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937B1 -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 Google Patents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937B1
KR101102937B1 KR1020110041310A KR20110041310A KR101102937B1 KR 101102937 B1 KR101102937 B1 KR 101102937B1 KR 1020110041310 A KR1020110041310 A KR 1020110041310A KR 20110041310 A KR20110041310 A KR 20110041310A KR 101102937 B1 KR101102937 B1 KR 101102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bridge
composite deck
deck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일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일산업
Priority to KR1020110041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대부분의 구조물을 알루미늄으로 제작한 교량용 가설인도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는 교량의 연석 상부면과 타측면에 밀착되어 케미컬 앙카에 의해 연속해서 설치되고, 타측면상에는 서로 이격된 한쌍의 결합판이 일체로 형성된 강재 브라켓과, 결합판의 사이와 상부에 삽입되도록 "T"자 형상을 가져 볼트에 의해 결합되면서 높이가 점점 작아지도록 다단으로 결합되는 알루미늄재 거더와, 거더의 끝단에 교차되게 결합되며, 상부면상에는 내부는 넓고 외부는 좁은 줄 형태의 그루브가 형성된 알루미늄재의 난간고정빔과, 락볼트에 의해 난간고정빔과 결합되는 알루미늄재 추락방지난간과, 거더의 상부면상에 교차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알루미늄재 크로그빔과, 크로스빔들의 상부면상에 부착되는 방진고무와, 방진고무들의 상부면상에 거더측 방향으로 촘촘히 설치되는 데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다단 거더들의 결합은 그 맞닿는 부위에 볼트공 및 이 볼트공들을 포함하면서 볼트머리의 외경보다는 작고 내경보다는 같거나 큰 장공형태의 세팅홈이 형성된 세팅블록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브라켓의 타측면상 상부에는 다수의 와이어가 고정되고, 각 와이어의 타단은 다단 거더 각각의 타단 하측에 연결된다.

Description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A constructed footway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에 설치되는 인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경량재를 사용하여 중량을 최대한 줄이면서, 시공이 편리하고,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용 가설인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bridge)이라 함은 물이나 어떤 곳의 위로 건너다니도록 만든 시설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설치하고자하는 환경이나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공법에 의해 시공된다.
현재, 건설되어 사용되고 있는 교량은 다수의 교각, 상판, 교좌 및 난간 등으로 구성되며, 교량은 차량의 통행뿐만 아니라, 일반 보행자의 통행을 위한 보도가 함께 설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교량에 설치되는 보도는 별도의 방법에 의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차량통행을 위한 차도의 가장자리, 즉 교량 상판의 가장자리를 난간 등으로 구획시켜 이를 보도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차량만이 통행 가능하도록 시공된 교량에는 보행을 위한 보도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별도로 보행자를 위한 교량을 설치하는 경우 별도로 보행을 위한 교량을 다시 설치해야 하나 이는 현실적이지 못하고, 설치에 따른 과다한 비용과 비효율적인 문제로 인해 현재 시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렇다고 하여, 보도설치를 위해 기존에 설치된 교량에서 차도 일부분을 보도로 확보한다면 기존에 설치된 교량에서는 보도가 차지하는 면적만큼의 차도 폭이 좁아지게 되므로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보행자 통로의 폭이 좁아 이는 더더욱 비현실적이라 하겠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의 교량에 보도를 가설하게 되었다. 이러한 교량용 가설인도는 설치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차도 즉, 교량 상판으로의 구역침범 및 이로 인한 차도의 폭 감소 등의 문제점이 전혀 발생되지 않으며, 보행자를 주행 중인 차량으로부터 최대한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고, 난간이 2중으로 설치됨으로써 높은 안전성과 신뢰감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설 인도는 베이스플레이트가 연석에 앵커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베이스플레이트에 I빔 브라켓이 설치되는 방식으로, 연석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난간부분에 집중하중에 의한 처짐으로 휨모멘트가 발생함으로써, 연석과 베이스플레이트의 앵커 부분의 결합부위가 취약해질 뿐만 아니라 극단적으로는 베이스플레이트가 연석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대부분의 구조물을 알루미늄으로 제작하여 가설인도의 자체중량을 최소화 하였고, 가설인도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와어어를 연결하였으며, 빈번히 발생되는 철재류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한 교량용 가설인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도교의 바닥판을 알루미늄과 목재를 혼용한 복합데크로 구축하여 시공성이 좋고 미관이 더욱 뛰어나게 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의 연석 상부면과 타측면에 밀착되어 케미컬 앙카에 의해 연속해서 설치되고, 타측면상에는 서로 이격된 한쌍의 결합판이 일체로 형성된 강재 브라켓;
결합판의 사이와 상부에 삽입되도록 "T"자 형상을 가져 볼트에 의해 결합되면서 높이가 점점 작아지도록 다단으로 결합되는 알루미늄재 거더;
거더의 상부면상에 교차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알루미늄재 크로그빔;
크로스빔들의 상부면상에 부착되는 방진고무; 및
크로스빔들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합데크;를 포함하되,
복합데크는 폭방향으로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암수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부와 끼움부가 형성된 압출재와, 오목부에 결합되는 목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가설인도를 제공한다.
