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895B1 - 목재 데크 클립 및 이를 사용한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목재 데크 클립 및 이를 사용한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895B1
KR101229895B1 KR1020100112524A KR20100112524A KR101229895B1 KR 101229895 B1 KR101229895 B1 KR 101229895B1 KR 1020100112524 A KR1020100112524 A KR 1020100112524A KR 20100112524 A KR20100112524 A KR 20100112524A KR 101229895 B1 KR101229895 B1 KR 101229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clip
wing
wood
woo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1207A (ko
Inventor
김인환
기종석
김현규
Original Assignee
(주)이건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건환경 filed Critical (주)이건환경
Priority to KR1020100112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8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51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94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하고 난 다음 데크 클립이 데크의 상측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데크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하며, 클립 자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클립의 상부에서 데크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데크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 및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흡수해 줌으로써, 설치된 데크가 시각적으로도 자연스럽고 보행자에게도 편안함을 줄 수 있는 목재 데크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 클립은, 판상(板狀)부재의 양측을 '⊃' 형상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하여 상면과 하면 사이에 공간부가 생기도록 형성한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하면 단부(端部)를 하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양단부(兩端部)에서 길이방향 양단의 모서리 부분을 외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모서리 절곡부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의 상면 중앙에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재 데크 클립 및 이를 사용한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Deck fastener and fixed structure of deck}
본 발명은 목재 데크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 및 이를 사용하여 고정한 데크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결시 데크 클립이 데크의 상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데크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하고, 클립 자체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데크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 및 움직임을 흡수해 줄 수 있는 목재 데크 클립 및 이를 사용한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사회적으로 친환경 붐이 일면서 등산로, 공원 내에 설치한 산책로, 호수 주변, 광장 또는 도로변에 위치한 상가 앞의 바닥과 같은 실내외의 바닥면을 마감하는 데 있어 다른 재료에 비해 자연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충격이나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해 주고, 시각적으로도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주는 목재 데크를 바닥 마감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목재 데크는 내구성이 탁월하고 보수유지가 간편하며, 보행시 탄력성 및 충격흡수 기능이 좋아서 보행자가 피로감을 덜 느끼는 등 많은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목재 데크 구조물은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목재 데크를 지지하는 받침목을 설치하고, 그 위에 목재 데크를 얹어 놓고 데크의 상부에서 못이나 피스와 같은 고정수단을 박아 받침목과 데크를 결합 고정하여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못이나 피스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고정시키면, 데크의 상부에서 고정수단을 박을 때 데크가 갈라지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고정수단의 머리부분이 데크 상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으며, 눈이나 비를 맞고 건조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목재에 변형이 생기게 되고 보행자가 데크를 밟고 왕래함에 따라 목재가 충격과 진동을 반복하여 받기 때문에 고정수단이 풀리거나 헐거워져서, 결국에는 고정수단이 데크 상부로 돌출되어 보행자의 신발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면서 신체에 상처를 입게 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기술이 출현하였고, 그 중 하나가 특허등록 제974947호 "비노출형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고정구조"인데,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데크 클립은 바닥면(1)과 양측면(2) 및 양측면에서 각각 연장되는 날개(3)를 구비하며, 날개(3)는 양단부에서 경사지게 외향 연장되어 목재 패널의 수용홈(4) 상면에 접촉되어 양측 목재 패널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날개 절곡부(3a)와, 날개의 하면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목재 패널의 수용홈(4) 하면에 접촉되어 날개 절곡부(3a)와 함께 목재 패널을 고정하는 비드(3b)와, 고정수단(5)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3c)으로 구성되고, 상기 양측면(2)은 수직방향에서 상측으로 내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맞대어져 구성되며, 설치된 전체 데크 면적의 단부는 마감재(6)를 부착시킨다.
