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617A -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 Google Patents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617A
KR20160004617A KR1020140083165A KR20140083165A KR20160004617A KR 20160004617 A KR20160004617 A KR 20160004617A KR 1020140083165 A KR1020140083165 A KR 1020140083165A KR 20140083165 A KR20140083165 A KR 20140083165A KR 20160004617 A KR20160004617 A KR 20160004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clip
wing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케이
Priority to KR1020140083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617A/ko
Publication of KR20160004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선에 못이나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되도록 체결홀이 형성되는 고정부가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장선 상에 위치하는 데크 판재 사이에 설치되도록 U자의 측면형상을 가지는 클립본체; 상기 클립본체의 상부 양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됨으로써 수평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데크 판재 각각의 측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결합홈 각각에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날개부; 상기 제 1 날개부에 마련되고, 상기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박힘으로써 데크 판재를 고정시키는 상부후크부; 상기 제 2 날개부에 마련되고, 상기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 중 다른 하나의 내측에 지지됨으로써 데크 판재를 고정시키는 지지부; 및 상기 클립본체의 하단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는 장선에 박힘으로써 상기 클립본체를 고정시키는 하부후크부;를 포함하는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고, 데크 판재의 손상을 줄이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외부 충격이나 기후 변화 또는 수분으로 인한 물성 변화에도 데크 판재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비노출 타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른 녹 발생 등과 같은 부식을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한다.

Description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Deck clip and deck assembl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크 판재와의 체결이 견고하면서도 용이하도록 하는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내부 바닥이나 벽면, 실외 산책로, 전원 주택 등에는 목재의 데크 조립체(deck assembly)가 마감재로 주로 사용된다. 이는 목재 데크 조립체가 다른 재료에 비해 자연친화적이고,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조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편안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의 데크 조립체에서 데크 판재를 고정하는 클립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24270호의 "데크고정 클립"이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데크의 하지 장선과 데크 상판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클립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한쪽은 중심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홈에 의해 양날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양날개부 면상에 장선 고정공이 형성되고, 다른 쪽은 상기 양날개부와 이어져 중간부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의 앞쪽 중심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상기 연결홈과 동일한 형상의 연결돌출부가 형성되어 중간부와 상기 연결돌출부 면상에 상판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 상의 양날개부를 가로질러 장선 고정공의 안쪽으로 상판 밀착바를 세워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클립의 고정을 위하여 많은 고정나사의 체결을 요구함으로써 시공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고정나사의 체결 등으로 인해 데크 판재의 손상을 초래하며, 외부 충격이나 기후 변화, 수분으로 인한 물성 변화에 의해 데크 판재의 고정력이 쉽게 약화될 수 있고, 클립이 데크 판재의 외측으로 노출됨으로써 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시간이 흐름에 따라 클립의 녹 발생 등과 같은 부식을 외부에서 쉽게 볼 수 있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고, 데크 판재의 손상을 줄이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이며, 외부 충격이나 기후 변화 또는 수분으로 인한 물성 변화에도 데크 판재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깔끔한 모습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장선에 못이나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되도록 체결홀이 형성되는 고정부가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장선 상에 위치하는 데크 판재 사이에 설치되도록 U자의 측면형상을 가지는 클립본체; 상기 클립본체의 상부 양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됨으로써 수평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데크 판재 각각의 측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결합홈 각각에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날개부; 상기 제 1 날개부에 마련되고, 상기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박힘으로써 데크 판재를 고정시키는 상부후크부; 상기 제 2 날개부에 마련되고, 상기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 중 다른 하나의 내측에 지지됨으로써 데크 판재를 고정시키는 지지부; 및 상기 클립본체의 하단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는 장선에 박힘으로써 상기 클립본체를 고정시키는 하부후크부;를 포함하는 데크 클립이 제공된다.