이때, 볼록부는 둥그렇게 라운딩된 형상을 가지며, 그 상부면상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오목부의 바닥면상에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오목부의 바닥면상에는 목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단 거더들의 결합은 그 맞닿는 부위에 볼트공 및 이 볼트공들을 포함하면서 볼트머리의 외경보다는 작고 내경보다는 같거나 큰 장공형태의 세팅홈이 형성된 세팅블록에 의해 결합됨이 좋다.
또한, 브라켓의 타측면상 상부에는 다수의 와이어가 고정되고, 각 와이어의 타단은 다단 거더 각각의 타단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는 거더를 분리형으로 제작하고, 이 분리형 거더와, 크로스빔, 난간고정빔 및 복합데크를 알루미늄으로 제작함으로써, 가설인도의 전체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친환경 복합데크에 의해 고급스러움을 연출할 수 있고, 복합데크의 배수기능으로 인해 인도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의 데크를 걷어내어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브라켓과 거더의 결합관계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세팅블럭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난간고정빔의 결합부분을 나타낸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의 B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데크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복합데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복합데크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복합데크를 인도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한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도 7의 복합데크를 인도에 폭방향으로 설치한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인도를 법면에 설치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100)는 교량의 연석(10)에 길이방향으로 연속해서 설치되는 브라켓(110)과, 브라켓(110)의 타측에서부터 연속해서 결합되는 분리형 거더(120)와, 분리형 거더(120)들의 상부에 교차되게 설치되는 크로스빔(130)과, 분리형 거더(120)의 끝단 상부에 교차되게 설치되는 난간고정빔(140)과, 난간고정빔(140)의 상부면상에 결합되는 추락방지난간(150)과, 크로스빔(130)의 상부에 설치되는 데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브라켓(110)은 강재로 제작되는 것으로, 연석(10)의 상부면상 및 타측면상을 감싸도록 "ㄱ"자 형상을 가지면서 하단에 다시 타측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두 번 굴곡진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브라켓(110)의 타측면상에는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분리형 거더(120)의 첫 번째 거더(120a)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판(111)이 중앙부에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결합판(111)은 그 위쪽으로 거더(120)의 상판과 크로스빔(130)과 데크(160)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최소한 연석보다 높아지지 않는 범위내에서 낮게 형성됨이 좋다. 이렇게 형성된 브라켓(110)은 연석(10)에 밀착된 후에 케미컬앙카(115)에 의해 연석(10)의 콘크리트와 일체화되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거더(120)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이 분리형으로 제작된 것으로, 브라켓(110)에서 멀어질수록 그 높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단층구조를 갖는다. 즉, 첫 번째 거더(120a)는 브라켓(110)의 높이와 비슷하고, 두 번째 거더(120b)는 첫 번째 거더(120a)보다 낮으며, 세 번째 거더(120c)는 두 번째 거더(120b)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러한 거더(120)는 상판(121)과 수직판(122)이 "T"자 형상으로 일체로 된 형상을 가지며, 각 거더(120)들간의 결합은 서로 맞댄 후, 세팅블록(125)에 의해 결합된다.
첫 번째 거더(120a)는 상판(121)이 브라켓(110)의 결합판(111)위에 올려지면서 수직판(122)이 결합판(111)의 사이로 삽입되도록 한 후, 결합판(111)의 측면에서 다수의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두 번째 거더(120b)는 세팅블록(125)에 의해 첫 번째 거더(120a)와 결합되는데, 이 세팅블록(125)은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판 형상으로 된 것으로, 볼트가 삽입되도록 볼트공(126)이 형성되면서 볼트의 머리가 맞닿을 부분에 볼트머리의 외경보다는 작고 내경보다는 큰 장공형태의 세팅홈(127)을 형성한다. 이 세팅홈(127)은 볼트머리를 끼운후, 반대쪽에서 볼트머리를 별도로 잡고서 작업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있고, 볼트가 체결된 후에는 세팅홈(127)이 볼트머리를 죄고 있으므로 진동 등에 의해 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세 번째 거더(120c) 및 그 이상의 거더들도 위의 첫 번째 거더(120a)와 두 번재 거더(120b)의 결합예와 동일하다.