그러나 상기 데크 클립은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날개의 상향 절곡된 양 단부(端部)가 목재 패널의 수용홈 상부에 박히면서 하향 돌출된 비드가 수용홈의 하부에 박혀서 고정되기 때문에 클립 자체가 패널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 및 움직임을 흡수해 줄 수 없고,
둘째, 설치시 데크 클립이 받침목에 닿아서 설치되기 때문에, 보행자가 걸어다니면서 데크가 충격과 진동을 받게 되어 시간이 갈수록 데크와 데크 클립의 체결이 헐거워지게 되고, 결국에는 데크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움직이게 되며,
셋째, 데크 설치 작업에 있어서도 하나의 데크를 받침대 위에 놓고 데크의 일측 수용홈에 클립의 날개를 삽입하여 고정수단으로 클립을 받침대에 고정한 다음, 그 다음 줄에 위치할 데크의 수용홈을 상기 고정된 클립에 망치로 쳐서 끼워넣고 반대편 수용홈에서 다시 클립을 고정하는 작업을 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데크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원이 소요되며,
넷째, 데크의 길이방향으로 측면에 형성된 수용홈을 따라 상부와 하부의 폭이 달라서(즉, 데크의 단면(斷面)이 등변사다리꼴) 설치된 전체 데크의 가장자리 단부(端部) 하부가 안쪽으로 들어가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마감재를 부착시켜서 마감을 해야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하고 난 다음 데크 클립이 데크의 상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데크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하며, 클립 자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클립의 상부에서 데크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데크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 및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흡수해 줌으로써, 설치된 데크가 시각적으로도 자연스럽고 보행자에게도 편안함을 줄 수 있는 목재 데크 클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크의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사용시 일부 데크가 파손되더라도 필요한 부분만 간편하게 교체함으로써 설치비용과 유지 보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데크를 고정하는데 상기와 같은 데크 클립을 사용함으로써 설치하고 난 후에 보행할 때 데크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 및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흡수해 줌으로써, 설치된 데크가 자연스러우면서도 보행자에게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 클립은, 판상(板狀)부재의 양측을 '⊃' 형상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하여 상면과 하면 사이에 공간부가 생기도록 형성한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하면 단부(端部)(즉, 판상부재의 단부)를 하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양단부(兩端部)에서 길이방향 양단의 모서리 부분을 외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모서리 절곡부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의 상면 중앙에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는,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클립 수용홈이 형성된 목재 데크; 상기 목재 데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 데크 설치 면적의 가장자리에 체결되는 터미널클립; 상기 목재 데크와 목재 데크 사이에 체결되고, 판상(板狀)부재의 양측을 '⊃' 형상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날개부가 인접하여 위치한 목재 데크의 각 클립 수용홈에 삽입되며, 상기 날개부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피스를 체결하여 상기 받침목에 고정되는 데크 클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터미널클립은, 판상(板狀)부재의 일단(一端)을 '⊃' 형상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하여 상면과 하면 사이에 공간부가 생기도록 형성되어, 체결시 상기 공간부가 가장자리에 위치한 목재 데크의 일측 클립 수용홈에 삽입되는 날개부; 상기 라운드진 부분의 타단(他端)이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下端部)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상기 날개부와 평행하도록 형성하고, 중앙부분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로 구성되며, 체결시 상기 체결공을 통해 피스를 체결하여 받침목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 클립은, 데크 측면에 형성된 클립 수용홈에 수용되고 클립이 데크 상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설치된 데크의 외관을 더욱 자연스럽고 미려하게 해주며, 데크 클립 자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클립의 날개부 상면에서 데크가 유동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데크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 및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흡수해 줄 수 있어서, 설치된 데크가 시각적으로 자연스럽고 보행자에게는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또 클립이 고정수단에 의해 받침목에 고정되고 클립의 모서리 돌출부가 데크의 측면에 박히면서 데크 클립이 받침목에 닿지 않게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이나 기후 변화 또는 습기에 의해 목재 데크의 형상 변화가 생기더라도 목재 데크 사이의 틈이 더 벌어지거나 목재 데크가 클립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을 사용하는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는, 데크 사이에 클립을 임시로 삽입하여 전체 데크를 전개한 다음, 데크 사이에 삽입된 클립만을 피스로 받침목에 체결하면 설치작업이 모두 끝나기 때문에 데크의 설치작업이 간편하여 설치비용이 적게 들고, 사용시 일부 데크가 파손되더라도 필요한 부분만 클립을 해체한 다음 데크를 삽입하고 다시 클립을 체결하는 것으로 교체작업이 끝나기 때문에 유지 보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데크를 고정 설치하는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데크 클립을 사용함으로써 설치하고 난 후에 데크 위를 보행할 때 데크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 및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흡수해 줌으로써, 설치된 데크가 외관이 자연스러우면서도 보행자에게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데크의 단면이 등변사다리꼴이 아니라 직사각형이기 때문에 설치된 전체 데크의 가장자리 단부(端部)에 별도의 마감재를 부착할 필요가 없다.
