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143B1 -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 - Google Patents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143B1
KR100987143B1 KR1020100038662A KR20100038662A KR100987143B1 KR 100987143 B1 KR100987143 B1 KR 100987143B1 KR 1020100038662 A KR1020100038662 A KR 1020100038662A KR 20100038662 A KR20100038662 A KR 20100038662A KR 100987143 B1 KR100987143 B1 KR 100987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deck
road surface
joint member
pane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식
김경애
Original Assignee
(주) 태평양지질
김경애
윤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평양지질, 김경애, 윤정식 filed Critical (주) 태평양지질
Priority to KR1020100038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2Floor elements with an anti-skid main surface, other than with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은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일측 방향으로 긴 판(板)체 형상을 가지며, 복수 개가 횡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데크를 이루는 패널부재와, 패널부재의 하부에서 패널부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패널부재를 지탱하는 골조부재 및 패널부재가 상호 연결되는 측면 공간부에 개재하여 형성되며, 데크의 노면 슬립(slip)을 방지하는 슬립방지 이음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건물의 옥상이나 옥외 구조물의 바닥 상에 설치 이용될 수 있으며, 우천 시 데크 노면에서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DECK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SLIP ON UPPER-SIDE AND THE EXTENDED DECK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이나 옥외 구조물의 바닥에 설치 가능한 데크의 노면에 슬립 방지 기능을 부여한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무대 바닥, 정류소의 바닥, 등산로의 계단 바닥, 펜션의 테라스 등에 목재, 합성 목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데크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데크는 단순히 납작한 목재 재질의 패널을 나란히 횡 배치하고, 패널의 저부 상에 선행하여 교차 배치된 봉 형상의 강재에 직결피스 등을 이용하여 패널을 고정시킴으로써 제작되었다.
그리고 패널의 상부에 일정한 선형이나 기타의 다양한 무늬로 엠보싱 처리하여, 데크의 노면 미끄럼을 조금이나마 방지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데크는, 첫째, 노천의 데크의 경우에 있어서, 겨울철 눈이 올 경우, 엠보싱 처리된 홈 내에 눈이 메워져 얼어붙어 버림으로써, 심한 미끄럼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엠보싱 처리된 홈 내로 먼지, 미세한 쓰레기 등의 오염물질이 쉽게 끼어들어 사용 시 청결하지 못하며, 청소 시에도 끼어든 오염물질이 쉽게 제거되지 못하는 불편을 초래하였다.
셋째, 가벼운 충격에도 홈의 오철 부분이 손상되거나 마모되어 미관 상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데크의 문제점을 구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노면이 미끄럽지 않은, 즉 노면에서의 슬립(slip)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성 및 내구성까지 탁월한 데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건물의 옥상이나 옥외 구조물의 바닥 상에 설치 이용되는 데크의 구조를 변경하여, 우천 시 데크 노면에서의 슬립을 방지함과 아울러 그 시공의 편의성도 탁월한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각각은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일측 방향으로 긴 판(板)체 형상을 가지며, 복수 개가 횡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데크를 이루는 패널부재; 상기 패널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패널부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상기 패널부재를 지탱하는 골조부재; 상기 패널부재가 상호 연결되는 측면 공간부에 개재하여 형성되며, 상기 데크의 노면 슬립(slip)을 방지하는 슬립방지 이음부재;를 포함하는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골조부재의 상호 이격된 공간상에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골조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골조부재의 구조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부재는,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의 측면 요철에 대응하는 측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각각 하나씩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는, 상기 패널부재에 대응하는 두께와 길이로 이루어지되, I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I형 단면에서 상단 플랜지부가 중앙부에 비해 양측으로 더 확장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패널부재와의 연결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데크의 노면 상에 더 넓은 슬립 방지 기능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의 상단 플랜지부 양측 끝단에는 하향 돌출된 돌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부가 상기 패널부재의 대응 요부 내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와 상기 패널부재의 상호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의 중앙부 내측으로는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의 강도 향상을 위한 강성의 심재가 길이 방향으로 내장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는, 온도변화에 대한 탄성변화가 적고 내마모성이 좋은 탄성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고무재질로는 우레탄 고무, 실리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중 어느 하나가 이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르면, 옹벽의 측면 상단 또는 교량의 양측 가장자리 측면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외측으로 연장되며, 몸체가 상하부 플랜지와 웨브로 