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058A -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 - Google Patents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058A
KR20200105058A KR1020190023657A KR20190023657A KR20200105058A KR 20200105058 A KR20200105058 A KR 20200105058A KR 1020190023657 A KR1020190023657 A KR 1020190023657A KR 20190023657 A KR20190023657 A KR 20190023657A KR 20200105058 A KR20200105058 A KR 20200105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clip bar
fixing
ba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0449B1 (ko
Inventor
민병옥
Original Assignee
민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옥 filed Critical 민병옥
Priority to KR1020190023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449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배수판을 고정하는 클립바를 벽면에 신속 간편하게 고정 설치하는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에 관한 것이다.
양측에 날개턱을 갖고 중앙부에 압박슬롯으로 구성된 클립바를 고정 결합하는 것에 있어서, 상판; 상기 상판의 양측에 구비된 측벽; 상기 클립바 폭으로 상기 상판의 양측에 돌출되고, 단부에 상기 클립바의 날개턱을 걸어 고정하는 걸림턱을 구비한 스냅편;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은 상판에 클립을 밀어 밀착시키면 양측 스냅편이 탄력적으로 벌어졌다 오므라들면서 클립바의 양측 날개턱을 걸어 스냅결합 되므로 작업이 매우 신속 간편하고, 공기단축 및 비용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MOUNTING CLIP FOR CLIP BAR}
본 발명은 벽체 배수판을 고정하는 클립바를 벽면에 신속 간편하게 고정 설치하는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 배수판은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은 건축물 벽면에 부착하여 이중 벽을 형성함으로써 결로 방지 및 결로수 유도 처리 기능과 다양한 컬러의 모자이크식 배열로 미려한 벽면을 연출하는 마감재 기능을 겸하는 일종의 건축자재이다.
벽체 배수판은 크게 타정 공구를 이용하여 베이스를 벽면에 직접 못을 박아 설치한 후 전면에 디자인 캡을 조립하는 벽면 밀착 시공타입과 경량 철물(스터드)을 벽면에 타정 없이 설치한 후 이에 베이스를 피스로 고정하고 디자인캡을 조립하는 공간시공 타입이 있다.
벽면 밀착 시공타입은 시공이 빠르고 시공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각 베이스마다 타정을 해야 하므로 타정에 의한 벽면 및 내벽 방수층 파괴 등의 벽면 손상을 감안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 경량 철물을 이용하는 공간시공 타입은 슬라브나 바닥에 런너를 타정 고정한 후 이에 스터드를 설치하여 이에 벽체 배수판을 설치하기 때문에 벽면 방수층에 손상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경량철물을 설치하는 작업이 어렵고, 설치된 경량철물에 벽체 배수판을 다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이 늘어나 작업이 더디고, 설치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요즘은 규모가 협소한 벽체 배수판 시장 상황에서 시공 업체 간의 경쟁이 심화하다 보니 원가를 낮추기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여 요즘은 상기 두 가지 시공 타입의 장단점을 절충하는 방법으로, 클립바를 벽면에 고정하고, 이 클립바에 벽체 배수판에 일체로 형성한 압입편을 압입 조립 고정하는 클립바 시공 타입으로 시공하기도 한다.
클립바 시공타입은 건축 자재로 널리 사용되는 일반 기성 클립바를 활용하거나, 특정 시공업체에서 특별히 제작한 클립바를 활용하는데, 시공은 경량 철골 타입과 같이 천장과 바닥에 런너를 타정 설치하고, 이에 클립바를 설치한 후 벽체 배수판의 압입편을 압입하여 조립 고정한다.
그런데 기성 클립바의 경우에는 클립 탄성력은 뛰어나 배수판의 압입편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단면 사이즈가 작아 설치시 흔들림이 많아 불안정하여 주로 벽면에 타정공구로 직접 타정하여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특정 시공 업체가 특별히 단면 사이즈를 확대하여 제작한 클립바는 설치시 흔들림을 잡아주는 안정성은 확보되나 벽체 배수판을 물고 있는 클립 탄성력이 떨어져 벽체 배수판 본체가 클립바로부터 이탈되는 치명적 하자 발생의 단점이 있다.
