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890B1 -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890B1
KR100821890B1 KR1020067017791A KR20067017791A KR100821890B1 KR 100821890 B1 KR100821890 B1 KR 100821890B1 KR 1020067017791 A KR1020067017791 A KR 1020067017791A KR 20067017791 A KR20067017791 A KR 20067017791A KR 100821890 B1 KR100821890 B1 KR 100821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ead
vertical support
beams
suppor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7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1668A (ko
Inventor
아서 슈뵈러
Original Assignee
페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19878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2189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페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페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41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3Supporting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거푸집 요소를 구비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수의 거푸집 요소의 하측에는 수직 지지체의 헤드에 결합시킬 수 있는 비임이 구비된다. 상기 비임의 단면은 베이스부로부터 2개의 림이 외측으로 연장해 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C자형이고, 상기 2개의 림 중 하나는 상기 수직 지지체의 헤드 상에 설치되는 지지면으로서 설계되어 있다. 상기 수직 지지체의 헤드에는 지지면의 각 리세스에 결합하는 고정 요소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리세스는 상호 90°의 각도만큼 틀어진 2개의 방향으로 상기 수직 지지체에 비임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지지면의 단부 상에 형성된 것이다.
슬라브, 거푸집, 비임, 수직, 지지체, 헤드

Description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A slab formwork system}
본 발명은 복수의 거푸집 요소를 구비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거푸집 요소의 하측에는 수직 지지체의 헤드에 결합시킬 수 있는 비임이 구비되고, 상기 비임의 단면은 베이스부로부터 2개의 림이 외측으로 연장해 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C자형이고, 상기 2개의 림 중 하나는 상기 수직 지지체의 헤드 상에 설치되는 지지면으로서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식의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은 유럽 특허 출원 EP 0 130 425 A1에 공지되어 있다. 이 거푸집 시스템은 복수개의 거푸집 패널로 구성되고, 이 패널의 하측에는 수직 지지체의 헤드와 후크 결합시킬 수 있는 C자형 비임이 실질적으로 수직배열로 배치된다. 그 결과, 상기 거푸집 패널은 후크 결합을 유지한 상태에서 수평 위치로 선회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체의 헤드에 대해 종방향으로 상기 비임이 변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C자형 비임의 베이스부에는 고정 요소가 결합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를 수직 지지체의 헤드에 고정시켰다.
상기 공지의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의 결점은 하나의 수직 지지체에 2개, 3개 또는 4개의 거푸집 패널을 결합시켰을 때 거푸집 패널 전체를 동일한 방향으로 설 치해 주어야므로 하나의 수직 지지체 상에 상호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거푸집 패널을 배치할 수 없기 때문에,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의 적용 범위가 제한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거푸집 요소, 특히 격자 요소 또는 거푸집 패널을 수직 지지체의 헤드에 상이한 배열 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는 전술한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수직 지지체의 헤드에 복수의 고정 요소가 구비되고, 이들 각 고정 요소는 지지면의 각 리세스 내에 결합된다. 이들 리세스는 상호 90°의 각도만큼 틀어진 2개의 방향으로 상기 수직 지지체에 비임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지지면의 단부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직 지지체의 종방향으로 상기 비임을 고정하기 위한 리세스가 베이스부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지지면 상에 형성되므로 수직 지지체의 헤드에 복수의 고정 요소를 배치할 수 있고, 그 결과 비임을 상기 수직 지지체의 헤드에 상호 90°의 각도만큼 틀어진 2개의 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은 수직 지지체의 헤드에 다양한 방식으로 거푸집 요소를 부착할 수 있어서, 상황에 따라 이상적인 방법으로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공지의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에 비해 가변성이 증대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비임의 하나의 림은 수직 지지체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지지면의 역할을 하고, 다른 하나의 림은 합판을 부착하게 되는 격자 요소의 복수의 종방향 부재를 위한 접촉면으로서 제작된다. 또는, 상기 다른 하나의 림은 거푸집 패널을 위한 접촉면으로서 제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격자 요소를 사용하는 경우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르면 비임과 거푸집 패널 사이에 추가의 요소가 설치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비임은 개방형 섹션 요소로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폐쇄형 섹션 요소로서 제작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전술한 리세스는 상기 수직 지지체와 접촉하게 되는 각 지지면의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비임의 지지면에는 상기 베이스의 2개의 상호 이격된 단부 영역에 각각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리세스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복수의 리세스에 의해 비임의 전장에 걸친 다양한 위치에서 비임을 수직 지지체와 결합할 수 있고, 또 다양한 설치 상황이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2개의 리세스 내에서 상기 2개의 고정 요소가 동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면의 적어도 2개의 리세스 및 수직 지지체의 헤드의 2개의 고정 요소를 상호 이격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 상기 비임은 전술한 동시 결합에 의해 헤드와 동일평면이 되도록 그 수직 지지체에 설치하거나 상기 비임이 수직 지지체의 헤드의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대응하는 개수의 리세스 쌍을 제공함으로써 각 상황에 적합한 다양한 길이로 상기 비임을 상기 수직 지지체의 헤드의 상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상기 다양한 길이는 단순히 적절한 쌍의 리세스를 선택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비임의 일단부 영역 또는 양단부 영역 내의 상기 지지면에 적어도 2개의 리세스를 제공하더라도, 이들 2개의 리세스 중 하나의 리세스만으로 수직 지지체의 헤드의 고정 요소와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상태는 특히 종방향으로 정렬된 2개의 비임을 수직 지지체의 공통의 헤드에 고정해야 하는 경우에 선택된다.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지지면의 단부 영역에는 상향으로 연장한 또는 상향으로 각이진,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하게 연장한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돌출부에는 상기 지지면에 형성된 리세스와 정렬되어 상호 합치되는 특히 V자형 절결부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전술한 절결부에 의해 상기 지지면에 형성된 리세스와 각 헤드의 고정 요소 사이의 정확한 위치설정이 촉진되므로 수직 지지체에 설치된 거푸집 요소의 조립체는 특히 단순해진다. 특히, 상기 돌출부를 구비하는 비임은 수직 지지체의 헤드 상에 위치시킴으로써, 돌출부에 형성된 절결부의 위치가 헤드의 각 고정 요소의 직상부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다음에 비임을 헤드 상으로 하강시켜 헤드의 고정 요소가 돌출부의 절결부 내에 나사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비임의 종축선에 평행한 피봇축선을 중심으로 거푸집 요소를 선회시키고, 그 결과 상기 고정 요소를 돌출부에 형성된 절결부를 경유하여 지지면의 리세스 내로 강제적으로 진입시킴으로써 달성된다. V자형 절결부는 그 폭이 지지면의 대응하는 리세스로부터의 간격이 증가할 수록 증가하므로,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V자형 절결부는 상기 고정 요소의 상기 지지면의 리세스 내로의 안내를 촉진한다.