이루어진 지지브라켓; 각각은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일측 방향으로 긴 판(板)체 형상을 가지며, 복수 개가 횡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데크를 이루는 패널부재; 상기 패널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패널부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상기 패널부재를 지탱하되,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부 플랜지에 직각방향으로 고정되는 골조부재; 및 상기 패널부재가 상호 연결되는 측면 공간부에 개재하여 연결 형성되며, 상기 데크의 노면 슬립(slip)을 방지하는 슬립방지 이음부재;를 포함하는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확장형 데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하부 플랜지가 외측으로 갈수록 상부 플랜지에 근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전면 중앙에는 상기 지지브라켓 웨브의 횡방향 휨을 방지하는 보강리브가 추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의 외측 끝단부에는 인명 추락 사고를 방지하는 난간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에 따르면, 패널부재가 횡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측면 공간에 미끄럼 방지에 탁월한 탄성고무재질의 슬립방지 이음부재를 개재 형성함으로써, 우천 시 데크 노면에서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조립 방식을 채용하여 시공 편의성도 향상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에서, 패널부재와 슬립방지 이음부재가 연결된 단면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에서, 패널부재와 슬립방지 이음부재가 연결된 단면 형상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에서, 패널부재와 슬립방지 이음부재가 연결된 단면 형상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에서, 패널부재와 슬립방지 이음부재 간의 연결 방향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에서, 패널부재와 슬립방지 이음부재의 연결된 형상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에서, 패널부재와 슬립방지 이음부재의 제 1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에서, 패널부재와 슬립방지 이음부재의 제 2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에서, 패널부재와 슬립방지 이음부재의 제 3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확장형 데크 구조물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확장형 데크 구조물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은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시키기 위해서 그 특징되는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100)는 패널부재(110)와, 슬립방지 이음부재(120) 및 골조부재(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패널부재(1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패널부재(110)는 복수 개가 횡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데크(100)를 이루는 것으로, 그 형상은 개개별로 동일한 두께 및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板)체 부재이다.
이러한 패널부재(110)는 목재, 합성 목재가 그 재질로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기타 견고한 강성을 지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라 함은 건축 및 설비물의 구조재로 이용 가능한 고강도 플라스틱을 말한다. 그 예로서, 폴리아마이드(polyamide), 폴리아세틸(polyacetyl),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스터수지(PBT),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패널부재(110)는 복수 개가 횡방향으로 일체 연결되어, 개개의 상부면이 이후 데크(100)의 상부면, 즉 데크(100)의 노면으로 제공되므로, 우천 시를 고려하여 습기에 강한 처리가 미리 선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이러한 패널부재(110)로 목재 또는 합성 목재가 이용될 경우, 사전에 화학적 방부재를 사용하여 가압 방부 처리하는 과정을 거치게 한다. 이 외에도, 패널부재(110)의 표면에는 발수재나 자외선 차단재 등이 도포 처리될 수 있으며, 이는 데크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미관 및 내구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부재(110)는 후술될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와 측면으로 끼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패널부재(110)의 측면은 후술될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의 측면 요철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 형상에 대한 설명은 후술될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에 대한 설명을 마친 다음 상세히 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슬립방지 이음부재(120)는 상기 패널부재(110)가 상호 연결되는 측면 공간부에 개재하여 양측의 패널부재(110)를 연결하여 하나의 데크(100)를 형성함과 동시에, 패널부재(110)의 상부면과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의 상부면의 연장선상에서 데크(100)의 상부면, 즉 노면을 완성시키는 부재이다.
이러한 슬립방지 이음부재(120)는 단순히 상기 패널부재(110) 간의 연결을 이어주는 역할에 그치지 않고, 데크(100) 노면에서의 슬립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슬립 방지 기능은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의 소재적인 특성과 그 상부면의 형상에 의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120)는 온도변화에 대한 탄성변화가 적고, 내마모성이 뛰어난 탄성의 고무재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의 고무재질로서,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의 소재가 될 수 있는 예로는 소재 자체에 슬립 방지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 합성 고무 중,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우레탄 고무, 실리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탄성의 고무재질은 그 소재 자체의 특성에 슬립을 방지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으므로, 슬립방지 이음부재(120)가 상기 패널부재(110) 사이사이마다 개재될 때, 데크(100) 노면 상에 슬립 방지 기능면(128)을 제공한다.