상기 두 가지 시공 타입의 장단점을 절충하는 시공 방법으로 클립 탄성력이 좋은 기성 클립바를 벽면에 직접 타정하여 벽체 배수판을 조립 고정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벽면에 못 타정 개소를 대폭 줄여 벽면과 방수층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벽면에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벽체 배수판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방법 또한 못 타정 면적이 매우 협소한 기성 클립바의 구조 때문에 숙련된 전문 시공 기술자만 시공할 수 있는 정도로 시공이 매우 난해한 단점이 있다.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97926호(2018.09.03)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벽체 배수판을 고정하는 클립바를 벽면 또는 프레임에 신속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은,
양측에 날개턱을 갖고 중앙부에 압박슬롯으로 구성된 클립바를 고정 결합하는 것에 있어서,
상판;
상기 상판의 양측에 구비된 측벽;
상기 클립바 폭으로 상기 상판의 양측에 돌출되고, 단부에 상기 클립바의 날개턱을 걸어 고정하는 걸림턱을 구비한 스냅편;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을 절개하여 상기 스냅편의 길이를 연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측 측벽이 삽입 수용되는 홈의 개구부 양단에 내향 단턱을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측벽의 전후부에 상기 프레임의 내향 단턱에 걸림 대응되는 이탈방지턱; 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에는, 결합된 클립바를 스냅편의 걸림턱 방향으로 밀어 취부력을 보강하는 탄지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의 전후부에는, 결합되는 상기 프레임의 내향 단턱 상단을 탄력지지하는 협지편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측 측벽의 하단에 지지발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벽면에 클립바를 고정하는 고정클립에 있어서,
상기 클립바가 밀착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양측에 돌출되고, 단부에 상기 클립바의 날개턱을 걸어 고정하는 걸림턱의 구비한 스냅편;을 구성하되,
상기 스냅편은 클립바가 삽입 가능한 대각거리로 상판에서 대각으로 각각 위치하고, 상기 각 스냅편의 걸림턱 단부에 클립바 날개턱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은 상판에 클립을 밀어 밀착시키면 양측 스냅편이 탄력적으로 벌어졌다 오므라들면서 클립바의 양측 날개턱을 걸어 스냅결합 되므로 작업이 매우 신속 간편하고, 공기단축 및 비용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클립은 탄지편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클립바가 스냅 결합된 후 흔들리거나 슬라이딩 없이 안정되게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의 전개도.
도 7a 내지 7f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의 시공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a, 8b,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의 전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100)은 독립적으로 벽면에 못을 타정하여 이에 클립바(300)를 스냅 결합하거나, 개구부에 내향 단턱(210)을 가진 'ㄷ' 모양의 단면을 가진 프레임(200)을 벽 구조물에 직접 타정 고정하거나, 벽구조물과 공간을 두고 간접적으로 고정 설치하여 이에 본 발명 고정클립(100)을 매개체로 클립바(300)를 고정 설치하는 용도이다.
이때, 상기 클립바(300)는 사각 판을 대략 3등분 하여 삼각형 형태로 접고 접힌 양측 꼭지부를 압착하여 날개턱(320)을 형성함과 동시에 모아진 양단은 탄력 접촉되도록 하고, 그 단부에 벽체 배수판의 압입편(410) 삽입을 안내하도록 벌어진 안내부(42)를 구비하여 된 압박 슬롯(310)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클립바(300)는 주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필요에 따라 횡방향으로의 설치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200)은 클립바(300)를 벽면에 간접적으로 고정 설치하기 위한 용도로, 그 형상은 'ㄷ' 모양의 단면을 이루며 개구부 양 단부에는 내향 절곡된 내향 단턱(210)을 갖는다.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클립바(30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설치 간격은 상기 클립바(300)의 버팀력을 감안하여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간격으로 설치한다.
또한, 프레임(200)은 현장상황에 따라 개구부를 벽면으로 향하게 하거나 또는 그 반대측 전면을 향하도록 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 고정클립(100)의 조립 형태는 가변된다.
