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678B1 - 법면 확장 보도 - Google Patents
법면 확장 보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1678B1 KR101181678B1 KR1020110109181A KR20110109181A KR101181678B1 KR 101181678 B1 KR101181678 B1 KR 101181678B1 KR 1020110109181 A KR1020110109181 A KR 1020110109181A KR 20110109181 A KR20110109181 A KR 20110109181A KR 101181678 B1 KR101181678 B1 KR 1011816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square steel
- bracket
- coupling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법면에 입설되어 설치되는 강관지주와 브래킷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이 브래킷과 다른 브래킷과의 수평 오차를 최소화하고, 온도에 의한 각형강관의 신축을 수용할 수 있는 법면 확장 보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법면 확장 보도는 법면에 수직으로 입설되며, 복수 개 배열되는 강관지주와; 상기 강관지주의 상단부에 그 내주연이 상기 강관지주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지주결합관과; 상기 지주결합관에 결합되어 상기 강관지주와 수직을 이루고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부 플랜지, 하부 플랜지 및 웨브로 구성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상부 플랜지에 직각방향으로 상호 연결에 의해 연설되며 복수 개 배열되는 각형강관과; 상기 각형강관의 상부에 상기 각형강관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바닥재 및 상기 브래킷의 상부 플랜지 외측 끝단부에 설치되는 펜스; 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법면에 입설되는 강관지주와 브래킷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입설되는 강관지주의 수직도에 따라서 브래킷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른 브래킷과의 수평 오차를 최소화하여 더욱 안전적인 법면 확장 보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법면에 입설되는 강관지주와 브래킷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입설되는 강관지주의 수직도에 따라서 브래킷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른 브래킷과의 수평 오차를 최소화하여 더욱 안전적인 법면 확장 보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법면 확장 보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법면에 입설되어 설치되는 강관지주와 브래킷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이 브래킷과 다른 브래킷과의 수평 오차를 최소화하고, 온도에 의한 각형강관의 신축을 수용할 수 있는 법면 확장 보도에 관한 것이다.
법면은 둑, 호안, 절토 따위의 경사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천 등을 따라 건설되는 도로는 하천의 유수로부터 도로의 유실을 보호하고 그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법면이 구비되기도 하며, 산의 일측면을 절개하여 도로를 건설하는 과정에서도 산과 도로 사이에는 법면이 자연스럽게 조성되기도 한다.
또한, 조성된 법면에는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또는 블록 등을 이용하여 옹벽이 증축되기도 하는데, 기존 도로에 사람의 왕래를 위한 보도 또는 자전거 도로 등을 더 증설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법면의 상부를 이용하여 도로의 측면을 연장하고 이를 건설하는 공법이 시행되고 있다.
이때 확장 보도 또는 자전거 도로를 건설하는 공법 중에서 도로의 측면을 연장하여 건설하는 방법이 있으나 도로의 측 단면이 부실하거나 연장할 수 없는 경우에는 법면에 파일(pile)을 관입하고 이 파일을 기둥으로 하여 확장 보도 또는 자전거 도로가 건설된다.
여기서 기초 파일을 법면에 관입 설치하는 시공법은 크게 항타공법과 매립공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항타공법은 디젤해머, 유압해머 등 타격장비를 이용하여 파일의 두부(頭部)를 해머로 직접 타격하여 지주를 지지층에 관입하는 시공법으로, 효율적/경제적이면서 지지력에 대한 신뢰성이 가장 높으나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는 심한 단점이 있다. 이때 발생되는 공해(소음, 진동)는 도시권역일 경우 허용기준을 훨씬 초과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매립공법이 적용되는 추세이다.
매립공법은 지반을 천공하고 이 천공에 파일을 삽입하는 공법으로, 저소음?저진동 공법 또는 저공해 공법이라 부르고 있는데 적용중인 이들 시공법을 분류하면 (1) 오거(auger) 배토 굴착 + 시멘트풀 주입 + 최종경타(SIP 공법), (2) 강관케이싱을 이용한 굴착 + 시멘트풀 주입 + 말뚝낙하(SAIP 공법), (3) 오거 무배토 굴착 + 선단 및 주면고정액 주입 + 파일회전 삽입(COREX 공법) 등 종류가 있다. 이들 공법들은 외국에서 도입되어 개량 혹은 보완된 것들로서 특정한 공법 명으로 불리고 있으며, 공법들 간의 차이점은 굴착방법과 파일의 최종설치 방법에 있고, 이에 따라 시공성 및 지지력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위와 같은 공법 중에서도 항타공법 보다는 매립공법이 유리하게 보이나 항타공법은 매립공법의 기초가 되는 것으로, 소음, 비산 및 진동에 대해 제한이 없다면 효율적이며 경제적이면서 지지력에 대한 신뢰성이 높은 항타공법을 이용하여 파일이 설치되는데, 이 항타공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초 파일의 두부를 해머로 타격하기 때문에 이 공법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것은 두부의 손상과 파일이 지반층에 입설되면서 수직도의 유지이다.
