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748B1 -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 Google Patents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748B1
KR101428748B1 KR1020130146213A KR20130146213A KR101428748B1 KR 101428748 B1 KR101428748 B1 KR 101428748B1 KR 1020130146213 A KR1020130146213 A KR 1020130146213A KR 20130146213 A KR20130146213 A KR 20130146213A KR 101428748 B1 KR101428748 B1 KR 101428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cantilever
sidewalk
cantile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하
Priority to KR1020130146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8Reinforceme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및 도로의 측부에 설치되어 보행자 도로 또는 자전거 도로로 활용되게 한 확장 인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및 도로의 취부부를 이용하여 다수의 켄틸레버(cantilever) 및 지지관과 연결대를 결합 형성하고, 서로 이웃하는 켄틸레버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관을 이용하여 데크 플레이트를 안치 형성하여 이들 켄틸레버 및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확장 인도의 바닥부를 콘크리트로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켄틸레버 및 지지관과 연결대를 쉽고 견고하게 연결 및 고정시킬 수 있어 확장 인도에 대한 시공기간의 단축 및 시공비의 절감이 가능한 것이고, 데크 플레이트 및 콘크리트 시공을 통해 바닥부를 형성할 수 있어 매우 견고한 것은 물론 통행시의 정숙성 및 접지력이 매우 우수한 것이며, 각각의 지지관과 연결대에 대한 유격 연결구조로 인해 교량의 신축에 의한 켄틸레버 간의 간극 변화 및 지지관과 연결대의 신축 및 바닥부의 신축 작용을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어 확장 인도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며, 확장 인도의 구조적 안정성이 높아짐에 따라 확장 인도에 대한 유지 및 보수 비용의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시공이 단순하여 다양한 형태로의 확장성을 갖고 있으면서도 정확한 설계기준에 따른 정밀 시공이 가능하여 안전하고 미려한 형태의 확장 인도를 합리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A Sidewalk Enlargement Installation}
본 발명은 교량을 포함한 각종 도로의 측부에 설치되어 보행자 도로 또는 자전거 도로로 활용되게 한 확장 인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판이나 연석 또는 각종 도로의 경계석 혹은 연석이나 옹벽 등(이하, 취부부라 함)을 이용하여 다수의 켄틸레버(cantilever)를 고정 형성하고, 상기 켄틸레버에 결합되는 지지관 및 연결대와 상기 지지관의 상부에 올려지는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를 이용하여 확장 인도의 바닥부를 콘크리트로 시공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이 뛰어난 교량용 확장 인도의 시공을 더욱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한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bridge)이라 함은 강이나 개울 또는 계곡 등과 같이 고저가 심한 지형을 차량 혹은 사람이 건너다닐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시설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시공하고자 하는 장소의 주변 환경이나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공법에 의해 만들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교량 중에서 최근에 만들어진 교량에는 차도의 양측으로 인도가 함께 시공되고 있으나 차량의 이동을 주요 목적으로 시공된 과거의 교량에는 사람이 통행할 수 있도록 한 인도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근자에 들어 레저 문화가 발달함은 물론 친환경 이동수단으로 널리 사랑받고 있는 자전거가 애용됨에 따라 상기와 같은 자전거를 안전하게 탈 수 있도록 한 자전거 도로가 많은 곳에 설치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교량에서는 차도 혹은 인도를 좁히거나 변경시킬 수 없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교량 부분에서는 부득이하게 자전거 도로가 일시적으로 단절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32594호는 교량 상판의 폭 방향 양단에 난간이 구비되고, 난간 외측에 교량용 가설 인도를 설치한 바 있다. 이와 같은 교량용 가설 인도는 난간 외측에 위치하면서 교량 상판의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 일정간격으로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그 베이스플레이트에 용접되어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빔 브라켓과, 상기 빔 브라켓의 위에 고정되는 발판과, 빔 브라켓의 외측 상단부에 체결 고정되는 보행자 보호난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빔 브라켓은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와 웨브로 구성되어 있어 구조적 특성을 높일 수 있도록 안출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확장 인도는 교량 상판의 신축 및 차량의 통행에 따른 진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구조를 갖고 있어 장시간 경과하게 되면 확장 인도의 바닥면이 불규칙하게 변형되는 것은 물론 구조적 안전성에도 심각한 위해를 끼치게 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교량의 상판은 계절별 혹은 기온 변화에 따라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의 신축을 반복하게 되는 것인데, 교량 상판에 대한 폭 방향으로의 신축은 확장 인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나 교량 상판에 대한 길이방향 즉, 차량 및 보행자의 통행방향에 따른 신축시에는 교량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확장 인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확장 인도의 발판 등이 들뜨거나 벌어지게 되는 것이고 이로 인해 통행자 및 자전거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교량의 신축 작용으로 인한 확장 인도의 신축으로 인해 확장 인도에 대한 구조적인 안정성에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는 것으로 주기적인 점검과 보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교량 자체의 신축은 물론 확장 인도 자체에도 신축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서, 대부분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는 