도 2에 표현된 본 발명의 고정클립(100)은, 클립바(300)가 밀착되는 상판(10); 상기 상판(10)의 양측에 구비된 측벽(20)과; 상기 상판(10)의 양측으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돌출되어 밀착되는 클립바(300)의 날개턱(320)에 걸림되는 스냅편(40); 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20)은 스냅편(40)의 휨 탄성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길이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즉 스냅편(40)과 연결된 측벽(20)을 스냅편(40) 하단 양측을 절개하여 절개홈(21)을 형성함으로써 스냅편(40)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고 이에 따라 자체 탄성 복원력을 가진다.
상기 고정클립(100)은 설치 환경에 따라서 양 측벽(20)에 지지발(60)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고정클립(100)을 벽면에 직접 타정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200)의 일측 면에 나사 못으로 고정 설치할 때 활용하며, 장공 또는 통공을 형성하여 피스결합 또는 못 박음 결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정클립(100) 구조를 표현한 것으로, 상기 고정클립(100)은, 상판(10), 측벽(20), 이탈방지턱(30), 스냅편(40), 탄지편(50)이 구성된다.
상기 상판(10)은 클립바(300)의 폭과 같거나 넓은 구조를 갖는다. 필요에 따라서는 중앙부가 양측보다 약간 높아진 구조로 형성하여 그 높이 차만큼 탄성 휨이 발생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측벽(20)은 프레임(200)의 내부로 삽입 가능한 높이를 갖으며, 완전 삽입 후 프레임(200)의 내향 단턱(210)과 대응되는 전후부에 상기 이탈방지턱(30)을 구비한다. 이때, 이탈방지턱(30)은 프레임(200)의 내향 단턱(210)을 점차적으로 벌릴 수 있도록 경사면(31)을 갖는다. 또한, 이탈방지턱(30)이 양 내향 단턱(210)을 강제 벌려 삽입 완료되면 지지 프레임(200)이 탄성 복원하여 내향 단턱(210)에 이탈방지턱(30)이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스냅편(40)에는 클립바(300)의 날개턱(320)을 걸어 고정하는 걸림턱(41)을 갖는다. 상기 걸림턱(41)은 상판(10)과 상기 클립바(300)의 날개턱(320)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필요로 한다. 그 간격은 매우 작은 간격이어서 클립바(300)가 스냅 결합할 때 필요한 휨 탄성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상기 스냅편(40)과 접하는 상기 측벽(20)을 절개하여 절개홈(21)을 형성함으로써 스냅편(40)의 하부 길이를 연장하여 휨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확보한다.
이와 같이 스냅편(40)의 길이가 충분히 확보됨에 따라 양측 내향 스냅편(40) 사이에 클립바(300)를 강제 삽입시키면 스냅편(40)의 휨 탄성력에 의해 스냅 결합되어 클립바(300)의 양 날개턱(320)에 걸림턱(41)이 걸림 고정되어, 상기 클립바(300)가 고정클립(100)에 견고하게 탄성 취부되는 것이다. 여기서 스냅편(4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냅편(40)의 걸림턱(41)은 클립바(300)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해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스냅편(40)의 걸림턱(41)과 상판(10) 사이의 간격은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립바(300)의 날개턱(320)이 원활하게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간격을 유지해야 하므로, 클립바(300)의 날개턱(320)은 헐겁게 결합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클립바(300)는 스냅편(40)의 걸림턱(41)과 상판(10) 사이에서 흔들리고 슬라이딩 이동되는 불안정한 결합상태가 된다.
상기 탄지편(50)은 이러한 불안정한 결합상태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판(10)에 형성된 상기 탄지편(50)은 도 2 내지 3에 표현한 바와 같이 상판(10)을 'ㄷ' 모양으로 절개하고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 절곡시켜 그 탄성 돌출된 높이로 스냅편(40)의 걸림턱(41)과 상판(10) 사이에 삽입된 클립바(300)의 날개턱(320)을 들어올려 스냅편(40)의 걸림턱(41)에 밀착 압박시킴으로써 클립바(300)의 흔들림이나 슬라이딩 되는 현상 없는 안정된 결합 상태를 제공한다.
도 8a에는 상판(10)의 전후 단부에 돌출 형성한 협지편(11)이 표현된 것으로, 상기 협지편(11)은 상판(10)을 연장하여 이탈방지턱(30)과 이격 공간을 형성한다.