상기 비임의 2 부분의 상호 이격된 단부 영역의 각각의 상기 돌출부에는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상기 형식의 절결부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절결부는 지지면의 대응 리세스와 정렬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면에 형성된 각 리세스에 대해 대응하는 절결부를 돌출부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지지면의 리세스 내에 고정 요소를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면의 하측면은 베이스부로부터 시작하여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시킴으로써, 지지면의 하측면과 베이스부 사이의 각이 90°보다 작은 각이 되도록,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의 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거푸집 요소를 비임에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시킬 때 그 선회운동이 거푸집 요소의 표면 영역의 상향 이동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요소를 분해시킬 때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후술하는 도 7a 내지 도 7c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체에는 지지 헤드를 설치할 수 있다. 이 지지 헤드는 각 수직 지지체의 종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면과, 비임의 지지면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에 결합하도록 된 절곡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출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 돌출부는 상기 지지 헤드의 전술한 고정 요소에 해당한다. 절곡 형태의 고정 돌출부를 채용하면, 가공전 판상(plate-shaped)인 재료의 특정 영역, 바람직하게는 모서리 영역을 상향 절곡시켜 상기한 고정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지지 헤드에 별도의 고정 요소를 부착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또는 상기 지지 헤드는 주조품 또는 단조품 또는 플라스틱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헤드 한 개당 예를 들면 4개의 고정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이들 고정 돌출부는 지지 헤드의 지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지지 헤드의 인접하는 각 고정 돌출부는 상호 직각 방향으로 연장한다.
특히, 상기 지지면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으로 하고, 그 고정 돌출부는 각각 상기 지지면의 대각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본 형상이 사각형인 상기 지지면의 모서리 영역을 상향으로 절곡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정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 헤드에 상기 비임의 림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베이스부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한 인접 영역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이 인접 영역의 인접면은 상기 지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이 유리하다. 조립과정의 마직막 단계에서, 비임이 상기 지지 헤드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요소 또는 고정 돌출부의 영역은 지지면의 리세스 내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후면은 상기 인접 영역에 의해 지지되거나 상기 인접 영역과의 사이에 작은 공간을 두고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인접 영역은 상기 고정 요소가 상기 리세스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비임과 지지 헤드 사이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총 8개의 인접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인접 영역의 인접면은 특히 상기 고정 돌출부에 대해 45°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8개의 인접 영역에 의해 각 비임을 상기 지지 헤드에 4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들 4개의 상이한 위치 각각에서 수평면을 따라 상호 90°의 각도로 틀어진 2가지 비임의 정렬이 가능하다. 따라서, 4개의 상이한 비임을 하나의 지지 헤드 상에 동시에 설치할 수 있고, 각 비임의 정렬 위치는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지지 헤드의 인접 영역은 별도의 인접 요소를 상기 지지 헤드에 결합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4개의 인접 영역을 상기 지지 헤드 또는 이 지지 헤드를 형성한 판상 요소의 일부를 상기 지지면에 대해 U자형으로 상향 절곡함으로써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향으로 하나의 인접 돌출부를 절곡시킴에 의해 2개의 추가의 인접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별도의 요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단일의 판상 요소로부터 전체 지지 헤드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상기 지지 헤드는 착탈 가능하게 또는 고정식으로 상기 수직 지지체에 결합시킬 수 있다.
특히, 헤드 플레이트 및 지지 헤드의 치수는 대략 동일한 치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 헤드는 시판되는 수직 지지체의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헤드 플레이트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지지 헤드는 상기 수직 지지체의 헤드 플레이트에 평행한 방향으로 그 헤드 플레이트 상에 밀어 넣어서 결합시킬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지지체를 헤드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연장할 필요가 없도록, 상기 지지 헤드의 지지면의 하측면은 상기 수직 지지체의 헤드 플레이트의 직상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체의 헤드 플레이트의 상측면과 상기 지지 헤드의 지지면 사이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상기 지지 헤드에 사용된 재료의 두께와 동일하다.