여기서,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와 패널부재(110) 사이의 연결 구조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앞서 패널부재(110)의 설명 시 간략히 언급한 바와 같이, 패널부재(110)와 슬립방지 이음부재(120)는 서로 대응하는 측면 요철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120)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하나씩 패널부재(110)가 연결된다. 이로써, 연결된 상부면의 연장선상에 데크(100)의 노면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골조부재(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골조부재(130)는 패널부재(110) 및 슬립방지 이음부재(120)를 하부에서 지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골조부재(130)는 패널부재(110)의 하부에서 패널부재(1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복수 개가 상호 이격하여 배치되며, 데크(100)가 설치될 바닥면에 고정되고, 패널부재(110)와 임의의 체결수단(예: 볼트체결수단, 직결피스 등)을 통해 상기 패널부재(110)의 하부에서 상기 패널부재(110)를 지지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골조부재(130)는 상하로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자체 강도가 큰 철재의 재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골조부재(130)의 상호 이격된 공간상에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골조부재(130) 간의 연결을 위해 보강부재(140)가 더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보강부재(140)는 상기 골조부재(130)의 좌우 비틀림 및 벤딩을 막아주어 골조부재(130)의 구조적인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고 강인한 구조의 데크(100)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에서, 패널부재와 슬립방지 이음부재가 연결된 단면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러한 도 2를 통해 패널부재(110) 및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의 연결 형상을 좀 더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슬립방지 이음부재(120)는 패널부재(110)의 두께 및 길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I형 단면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I형 단면 형상이란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의 중앙부(122)를 기준으로 상단 플랜지부(124) 및 하단 플랜지부(126)가 각각 형성되는
Figure 112010026959028-pat00001
형상의 단면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에 연결되는 패널부재(110)의 측부 단면 형상도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데, 상, 하단의 플랜지부(124, 126)에 비해 내입 형성된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의 중앙부(122)에 대응하여, 패널부재(110)의 측면 중앙부(112)는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의 상, 하단의 플랜지부(124, 126)의 돌출 형상에 대응하여, 패널부재(110)의 측면 상, 하단에는 외측으로 단차 형성된 상, 하단의 대응단턱을(114, 116)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호 대응하는 형상을 통해 슬립방지 이음부재(120) 및 패널부재(110)는 조립되어 일체로 연결되며 하나의 데크(100)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에서, 패널부재와 슬립방지 이음부재가 연결된 단면 형상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에서, 패널부재와 슬립방지 이음부재가 연결된 단면 형상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패널부재(110) 사이에 슬립방지 이음부재(120a)는 앞서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I형 단면 형상이 아니라, 상기 I형 단면 형상 중 중앙 하단부가 존재하지 않는 T형 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이 같은 슬립방지 이음부재(120a)의 단면 형상을 변경함과 동시에,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120a)의 하부로는 상기 패널부재(110)의 연결하는 강성의 연결부재(132a)가 삽입 개재될 수 있다.
이 같은 강성의 연결부재(132a)는 하측 플랜지 영역에서 바닥에 위치한 골재부재(130)와 체결볼트(134)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상측 중앙에서 슬립방지 이음부재(120a)를 지탱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강성의 연결부재(132a)는 구조 강도가 좋은 금속재, 강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Figure 112010026959028-pat00002
형상 단면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어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형상에 크게 제한될 필요가 없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강성의 연결부재(132b)의 형상이 도 3에서 살펴본 것과 조금 상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 4의 강성의 연결부재(132b)는 슬립방지 이음부재(120b)를 도 3에서와 같이 단순히 아래에서 지탱하기만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슬립방지 이음부재(120b)의 하단 양측으로 연장된 짧은 플랜지 형상의 돌기단을 구속하여, 슬립방지 이음부재(120b)를 더욱 효과적으로 패널부재(110) 상부에 결합시켜 둘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5는 패널부재와 슬립방지 이음부재가 연결되는 방향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패널부재와 슬립방지 이음부재가 연결되어 하나의 데크를 이루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립방지 이음부재(120)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횡방향으로 각각의 패널부재(110)가 앞서 설명한 측면 요철 대응형상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되어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패널부재(110) 및 슬립방지 이음부재(120)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각각의 대응 형상 및 크기가 조금씩 달리 적용되어도 무방한데,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변형예들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 변형예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에서, 패널부재와 슬립방지 이음부재의 제 1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도시된 패널부재(110) 및 슬립방지 이음부재(120)는 그 측면에 형성되는 대응 요철 형상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기본적인 실시예에 비해 추가적으로 요부(115) 및 돌부(12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의 상단 플랜지부(124)의 양측 끝단에는 하향 돌출된 돌부(12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부재(110)의 상단 대응단턱(114)에는 상기 돌부(125)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요부(115)가 구비된다.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의 상단 플랜지부(124)에 구비된 돌부(125)가 상기 패널부재(110)의 상단 대응단턱(114)에 구비된 요부(115)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와 상기 패널부재(110)의 상호 체결력은 향상된다.