교량에 비하여 금속재 브라켓 및 강관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확장 인도는 상호 간의 신축량이 각기 달라 그로 인한 비틀림이나 벌어짐 등이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 기존의 확장 인도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작업 및 시공이 매우 번거로운 것은 물론 전체적으로 시공기간이 매우 길어 교통 흐름에도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고, 많은 인력과 자재 및 시공기간을 소요하게 되어 지극히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교량 및 도로의 취부부를 이용하여 다수의 켄틸레버(cantilever)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켄틸레버에는 그 켄틸레버를 관통하는 다수의 지지관 및 상기 켄틸레버의 끝단을 고정하는 연결대를 결합 형성하고, 서로 이웃하는 켄틸레버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관을 이용하여 데크 플레이트를 안치 형성하여 이들 켄틸레버 및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확장 인도의 바닥부를 콘크리트로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확장 인도가 갖고 있는 제반의 목적을 충실히 달성하는 것은 물론 확장 인도에 대한 시공상의 편리성 및 시공기간의 단축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갖는 것이고, 교량의 신축은 물론 확장 인도 자체의 신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더욱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데크 플레이트 및 콘크리트에 의한 확장 인도의 바닥부는 매우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통행시 매우 정숙한 것은 물론 접지력이 매우 부드럽고 우수한 특징을 갖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 및 도로의 취부부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켄틸레버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켄틸레버에는 복수 개의 지지관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지지관의 상부에는 바닥부가 형성되고 상기 켄틸레버의 끝단에는 보행자 난간이 고정 설치되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켄틸레버는 상부판과 그 상부판의 하부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측면판 및 상기의 상부판과 측면판을 연결하는 지지판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의 양측에는 상부판과 연결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켄틸레버 끝단에는 이들 켄틸레버를 서로 이어주는 연결대를 고정하고, 상기 켄틸레버에는 복수 개의 지지관이 횡방향으로 관통 삽입되며, 상기 지지관의 상부에는 데크 플레이트를 안치시켜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 및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콘크리트에 의한 바닥부를 형성하되, 상기 지지관은 유격이음수단에 의해 연속하여 연결되게 하고, 상기 연결대는 신축이음수단에 의해 연속하여 연결되게 구성하여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켄틸레버 및 지지관과 연결대를 쉽고 견고하게 연결 및 고정시킬 수 있어 확장 인도에 대한 시공기간의 단축 및 시공비의 절감이 가능한 것이고, 데크 플레이트 및 콘크리트 시공을 통해 바닥부를 형성할 수 있어 매우 견고한 것은 물론 통행시의 정숙성 및 접지력이 매우 우수한 것이며, 각각의 지지관과 연결대에 대한 유격 연결구조로 인해 교량의 신축에 의한 켄틸레버 간의 간극 변화 및 지지관과 연결대의 신축 및 바닥부의 신축 작용을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어 확장 인도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며, 확장 인도의 구조적 안정성이 높아짐에 따라 확장 인도에 대한 유지 및 보수 비용의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시공이 단순하여 다양한 형태로의 확장성을 갖고 있으면서도 정확한 설계기준에 따른 정밀 시공이 가능하여 안전하고 미려한 형태의 확장 인도를 합리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가 시공된 상태의 전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의 시공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가 시공된 상태의 측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가 시공된 상태의 평면 전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에 적용되는 켄틸레버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에 적용되는 켄틸레버의 저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의 켄틸레버에 대한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의 켄틸레버에 대한 연결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의 켄틸레버와 연결대의 결합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의 켄틸레버와 연결대의 결합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의 지지관에 대한 연결부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의 지지관 연결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의 지지관 연결시의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의 연결대 체결부에 대한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의 설치 예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가 시공된 상태의 전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의 시공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가 시공된 상태의 측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가 시공된 상태의 평면 전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 구조물은 교량 및 도로의 통행방향 양측 혹은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교량의 상판 또는 연석이나 도로의 경계석 혹은 연석 등의 취부부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취부부는 전기한 바와 같이 교량인 경우 교량의 양측 끝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계석 혹은 연석을 지칭하는 것이고, 도로의 경우에서 도로의 양측 끝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계석 혹은 연석을 지칭하는 것이며, 옹벽에 의한 제방도로인 경우에는 제방과 도로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는 옹벽이 취부부에 해당될 것이고, 사면에 의한 제방도로 또는 하천변 도로인 경우 제방과 하천을 도로와 경계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 혹은 경계구조물 등이 이에 속할 것이다.