착탈 가능한 결합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헤드는 그 지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수직 지지체 상에 가압되고, 특히 상기 지지 헤드 내에 유지되어 있는 스프링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부재는 단일체의 판상 재료로 제작할 수 없는 유일한 부품이다. 그러나, 상기 지지 헤드를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 부재도 상기 지지 헤드와 일체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지지 헤드, 수직 지지체 및/또는 비임의 단부 영역은 상호 부합하는 치수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원하는 모든 조합이 가능해지고,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의 개개의 부품을 조작할 때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의 조립은 작업자가 상기 거푸집 요소와 수직 지지체 사이에 90°보다 작은 각도가 형성되도록 상기 수직 지지체와 거푸집 요소의 비임을 상호 후크 결합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거푸집 요소는 상기 후크 결합 상태하에서 실질적으로 각 수직 지지체 또는 복수의 수직 지지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 결합이 완료된 후, 이와 같은 후크 결합 상태 하에서, 상기 거푸집 요소와 상기 수직 지지체 사이의 각도가 약 90°가 됨으로써 상기 거푸집 요소가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위치까지 상기 거푸집 요소를 선회시킨다. 이 위치에서 상기 거푸집 요소는 콘트리트 시일링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거푸집 요소는 예를 들면 종방향 부재와 횡방향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종방향 부재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상기 횡방향 부재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종방향 부재에 수직방향으로 고정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종방향 부재의 상측은 합판을 위한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종방향 부재의 하측에 접촉하는 상기 횡방향 부재 또는 복수의 횡방향 부재의 상측 및 상기 횡방향 부재 또는 복수의 횡방향 부재의 하측은 전술한 형식의 지지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요소는 상기 수직 지지체 상에 1차적으로 설치되는 격자 요소를 형성하고, 그 위에 합판이나 거푸집 패널을 재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거푸집 요소는 합판을 전술한 비임에, 특히 비임의 상측면에 직접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판과 비임을 구비하여 이미 조립이 완료된 거푸집 패널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상기 수직 지지체 상에 설된다.
상기 거푸집 요소에는 특히 직선상이고, 2개의 비임 또는 2개의 횡부재를 채용한 경우, 상호 평행하게 연장하는, 1개 또는 2개의 비임 또는 횡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 요소의 그 하측에 외주 섹션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전술한 종방향 부재와 평행하게 비임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수직 지지체의 헤드에 연결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 사용되는 비임의 단부의 3차원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비임에 연결될 수 있는 수직 지지체의 헤드의 상측에서 도시한 3차원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하측에서 도시한 3차원 사시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따라 수직 지지체의 헤드의 단면도;
도 5는 제1 체결 위치에 위치한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수직 지지에의 헤드에 연결된 도 1에 따른 비임의 상측에서 도시한 3차원 사시도;
도 6은 제2 체결 위치를 구현한 도 5의 하측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헤드를 구비한 도 1에 따른 비임의 연결 단계를 도시한 연속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a 내지 도 7c에 따른 도면의 수직 지지체의 헤드를 90°의 각도만큼 회전시킨 상태의 연속 도면;
도 9는 2개의 비임이 다른 2개의 비임에 대해 직각으로 정렬되어 있는 4개의 비임에 연결된 수직 지지 헤드의 하측에서 도시한 3차원 사시도; 및
도 10은 4개의 비임이 상호 평행하게 정렬된 도 9에 따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비임(2)은 C자형 단면을 가지는 개방형의 기다란 섹션 부재로서 제작된 것이다. 상기 C자형 단면부의 2개의 림(limb)은 베이스부(4)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고, 하측 림은 수직 지지체의 헤드 상에의 설치를 위한 지지면(6)으로서 설계되어 있다. 상측 림은 복수의 종방향 부재의 하측을 위한 접촉면(8)을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종방향 부재는, 예를 들면, 상기 비임(2)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고, 이 경우 상기 비임(2)은 횡부재를 형성하고, 따라서, 상기 복수의 종방향 부재와 상기 비임(2)은, 필요에 따라, 추가의 횡부재와 함께 격자 요소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격자 요소 상에는 합판을 부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촉면(8)은 합판이 직접 접촉하는 접촉면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시된 상기 비임(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4)는 그 길이가 단면도에서 보았을 때 접촉면(8)의 길이보다 길고, 접촉면(8)의 길이는 지지면(6)의 길이보다 길다. 접촉면(8)의 길이는 지지면(6)의 약 2배의 길이이고, 베이스부(4)의 길이는 접촉면(8)의 길이의 약 2배의 길이이다.
상기 지지면(6)의 하측면은 상기 접촉면(8)과 평행하게 연장되지 않고, 상기 접촉면(8)의 방향으로 약간 상향 경사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접촉면에 대면하는 지지면(6)의 상측면은 그 하측면과 달리 상기 접촉면(8)에 평행하게 연장해 있으므로 지지면(6)의 두께는 베이스부(4)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얇아진다. 이와 같은 구조의 장점에 대해서는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4)로부터 이격된 지지면(6)의 단부 상에는 상향으로 각이지게 절곡된 돌출부(lug; 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0)는 접촉면(8)의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4)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돌출부를 각이지게 절곡 성형하는 대신 지지면(6)과 돌출부(10) 사이에 만곡형으로 절곡 성형함으로써, 예를 들면, 지지면(6)과 돌출부(10) 사이에 4 분원의 단면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상기 돌출부(10)에는 4개의 V자형 절결부(12, 14, 16, 1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결부(12 내지 18)는 비임(2)의 종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어 있고, 이들 절결부(12 내지 18)의 폭은 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협폭이 된다. 상기 절결부(12 내지 18)의 깊이는 돌출부(10)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절결부(12 내지 18)의 하단부는 지지면(6)에 형성된 리세스(20, 22, 24, 26)와 합쳐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20 내지 26)의 폭은 이 리세스(20 내지 26)에 대면하는 상기 V자형 절결부(12 내지 18)의 하단부의 폭과 대략 일치한다. 상기 리세스(20 내지 26)는 지지면(6)의 길이의 절반 이하의 길이까지 상기 지지면(6) 내로 연장한다.