거더(120)의 끝단에는 그 상부면상에 알루미늄재로 제작된 난간고정빔(140)이 거더(120)와 교차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난간고정빔(140)과 거더(12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ㄱ"자 앵글에 의해 단순 결합되는 방식을 취하되, 난간고정빔(140)과 알루미늄재로 제작된 추락방지난간(150)의 결합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별한 수단으로 결합된다.
즉, 난간고정빔(140)은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사각파이프 형상을 갖는데, 그 상부면상에 볼트의 머리가 삽입되도록 적어도 한줄 이상의 그루브(Groove)(141)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그루브(141)는 내부는 넓고 외부는 좁게 형성하여 볼트가 거꾸로 끼워지도록 되는 것이다. 이러한 난간고정빔(140)의 상부에 설치될 추락방지난간(150)은 그 하부면상에 난간고정빔(140)의 상면과 맞닿는 하판(151)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하판(151)과 난간고정빔(140)이 락볼트(155)에 의해 결합된다. 락볼트(155)는 시중에서 흔히 구매할 수 있는 체결수단으로서, 한번 체결시키면 파손하기 전에는 풀어지지 않아 추락방지난간(150) 및 그와 결합된 구조물들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난간고정빔(140)의 측면상에는 거더(120)의 끝부분을 마감해주는 마감커버(145)가 일체로 더 형성된다.
다음으로 분리형 거더(120)의 상부면상에는, 정확히 말해 분리형 거더(120)의 상판(121)위에는 이웃한 거더들과 교차되도록 브라켓(110)에서부터 거더(120)의 끝에까지 간격을 두고 다수의 크로스빔(130)이 설치된다. 크로스빔(130)은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것으로,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ㄱ"자 앵글에 의해 거더(120)의 상판(121)과 단순 체결된다. 이러한 크로스빔(130)은 사각파이프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상부면상 양쪽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31)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131)의 사이에는 방진고무(135)가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방진고무(135)의 상부면상에는 거더(120)와 같은 방향으로 목재로 제작된 다수의 데크(160)가 간격 없이 촘촘히 설치된다. 따라서 데크(160)위를 지나는 보행자들이 방진고무(135)의 탄력에 의해 진동과 소음을 방지하여 쾌적한 사용을 도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100)의 대부분 구조물들은 알루미늄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경량을 추구하지만, 물성에 의한 처짐이 발생할 수 있어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수단이 더 보강된다.
즉, 브라켓(110)의 측면상 위쪽에 와이어(170)의 일단을 매듭짓고, 와이어(160)의 타단을 거더(120)의 끝에 연결시킴으로써, 거더(120) 및 이 거더(120)의 위쪽에 설치된 구조물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170)는 세 개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하여 첫 번째 거더(120a)의 끝단 하부와, 두 번째 및 세 번째 거더(120b, 120c)의 끝단 하부에 각각 연결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100)는 목재 데크(160) 대신에 복합데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복합데크(180)는 알루미늄 압출재(181)로서, 폭방향으로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암수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부(182)와 끼움부(183)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복합데크(180)는 도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볼록부의 상부면이 가운데가 볼록하도록 라운딩된 형상을 가지며, 볼록부의 상부면상에는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184)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압출재(181)의 오목부에는 볼록부의 높이 정도까지 올라오도록 목재(188)가 삽입되고, 오목부의 바닥면상에는 목재(188)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185)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오목부의 바닥면상에는 오목부로 차인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공(186)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데크(180)는 상부면이 라운딩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 등이 고이지 않게 되는 잇점이 있고, 이처럼 상부면에서 흘러내린 빗물은 오목부로 들어가기 때문에 이 오목부에 장공 형태의 배수공(186)을 뚫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데크(180)는 거더(120)위에 폭방향으로 또는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도 9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될때에는 크로스빔(130)위에 설치되고, 도 10에서 보는 것과 같이 폭방향으로 설치될때에는 크로스빔(130) 없이 거더(120)위에 다이랙트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설치시공이 간편해지면서 인도교의 전체 중량을 더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설인도(100)는 교량에만 국한하지는 않는다. 즉, 도 11에서 보는 것과 같이 단순 설계변경에 의해 법면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연석
100 : 교량용 가설인도 110 : 브라켓
111 : 결합판 115 : 케미컬앙카