이와 같은 확장 인도 구조물은 교량 및 도로의 취부부(100)를 이용하여 일정 간격으로 외팔보인 켄틸레버(1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와 같은 켄틸레버(10)에는 역시 교량의 통행방향을 따라 다수의 지지관(20)이 관통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각각의 켄틸레버(10)는 끝단을 서로 이어주는 연결대(30)에 의해 상호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지지관(20)의 상부에는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된 데크 플레이트(50)를 올려놓고 상기와 같은 켄틸레버(10)의 상부 및 데크 플레이트(50)의 상측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부(120)를 형성하는 것이며, 전기와 같은 연결대(30)를 이용하여 별도의 보행자 난간(110)을 고정 설치함에 따라 확장 인도 구조물이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바닥부(120)는 콘크리트의 타설을 통해 완성되는 것으로 상기의 바닥부(120)를 시공하는 과정은 전기한 바와 같은 켄틸레버(10) 및 데크 플레이트(50)의 상부면에 일차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별도로 구비된 금속 메쉬(121)를 1차 포설된 콘크리트층에 올려놓은 후 다시 2차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의 양생에 의해 완성된 바닥부(120)는 내부에 금속 메쉬(121)가 포함된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바닥부(120)는 확장 인도 전체에 걸쳐 일시에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므로 이음매 혹은 단절 구간이 발생하지 않아 확장 인도 전구간에 대하여 매끄러운 상태의 바닥부(120)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접지력 및 보행감이 우수하여 보행자는 물론 자전거의 통행시 보다 편안한 이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바와 같은 데크 플레이트(50)는 금속 판재를 반복적으로 절곡 형성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받침수단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인데, 절곡 길이방향이 켄틸레버(10)의 설치방향과 일치되도록 함에 따라 확장 인도 자체 및 보행자 등에 의한 하중으로부터 안전하고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켄틸레버(10)를 구성함에 있어 그 켄틸레버(10)는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직사각 형태의 긴 길이를 갖는 상부판(11)과 상부판(11)의 하부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 용접되는 측면판(12)을 갖고 있고, 상기와 같은 상부판(11)의 저면 및 측면판(12)의 일측을 연결하는 지지판(13)이 수직 형태로 용접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지지판(13)의 양측에는 상부판(11)의 저면과 용접되는 보강판(14)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상부판(11)은 확장 인도의 평평한 수평면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 및 확장 인도에 작용하는 하중을 전체적으로 지탱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의 측면판(12)은 교량 및 도로의 취부부(100) 측면에 밀착되어 상부판(11)과 함께 취부부(100)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체결 및 고정시키기 위한 목적을 갖는 것이며, 상기의 지지판(13) 및 보강판(14)은 상부판(11)을 통해 작용하는 하중으로부터 켄틸레버(10)의 효과적인 버팀 및 지지력을 유지하기 위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지지판(13)에는 횡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관(17)이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가이드관(17)은 내경이 전기한 지지관(20)의 외경과 일치하거나 소정의 크기로 크게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가이드관(17)을 통해 지지관(20)을 삽입시킴에 따라 상기의 지지관(20)은 상부판(11)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갖고 켄틸레버(10)에 결합 형성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가이드관(17)의 직선 구간으로 인해 상기의 지지관(20) 역시 이웃하는 지지관(20)과의 평행 상태를 유지하며 일정 간격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부판(11)의 일측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작업공(15)을 형성한 것이고, 지지판(13)의 끝단부에는 횡방향으로 관통된 체결공(16)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작업공(15)과 체결공(16)을 통해 별도의 