상기 절결부(12 내지 18)는 그 형상이 V자형이므로 전술한 절결부(12 내지 18) 및 리세스(20 내지 26)의 구조에 의해 상기 리세스(20 내지 26) 내로 복수의 고정 요소를 도입하기 위한 "나사결합 촉진부(threading aid)"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나사결합 촉진부는 특히 비임(2)을 고정 요소에 안내시킨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90°의 각도만큼 상향으로 선회시킨 경우에 그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선회 이동은 상기 지지면(6)의 하측면의 전술한 경사면에 의해 촉진된다.
도 1에는 비임(2)의 일단부 영역만이 도시되어 있다. 비임(2)의 타단부(도시 생략)는 도시된 일단부 영역과 유사하다. 따라서, 상기 비임(2)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각각 4개의 절결부(12 내지 18) 및 4개의 리세스(20 내지 26)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횡부재인 빔(2)의 최외단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절결부(12 내지 14)는 상호의 이격된 간격이 짧고, 반면 절결부(14) 및 절결부(16) 사이의 간격 및 절결부(16) 및 절결부(18) 사이의 간격은 큰 치수로 되어 있다. 이 큰 치수의 간격은 인접하는 복수의 수직 지지체의 헤드의 고정 요소 사이의 간격과 일치하는 치수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수직 지지체(도시 생략)에 연결할 수 있는 헤드(28)의 3차원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28)는 실질적으로 장방향인 강판(steel plate)의 중앙부에 U자형 절곡부(30)를 형성시킴으로써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 U자형 절곡부는 헤드(28)의 전폭에 걸쳐 상향으로 돌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U자형부(30)는 지지면(32)으로서 형성된 헤드(28)의 베이스면을 동일한 치수로 양분한다. 상기 비임(2)을 헤드(28)에 설치한 상태에서, 전술한 지지면(32)은 상기 비임(2)으로부터 수직 지지체에 전달된 수직력을 흡수하게 된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국 상기 비임(2)의 지지면(6)이 상기 지지면(32) 상에 지지되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면(32)의 상기 U자형부(30)로부터 수직한 양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커플링 돌출부(coupling lug; 34)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들 양 커플링 돌출부(34)는 U자형으로 하향 만곡되어 있고, 이들 U자형의 양단부는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커플링 돌출부(34) 사이에는 상기 수직 지지체의 헤드 플레이트(도시 생략)를 수용하는 수용면이 상기 지지면(32)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같은 형식의 헤드 플레이트는 상기 U자형부(30)의 종방향으로 상기 커플링 돌출부(34) 내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 플레이트는 U자형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하향 연장된 2개의 인접부재(abutment members; 36)에 밀착될 때까지 수직 지지체의 헤드 플레이트를 위한 전술한 수용면 내에 진입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 특히 도 4에서 볼 수 있는 스프링 부재(38)는 상기 U자형부(30)의 중간의 공간 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부재(38)의 양 단부(40)는 상기 U자형부(30)의 개구부(42)의 영역 및 자유단부의 영역에서 만곡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들 만곡부를 통해 스프링 부재(38)는 헤드(28)에 계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38)의 중앙부는 적어도 상기 수직 지지체의 헤드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커플링 돌출부(34) 사이에 제공된 수용면까지 및 그 수용면의 내측까지 하향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부재(38)의 하향 연장부는 수직 지지체의 상면의 중공부 내에 스냅 결합되거나 수직 지지체의 헤드 플레이트의 상면의 중공부 내에 스냅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헤드(28)는 수직 지지체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위치에서 전술한 2개의 인접부재(36)는 수직 지지체의 헤드 플레이트의 연부에 밀착된다. 상기 헤드(28)를 수직 지지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당기면, 상기 스프링 부재(38)는 헤드(28)를 당기는 힘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상기 수직 지지체에 대해 헤드(28)를 정확하게 위치 설정할 수 있고, 한편 수직 지지체로부터 헤드(28)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면(32)의 4개의 모서리 영역은 지지면(32)에 수직한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U자형부(30)의 종방향에 대해 각각 45°의 각도를 이룬 상태로 연장하는 총 4개의 고정 돌출부(fixing lugs; 44, 46, 48, 5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 돌출부(44 내지 50)의 폭은 그 높이의 2배 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 고, 상기 지지면(32)으로부터 먼 쪽의 각 고정 돌출부(44 내지 50)의 2개의 모서리부는 모따기 가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돌출부(44 내지 50)의 각각 2개의 수직측면(52, 54; 56, 58; 60, 62; 64, 6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라 비임(2)의 리세스(20 내지 26) 내로 결합하는데 적합한 고정 요소를 형성한다. 비임(2)을 상기 고정 돌출부(44 내지 50) 중의 하나에 결합시킬 때, 각 고정 돌출부(44 내지 50)의 2개의 고정 요소(52 내지 66) 중에서 하나의 고정 요소만이 비임과의 결합에 이용된다. 각 고정 돌출부(44 내지 50)에 2개의 고정 요소(52 내지 6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임(2)을 필요에 따라 고정 돌출부(44 내지 50)에 대해 90°의 각도로 선회시킨 방향 및 상기 지지면(32)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방향으로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양 지지면(32) 상에는 각각 인접 돌출부(68, 70)가 상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들 인접 돌출부(68, 70)의 양측 연부는 상기 지지면(3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비임(2)의 베이스부(4)의 후면을 지지하는 각각 인접면(72, 74, 76, 78)을 형성한다. 상기 U자형부(30)의 영역에 의해 상기 지지면(32)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4개의 추가의 인접면(80, 82, 84, 86)이 형성된다.