120 : 거더 121 : 상판
122 : 수직판 125 : 세팅블록
126 : 볼트공 127 : 세팅홈
130 : 크로스빔 135 : 방진고무
140 : 난간고정빔 141 : 그루브
150 : 추락방지난간 151 : 하판
155 : 락볼트 160 : 데크
170 : 와이어 180 : 복합데크
181 : 압출재 182 : 삽입부
183 : 끼움부 184 : 돌기
185 : 체결부 186 : 배수공
188 : 목재

Claims (6)

  1. 교량의 연석(10) 상부면과 타측면에 밀착되어 케미컬 앙카(115)에 의해 연속해서 설치되고, 타측면상에는 서로 이격된 한쌍의 결합판(111)이 일체로 형성된 강재 브라켓(110)과, 상기 결합판(111)의 사이와 상부에 삽입되도록 "T"자 형상을 가져 볼트에 의해 결합되면서 높이가 점점 작아지도록 다단으로 결합되는 알루미늄재 거더(120)와, 상기 거더(120)의 상부면상에 교차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알루미늄재 크로스빔(130)과, 상기 크로스빔(130)들의 상부면상에 부착되는 방진고무(135)와, 상기 크로스빔(130)들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합데크(180)를 포함하는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에 있어서,
    상기 복합데크(180)는 폭방향으로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암수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부(182)와 끼움부(183)가 형성된 압출재(181)와, 상기 오목부에 결합되는 목재(188)로 구성되며, 상기 볼록부는 둥그렇게 라운딩된 형상을 가지면서 그 상부면상에는 돌기(184)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상에는 배수공(18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2. 교량의 연석(10) 상부면과 타측면에 밀착되어 케미컬 앙카(115)에 의해 연속해서 설치되고, 타측면상에는 서로 이격된 한쌍의 결합판(111)이 일체로 형성된 강재 브라켓(110)과, 상기 결합판(111)의 사이와 상부에 삽입되도록 "T"자 형상을 가져 볼트에 의해 결합되면서 높이가 점점 작아지도록 다단으로 결합되는 알루미늄재 거더(120)와, 상기 거더(120)들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합데크(180)를 포함하는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에 있어서,
    상기 복합데크(180)는 폭방향으로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암수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부(182)와 끼움부(183)가 형성된 압출재(181)와, 상기 오목부에 결합되는 목재(188)로 구성되며, 상기 볼록부는 둥그렇게 라운딩된 형상을 가지면서 그 상부면상에는 돌기(184)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상에는 배수공(18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상에는 상기 목재(188)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185)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거더(120)들의 결합은 그 맞닿는 부위에 볼트공(126) 및 이 볼트공(126)들을 포함하면서 볼트머리의 외경보다는 작고 내경보다는 같거나 큰 장공형태의 세팅홈(127)이 형성된 세팅블록(125)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10)의 타측면상 상부에는 다수의 와이어(170)가 고정되고, 각 와이어(170)의 타단은 다단 거더(120) 각각의 타단 하측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KR1020110041310A 2011-05-02 2011-05-02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KR101102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310A KR101102937B1 (ko) 2011-05-02 2011-05-02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310A KR101102937B1 (ko) 2011-05-02 2011-05-02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2937B1 true KR101102937B1 (ko) 2012-01-10

Family

ID=4561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310A KR101102937B1 (ko) 2011-05-02 2011-05-02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937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657B1 (ko) * 2012-02-15 2012-10-05 주식회사 흥화 교량용 가설인도
KR101215330B1 (ko) * 2012-02-15 2013-01-04 주식회사 에스엠에스 앵글 조립식 교량점검통로
KR101349948B1 (ko) * 2013-10-01 2014-01-14 (주)신화금속 가설 인도교
KR101428742B1 (ko) * 2013-11-28 2014-08-11 주식회사 태하 도로용 확장 인도 구조물
KR101428748B1 (ko) * 2013-11-28 2014-09-23 주식회사 태하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KR101704701B1 (ko) 2016-11-14 2017-02-08 (주)셈텍 지진 대비 방진 및 완충 기능을 갖는 무용접 목재 데크
KR101744498B1 (ko) * 2016-02-02 2017-06-20 오석환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KR101765044B1 (ko) * 2017-03-31 2017-08-23 (주)아리산업 연결부위에 삽입되는 전단 보강재를 가지는 캔틸레버형 인도교
WO2020071582A1 (ko) * 2018-10-05 2020-04-09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확장 인도교
KR102090329B1 (ko) 2018-11-08 2020-04-20 주식회사 남경에스텍 교량용 인도 설치구조
KR102156678B1 (ko) * 2019-12-19 2020-09-16 (주)신화 조립식 인도교
KR102156689B1 (ko) * 2019-12-19 2020-09-16 (주)신화 트러스 인도교