상기 클립본체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제 1 및 제 2 수직부가 수직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직부에 상기 제 2 날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 2 수직부가 상기 제 1 수직부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수직부 각각에 상기 제 2 날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클립본체는, 상기 제 2 수직부 각각이 측부에 마련되는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 1 수직부의 양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날개부는, 양측이 상기 결합홈의 형성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돌출 형성되고, 돌출 형성되는 끝단마다 상기 상부후크부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끝단이 상방을 향하면서 요철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홈(211) 내에 텐션에 의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후크부는, 상기 제 1 수직부의 하단에 상기 고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날개부의 반대측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하부후크부; 및 상기 제 2 수직부 각각의 하단에 상기 고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날개부의 반대측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하부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크 클립은, 상기 데크 판재의 하측에 직교하는 상기 장선 각각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데크 판재 사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로 간격을 두고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장선; 상기 장선 상에 고정되는 데크 클립; 상기 데크 클립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데크 클립을 매개로 상기 장선 상에 나란하도록 다수로 고정되는 데크 판재; 및 상기 데크 판재와 상기 장선의 조립 구조물 테두리에 고정되는 마감재;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 클립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데크 클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에 의하면,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고, 데크 판재의 손상을 줄이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데크 판재를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기후 변화 또는 수분으로 인한 물성 변화에도 데크 판재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비노출 타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른 녹 발생 등과 같은 부식을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깔끔한 모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데크 클립을 상이한 방향에서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데크 클립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데크 클립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데크 클립의 사용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데크 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체의 제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데크 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체에서 데크 판재와 데크 클립의 조립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해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특정한 실시례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데크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데크 클립(100)은 클립본체(110), 제 1 및 제 2 날개부(120,130), 상부후크부(140), 지지부(150) 및 하부후크부(160,1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철 등의 금속이나 스테인레스스틸 등의 금속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프레스에 의한 커팅 및 절곡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서 그 표면에 빛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탑코트(topcoat)로 코팅될 수 있다.
클립본체(110)는 장선(220; 도 5에 도시)에 못이나 나사(180)를 사용하여 고정되도록 체결홀(111a)이 형성되는 고정부(111)가 하부에 마련되고, 장선(220) 상에 위치하는 데크 판재(210; 도 5에 도시) 사이에 설치되도록 U자의 측면형상을 가진다. 클립본체(110)는 체결홀(111a)이 고정부(111)에 직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됨은 물론, 경사진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못이나 나사(180)가 수직되게 장선(220; 도 5에 도시)에 고정됨을 물론, 못이나 나사(180)가 필요에 따라 경사지게 장선(220; 도 5에 도시)에 고정될 수도 있다.
클립본체(110)는 예컨대 고정부(11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제 1 및 제 2 수직부(113,114)가 수직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 1 수직부(113)에 제 2 날개부(13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 2 수직부(114)가 제 1 수직부(113)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수직부(114) 각각에 제 2 날개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수직부(114) 각각은 측부에 마련되는 연결부(115)에 의해 제 1 수직부(113)의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 1 수직부(113)와의 간격 및 텐션 유지에 유리하도록 한다.
제 1 및 제 2 날개부(120,130)는 클립본체(110)의 상부 양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됨으로써 수평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데크 판재(210; 도 5에 도시) 각각의 측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결합홈(211; 도 5에 도시) 각각에 삽입된다. 제 1 및 제 2 날개부(120,130)는 U자의 측면형상을 가지는 클립본체(110)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데크 판재(210)의 결합홈(211) 내측에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다. 제 1 날개부(120)는 양측이 결합홈(211)의 형성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 1 수직부(113)의 폭에 비하여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돌출 형성되는 끝단마다 상부후크부(140)가 하방으로 단일 또는 다수로 돌출되도록 절곡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후크부(140)는 본 실시례에서 제 1 날개부(120)의 끝단마다 2개씩 형성된다.
상부후크부(140)는 제 1 날개부(120)에 마련되고,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211; 도 5에 도시)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박힘으로써 데크 판재(210)를 고정시킨다.
지지부(150)는 제 2 날개부(130)에 마련되고,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211; 도 5에 도시) 중 다른 하나의 내측에 지지됨으로써 데크 판재(210; 도 5에 도시)를 고정시킨다. 지지부(150)는 끝단이 상방을 향하면서 요철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됨으로써 결합홈(211) 내에 텐션에 의해 밀착될 수 있는데, 이의 작용에 대해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지지부(150)는 결합홈(211) 내에서 위치할 경우, 데크 판재(210)를 장선(220; 도 5에 도시)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절곡 형상 및 규격을 가질 수 있다.
하부후크부(160,170)는 클립본체(110)의 하단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고정부(111)가 고정되는 장선(220; 도 5에 도시)에 박힘으로써 클립본체(110)를 고정시킨다. 하부후크부(160,170)는 못이나 나사(180)에 의해 고정부(111)가 장선(220)에 고정되는 힘에 의해,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고서도 장선(220)에 막힐 수 있다.