견인고리(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을 걸어두어 중량체인 켄틸레버(10)를 견인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견인고리를 통해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켄틸레버(10)에 대한 견인 및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작업공(15)과 체결공(16)은 본 발명의 확장 인도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작업공(15)과 체결공(16)을 이용하여 작업자 추락방지대를 임시로 가설한 후 상기와 같은 추락방지대에 추락방지로프를 건 상태에서 안전한 시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시공 작업이 종료된 후 가설 상태의 추락방지대를 제거하여 더욱 안전한 상태로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일정 간격을 갖고 이격 설치되는 켄틸레버(10)는 외팔보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들 켄틸레버(10)의 끝단에 대한 상호 연결 고정이 필요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연결대(30)를 이용하여 상기의 켄틸레버(10)에 대한 상호 연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켄틸레버(10)의 지지판(13)은 끝단이 외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연결대(30)의 일측에는 상기와 같은 지지판(13)이 맞닿음 형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한 체결판(31)을 돌출 형성하되, 상기의 지지판(13)에는 전기한 바와 같은 체결공(1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체결판(31)에는 횡방향으로의 결합공(3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켄틸레버(10)의 지지판(13) 끝단부와 연결대(30)의 체결판(31)을 서로 측면 맞닿음 형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의 체결공(16)과 결합공(32)으로 별도의 체결볼트(40)를 삽입시킨 후 별도로 구비된 체결너트(41)를 상기 체결볼트(40)에 견고하게 나사 체결함에 따라 연속하여 고정 설치된 켄틸레버(10)가 상기의 연결대(30)를 통해 각 끝단이 서로 연결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연결대(30)를 이용하여 보행자 난간(110)을 고정 설치함에 따라 더욱 안전한 형태로의 확장 인도에 대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인데, 도 9의 도시와 같이 연결대(30)의 상면 및 측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보행자 난간(110)의 하부플랜지(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를 절곡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하부플랜지를 연결대(30)에 체결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의 보행자 난간(110)은 연결대(34)에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0의 도시와 같이 보행자 난간(110)의 하부플랜지를 수평 형태로 확장 형성한 상태에서 이를 켄틸레버(10)의 상부판(11)과 연결대(30)에 걸쳐 각기 이분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보행자 난간(110)은 더욱 견고한 고정 상태를 연출할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전기한 바와 같은 지지관(20)에 대한 유격이음수단을 통해 연속하여 배치 및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와 같은 연결대(30) 역시 신축이음수단을 통해 연속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들 지지관(20) 및 연결대(30)는 교량의 신축 작용 또는 지지관(20) 및 연결대(30) 자체의 신축량에 따라 소정의 유격을 통해 신축 작용을 상쇄시키게 되므로 결국 확장 인도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지지관(20)에 대한 유격이음수단은, 제한된 길이를 갖고 양산되는 지지관(20)의 특성상 다수의 지지관(20)을 연속하여 길이방향으로 연결 설치하여야 하는 것인데, 이때에는 도 11의 도시와 같이 연속하여 배치되는 지지관(20)의 사이에 별도의 조절볼트(25)를 삽입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조절볼트(25)를 통해 연속하는 지지관(20) 간의 연결은 물론 이들 지지관(20)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 또는 유격을 형성하여 교량 및 지지관(20)에 작용하는 신축으로부터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12의 도시와 같이 지지관(20)의 일측 끝단에는 나사공(21)을 형성하고 지지관(20)의 타측 끝단에는 끼움공(22)을 형성한 후, 이와 같은 지지관(20)을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하되 서로 끝단이 마주하고 있는 지지관(20)의 각 끝단 사이에 별도의 조절볼트(25)를 삽입 형성한 것이다.