이러한 고정을 통해, 데크(100)의 노면으로부터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의 상단 플랜지부(124)는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데크 수명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제 2 변형예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에서, 패널부재와 슬립방지이음부재의 제 2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시된 패널부재(110) 및 슬립방지 이음부재(120)는, 기본적인 실시예에 비해 추가적으로 달라진 형상적 특징은 없다. 다만,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의 중앙부(122) 내측으로 강성의 심재(123)가 내장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심재(123)는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의 중앙부(122)에 내장된 강도 보강 부재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의 고무재질만으로 이루어진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의 구조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심재(123)를 내장함으로써,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의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데크 수명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 3 변형예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에서, 패널부재와 슬립방지이음부재의 제 3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시된 패널부재(110) 및 슬립방지 이음부재(120)는, 기본적인 실시예에 비해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의 상단 플랜지부(124)의 하부면이 양측으로 사면을 이루어 경사지게 더 확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의 상단 플랜지부(124)의 확장 형상으로 인해, 더 넓은 슬립 방지 기능면(128)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의 데크 노면의 슬립 방지 효과를 더 극대화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슬립방지 이음부재(120)의 상단 플랜지부(124)의 형상 변형에 따라, 이와 연결되는 패널부재(110)의 상단 대응단턱(114)도 경사지게 확장된 형상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르면,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확장 데크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확장 데크 구조물이란 전술한 데크를 이용하여, 옹벽의 측면 상단 또는 교량의 양측 가장자리에 인공적으로 형성 가능한 확장 데크를 말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확장형 데크 구조물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확장형 데크 구조물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구조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병행 참조하면, 도시된 확장형 데크 구조물(200)은 크게 고정플레이트(210)와, 지지브라켓(220) 및 패널부재(110), 골조부재(130), 슬립방지 이음부재(120)로 이루어지는 데크(1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고정플레이트(210)는 옹벽 또는 교량의 양측 가장자리 측면과 상면에 접하도록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체결부재(215)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다.
고정플레이트(210) 상에는 고정홀(210a)이 형성되며 이러한 고정홀(210a) 을 통해 체결부재(315)가 삽입 체결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210)는 교량 또는 옹벽 등의 피(被)시공영역(10)상에 고정된다.
이때, 체결부재(215)로는 고하중 부담 능력이 좋고, 내 진동성이 뛰어난 케미컬 앵커(chemical anchor)를 비롯하여, 다양한 체결수단이 모두 이용 가능하다.
지지브라켓(220)은 고정플레이트(210)의 전면에서 용접을 통해 고정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브라켓(220)은 상부플랜지(221), 하부플랜지(222) 및 웨브(223)로 이루어진 I단면 빔 부재로서, 하부플랜지(222)가 외측 연장됨에 따라 상부플랜지(221)에 근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측면 프로파일은 A형 단면을 이룬다.
이는, 고정플레이트(210)와 지지브라켓(220)의 결합면적을 넓힌 형상으로서, 활하중을 감소시키며, 지지 강성을 높일 수 있는 형상이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지지브라켓(220)의 특정 형상에 너무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어느 정도 변형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고정플레이트(210)의 전면 중앙에는 보강리브(227)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강리브(227)에 의해 지지브라켓(220)의 웨브(223)는 횡방향 휨으로부터 안정적으로 구조적 강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브라켓(220)의 상부플랜지(221)에는 패널부재(110)를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골조부재(130)가 배치 고정된다.
골조부재(130)는 패널부재(110)의 하부에서 상기 패널부재(1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복수 개씩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패널부재(110)를 떠받들어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골조부재(130)의 상부에는 슬립방지 이음부재(1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된 패널부재(110)가 별도의 결합부재(245)에 의해 고정 부착되며, 이로써 확장 데크 구조물(200)은 확실한 구조 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브라켓(22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난간(260)이 형성될 수 있다.