하부후크부(160,170)는 제 1 수직부(113)의 하단에 고정부(111)를 사이에 두고 제 1 날개부(130)의 반대측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하부후크부(160)와, 제 2 수직부(114) 각각의 하단에 고정부(111)를 사이에 두고 제 2 날개부(140)의 반대측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하부후크부(170)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클립본체(110)는 제 1 및 제 2 하부후크부(160,170)에 의해 장선(220; 도 5에 도시)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1)에 의해 장선(220) 상에 고정된 데크 클립(100)은, 데크 판재(210)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날개부(120,130) 각각이 데크 판재(210) 각각의 측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미리 형성된 결합홈(211)에 삽입되는데, 이때 상부후크부(140)가 결합홈(211)의 내측에 박히게 됨으로써 데크 판재(2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고, 하부후크부(160,170)가 장선(220) 상에 박힘으로써 장선(220)에 단단히 고정되어, 데크 판재(210)와 장선(220)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으며, 지지부(150)가 결합홈(211) 내에 지지되도록 삽입되어 데크 판재(210)를 장선(220)에 밀착되게 고정시키게 된다.
데크 클립(100)은 데크 판재(210)의 하측에 직교하는 장선(220) 각각에 고정됨으로써 데크 판재(210) 사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날개부(130)에는 후크부가 형성되지 않고서, 지지부(15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지지부(150)는 끝단이 상방을 향하면서 요철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됨으로써 결합홈(211) 내에 텐션에 의해 밀착될 수 있다. 즉 지지부(150)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하로 요철을 이루도록 곡률되게 형성됨으로써 텐션을 가짐과 아울러, 결합홈(211) 내에 삽입시 이러한 텐션에 의해 밀착되도록 하고, 끝단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도 10에서와 같이, 고정시키고자 하는 데크 판재(210)가 비스듬한 상태에서 결합홈(211) 내에 쉽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데크 클립(100)에 따르면, 클립본체(110)는 U자형, 일례로 필기체의 U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탄성력을 가지고, 이로 인해 제 1 및 제 2 날개부(120,130)뿐만 아니라, 서로 인접하는 데크 판재(210)에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그 설치를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부후크부(140), 지지부(150) 및 하부후크부(160,170)에 의해 데크 판재(210)가 장선(220)상에 안정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부후크부(140)와 지지부(150)에 의해 데크 판재(210)의 결합홈(211) 내측에 박히거나 끼워짐으로써, 데크 판재(21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면서도 데크 판재(210)의 고정이 용이해지도록 하고, 이로 인해 데크 판재(210)가 외부 변화에 의해 서로 벌어지려고 할 때 잡아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데크 판재(210) 사이의 틈이 확장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데크 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체의 제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데크 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체(200)는 서로 간격을 두고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장선(220)과, 장선(220) 상에 고정되는 데크 클립과, 데크 클립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배치됨으로써 데크 클립을 매개로 장선(220) 상에 나란하도록 다수로 고정되는 데크 판재(210)와, 데크 판재(210)와 장선(220)의 조립 구조물 테두리에 고정되는 마감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크 클립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데크 클립(100)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이후에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설명하기로 한다.
데크 판재(210)는 목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일례로 직사각형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장선(220)에 고정되는 데크 클립(100)의 제 1 및 제 2 날개부(120,130)가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211) 내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장선(220)에 대한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데크 판재(210)는 두께의 정중앙을 중심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21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결합홈(211)은 데크 클립(100)의 제 1 및 제 2 날개부(120,130)와 상부후크부(140) 및 지지부(150)에 의해 고정되기에 적합한 높이나 폭 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못이나 나사(212)를 사용하여 장선(2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데크 판재(210)의 결합홈(211)은 제 1 및 제 2 날개부(120,130)와 상부후크부(140) 및 지지부(150)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데크 판재(210)의 상부에서 전해지는 보행자로부터의 충격이나, 외부 기후에 의한 수분에 의해 야기되는 데크 판재(210)의 물성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데크 클립(100)의 제 1 및 제 2 날개부(120,130)와 상부후크부(140) 및 지지부(150)에 의해 데크 판재(210)가 장선(220)에 제대로 고정되도록 한다. 