)은 몸체(311)의 상면에 클립 관통홀(3112)과 인접한 곳에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지지부(33)는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33)는 ┓자 형상으로 하부 지지대(20)에 걸쳐질 수 있으며, 클립 관통홀(3112)과 일대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33)의 끝단은 하부 지지대(20)을 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33)가 형성됨으로 인해, 본 발명의 사용자는 지지부(33)를 하부 지지대(20)에 걸침으로써, 퀵 클립 모듈(30)과 하부 지지대(20) 간의 수평을 편리하게 맞출 수 있다.
퀵 클립 모듈(30)은 몸체(311)의 각 개구부(3111)마다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덮개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덮개부(34)가 개구부(3111)에 결합 됨으로써, 클립 삽입홈(3121)의 개방된 일측면이 차단되어 클립부(32)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덮개부(34)의 형태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덮개부(34)는 메인부재(341), 제1고정부재(342) 및 제2고정부재(34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부재(341)는 탄성재질의 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클립 고정부(312)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3111)의 구획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메인부재(341)는 일측면 개구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일측면 개구부의 종단면적과 동일하거나 작은 종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메인부재(341)는 클립 고정 돌기(3122)의 제1체결구 삽입홀(3123)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구가 삽입 가능한 제2체결구 삽입홀(34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342)는 메인부재(341)의 일단에 인접하도록 메인부재(341)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고정부재(343)는 메인부재(341)의 타단에 인접하도록 메인부재(341)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부재(342) 및 제2고정부재(343)는 메인부재(341)보다 경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즉, 덮개부(34)가 개구부에 삽입되는 경우, 제1고정부재(342) 및 제2고정부재(343)는 개구부(3111)의 단턱에 걸릴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메인부재(341)의 일면은 개구부(3111)와 결합 시 외부로 드러나는 면에 대향하는 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고정부재(342)는 측면 모서리가 잘려나간 삼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모서리가 잘려나간 측이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고정부재(343)는 메인부재(341)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부재(341)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개구부(3111)에 덮개부(34)를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제2고정부재(343)를 개구부(3111)의 좌측 단턱에 거치시킨 후, 개구부(3111)로 삽입되도록 메인부재(341)를 가압해 제1고정부재(342)를 개구부(3111)의 우측 단턱에 거치함으로써, 개구부(3111)에 덮개부(34)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덮개부(34)는 메인부재(341)의 상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3고정부재(3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고정부재(344)는 메인부재(341)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클립 관통홀(3112)을 관통하여 몸체(31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개구부(3111)로부터 덮개부(34)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제3고정부재(344)를 파지하여 외측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으로 덮개부(34)를 개구부(311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메인부재(341)는 외측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중심부를 기준으로 벤딩(Bending)되어 제1고정부재(342)와 제2고정부재(343)가 상호 가까워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고정부재(342) 및 제2고정부재(343)는 단턱으로부터 거치가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부(31)는 돌출부재(313) 및 충격흡수부재(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재(313)는 충격흡수부재(314)를 고정하는 것으로, 몸체(311)의 상면에 한 쌍의 지지부(33) 사이마다 형성될 수 있으며, 제3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재(313)는 하면이 몸체에 결합된 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충격흡수부재(314)는 데크재 패널(10)의 하부에 위치하여, 데크재 패널(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 고무 및 수지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충격흡수부재(314)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부재(313)가 삽입 가능한 돌출부재 삽입홈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재(313)는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충격흡수부재(314)는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 및 함몰홈은 충격흡수부재(314)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는 본 발명의 데크재 어셈블리(1)를 이용해 바닥 시공을 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지면에 하부 지지대(20)를 위치 시킨 후, 하부 지지대(20)에 퀵 클립 모듈(30)을 결합하고, 퀵 클립 모듈(30)의 클립부(32)에 하나 이상의 데크재 패널(10)을 고정함으로써,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퀵 클립 모듈(30)은 베이스부(31)에 클립부(32)가 결합된 상태로 하부 지지대(20)에 결합되거나, 베이스부(31)가 먼저 하부 지지대(20)와 결합된 후, 클립부(32)가 베이스부(31)와 결합될 수 있다.