난간(260)은 확장 데크 구조물(200)의 외측 상부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여기서 소정 높이란 평균적인 성인 남자의 어깨 정도의 높이를 말하며, 경우에 따라 그보다 낮거나 혹은 그보다 높게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난간(260)은 확장 데크 구조물(200)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추락 위험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난간(260)의 재질로는 지지브라켓(220)에 가해지는 활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합리적인 가격대와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강도 확보가 가능한 경량의 알루미늄 또는 이와 유사한 합금 재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데크 110: 패널부재
120: 슬립방지 이음부재 130: 골조부재
140: 보강부재 200: 확장 데크 구조물
210: 고정플레이트 220:지지브라켓

Claims (18)

  1. 각각은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일측 방향으로 긴 판(板)체 형상을 가지며, 복수 개가 횡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데크를 이루는 패널부재;
    상기 패널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패널부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상기 패널부재를 지탱하는 골조부재;
    상기 패널부재가 상호 연결되는 측면 공간부에 개재하여 형성되며, 상기 데크의 노면 슬립(slip)을 방지하는 슬립방지 이음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는,
    온도변화에 대한 탄성변화가 적고 내마모성이 좋은 탄성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부재의 상호 이격된 공간상에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골조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골조부재의 구조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의 측면 요철에 대응하는 측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각각 하나씩 연결되어 상기 데크의 노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는,
    상기 패널부재에 대응하는 두께와 길이로 이루어지되,
    I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I형 단면에서 상단 플랜지부가 중앙부에 비해 양측으로 더 확장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패널부재와의 연결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데크의 노면 상에 더 넓은 슬립 방지 기능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의 상단 플랜지부 양측 끝단에는 하향 돌출된 돌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부가 상기 패널부재의 대응 요부 내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와 상기 패널부재의 상호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의 중앙부 내측으로는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의 강도 향상을 위한 강성의 심재가 길이 방향으로 내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는,
    우레탄 고무, 실리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9. 옹벽의 측면 상단 또는 교량의 양측 가장자리 측면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외측으로 연장되며, 몸체가 상하부 플랜지와 웨브로 이루어진 지지브라켓;
    각각은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일측 방향으로 긴 판(板)체 형상을 가지며, 복수 개가 횡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데크를 이루는 패널부재;
    상기 패널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패널부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상기 패널부재를 지탱하되,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부 플랜지에 직각방향으로 고정되는 골조부재; 및
    상기 패널부재가 상호 연결되는 측면 공간부에 개재하여 연결 형성되며, 상기 데크의 노면 슬립(slip)을 방지하는 슬립방지 이음부재;를 포함하는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확장 데크 구조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하부 플랜지가 외측으로 갈수록 상부 플랜지에 근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확장 데크 구조물.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전면 중앙에는 상기 지지브라켓 웨브의 횡방향 휨을 방지하는 보강리브가 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확장 데크 구조물.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의 외측 끝단부에는 인명 추락 사고를 방지하는 난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확장 데크 구조물.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의 측면 요철에 대응하는 측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각각 하나씩 연결되어 상기 데크의 노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확장 데크 구조물.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는,
    상기 패널부재에 대응하는 두께와 길이로 이루어지되,
    I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I형 단면에서 상단 플랜지부가 중앙부에 비해 양측으로 더 확장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패널부재와의 연결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데크의 노면 상에 더 넓은 슬립 방지 기능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확장 데크 구조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의 상단 플랜지부 양측 끝단에는 하향 돌출된 돌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부가 상기 패널부재의 대응 요부 내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와 상기 패널부재의 상호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확장 데크 구조물.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의 중앙부 내측으로는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의 강도 향상을 위한 강성의 심재가 길이 방향으로 내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확장 데크 구조물.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는,
    온도변화에 대한 탄성변화가 적고 내마모성이 좋은 탄성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확장 데크 구조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 이음부재는,
    우레탄 고무, 실리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확장 데크 구조물.