이는 본 발명 고정클립(100)을 프레임(200)에 결합 완료하면 프레임(200)의 내향 단턱(210)이 프레임(200)의 탄성력에 의해 이탈방지턱(30)과 협지편(11) 사이를 파고들어가 물리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본 발명 고정클립(100)이 프레임(200)의 개구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현상을 억지할 수가 있는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100)을 활용한 벽체 배수판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프레임(200)을 이용한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200)의 개구부를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그 반대편 면을 벽면에 대고 타카 못에 박아 고정한다.
만일 벽면의 방수층을 보호해야 할 경우에는 양 기둥 또는 천장과 바닥에 별도의 런너와 같은 고정 프레임을 고정 설치한 후 개구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프레임(200)의 양단을 고정 프레임에 고정하여 설치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클립(100)의 상판(10)이 전방을 향하고 측벽(20)이 후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프레임(200)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한다. 그 삽입 과정은, 도 7b에 표현된 바와 같이 측벽(20)이 프레임(20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이탈방지턱(30)의 경사면에 의해 프레임(200)의 양 내향 단턱(210)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삽입되고, 이탈방지턱(30)의 삽입이 완료되는 순간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어졌던 내향 단턱(210)이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좁혀져 복원됨으로써 이탈방지턱(30)은 프레임(200)의 내향 단턱(210)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프레임(200)에 고정클립(100)이 고정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고정클립(100)을 동일 수평 선상으로 여러 줄 고정 설치한다.
다음으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100)의 전방에 클립바(300)를 수직으로 고정 설치한다. 클립바(300)는 압박 슬롯(310)이 전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고정클립(100)의 양 내향 스냅편(40) 사이로 강제 삽입한다. 이때,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내향 스냅편(40)은 삽입되는 클립바(300)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졌다가 클립바(300)의 날개턱(320) 삽입이 완료되면 벌어졌던 내향 스냅편(40)이 원상태로 좁혀지면서 걸림턱(41)에 날개턱(320)이 걸림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고정클립(100)에 클립바(300)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직 방향의 모든 고정클립(100)에 클립바(300)를 설치하고, 측 방향으로도 일정간격 클립바(300)를 연속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배수판(400)을 클립바(300)의 전방에 설치한다. 벽체 배수판(400)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편(410)을 클립바(300)에 강제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모든 벽체 배수판(400)을 클립바(300)에 조립하여 벽체 배수판(400)의 시공을 완료한다.
한편, 현장 환경에 따라 상기 프레임(200)을 수평이 아닌 수직으로 설치할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200)이 수직으로 설치됨에 따라 그 선단에 조립되는 클립바(300)는 프레임(20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밖에 없으므로 수평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고정클립(100)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내향 스냅편(40)은 측벽(20)에 절개홈(21)이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탄성 복원력이 없도록 하여 클립바(300)를 안정되게 받쳐주도록 한다. 단, 탄성 복원력이 없는 내향 스냅편(40)은 하부에 위치하고,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내향 스냅편(40)은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즉, 클립바(300) 설치 시 클립바(300)를 수평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클립바(300)의 하부 날개턱(320)을 하부의 내향 스냅편(40)에 얹은 상태에서 클립바(300) 상단을 밀어 끼우면 클립바(300)는 하단 날개턱(32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단의 날개턱(320)이 상부의 스냅편(40)을 강제 벌리며 삽입이 완료되면 스냅편(40)이 다시 좁혀지며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클립바(300)가 수평으로 조립되더라도 클립바(300)의 하중을 탄성 복원력이 없는 하부의 스냅편(40)이 변형 없이 받쳐줌으로써 클립바(300)가 자중에 의해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0)의 양측 전후부에는 요동방지편(70)이 스냅편(40)과 나란하게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결합되는 클립바(300)의 날개턱(320) 단부를 잡아주기 위한 것으로, 탄성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클립바(300)가 결합되면 스냅편(40)을 통해서 걸림 상태를 유지하고, 요동방지편(70)이 클립바(300)의 양단을 견고하게 잡아줌으로써 고정클립(100)으로부터 클립바(300)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100)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100)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시공되는 벽체 배수판(400)이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최소화하도록 한 것이다.