데크재 패널(10)의 결합 과정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도 8 참조),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클립 삽입홈(11)에 클립부(32)가 삽입되도록 데크재 패널(10)을 한 쌍의 클립부(32)사이에 비스듬하게 배치시킨 후, 클립부(32)가 삽입되지 않은 측의 데크재 패널(10)의 상면을 가압하여, 다른 하나의 클립 삽입홈에도 클립부(32)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클립부(32)는 클립 삽입홈(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해 데크재 패널(10)측으로 압력을 가하여 데크재 패널(10)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퀵 클립 모듈(30)을 통해 나사, 못 등의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데크재 패널(10)을 고정함으로써,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시공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한편, 도 8은 데크재 패널(10)이 비스듬히 삽입되어 결합되는 경우만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쌍의 클립부(32) 사이로 데크재 패널(10)이 슬라이딩 이동되며 끼워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데크재 어셈블리
10 : 데크재 패널
20 : 하부 지지대
30 : 퀵 클립 모듈

Claims (5)

  1.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에 클립 삽입홈이 함몰 형성된 데크재 패널과, 상기 데크재 패널의 하부에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데크재 패널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퀵 클립 모듈은,
    측면에 다단 형태의 복수의 개구부가 제1방향으로 관통되며, 상면에 상기 각 개구부와 일대일 대응되게 연통되는 클립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각 개구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클립 관통홀과 연통되는 클립 삽입홈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클립 고정부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와,
    상기 클립 삽입홈 및 상기 클립 관통홀에 배치되며, 일부는 외부로 돌출되는 클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 관통홀은, 상기 클립부의 삽입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측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클립 삽입홈은, 상기 클립 고정부의 상면과 상부측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클립 고정부는, 상기 클립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클립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클립 고정 돌기가 상기 클립 삽입홈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상면에 상기 클립 관통홀과 일대일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지지대에 걸림 가능한 ┓자 형태의 지지부와,
    상기 각 개구부마다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구부와 결합 시 상기 클립 삽입홈 및 상기 클립 관통홀의 일부를 덮어 상기 클립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 가능하고, 탄성 재질로 형성된 사각판 형상의 메인부재와,
    측면 모서리가 잘려나간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부재의 일단에 인접하도록 상기 메인부재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개구부의 일측 단턱에 걸리게 되는 제1고정부재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부재의 타단에 인접하도록 상기 메인부재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개구부의 타측 단턱에 걸리게 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는,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상호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메인부재보다 경질의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클립 고정부는, 상기 개구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가장 작은 종단면적보다 작은 종단면적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재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메인부재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클립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3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재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일정한 폭을 갖는 금속판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형성되며 복수의 절곡구간 및 아치형태로 절곡된 곡선구간을 갖는 제1연장부재와,
    상기 본체의 타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형성되며 복수의 절곡구간 및 아치형태로 절곡된 곡선구간을 갖는 제2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부재와 상기 제2연장부재는,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재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사이마다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에 결합되는 탄성재질의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돌출부재가 삽입 가능한 삽입홈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재 어셈블리.
KR1020190074313A 2019-06-21 2019-06-21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어셈블리 KR102038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313A KR102038801B1 (ko) 2019-06-21 2019-06-21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어셈블리
JP2019129156A JP2021001526A (ja) 2019-06-21 2019-07-11 クイック・クリップ・モジュールを含むデッキ材アセンブリー
CN201980033791.9A CN112424424A (zh) 2019-06-21 2019-11-26 包括快速夹模块的板材组件
PCT/KR2019/016405 WO2020256239A1 (ko) 2019-06-21 2019-11-26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어셈블리
US17/056,008 US20210262175A1 (en) 2019-06-21 2019-11-26 Deck assembly including quick clip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313A KR102038801B1 (ko) 2019-06-21 2019-06-21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801B1 true KR102038801B1 (ko) 2019-10-30

Family

ID=6846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313A KR102038801B1 (ko) 2019-06-21 2019-06-21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262175A1 (ko)
JP (1) JP2021001526A (ko)
KR (1) KR102038801B1 (ko)
CN (1) CN112424424A (ko)
WO (1) WO202025623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6239A1 (ko) * 2019-06-21 2020-12-24 이경준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어셈블리