도 1a와 1b는 종래의 데크 클립 및 데크 고정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클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클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클립은 목재 데크(20)를 그 하부에 설치된 받침목(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데크 클립(30)은 전체적으로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날개부(31)와 돌출부(33) 및 모서리 절곡부(34)로 구성된다.
날개부(31)는 판상(板狀)부재의 양측을 '⊃' 형상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하여 상면(31a)과 하면(31b) 사이에 공간부(32)가 생기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체결시 공간부(32)가 목재 데크(20)의 측면에 형성된 클립 수용홈(21)에 삽입되는 부분이며, 데크 설치작업이 끝난 후 데크가 수직으로 하중을 받았을 때, 공간부(32)가 형성되어 있어서 데크 클립(30)의 날개부 상면(31a)이 상하로 진동하면서 하중을 흡수해 주게 된다.
또한 날개부의 상면(31a) 중앙에는 체결공(35)이 형성되어 있어서, 체결시 체결공(35)을 통해 피스(50)나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받침목(10)에 고정시키게 되며, 날개부의 상면(31a)은 폭 방향으로 봤을 때 단면(斷面)의 중앙부분을 상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둥그런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여 수직하중을 받았을 때 상하로 진동하면서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33)는 날개부의 하면(31b) 단부(端部)(판상 부재의 단부를 지칭함. 도 3 참조)를 하향으로 절곡하여 수직으로 형성한 부분으로, 체결시 인접하는 목재데크(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시 돌출부(33)가 받침목(10)에 닿지 않고 모서리 절곡부(34)가 목재 데크(20)의 측면에 박혀서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 후 시간이 지나더라도 목재 데크(20)와 데크 클립(30)이 체결이 헐거워지거나 풀리지 않게 된다.
모서리 절곡부(34)는 돌출부(33)의 양단부(兩端部)에서 길이방향 양단의 모서리 부분을 외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구성으로, 체결시 목재 데크(20)의 측면에 박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목재 데크의 측면에 박히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나 기후 변화 또는 습기가 침투하여 목재 데크에 변형이 생기더라도 목재 데크 사이의 틈이 더 벌어지거나 클립이 목재 데크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를 설명하면, 목재 데크(20)를 설치하고자 하는 면에 받침목(10)이 설치되고, 받침목(10)의 상부에 목재데크(20)를 고정 설치하는 구조인데, 설치작업을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전체 데크 설치 면적의 가장자리에 터미널클립(40)을 받침목(10)에 고정시킨 다음, 터미널클립(40)의 날개부(41)에 목재 테크의 일단(一端) 클립 수용홈(21)을 끼운 후, 상기 목재 테크의 타단 클립 수용홈(21)에 데크 클립(30)의 날개부(31)를 삽입하고,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음 목재 데크의 일단 클립 수용홈(21)에 상기 데크 클립(30)의 날개부(31)를 삽입하고, 같은 방법으로 목재 데크와 데크 클립(30)을 계속 설치한 다음, 반대편 가장자리에 터미널클립(40)을 받침목(10)에 고정시키고 목재 데크를 설치하여 전체 목재 데크의 전개가 끝나면, 목재 데크 사이사이에 삽입된 데크 클립(30)의 체결공(35)에 피스(50)와 같은 고정수단을 받침목(10)에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목재 데크(20)는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클립 수용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단면(斷面) 형상이 직사각형이기 때문에 클립 수용홈(21)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의 폭이 동일해서, 전체 데크 설치 면적의 가장자리 단부(端部)에 별도의 마감재를 부착하지 않아도 단부 마감처리가 깔끔하게 된다. 목재 데크는 천연목재 또는 천연목재 파티클(particle)과 고분자를 혼합 압출하여 생산한 합성목재(Wood polymer composites)로 제작된 것이다.