이때의 조절볼트(25)는 일측이 상기의 나사공(21)으로 결합되는 나사축(23)으로 이루어져 있고 타측은 상기의 끼움공(22)으로 삽입되는 끼움축(24)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와 같은 조절볼트(25)를 나사축(23)에 선행하여 체결한 상태에서 조절볼트(25)의 끼움축(24)에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지지관(20)의 끼움공(22)을 삽입하면 연속하는 지지관(20)의 연결 이음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지지관(20)은 켄틸레버(10)의 지지판(13)을 관통 삽입되어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13)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관(17)에 삽입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상기의 가이드관(17)과 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의 지지관(20)은 데크 플레이트(50) 및 콘크리트에 의한 바닥부(120)의 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일 것이므로 상기와 같은 유격이음수단을 통해 상기와 같은 바닥부(120)에서의 신축 작용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및 상쇄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지지관(20)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의 유격을 갖고 있는 상태로 연결 형성함에 따라 교량의 신축 또는 지지관(20) 자체의 신축에 따라 상기의 유격으로 인해 지지관(20)의 변형이 상쇄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켄틸레버(10)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지지관(20)은 일측 끝단의 나사공(21)을 이용하여 조절볼트(25)가 삽입되어 있을 것인데, 상기의 조절볼트(25)는 초기 상태에서는 도 13의 도시와 같이 나사축(23)을 회전시켜 조절볼트(25)가 지지관(20)의 끝단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한 후, 상기와 같은 조절볼트(25)의 끼움축(24)으로 또 다른 지지관(20)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의 조절볼트(25)를 회전시켜 조절볼트(25)가 지지관(20)의 끝단면에 밀착되게 하면 상기의 조절볼트(25)와 지지관(20)의 끝단 간에는 소정의 유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의 조절볼트(25)를 일시적으로 풀어 이를 통해 서로 이웃하는 지지관(20)의 간격을 조절하는 이음방법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관(20)에 대하여 각각의 이음 부분에 대한 유격 혹은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지지관(20)에 작용하는 신축량에 따라 전체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되어 있어 부분적으로 간섭되거나 연결 이음부에 대한 이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바와 같은 연결대(30)에 대한 신축이음수단은 도 14의 도시와 같이 연결대(30)의 일측 끝단에는 장공(33)이 형성된 이음대(34)를 다수 돌출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연결대(30)의 타측 끝단에는 상기와 같은 장공(33)과 대응되는 이음공(35)을 관통 형성함에 따라 서로 다른 연결대(30)에 대한 끝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일측 연결대(30)의 이음대(34)가 타측 연결대(30)의 끝단면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볼트(40)와 체결너트(41)를 이용하여 이들을 상호 연결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체결볼트(40)는 일측 연결대(30)의 이음대(34)에 형성된 장공(33)과 타측 연결대(30)에 형성된 이음공(35)을 통해 삽입되어 별도의 체결너트(41)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끝단 연결 상태의 연결대(30)에 대하여 교량의 신축 또는 연결대(30) 자체의 신축이 작용하게 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이음대(34)에 형성된 장공(33)으로 인하여 양측의 연결대(30)는 장공(33)에 해당되는 가용 폭을 갖고 신축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신축으로 인한 상호 간의 간섭이나 변형 또는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 구조물은 시공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한 것은 물론 구조적으로도 매우 안전한 것이며, 도 15의 도시와 같이 교량은 물론 일반 도로 및 제방도로나 하천변 도로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도로에 설치 적용될 수 있는 것이고, 도로 및 교량의 신축 또는 확장 인도 자체의 신축으로부터 구조물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더욱 견고하면서도 시설에 대한 유지와 관리가 매우 용이한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켄틸레버 11 : 상부판
12 : 측면판 13 : 지지판
14 : 보강판 15 : 작업공
16 : 체결공 17 : 가이드관
20 : 지지관 21 : 나사공
22 : 끼움공 23 : 나사축
24 : 끼움축 25 : 조절볼트
30 : 연결대 31 : 체결판
32 : 결합공 33 : 장공
34 : 이음대 35 : 이음공
40 : 체결볼트 41 : 체결너트
100 : 취부부
110 : 보행자 난간
120 : 바닥부 121 : 금속 메쉬

Claims (9)

  1. 상부판(11)과 그 상부판(11)의 하부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측면판(12) 및 상기의 상부판(11)과 측면판(12)을 연결하는 지지판(13)과 상기 지지판(13)의 양측에는 상부판(11)과 연결되는 보강판(14)이 형성된 복수 개의 켄틸레버가 교량 및 도로의 취부부(10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켄틸레버(10) 끝단에는 이들 켄틸레버(10)를 서로 이어주는 연결대(30)를 고정하고, 상기 켄틸레버(10)에는 복수 개의 지지관(20)이 횡방향으로 관통 삽입되며, 상기 켄틸레버의 끝단에는 보행자 난간(11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지지관(20)의 상부에는 데크 플레이트(50)를 안치시켜 상기 켄틸레버(10)의 상부 및 데크 플레이트(50)의 상부에 콘크리트에 의한 바닥부(120)를 형성하되,