데크 판재(210)와 장선(220)의 조립 결과물 테두리에는 마감재(230)가 못이나 나사(231)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마감재(230)는 데크 판재(210) 및 장선(220)과 마찬가지로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들과 함께 일례로 육면체 구조의 데크 조립체(200)를 이루게 된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데크 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체에서 데크 판재와 데크 클립의 조립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의 데크 판재(210)는 장선(220) 상의 일측에 위치된 다음, 천공된 홀을 통해서 나사(212)를 사용하여 장선(22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데크 판재(210)는 보행자가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소를 제공하도록 하며, 양측면에 결합홈(211)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데크 판재(210)는 장선(220) 상에 90도로 직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선(220) 상에 최초의 데크 판재(210)를 설치한 다음, 데크 클립(100)을 고정부(111; 도 1에 도시)에 대한 못이나 나사(180; 도 4에 도시)의 체결에 의해 장선(220)상에 고정시키는데, 이때 데크 클립(100)의 제 1 날개부(120; 도 1에 도시)와 상부후크부(140; 도 1에 도시)가 최초 데크 판재(210)의 결합홈(211) 내에 삽입됨으로써 이를 고정시킨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 클립(100)의 고정을 마치면, 후속의 데크 판재(210)를 결합홈(211; 도 5에 도시)에 데크 클립(100)의 제 2 날개부(130; 도 1에 도시)와 지지부(150; 도 1에 도시)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해머 등을 이용하여 후속의 데크 판재(210)가 데크 클립(100) 측으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 판재(210)를 경사진 상태로 하여 결합홈(211)에 제 2 날개부(130)와 지지부(150)가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선(220) 상에 데크 클립(100)과 데크 판재(210)를 교대로 고정시키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장선(220) 상에서 데크 판재(210)가 데크 클립(100)을 매개로 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최종의 데크 판재(210)는 최초의 데크 판재(210)와 마찬가지로 나사를 이용하여 장선(2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 판재(210)의 고정을 모두 마치면, 마감재(230)를 나사(231)에 의해 데크 판재(210)와 장선(220)의 조립 결과물 테두리마다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마감재(230)는 그 높이가 데크 판재(210)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에 따르면,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고, 데크 판재의 손상을 줄이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데크 판재를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기후 변화 또는 수분으로 인한 물성 변화에도 데크 판재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비노출 타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른 녹 발생 등과 같은 부식을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깔끔한 모습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클립본체 111 : 고정부
111a : 체결홀 113 : 제 1 수직부
114 : 제 2 수직부 115 : 연결부
120 : 제 1 날개부 130 : 제 2 날개부
140 : 상부후크부 150 : 지지부
160 : 제 1 하부후크부 170 : 제 2 하부후크부
180 : 나사 210 : 데크 판재
211 : 결합홈 212 : 나사
220 : 장선 230 : 마감재
231 : 나사

Claims (9)

  1. 장선(220)에 못이나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되도록 체결홀(111a)이 형성되는 고정부(111)가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장선(220) 상에 위치하는 데크 판재(210) 사이에 설치되도록 U자의 측면형상을 가지는 클립본체(110);
    상기 클립본체(110)의 상부 양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됨으로써 수평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데크 판재(210) 각각의 측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결합홈(211) 각각에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날개부(120,130);
    상기 제 1 날개부(120)에 마련되고, 상기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211)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박힘으로써 데크 판재(210)를 고정시키는 상부후크부(140);
    상기 제 2 날개부(130)에 마련되고, 상기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211) 중 다른 하나의 내측에 지지됨으로써 데크 판재(210)를 고정시키는 지지부(150); 및
    상기 클립본체(110)의 하단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111)가 고정되는 장선(220)에 박힘으로써 상기 클립본체(110)를 고정시키는 하부후크부(160,1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본체(110)는,
    상기 고정부(11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제 1 및 제 2 수직부(113,114)가 수직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직부(113)에 상기 제 2 날개부(130)가 마련되며, 상기 제 2 수직부(114)가 상기 제 1 수직부(113)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수직부(114) 각각에 상기 제 2 날개부(13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클립.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립본체(110)는,
    상기 제 2 수직부(114) 각각이 측부에 마련되는 연결부(115)에 의해 상기 제 1 수직부(113)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클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날개부(120)는,
    양측이 상기 결합홈(211)을 형성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돌출 형성되고, 돌출 형성되는 끝단마다 상기 상부후크부(140)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클립.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50)는,
    끝단이 상방을 향하면서 요철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홈(211) 내에 텐션에 의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클립.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후크부(160,170)는,
    상기 제 1 수직부(113)의 하단에 상기 고정부(11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날개부(130)의 반대측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하부후크부(160); 및
    상기 제 2 수직부(114) 각각의 하단에 상기 고정부(11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날개부(140)의 반대측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하부후크부(1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클립.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크 클립(100)은,
    상기 데크 판재(210)의 하측에 직교하는 상기 장선(220) 각각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데크 판재(210) 사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클립.