터미널클립(40)은 전체 데크 설치 면적의 가장자리에 목재 데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받침목에 고정 체결되는 구성인데, 터미널 클립(40)은 날개부(41)와 수직부(43) 및 수평부(44)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터미널클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터미널클립의 날개부(41)는, 판상(板狀)부재의 일단(一端)을 '⊃' 형상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하여 상면(41a)과 하면(41b) 사이에 공간부(42)가 생기도록 형성되어, 체결시 설치한 전체 데크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목재 데크의 일측 클립 수용홈(21)에 공간부(42)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상면(41a)과 하면(41b)은 수평면과 나란히 평평하게 형성된다.
수직부(43)는 날개부(41)의 라운드진 부분의 타단(他端)을 수직으로 하향 절곡하여 형성된 구성으로, 체결시에는 설치된 전체 데크에서 목재 데크의 가장자리 단부(端部) 외측으로 노출되게 된다.
수평부(44)는 수직부(43)의 하단부(下端部)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날개부(41)와 평행하도록 형성한 부분으로, 중앙부분에 체결공(45)이 형성되어 있어서, 체결시 체결공(45)을 통해 피스(50)를 체결하여 터미널클립(40)을 받침목(10)에 고정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받침목
20 : 목재 데크 21 : 클립 수용홈
30 : 데크 클립 31 : 날개부
32 : 공간부 33 : 돌출부
34 : 모서리 절곡부 35 : 체결공
40 : 터미널클립 41 : 날개부
42 : 공간부 43 : 수직부
44 : 수평부 45 : 체결공
50 : 피스

Claims (7)

  1. 판상(板狀)부재의 양측을 '⊃' 형상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하여 상면과 하면 사이에 공간부가 생기도록 형성한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하면 단부(端部)(판상부재의 단부를 지칭함)를 하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양단부(兩端部)에서 길이방향 양단의 모서리 부분을 외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모서리 절곡부;
    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의 상면 중앙에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상면은, 폭 방향으로 봤을 때 단면(斷面)의 중앙부분이 상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둥그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 클립.