즉, 고정클립(100)은 판 형상의 상판(10) 양측에 스냅편(40)을 돌출 형성하되, 일측 스냅편(40)은 상부에 형성하고, 타측 스냅편(40)은 하부에 형성하여 대각으로 엇갈리도록 형성하며 그 거리는 클립바(300)가 삽입 가능한 거리를 갖는다. 그리고 상판(10)의 양측에 지지발(60)을 형성하여 타카 못이나 나사 못에 의해 벽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고정클립(100)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의 스냅편(40) 사이로 클립바(300)의 배면을 밀착시킨 후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100)을 회전시키면, 고정클립(100)의 양 스냅편(40)에 클립바(300)의 양 날개턱(320)이 삽입되면서 고정클립(100)과 클립바(300)는 나란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고정클립(100)의 내향 스냅편(40) 말단에 형성된 걸림턱(41)이 클립바(300)의 날개턱(320)을 압박하므로 고정클립(100)과 클립바(300)는 걸림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클립바(300)에 고정클립(100)을 다수 설치하고, 벽면에 고정클립(100)의 지지발(60)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타카 못이나 나사 못을 박아 모든 고정클립(100)을 벽면에 고정한다. 벽면에 고정된 고정클립(100)은 회전할 수 없으므로 클립바(300)와 고정클립(100)은 분리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다수의 클립바(300)를 벽면에 일정 간격 고정한 다음 벽체 배수판(400)을 클립바(300)에 조립하여 시공을 완료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고정클립(100)은 클립바(300)를 전방에서 밀어 끼우는 방식이 아니므로 탄지편(50)이 필요치 않으며 내향 스냅편(40)의 걸림턱(41)이 압박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내향 스냅편(40)의 탄성 복원력이 필요치 않으므로 절개홈(21) 및 측벽(20)이 필요치 않으며 변형 방지를 위해 측벽(20)을 형성한다 하더라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만 형성하면 충분하다.
그리고 상기 각 스냅편(40)의 걸림턱(41) 단부에는 클립바(300)의 날개턱(320)을 안내하는 안내부(42)가 형성된다. 안내부(42)는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걸림턱(41)에 날개턱(32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걸림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10 : 상판 20 : 측벽 21 : 절개홈
30 : 이탈방지턱 31 : 경사면 40 : 스냅편
41 : 걸림턱 50 : 탄지편 60 : 지지발
100 : 고정클립 200 : 프레임 210 : 내향 단턱
300 : 클립바 310 : 압박 슬롯 320 : 날개턱
400 : 벽체 배수판 410 : 결합편

Claims (7)

  1. 양측에 날개턱(320)을 갖고 중앙부에 압박슬롯(310)으로 구성된 클립바(300)를 고정 결합하는 것에 있어서,
    상판(10);
    상기 상판(10)의 양측에 구비된 측벽(20);
    상기 클립바(300) 폭으로 상기 상판(10)의 양측에 돌출되고, 단부에 상기 클립바(300)의 날개턱(320)를 걸어 고정하는 걸림턱(41)을 구비한 스냅편(40);
    상기 양측 측벽(20)의 하단에 구비되어 타카 못이나 나사 못이 박히는 지지발(60);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
  2. 개구부 양단으로 내향 단턱(210)이 형성된 프레임(200);
    양측에 날개턱(320)을 갖고 중앙부에 압박슬롯(310)으로 구성된 클립바(300); 를 결합하는 것에 있어서,
    상판(10);
    상기 상판(10)의 양측에 구비된 측벽(20);
    상기 측벽(20)의 전후부에 프레임(200)의 내향 단턱(210)에 걸림 대응되는 이탈방지턱(30);
    상기 클립바(300) 폭으로 상기 상판(10)의 양측에 돌출되고, 단부에 상기 클립바(300)의 날개턱(320)을 걸어 고정하는 걸림턱(41)을 구비한 스냅편(40);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은 결합된 클립바(300)를 상기 스냅편(40)의 걸림턱(41) 방향으로 밀어 취부력을 보강하는 탄지편(5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의 전후부에는, 결합되는 상기 프레임(200)의 내향 단턱(210) 상단을 탄력 지지하는 협지편(11)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20)을 절개하여 상기 스냅편(40)의 길이를 연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
  6. 제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의 양측 전후부에는 결합되는 클립바(300)의 날개턱(320) 단부를 잡아주는 요동방지편(70)이 스냅편(40)과 나란하게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
  7. 벽면에 클립바(300)를 고정하는 고정클립(100)에 있어서,
    상기 클립바(300)가 밀착되는 상판(10);