  8. 서로 간격을 두고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장선(220);
    상기 장선(220) 상에 고정되는 데크 클립;
    상기 데크 클립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데크 클립을 매개로 상기 장선(220) 상에 나란하도록 다수로 고정되는 데크 판재(210); 및
    상기 데크 판재(210)와 상기 장선(220)의 조립 구조물 테두리에 고정되는 마감재(230);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 클립은,
    장선(220)에 못이나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되도록 체결홀(111a)이 형성되는 고정부(111)가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장선(220) 상에 위치하는 데크 판재(210) 사이에 설치되도록 U자의 측면형상을 가지는 클립본체(110);
    상기 클립본체(110)의 상부 양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됨으로써 수평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데크 판재(210) 각각의 측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결합홈(211) 각각에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날개부(120,130);
    상기 제 1 날개부(120)에 마련되고, 상기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211)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박힘으로써 데크 판재(210)를 고정시키는 상부후크부(140);
    상기 제 2 날개부(130)에 마련되고, 상기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211) 중 다른 하나의 내측에 지지됨으로써 데크 판재(210)를 고정시키는 지지부(150); 및
    상기 클립본체(110)의 하단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111)가 고정되는 장선(220)에 박힘으로써 상기 클립본체(110)를 고정시키는 하부후크부(160,170); 를 포함하는 데크 클립(1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데크 클립(100)은, 상기 데크 판재(210) 사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체.
KR1020140083165A 2014-07-03 2014-07-03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KR20160004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165A KR20160004617A (ko) 2014-07-03 2014-07-03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165A KR20160004617A (ko) 2014-07-03 2014-07-03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617A true KR20160004617A (ko) 2016-01-13

Family

ID=55172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165A KR20160004617A (ko) 2014-07-03 2014-07-03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61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3066A (zh) * 2016-12-16 2019-07-30 瓦林格创新股份有限公司 设置有连接系统的甲板板块组件
KR102092380B1 (ko) * 2019-06-24 2020-03-24 박상순 데크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234806B1 (ko) * 2020-07-24 2021-04-01 (주) 나무들 고정클립을 구비한 데크 장치
KR102556996B1 (ko) * 2023-02-01 2023-07-17 양우임 데크 고정용 탄성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의 시공방법
KR102628434B1 (ko) * 2023-02-08 2024-01-24 주식회사 엔엔티 고정클립 및 이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목재판재 및 목재덱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3066A (zh) * 2016-12-16 2019-07-30 瓦林格创新股份有限公司 设置有连接系统的甲板板块组件
CN110073066B (zh) * 2016-12-16 2022-09-09 瓦林格创新股份有限公司 装饰板块组件
KR102092380B1 (ko) * 2019-06-24 2020-03-24 박상순 데크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234806B1 (ko) * 2020-07-24 2021-04-01 (주) 나무들 고정클립을 구비한 데크 장치
KR102556996B1 (ko) * 2023-02-01 2023-07-17 양우임 데크 고정용 탄성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의 시공방법
KR102628434B1 (ko) * 2023-02-08 2024-01-24 주식회사 엔엔티 고정클립 및 이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목재판재 및 목재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0900B1 (ko) 목재데크시스템
KR20160004617A (ko)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KR101848258B1 (ko) 나사못이 필요 없는 목재 데크 판재용 원터치 탄성 고정 장치
US7716892B2 (en) Ceiling panel system
JP6548427B2 (ja) 外壁部材の留付補助具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170293B1 (ko) 목재고정용 히든클립 및 이를 이용한 목재패널 체결구조
KR101476775B1 (ko)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KR101260667B1 (ko) 데크 플레이트 고정 구조
KR20130000374U (ko) 데크 클립
JP3940621B2 (ja) 床構造、床パネル及びユニット建物
KR20150116505A (ko) 목재 데크 구조물
JP5172607B2 (ja) 扁平柱と梁との接合部構造
JP5442365B2 (ja) 補強梁接合金物
KR101229895B1 (ko) 목재 데크 클립 및 이를 사용한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
KR200436794Y1 (ko) 천장용 패널
KR200396804Y1 (ko) 바닥재용 조립데크
KR101844721B1 (ko) 목재데크시스템
JP4684674B2 (ja) 板材施工方法及び板材施工構造
JP2005344371A (ja) 床構造体及びテラスデッキ
JP2008031737A (ja) 壁パネルと天井下地材の連結構造
JP6038432B2 (ja) ガラス間仕切りの天井構造
JP6347483B2 (ja) 床板の固定具
KR101378077B1 (ko) 목재 데크 연결용 클립
KR20160140016A (ko) 목재 데크용 고정 클립
JP5749663B2 (ja) 柱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