  3. 목재 데크를 설치하고자 하는 면에 받침목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목의 상부에 목재 데크를 고정 설치하는 구조로서,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클립 수용홈이 형성된 목재 데크;
    상기 목재 데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 데크 설치 면적의 가장자리에 체결되는 터미널클립;
    상기 목재 데크와 목재 데크 사이에 체결되고, 판상(板狀)부재의 양측을 '⊃' 형상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날개부가 인접하여 위치한 목재 데크의 각 클립 수용홈에 삽입되며, 상기 날개부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피스를 체결하여 상기 받침목에 고정되는 데크 클립;
    으로 구성되고, 상기 터미널클립은,
    판상(板狀)부재의 일단(一端)을 '⊃' 형상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하여 상면과 하면 사이에 공간부가 생기도록 형성되어, 체결시 상기 공간부가 가장자리에 위치한 목재 데크의 일측 클립 수용홈에 삽입되는 날개부;
    상기 라운드진 부분의 타단(他端)이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下端部)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상기 날개부와 평행하도록 형성하고, 중앙부분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
    로 구성되며, 체결시 상기 체결공을 통해 피스를 체결하여 받침목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클립은,
    판상(板狀)부재의 양측을 라운드('⊃' 형상)지도록 절곡하여 상면과 하면 사이에 공간부가 생기도록 형성한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하면 단부(端部)를 하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양단부(兩端部)에서 길이방향 양단의 모서리 부분을 외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모서리 절곡부;
    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클립의 날개부의 상면은 폭 방향으로 봤을 때 단면(斷面)의 중앙부분이 상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둥그렇게 형성되고, 체결시 상기 모서리 돌출부가 목재 데크의 측면에 박히게 되어, 데크 설치 작업이 끝난 후 데크가 하중을 받았을 때, 상기 데크 클립의 날개부 상면이 상하로 진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데크는, 단면(斷面)이 직사각형이고,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클립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
KR1020100112524A 2010-11-12 2010-11-12 목재 데크 클립 및 이를 사용한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 KR101229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524A KR101229895B1 (ko) 2010-11-12 2010-11-12 목재 데크 클립 및 이를 사용한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524A KR101229895B1 (ko) 2010-11-12 2010-11-12 목재 데크 클립 및 이를 사용한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207A KR20120051207A (ko) 2012-05-22
KR101229895B1 true KR101229895B1 (ko) 2013-02-05

Family

ID=4626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524A KR101229895B1 (ko) 2010-11-12 2010-11-12 목재 데크 클립 및 이를 사용한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8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060B1 (ko) * 2014-02-06 2014-09-02 주식회사 임성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650523B1 (ko) 2015-10-19 2016-08-23 (주) 대현목재 높이조절나사가 구비된 고정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목재데크 플레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585B1 (ko) * 2014-05-13 2014-10-31 (주)이건환경 체결력이 강화된 데크 체결용 클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6276A (ja) 2000-11-10 2002-07-26 Sekisui Chem Co Ltd デッキ
KR100944453B1 (ko) 2009-05-11 2010-03-03 (주)그린우드 합성목재 패널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6276A (ja) 2000-11-10 2002-07-26 Sekisui Chem Co Ltd デッキ
KR100944453B1 (ko) 2009-05-11 2010-03-03 (주)그린우드 합성목재 패널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060B1 (ko) * 2014-02-06 2014-09-02 주식회사 임성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650523B1 (ko) 2015-10-19 2016-08-23 (주) 대현목재 높이조절나사가 구비된 고정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목재데크 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207A (ko)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0889B2 (en) Deck fastening device
US9297168B2 (en) Panel for wall of a set building an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US9181715B2 (en) Clip device for attaching structural member to a supporting structure
RU2504625C2 (ru) Потолок со скрытой подвесной системой со снимаемыми вниз панелями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KR101663806B1 (ko) 목재클립유닛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목재데크 구조.
KR100878141B1 (ko) 변형방지 목재데크
US6564522B1 (en) Hidden dual loading spring-type floor board fastening mount structure
KR101784932B1 (ko) 충격완충용 목재데크 고정클립
KR101229895B1 (ko) 목재 데크 클립 및 이를 사용한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
KR102168421B1 (ko) 데크 플레이트 조립용 탄성 조립체
KR102256356B1 (ko) 데크조립체
KR100987143B1 (ko)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
KR102457434B1 (ko) 목재데크 파손 방지형 데크 시스템
KR101224033B1 (ko) 데크 연결부재
KR200449138Y1 (ko) 목재 결속용 고정구
KR101455585B1 (ko) 체결력이 강화된 데크 체결용 클립
KR20160004617A (ko)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KR101588325B1 (ko) 바닥데크용 결합구조
KR20130000374U (ko) 데크 클립
KR200465511Y1 (ko)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
KR101772069B1 (ko) 데크 프레임 조립구조
KR20230060117A (ko) 시공이 용이하고 미끄럼방지 기능을 구비한 금속데크
KR20200100505A (ko) 육각형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JP5361366B2 (ja) 玄関用框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