KR102341117B1 (ko) * 2020-06-16 2021-12-21 주식회사 케이제이앤씨 설치 용이성을 갖는 데크재 어셈블리
KR102535528B1 (ko) * 2022-12-13 2023-05-26 주식회사 이지우드 T형 퀵 클립 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3505A (ja) * 2005-07-12 2007-02-01 Eidai Kako Kk 床構造体及びテラスデッキ並びに係合具付き根太
KR100970192B1 (ko) 2010-02-05 2010-07-14 (주)그린아트산업 목재데크용 연결클립
KR101702348B1 (ko) * 2016-08-04 2017-02-06 에스와이우드(주)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KR101914065B1 (ko) * 2018-02-14 2018-11-01 이경준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모듈
JP2019011575A (ja) * 2017-06-29 2019-01-24 ハンディテクノ株式会社 デッキ用端先材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0594A (en) * 1975-01-13 1977-01-04 Kirk Jr James D Building construction member
US6460306B1 (en) * 1999-11-08 2002-10-08 Premark Rwp Holdings, Inc. Interconnecting disengageable flooring system
GB2375131A (en) * 2001-04-24 2002-11-06 Anthony Crabbe Ground cover panel
JP2004169528A (ja) * 2002-11-20 2004-06-17 International Engineering & Management Kk 隠しビスによる表装材の締結方式
AT500734B1 (de) * 2004-02-27 2009-10-15 Neuhofer Franz Jun Vorrichtung zum überbrücken eines höhenunterschiedes zwischen zwei fussbodenflächen
WO2005090005A1 (en) * 2004-03-19 2005-09-29 Brian Orchard Device and method for fastening structural members
CN1724771A (zh) * 2004-07-19 2006-01-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衣服干燥机的电源连接部的结构
CN201125518Y (zh) * 2007-11-23 2008-10-01 明照航 多功能铝合金地板收口条
CN101872920B (zh) * 2009-04-27 2012-07-1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接口保护盖的固定结构
CN201506945U (zh) * 2009-09-18 2010-06-16 袁路 一种户外木地板固定卡
KR100993107B1 (ko) * 2010-02-17 2010-11-08 주식회사강산 개별 분리가능한 마루판
GB2479339B (en) * 2010-02-25 2015-12-23 Gary Hawes Fixing clip for use in timber deck construction
CN102031855B (zh) * 2010-12-16 2016-09-21 上海阑艺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饰面板连接结构
CN103673030A (zh) * 2012-09-19 2014-03-26 苏州佳士美塑胶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拼装地暖结构
CN103114703A (zh) * 2013-02-18 2013-05-22 张飞龙 一种包皮地板铺设方法
CN203050040U (zh) * 2013-02-18 2013-07-10 张飞龙 一种包皮地板
ES2914277T3 (es) * 2014-04-01 2022-06-08 Control Y Desarrollo Empresarial S L Revestimiento de superficies y grapa para dicho revestimiento
US9890543B2 (en) * 2014-05-05 2018-02-13 I Deck S.R.L. Surface coating structure adapted to be quickly installed and removed
CN104975673B (zh) * 2015-07-01 2017-12-15 佛山市好漂亮建材科技有限公司 应用于拆装式的转角吊顶的夹持器
CA2997626C (en) * 2015-08-24 2018-08-14 Valinge Innovation Ab A set comprising panels, a supporting structure and a fastening device
KR102038801B1 (ko) * 2019-06-21 2019-10-30 이경준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3505A (ja) * 2005-07-12 2007-02-01 Eidai Kako Kk 床構造体及びテラスデッキ並びに係合具付き根太
KR100970192B1 (ko) 2010-02-05 2010-07-14 (주)그린아트산업 목재데크용 연결클립
KR101702348B1 (ko) * 2016-08-04 2017-02-06 에스와이우드(주)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JP2019011575A (ja) * 2017-06-29 2019-01-24 ハンディテクノ株式会社 デッキ用端先材
KR101914065B1 (ko) * 2018-02-14 2018-11-01 이경준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6239A1 (ko) * 2019-06-21 2020-12-24 이경준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어셈블리
KR102341117B1 (ko) * 2020-06-16 2021-12-21 주식회사 케이제이앤씨 설치 용이성을 갖는 데크재 어셈블리
KR102535528B1 (ko) * 2022-12-13 2023-05-26 주식회사 이지우드 T형 퀵 클립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01526A (ja) 2021-01-07
CN112424424A (zh) 2021-02-26
US20210262175A1 (en) 2021-08-26
WO2020256239A1 (ko)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801B1 (ko)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어셈블리
RU2504625C2 (ru) Потолок со скрытой подвесной системой со снимаемыми вниз панелями
US11021868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RU2622415C2 (ru) Фиксатор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несущего прогона решетки с полоской, расположенной по периметру
KR102030900B1 (ko) 목재데크시스템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US20200399884A1 (en) Step clip fastening system and method
KR102093576B1 (ko)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US11965341B2 (en) Step clip fastening system and method
KR101863507B1 (ko) 칸막이의 중간프레임 간격조절 고정장치
KR200466046Y1 (ko) 목재데크 연결고정구
EP0570374A1 (en) Framework of partition walls
KR20200048077A (ko)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벽 패널 조립체
KR101663825B1 (ko) 자석을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KR100938993B1 (ko) 새주소용 건물 번호판 분리형 케이스
KR20150102246A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데크결합부재
KR20190012725A (ko) 배수구 설치용 그레이팅
KR100538280B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KR20120051207A (ko) 목재 데크 클립 및 이를 사용한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
KR102535528B1 (ko) T형 퀵 클립 모듈
KR200371856Y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KR20200105058A (ko)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
KR200290822Y1 (ko) 마루판 고정용 조립체
JP7367904B2 (ja) 間仕切り用のパネル装置
JPH05302390A (ja) 建築板材取り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