상기 인접면(80 내지 86)도 비임(2)의 베이스부(4)의 후면에 결합하도록 된 것이다.
특히, 비임(2)은 상호 대향 배치된 상기 고정 요소(52 내지 66) 및 인접면(72 내지 86)의 사이(52, 80; 54, 72; 56, 74; 58, 82; 60, 84; 62, 76; 64, 78; 66, 86))에 고정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수직 지지체(90)의 헤드 플레이트(88)의 일측 연부가 헤드(28)의 인접요소(36)에 밀착될 때까지 상기 수직 지지체(90)의 헤드 플레이트(88)를 상기 헤드(28)의 커플링 돌출부(34) 내로 밀어넣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비임(2)은 상기 헤드(28)에 연결되고, 상기 비임(2)의 접촉면(8)에는 복수의 종방향 부재(92)가 고정되어 상기 비임(2)에 직각방향으로 연장해 있다. 도 6에 있어서, 복수의 종방향 부재(92)의 상측면에는 합판(94)이 부착되어 있고, 이 합판에는 거푸집(bulk formwork; 96)이 연결된다.
도 5에 따르면, 비임(2)은 고정 요소(52)가 절결부(14) 및 리세스(22) 내로 연장하는 상태로 헤드(28)에 연결된다. 동시에, 상기 고정 요소(58)는 절결부(16) 및 리세스(24) 내에 진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임(2)의 베이스부(4)의 후면은 인접면(80 및 82)에 지지된다. 따라서, 이들 인접면(80, 82)은 상기 고정 요소(52, 58)와 함께 상기 비임(2)이 베이스부(4)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요소(52, 58) 및 리세스(22, 24) 사이의 동시 결합에 의해 상기 헤드(28)에 대한 비임(2)의 종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상기 비임(2)은 이 비임(2)의 종방향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헤드(28)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요소(52, 58)는 절결부(16, 18) 또는 리세스(24, 26) 내에 맞물릴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상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비임(2)의 리세스(20, 22)는 결합에 사용되지 않은 상태이고, 비임(2)은 도 5에 도시된 위치에 비해 헤드(28)로부터 더 멀리 연장되어 있음을 쉽 게 알 수 있다.
또, 고정 요소(58)를 2개의 절결부(12, 14) 및 리세스(20, 22) 내에 진입시켜 비임(2)과 헤드(28)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비임(2)은 도 5 및 도 6과 달리 헤드의 지지면(32)의 전체에 연장하지 않고, 지지면(32)의 절반 이하의 폭까지만 연장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추가의 비임(2)을 고정 요소(52)를 통해 상기 헤드(28)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2개의 비임(2)을 종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비임(2)은 또 도 5에 도시된 정렬상태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그 절결부(12, 14) 또는 리세스(20, 22)를 통해 헤드(28)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 요소(54)는 리세스(20, 22) 중의 하나의 리세스와 맞물리고, 상기 비임의 베이스부(4)의 후면은 인접 돌출부(68)의 인접면(72)에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또, 상기 헤드(28)에 2개, 3개 또는 4개의 비임(2)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각 비임(2)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요소(52 내지 66) 및 인접면(72 내지 86)의 쌍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들 각 비임(2)은 상호 평행하게 설치하거나 상호 수직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임(2)과 헤드(28)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상기 종방향 부재(92)가 상기 수직 지지체(90)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경사를 이룬 상태로 연장하도록, 비임(2)과 종방향 부재(92)로 구성된 거푸집 요소(98)를 수직 지지체(9)에 대해 정렬시킨다. 이 정렬 상태에서, 작업자는 용이하게 상기 거푸집 요소(98)를 상승시켜, 비임(2)을 수직 지지체(90)의 헤드(28)의 상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승된 위치에서, 작업자는 상기 거푸집 요소(98)를 정렬 및 하강시킴으로써 고정 요소(52, 58)를 돌출부(10)의 V자형 절결부(14, 16) 내에 진입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결부(14, 16)의 V자형 형태로 인해 용이한 진입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헤드(28)와 비임(2) 사이에 후크 결합이 형성되고, 거푸집 요소(98)의 대부분의 중량은 상기 지지면(32)를 통해 수직 지지체(90)에 전달되므로, 조립체를 취급하는 작업자는 더 이상 거푸집 요소(98)의 전체 중량을 지탱할 필요가 없어진다.
도 7a에 따른 후크 결합으로부터 출발하여, 도 7b에 따른 거푸집 요소(98)는 상기 비임(2)의 종축선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피봇축선을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인 상향으로 선회된다. 이와 같은 상향 선회시, 고정 요소(52, 58)는 상기 V자형 절결부(14, 16)에 의해 안내되어 비임(2)의 지지면(6)의 리세스(22, 24) 내에 자동으로 진입한다. 상기 거푸집 요소(98)의 위치가 도 7c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선회시키면, 상기 거푸집 요소(98)와 그 종방향 부재(92)는 수직 지지체(90)에 수직한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접면(80, 82)은 비임(2)과 완전히 밀착된 위치에서 비임(2)의 베이스부(4)에 수직한 화살표 방향으로 비임(2)이 이동하는 것과 고정 요소(52, 58)가 리세스(22, 24)와의 결합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준다.