    상기 상판(10)의 양측에 돌출되고, 단부에 상기 클립바(300)의 날개턱(320)을 걸어 고정하는 걸림턱(41)의 구비한 스냅편(40);을 구성하되,
    상기 스냅편(40)은 클립바(300)가 삽입 가능한 대각거리로 상판(10)에서 대각으로 각각 위치하고, 상기 각 스냅편(40)의 걸림턱 단부에 클립바(300)의 날개턱(320)을 안내하는 안내부(4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
KR1020190023657A 2019-02-28 2019-02-28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 KR102380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657A KR102380449B1 (ko) 2019-02-28 2019-02-28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657A KR102380449B1 (ko) 2019-02-28 2019-02-28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058A true KR20200105058A (ko) 2020-09-07
KR102380449B1 KR102380449B1 (ko) 2022-03-29

Family

ID=7247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657A KR102380449B1 (ko) 2019-02-28 2019-02-28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5971A (zh) * 2020-10-16 2020-12-18 保定三骏联通塑胶有限公司 一种便于使用的集成墙板安装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038B1 (ko) * 2012-02-15 2012-08-01 주식회사 대한강재 벽체 sc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설치 방법
KR101234675B1 (ko) * 2011-06-30 2013-02-22 김성주 천정재 설치용 클립
KR101564276B1 (ko) * 2015-05-26 2015-10-29 (주)하이코리아 크랙벽면에 사용하는 슬라이딩식 벽체 배수판 시공장치
KR20170122394A (ko) * 2016-04-27 2017-11-06 전영훈 천장패널 클립바용 조인트유닛
KR20180097926A (ko) 2017-02-24 2018-09-03 민병옥 전방 압입식 벽체 배수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675B1 (ko) * 2011-06-30 2013-02-22 김성주 천정재 설치용 클립
KR101170038B1 (ko) * 2012-02-15 2012-08-01 주식회사 대한강재 벽체 sc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설치 방법
KR101564276B1 (ko) * 2015-05-26 2015-10-29 (주)하이코리아 크랙벽면에 사용하는 슬라이딩식 벽체 배수판 시공장치
KR20170122394A (ko) * 2016-04-27 2017-11-06 전영훈 천장패널 클립바용 조인트유닛
KR20180097926A (ko) 2017-02-24 2018-09-03 민병옥 전방 압입식 벽체 배수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5971A (zh) * 2020-10-16 2020-12-18 保定三骏联通塑胶有限公司 一种便于使用的集成墙板安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449B1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0900B1 (ko) 목재데크시스템
CN109072618B (zh) 封板固定装置
US7726083B2 (en) Curtain-type facade structure
RU2543015C2 (ru) Сейсмоустойчивый зажим
KR100821890B1 (ko)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US6993883B2 (en) Composite building stud
KR102189496B1 (ko) 벽체 배수판 설치용 조립식 프레임 시스템
KR101763694B1 (ko) 비닐하우스용 패드 일체형 골조 및 패드 일체형 골조 고정장치
KR20080026077A (ko) 천장 마감용 클립 및 찬넬 연결구
JP2009221786A (ja) 仮設足場における足場部材の連結構造
KR200455273Y1 (ko) 천장패널의 고정구조
JP5439003B2 (ja) 固定クリップ
KR20200105058A (ko)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
JP2006063747A (ja) デッキ構造
JPH0531626B2 (ko)
JP3894931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取付架台
KR20090011629U (ko) 천장 보드 설치용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의 결합 구조
KR940008312B1 (ko) 타일블럭벽체
JP3224791B2 (ja) 棟瓦用固定具
JP3307273B2 (ja) 壁面パネル装置
KR101250507B1 (ko)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JP2008008112A (ja) 間仕切壁
KR200326563Y1 (ko) 거푸집 체결부재
JP2010242437A (ja) 簡易建物
JP2014077254A (ja) コンクリート壁の吸音板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