KR102234265B1 (ko) * 2020-09-02 2021-03-30 정영오 보행 안정성을 향상시킨 확장 인도교
KR102622588B1 (ko) * 2023-09-04 2024-01-09 주식회사 경안테크 파형강판이 적용된 켄틸레버 브라켓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127Y1 (ko) 2002-05-09 2002-10-14 나상철 교량 점검통로용 발판
KR20020092127A (ko) * 2001-06-02 2002-1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실리사이드 층들을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30061531A (ko) * 2002-01-14 2003-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
KR200361531Y1 (ko) 2004-06-28 2004-09-14 최두영 3단 분리형 교량유지관리 점검대
JP2008115562A (ja) * 2006-11-01 2008-05-22 Sumikei-Nikkei Engineering Co Ltd 歩道用上部構造
KR101008564B1 (ko) 2010-03-29 2011-01-17 함인규 보행로 바닥재의 연결장치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127A (ko) * 2001-06-02 2002-1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실리사이드 층들을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30061531A (ko) * 2002-01-14 2003-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
KR200292127Y1 (ko) 2002-05-09 2002-10-14 나상철 교량 점검통로용 발판
KR200361531Y1 (ko) 2004-06-28 2004-09-14 최두영 3단 분리형 교량유지관리 점검대
JP2008115562A (ja) * 2006-11-01 2008-05-22 Sumikei-Nikkei Engineering Co Ltd 歩道用上部構造
KR101008564B1 (ko) 2010-03-29 2011-01-17 함인규 보행로 바닥재의 연결장치 및 시공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657B1 (ko) * 2012-02-15 2012-10-05 주식회사 흥화 교량용 가설인도
KR101215330B1 (ko) * 2012-02-15 2013-01-04 주식회사 에스엠에스 앵글 조립식 교량점검통로
KR101349948B1 (ko) * 2013-10-01 2014-01-14 (주)신화금속 가설 인도교
KR101428742B1 (ko) * 2013-11-28 2014-08-11 주식회사 태하 도로용 확장 인도 구조물
KR101428748B1 (ko) * 2013-11-28 2014-09-23 주식회사 태하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KR101744498B1 (ko) * 2016-02-02 2017-06-20 오석환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KR101704701B1 (ko) 2016-11-14 2017-02-08 (주)셈텍 지진 대비 방진 및 완충 기능을 갖는 무용접 목재 데크
KR101765044B1 (ko) * 2017-03-31 2017-08-23 (주)아리산업 연결부위에 삽입되는 전단 보강재를 가지는 캔틸레버형 인도교
WO2020071582A1 (ko) * 2018-10-05 2020-04-09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확장 인도교
KR102090329B1 (ko) 2018-11-08 2020-04-20 주식회사 남경에스텍 교량용 인도 설치구조
KR102156678B1 (ko) * 2019-12-19 2020-09-16 (주)신화 조립식 인도교
KR102156689B1 (ko) * 2019-12-19 2020-09-16 (주)신화 트러스 인도교
KR102234265B1 (ko) * 2020-09-02 2021-03-30 정영오 보행 안정성을 향상시킨 확장 인도교
KR102622588B1 (ko) * 2023-09-04 2024-01-09 주식회사 경안테크 파형강판이 적용된 켄틸레버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937B1 (ko)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KR101271446B1 (ko)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KR100987061B1 (ko) 교량 상부구조물 확장구조 및 방법
KR101349948B1 (ko) 가설 인도교
KR200432594Y1 (ko) 교량용 가설 인도
KR101727124B1 (ko) 행어를 이용한 교량용 보도 및 그 시공 방법과, 경관용 인도교 및 그 시공 방법
KR101116740B1 (ko) 공동구를 구비한 교측보도교
JP6347088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
KR102322249B1 (ko) 확장 가능한 모듈형 인도교
KR101018637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KR101511290B1 (ko) 조립식 데크를 갖는 안전통로 시설물
KR100987143B1 (ko)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
KR101185431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101083303B1 (ko) 교량 또는 옹벽용 조립식 확장 보도
KR101295823B1 (ko)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439417Y1 (ko) 조립식 난간
KR100945041B1 (ko) 교량 확장용 보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확장공법
KR102057323B1 (ko) 부착식 또는 거치식 확장형 인도교
KR101083304B1 (ko) 보호벽을 포함하는 해안가용 확장 보도
KR101171041B1 (ko) 파일과 단면높이가 다른 주형을 이용한 자전거도로 및 그 시공방법
KR101230360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101801370B1 (ko) 전단응력이 향상된 자전거도로용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978780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KR101018638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KR101029144B1 (ko) 교량용 보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