상기 거푸집 요소(98)의 해체를 위해 작업을 역순으로 실행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부(4)에 대해 약 75°의 각도로 상기 지지면(6)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은 해체 작업을 위해 유리하게 작용한다. 즉, 상기 경사면에 기초하여, 거푸집 요소(98)의 상측면, 이 상측면에 설치된 합판 및 콘크리트 슬라브 사이에 클램핑 효과(clamping effect)를 발생시킴이 없이 상기 거푸집 요소(98)를 도 7c의 위치로부터 도 7b의 위치로 선회시킬 수 있다. 거푸집으로부터의 분리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거푸집 요소(98)의 전체 부품은 상기 경사면에 의해 확실하게 하향 선회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거푸집 요소(98)의 설치 방향이 도 5 및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방향에 대해 90°의 각도만큼 틀어진 방향이 되도록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고정 요소(64)는 예를 들면 비임(2)의 절결부(12 또는 14) 중의 하나 또는 리세스(20, 22) 중의 하나와 결합한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선회과정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선회과정과 유사하다. 그러나, 도 8c에 도시된 비임(2)의 베이스부(4)의 후면을 인접 돌출부(70)의 지지면(78) 상에 지지시킴으로써 상기 고정 요소(64)가 리세스(20 또는 22)로부터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점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선회과정과 다르다.
도 9는 수직 지지체(9)의 헤드(28)에 4개의 비임(100, 102, 104, 106)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2개의 비임(100, 102)은 상호 일직선 상에 양 비임의 단부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정렬되어 있고, 다른 2개의 비임(104, 106)은 상기 비임(100, 102)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4개의 비 임(100 내지 106)은 모두 도 1에 도시된 비임(2)과 관련하여 설명한 방법으로 제작된 것이다. 상기 비임(100 내지 106)에는 하기의 고정 요소, 절결부 및 인접면이 각각 결합된다.
비임 100 : 고정 요소(56), 리세스(22), 인접면(74)
비임 102 : 고정 요소(62), 리세스(22), 인접면(76)
비임 104 : 고정 요소(52), 리세스(22), 인접면(80)
비임 106 : 고정 요소(66), 리세스(22), 인접면(86)
도 10은 모든 비임(100 내지 106)이 상호 평행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2개의 비임(100 및 106) 또는 다른 2개의 비임(102 및 104)는 상호 일직선 상에 양 비임의 단부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정렬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열에 있어서, 하기의 고정 요소, 리세스 및 인접면이 각각 결합된다.
비임 100 : 고정 요소(52), 리세스(22), 인접면(80)
비임 102 : 고정 요소(66), 리세스(22), 인접면(86)
비임 104 : 고정 요소(58), 리세스(22), 인접면(82)
비임 106 : 고정 요소(60), 리세스(22), 인접면(84)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헤드(28) 상에 1개 내지 4개의 비임을 원하는 배열로 구현할 수 있다. 각 비임(2)이 2개의 외측 리세스(20 또는 22) 중의 하나의 리세스를 통해 헤드(28)에 결합한 상태에서, 헤드(28)에 결합된 다른 모든 비임(2)과 완전히 독립된 상태로 상호 90°의 각도로 틀어진 비임(2)의 배열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25)

  1. 비임(2, 100-106)을 구비하는 복수의 거푸집 요소(98)를 포함하고, 상기 비임의 하측면은 수직 지지체(90)의 헤드플레이트(88)에 결합된 헤드(28)에 결합할 수 있고, 상기 비임의 횡단면은 베이스부(4)로부터 2개의 림이 외측으로 연장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C자형이고, 상기 2개의 림 중 하나는 수직 지지체(90)의 헤드플레이트(88)에 결합된 헤드(28)에 설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직 지지체(90)의 헤드플레이트(88)에 결합된 헤드(28)에는 지지면(6)의 리세스(20-26) 내에 결합하는 고정 요소(52-6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리세스(20-26)는 상기 비임(2, 100-106)을 상기 수직 지지체(90)에 상호 90°의 각도만큼 틀어진 2개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4)로부터 이격된 지지면(6)의 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2, 100-106)은 개방형 섹션 부재로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2, 100-106)의 지지면(6)은 상기 비임(2, 100-106)의 2개의 상호 이격된 단부 영역의 각각 내에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리세스(20-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52-66)의 각각이 상기 2개의 리세스(20-26)의 하나에 동시에 진입하여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지지면(6)의 적어도 2개의 리세스(20-26) 및 수직 지지체(90)의 헤드(28)의 2개의 고정 요소(52-66)는 상호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4)로부터 이격된 상기 지지면(6)의 단부에는 상향으로 연장된 또는 각이 지게 절곡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4)에 평행하게 연장된 돌출부(10)가 구비되어 있고, 이 돌출부에는 특히 V자형의 절결부(12-18)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절결부는 상기 지지면(6)에 형성된 리세스(20-26)와 상호 합쳐지도록 상기 리세스(20-26)에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0)는 상기 비임(2, 100-106)의 2개의 상호 이격된 단부 영역의 각각 내에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절결부(12-18)를 구비하고, 상기 각 절결부는 상기 지지면(6) 내의 대응하는 리세스(20-26)와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6)은 그 하측면이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면(6)의 하측면과 상기 베이스부(4) 사이의 각도가 90°보다 작은 각도, 바람직하게는 70°내지 80°사이의 각도가 되도록, 베이스부(4)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체(90)의 헤드플레이트(88)에는 그위에 지지 헤드(2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 헤드(28)는 상기 수직 지지체(90)의 종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면(32), 및 비임(2, 100-106)의 지지면(6)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20-26) 내에 결합하기 위한 상기 지지면(32)으로부터 절곡된 고정 돌출부(44-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헤드(28)는 지지헤드(28)의 하나에 4개의 고정 돌출부(44-50)가 구비되고, 이들 고정 돌출부는 특히 상기 지지 헤드(28)의 지지면(32)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헤드(28)의 인접하는 고정 돌출부(44-50)는 상호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32)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이고, 상기 고정 돌출부(44-50)는 각각 상기 지지면(32)의 대각선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림(6, 8)은 이림(6,8)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지지 헤드(28) 상에는 상기 비임(2, 100-106)의 베이스부(4)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한 인접 영역이 구비되어 있고, 특히 이 인접 영역의 인접면(72-86)은 상기 지지면(32)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총 8개의 인접 영역이 구비되어 있고, 이들 인접 영역의 인접면(72-86)은 특히 상기 고정 돌출부(44-50)에 대해 45°의 각도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헤드(28)는 U자형 절곡부(30)에 의해 4개의 인접 영역(80-8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32)은 지지면(32)의 외측으로 절곡시킨 각 인접 돌출부(68, 70)에 의해 각각 2개의 인접 영역(72, 74; 76, 7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헤드(28)는 상기 수직 지지체(90)에 착탈이 가능하게 또는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헤드(28)는 시판되는 수직 지지체(9)의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헤드 플레이트(88)에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헤드(28)는 상기 수직 지지체(90)의 헤드 플레이트(88)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헤드 플레이트(88) 상에 밀어 넣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지지 헤드(28)는 설치된 위치에서 지지헤드(28)의 지지면(32) 하측면이 상기 수직 지지체(90)의 헤드 플레이트(88) 상에 직접 재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20.