KR1020100038662A 2010-04-26 2010-04-26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 KR100987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662A KR100987143B1 (ko) 2010-04-26 2010-04-26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662A KR100987143B1 (ko) 2010-04-26 2010-04-26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7143B1 true KR100987143B1 (ko) 2010-10-11

Family

ID=4313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662A KR100987143B1 (ko) 2010-04-26 2010-04-26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14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544B1 (ko) * 2011-04-15 2012-03-09 (주) 태평양지질 슬립 방지 기능 및 연결 구조가 개선된 데크 및 이를 이용한 확장 데크 구조물
KR101196320B1 (ko) * 2012-03-06 2012-11-01 주식회사 제현산업 인도교용 데크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인도교
KR101542924B1 (ko) * 2015-01-14 2015-08-10 최규웅 논슬립 집성데크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8941B1 (ko) * 2017-12-07 2018-09-14 주식회사디자인랜드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
CN109083015A (zh) * 2018-08-31 2018-12-25 中交二航局第四工程有限公司 一种可拆卸组合式钢模板施工平台
KR102076451B1 (ko) * 2019-07-18 2020-02-12 주식회사 하성 데크로드 연결 바 및 그와 결합되는 데크
KR102072502B1 (ko) * 2019-07-18 2020-03-02 주식회사 하성 데크로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523U (ja) * 1991-10-03 1993-04-27 株式会社マツダヒユーテツク 鋼板製床板装置
KR100838409B1 (ko) 2007-02-14 2008-06-13 오수철 데크형 복공판
KR100888072B1 (ko) * 2008-11-04 2009-03-11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끼움식데크를 이용한 산책로 포장용 발판대
KR20100032403A (ko) * 2010-03-04 2010-03-25 고재용 합성목재 데크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523U (ja) * 1991-10-03 1993-04-27 株式会社マツダヒユーテツク 鋼板製床板装置
KR100838409B1 (ko) 2007-02-14 2008-06-13 오수철 데크형 복공판
KR100888072B1 (ko) * 2008-11-04 2009-03-11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끼움식데크를 이용한 산책로 포장용 발판대
KR20100032403A (ko) * 2010-03-04 2010-03-25 고재용 합성목재 데크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544B1 (ko) * 2011-04-15 2012-03-09 (주) 태평양지질 슬립 방지 기능 및 연결 구조가 개선된 데크 및 이를 이용한 확장 데크 구조물
KR101196320B1 (ko) * 2012-03-06 2012-11-01 주식회사 제현산업 인도교용 데크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인도교
KR101542924B1 (ko) * 2015-01-14 2015-08-10 최규웅 논슬립 집성데크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8941B1 (ko) * 2017-12-07 2018-09-14 주식회사디자인랜드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
CN109083015A (zh) * 2018-08-31 2018-12-25 中交二航局第四工程有限公司 一种可拆卸组合式钢模板施工平台
KR102076451B1 (ko) * 2019-07-18 2020-02-12 주식회사 하성 데크로드 연결 바 및 그와 결합되는 데크
KR102072502B1 (ko) * 2019-07-18 2020-03-02 주식회사 하성 데크로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143B1 (ko)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
KR100878141B1 (ko) 변형방지 목재데크
KR101120544B1 (ko) 슬립 방지 기능 및 연결 구조가 개선된 데크 및 이를 이용한 확장 데크 구조물
KR101102937B1 (ko)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KR102380497B1 (ko) 보행의 편리성을 개선한 데크 및 계단 데크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KR101511290B1 (ko) 조립식 데크를 갖는 안전통로 시설물
KR102265305B1 (ko) 데크 마감용 몰딩
KR101413058B1 (ko) 케이블 교량의 박스 거더
KR101295823B1 (ko)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034841B1 (ko) 인도용 석교
KR102524469B1 (ko) 데크 체결용 클립
KR102120940B1 (ko) 건축용 다기능 다목적 지지대
KR101352280B1 (ko) 목재데크 체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체결구조
KR102618856B1 (ko)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KR102465315B1 (ko) 데크 고정용 클립을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585981B1 (ko) 건축물 계단 개선 구조
KR20230060117A (ko) 시공이 용이하고 미끄럼방지 기능을 구비한 금속데크
KR20180087603A (ko) 내구성이 강화된 친환경 고강도 합성데크 조립체
KR101185431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200482083Y1 (ko) 변형 방지 기능을 가지는 데크로드용 f자형 연결프레임 및 데크로드 시스템
KR101229895B1 (ko) 목재 데크 클립 및 이를 사용한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
KR20200045561A (ko) 데크 보드
KR100923730B1 (ko)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KR100522921B1 (ko) 목재데크 보도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