    상기 지지관(20)은 유격이음수단에 의해 연속하여 연결되게 구성한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켄틸레버(10)의 지지판(13)은 끝단이 상부판(11) 보다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연결대(30)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판(13)의 끝단이 밀착되게 한 체결판(31)을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지지판(13)과 체결판(31)이 맞닿음 형태로 체결되게 하되, 지지판(13)에는 체결공(16)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체결판(31)에는 결합공(32)을 관통 형성하여 이들 체결공(16)과 결합공(32)에 별도의 체결볼트(40) 및 체결너트(41)를 결합하여 연속하는 연결대(30)에 복수의 켄틸레버(10)가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20)의 유격이음수단은, 지지관(20)의 일측 끝단에는 나사공(21)을 형성하고 타측 끝단에는 끼움공(22)을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지지관(20)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하되, 끝단이 서로 마주하는 지지관(20)의 사이에 일측엔 나사축(23)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끼움축(24)이 형성된 조절볼트(25)를 삽입 형성하여 상기 조절볼트(25)에 의해 연속되는 지지관(20)에 대한 간격 조절 상태의 이음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30146213A 2013-11-28 2013-11-28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KR101428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213A KR101428748B1 (ko) 2013-11-28 2013-11-28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213A KR101428748B1 (ko) 2013-11-28 2013-11-28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748B1 true KR101428748B1 (ko) 2014-09-23

Family

ID=5175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213A KR101428748B1 (ko) 2013-11-28 2013-11-28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7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467B1 (ko) * 2014-12-10 2015-08-28 박태현 교량 점검용 통로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141004B1 (ko) * 2020-05-15 2020-08-04 김주묵 데크고정부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937B1 (ko) * 2011-05-02 2012-01-10 주식회사 원일산업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KR101181678B1 (ko) * 2011-10-25 2012-09-19 (주)에이치앤디건설 법면 확장 보도
KR101201216B1 (ko) * 2012-03-12 2012-11-15 김석희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KR101302147B1 (ko) * 2012-05-09 2013-09-10 김문경 신축 데크모듈과 확장인도 및 이를 이용한 교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937B1 (ko) * 2011-05-02 2012-01-10 주식회사 원일산업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KR101181678B1 (ko) * 2011-10-25 2012-09-19 (주)에이치앤디건설 법면 확장 보도
KR101201216B1 (ko) * 2012-03-12 2012-11-15 김석희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KR101302147B1 (ko) * 2012-05-09 2013-09-10 김문경 신축 데크모듈과 확장인도 및 이를 이용한 교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467B1 (ko) * 2014-12-10 2015-08-28 박태현 교량 점검용 통로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141004B1 (ko) * 2020-05-15 2020-08-04 김주묵 데크고정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400B1 (ko) 도로의 측변에 설치되는 확장형 인도교의 시공방법
KR102216347B1 (ko) 응력증대수단이 구비된 확장형 더블웹 켄틸레버
JP6180376B2 (ja) 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方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構造
KR101633431B1 (ko)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28742B1 (ko) 도로용 확장 인도 구조물
KR101618746B1 (ko) 시공성이 개선되게 한 확장 인도교의 조립식 거더 구조
KR101116740B1 (ko) 공동구를 구비한 교측보도교
KR101523005B1 (ko) 확장형 인도교
KR101129698B1 (ko) 캔틸레버 시공용 행거식 가설재 및 그를 이용한 캔틸레버부 시공방법
KR101375525B1 (ko) 경사지용 확장 인도 구조물
KR101406035B1 (ko) 조립식 교각 및 그 시공방법
KR101389285B1 (ko) 단부 격벽 일체형 교대 흉벽 pc블록을 이용한 거더교의 교대 단부 일체화 방법
KR101604640B1 (ko)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
KR101083303B1 (ko) 교량 또는 옹벽용 조립식 확장 보도
KR101202609B1 (ko) 경사지용 인도 확장장치
KR101428748B1 (ko)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KR102367426B1 (ko) 경사조정블럭을 갖는 확장 인도교용 강관형 켄틸레버
KR101042982B1 (ko) 인도 확장장치 시공방법
KR101171041B1 (ko) 파일과 단면높이가 다른 주형을 이용한 자전거도로 및 그 시공방법
KR101788581B1 (ko) 우각부가 보강된 교량 시공방법 및 이러한 시공방법으로 제작되는 교량
JP3737475B2 (ja) 箱桁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090070852A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방법 및 장치
JP3973042B2 (ja) 橋梁歩道の拡幅方法及び橋梁歩道構造
KR101801370B1 (ko) 전단응력이 향상된 자전거도로용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3225933U (ja) 高欄取付け式足場およびその足場保持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