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헤드(28)은 절곡, 주조 및/또는 단조가공된 단일체 강판 또는 플라스틱판으로 제작할 수 있고 상기 지지 헤드(28) 내에 유지되어 있는 스프링 부재(38)를 이용하여 수직 지지체(9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요소(98)는 이 거푸집과 수직 지지체(90) 사이의 각도가 90°보다 작은 각이 되는 위치에서 상기 수직 지지체(90) 및 상기 거푸집 요소(98)의 비임(2, 100-106)이 상호 후크 결합될 수 있고, 이와 같은 후크 결합을 유지하는 상태로, 상기 거푸집 요소(98) 및 수직 지지체(90) 사이의 각도가 약 90°의 각도가 되는 위치까지 상기 거푸집 요소(98)를 선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요소(98)가 상기 수직 지지체(90)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위치에서, 상기 거푸집 요소의 비임(2, 100-106)을 상기 수직 지지체(90)에 후크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요소(98)는 각각이 상호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하는 종방향 부재(92)를 구비하고, 상기 종방향 부재는 이 종방향 부재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부재(2, 100-106)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종방향 부재(98)의 상측은 합판(94)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횡부재(2, 100-106)의 상측은 상기 종방향 부재(98)의 하측에 접촉하고, 상기 횡부재(2, 100-106)의 하측은 전술항 청구항 중의 한 항에 따른 지지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요소는 비임(2, 100-106)을 구비하고, 이 비임의 상면은 합판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요소는 1개 또는 2개의 비임(2, 100-106)만을 구비하고, 이들 비임은 특히 직선형이고, 2개의 비임(2, 100-106)을 구비한 경우 이들 2개의 비임은 상호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KR1020067017791A 2005-07-04 2006-07-03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KR100821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31152A DE102005031152A1 (de) 2005-07-04 2005-07-04 Deckenschalungssystem
DE102005031152.0 2005-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668A KR20070041668A (ko) 2007-04-19
KR100821890B1 true KR100821890B1 (ko) 2008-04-16

Family

ID=37198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7791A KR100821890B1 (ko) 2005-07-04 2006-07-03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313079B2 (ko)
EP (1) EP1899552B1 (ko)
KR (1) KR100821890B1 (ko)
CN (1) CN101316976B (ko)
AU (1) AU2006265345B2 (ko)
DE (2) DE102005031152A1 (ko)
ES (1) ES2359334T3 (ko)
PT (1) PT1899552E (ko)
WO (1) WO2007003400A1 (ko)
ZA (1) ZA2007106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9849B2 (ja) * 2004-03-02 2011-03-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機構の取付構造
DE202006003836U1 (de) 2006-03-10 2006-06-14 Peri Gmbh Deckenschalungssystem
DE102006055306B4 (de) * 2006-11-23 2010-10-07 Peri Gmbh Stützenkopf für eine Deckenschalung
MY147923A (en) * 2009-06-29 2013-02-08 Khoo Tian A slab formwork system
DE102012206353A1 (de) * 2012-04-18 2013-10-24 Doka Industrie Gmbh Hebevorrichtung für Deckenschalungselemente sowie Verfahren
DE102015223773A1 (de) * 2015-11-30 2017-06-01 Peri Gmbh Stützenkopf, Deckenstütze und Deckenschalung mit einer solchen Deckenstütze
US10352052B2 (en) * 2016-03-24 2019-07-16 Faresin Building S.P.A. Formwork for performing horizontal castings for the provision of floors
US10053875B1 (en) * 2017-07-10 2018-08-21 Doka Gmbh Formwork support system and formwork support prop
US10407925B2 (en) 2017-07-10 2019-09-10 Doka Gmbh Method of installing a formwork support system, formwork support system and longitudinal beam
US10487521B2 (en) * 2017-07-10 2019-11-26 Doka Gmbh Formwork support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a formwork support system
EP3438365A1 (de) * 2017-08-02 2019-02-06 DOKA GmbH Deckenschal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eckenelements
IT201700099585A1 (it) * 2017-09-06 2019-03-06 Faresin Building S P A Dispositivo perfezionato di supporto per travi di sostegno di casseforme per solai
IT201800003425A1 (it) * 2018-03-12 2019-09-12 Faresin Formwork S P A "dispositivo perfezionato di supporto, del tipo a testa cadente, per travi di sostegno di casseforme per solai, attrezzatura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e trave di sostegno da associare al dispositivo"
DE202018102398U1 (de) 2018-04-30 2018-06-05 Nikken Lease Kogyo co., LTD Stützenkopf zur Stufenausbildung
EP3702550A1 (de) * 2019-02-27 2020-09-02 DOKA GmbH Schalungsrahmen, schalungselement, deckenschalung und verfahren
WO2020220080A1 (en) * 2019-04-29 2020-11-05 Wideform Pty Ltd Prop head for formwork shoring and method of using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0425A2 (de) 1983-07-02 1985-01-09 Hünnebeck-RöRo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Deckenschalung
GB2266114A (en) 1992-04-03 1993-10-20 Gerhard Dingler Ceiling formwork support
KR960701273A (ko) * 1993-02-20 1996-02-24 슈뵈러 아더 천장판
DE19616876A1 (de) 1996-04-26 1997-11-06 Reent Obernolte Gmbh & Co Kg Rahmenschalung für Betondecken
EP1314835A1 (en) 2001-10-22 2003-05-28 Ingenieria de Encofrados y Servicios, S.L. A beam for supporting shuttering panels
KR20060091016A (ko) * 2005-02-12 2006-08-17 김중삼 슬래브 거푸집용 가설빔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368A (en) * 1913-05-31 1914-10-13 John T Nesdall Stair structure.
US3978628A (en) * 1973-02-20 1976-09-07 Jack Turner Constructional units for stepped structures
CN2225509Y (zh) * 1995-06-15 1996-04-24 广州金鹏实业有限公司 天花吊顶龙骨多功能接头
DE19636091A1 (de) * 1996-09-05 1998-03-12 Hollmann Niels Erhöhte Plattform oder Bühne, insbesondere ausgebildet als Deckenschalung für das Betonieren
DE19720728A1 (de) * 1997-05-16 1998-11-26 Peri Gmbh Platte zur Unterstützung einer Deckenschalung
US6415891B1 (en) * 2000-11-08 2002-07-09 Yates Westley Hayman Scaffold stair
EP1384837B1 (en) * 2001-04-03 2009-06-03 ULMA C y E, S. COOP. Floor and roof formwork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0425A2 (de) 1983-07-02 1985-01-09 Hünnebeck-RöRo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Deckenschalung
GB2266114A (en) 1992-04-03 1993-10-20 Gerhard Dingler Ceiling formwork support
KR960701273A (ko) * 1993-02-20 1996-02-24 슈뵈러 아더 천장판
DE19616876A1 (de) 1996-04-26 1997-11-06 Reent Obernolte Gmbh & Co Kg Rahmenschalung für Betondecken
EP1314835A1 (en) 2001-10-22 2003-05-28 Ingenieria de Encofrados y Servicios, S.L. A beam for supporting shuttering panels
KR20060091016A (ko) * 2005-02-12 2006-08-17 김중삼 슬래브 거푸집용 가설빔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99552A1 (de) 2008-03-19
US20090294627A1 (en) 2009-12-03
DE102005031152A1 (de) 2007-01-18
AU2006265345A1 (en) 2007-01-11
ES2359334T3 (es) 2011-05-20
ZA200710648B (en) 2008-11-26
PT1899552E (pt) 2011-04-11
CN101316976B (zh) 2010-09-29
AU2006265345B2 (en) 2010-09-30
WO2007003400A1 (de) 2007-01-11
KR20070041668A (ko) 2007-04-19
EP1899552B1 (de) 2011-03-09
CN101316976A (zh) 2008-12-03
DE502006009059D1 (de) 2011-04-21
US8313079B2 (en) 201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890B1 (ko)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US8523137B2 (en) Slab formwork system
JP5593649B2 (ja) 太陽電池パネル支持装置
KR102189496B1 (ko) 벽체 배수판 설치용 조립식 프레임 시스템
KR101959041B1 (ko) 탈형 보 데크용 스페이서
US7992836B2 (en) Slab formwork system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slab formwork system of this type
US10508443B2 (en) Securing clip and system for installation of flooring elements comprising such a securing clip
KR102039732B1 (ko) 보 거푸집 지지장치
KR20160004617A (ko)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JP2011027184A (ja) 組立式スチール棚用コーナー金具、及びコーナー金具の取付け方法
KR101070585B1 (ko) 그레이팅 패널 고정구
KR200320244Y1 (ko) 조립식 선반틀
KR102181071B1 (ko) 곡면형 벽체 형성용 거푸집 체결장치
JP6815248B2 (ja) アンカーボルト支保装置
KR200277910Y1 (ko)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
JP2617740B2 (ja) 型枠装置
KR200375106Y1 (ko) 건축용 거푸집 판넬 체결부재
JP2600244Y2 (ja) 天井下地格子枠の結合構造
JP2014077254A (ja) コンクリート壁の吸音板取付構造
KR100401015B1 (ko) 피씨빔 공법에 적용되는 크로스빔 콘크리트 타설용 강재거푸집
KR200394623Y1 (ko) 유로폼 보강재을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
KR200294797Y1 (ko) 슬라브 거푸집용 지지판 고정부재
KR102004130B1 (ko) 보시공용 보브라켓
KR20090011851U (ko) 광폭 클립 체결공을 갖는 천장 보드용 메인 티바
JPH058478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