위 문제점 중에서 파일 두부의 타격 시 두부의 손상은 파일의 두부를 강화하거나 두부에 캡을 씌우거나 또는 적절한 해머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으나, 파일 두부의 타격 시 수직도의 유지는 파일이 관입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이를 확인해야 하며 해머의 수직 타격을 해야 등 상당히 어려운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관입되는 파일의 지반에 암반 등이 있는 경우 경사 입설에 의한 수직 오차는 발생될 수밖에 없다. 이때 파일의 수직 관입 시에 발생되는 수직 오차는 이 파일에 직각으로 설치되는 브래킷의 수평 오차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948501호(발명의 명칭: 옹벽용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에는 수직지주(파일)를 매립하여 이를 기초로 하는 옹벽용 확장 인도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도시하였다. 이 옹벽용 확장 인도의 구성은 하단이 매립되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수직지주(10)와, 수직지주(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하부 플랜지와 웨브로 이루어진 지지브래킷(20)과, 지지브래킷(20)의 상부 플랜지에 직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는 각형강관(30)과, 각형강관(30)의 상부에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바닥재(40) 및 지지브래킷(20)의 외측 끝단부에 고정되는 펜스(50)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구성에서 경사면에 설치되는 수직지주(10)는 항타공법과는 달리 매립공법에 의해 입설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경사면의 기울기가 큰 경우에 천공되는 크기는 입설되는 수직지주(10)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하므로 이때 매립공법은 적절치 않으며 또한, 항타공법이든 매립공법이든지 수직지주(10)를 입설하는 과정에서 수직 오차는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직 오차는 이 수직지주(10)에 설치되는 지지브래킷(20)의 수평 오차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지지브래킷(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각형강관(30)의 내외측 높낮이가 달라져 바닥재(40)의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치된 바닥재(40)는 굴곡이 발생하여 평탄하지 않고, 더욱이 이러한 문제점은 확장 보도의 안전을 위협하기도 한다.
한편, 지지브래킷(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각형강관(30)은 그 연설된 길이가 확장보도의 길이에 상당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각형강관(30)은 확장 보도의 길이만큼 일정길이의 단위체가 연결되어 설치되나 계절 및 주야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이 가장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온도 변화에 따라 각형강관(30)의 신축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하는데, 등록특허공보 제10-998202호(발명의 명칭: 교량 확장 인도)에는 이 각형강관(30)의 신축을 수용할 수 있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어 이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2는 각형강관의 신축을 위한 각형강관의 연결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 2의 (a)는 각형강관(30)과 이웃하는 각형강관(31) 사이에 제1연결재(35)가 설치되되 제1연결재(35)의 일측은 각형강관(30)의 내면에 끼워져 용접 고정되고 타측 각형강관(31)은 이 제1연결재(35)의 외면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신축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고, 도면 2의 (b)는 각형강관(30)과 이웃하는 각형강관(31) 사이에 제2연결재(36)가 설치되되 제2연결재(36)의 일측은 각형강관(30)의 외면에 끼워져 용접 고정되고 타측 각형강관(31)은 이 제2연결재(36)의 내면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런데 도면 2의 (a)의 구성에서 각형강관(31)의 상부에 조립되는 바닥재(40)는 이 바닥재(40)의 상부에서 하부로 나사설치되는 결합재(30')에 의해서 고정되는데, 이 결합재(30')는 바닥재(40), 각형강관(30) 및 제1연결재(35)를 동시에 관통하여 설치됨으로 결국, 바닥재(40)를 각형강관(30)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가 제1결합재(35)까지 고정하여 구속함으로써 타측 각형강관(31)이 제1결합재(35)의 외주면에서 슬라이딩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도면 2의 (b)에서의 제2연결재(36)에 의한 각형강관의 연설 구성은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므로 바닥재(40)를 결합재(30')에 의해 각형강관(31)에 고정하는 경우 각형강관(31)은 결합재(30')가 이를 구속하지 않아 슬라이딩이 가능하나 이 각형강관(31)은 상부측으로 이탈되는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하부에서 상부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바닥재(40)가 각형강관(30)과 같이 상부로 들려 올려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법면에 입설되는 강관지주가 일정범위에 이내에 수직도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이 강관지주에 설치되는 브래킷의 수평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법면 확장 보도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온도에 따른 각형강관의 신축을 수용하되 바닥재의 들려짐을 방지할 수 있는 법면 확장 보도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법면 확장 보도는 법면에 수직으로 입설되며, 복수 개 배열되는 강관지주와; 상기 강관지주의 상단부에 그 내주연이 상기 강관지주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지주결합관과; 상기 지주결합관에 결합되어 상기 강관지주와 수직을 이루고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부 플랜지, 하부 플랜지 및 웨브로 구성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상부 플랜지에 직각방향으로 상호 연결에 의해 연설되며 복수 개 배열되는 각형강관과; 상기 각형강관의 상부에 상기 각형강관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바닥재 및 상기 브래킷의 상부 플랜지 외측 끝단부에 설치되는 펜스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형강관과 이에 연설되는 다른 각형강관과의 상호 연결은, 상부가 개구되며, 일측은 각형강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다른 각형강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타측의 각형강관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체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법면에 입설되는 강관지주와 브래킷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입설되는 강관지주의 수직도에 따라서 브래킷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른 브래킷과의 수평 오차를 최소화하여 더욱 안전적인 법면 확장 보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온도에 의한 각형강관의 신축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법면 확장 보도의 내구성이 증진되며 이에 따라 안정성이 뛰어난 법면 확장 보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옹벽용 확장 인도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온도에 따라 신축을 수용할 수 있는 각형 강관의 연결 구성도(a, b),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법면 확장 보도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강관 지주와 브래킷의 설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강관 지주와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각형강관의 연결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형강관의 연결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온도에 따라 신축을 수용할 수 있는 각형 강관의 연결 구성도(a, b),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법면 확장 보도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강관 지주와 브래킷의 설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강관 지주와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각형강관의 연결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형강관의 연결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법면 확장 보도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법면에 입설되어 설치되는 강관지주와 브래킷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이 브래킷과 다른 브래킷과의 수평 오차를 최소화하고, 온도에 의한 각형강관의 신축을 수용할 수 있는 법면 확장 보도에 관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의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법면 확장 보도의 일부 분해 사시도, 지주와 브래킷의 설치 사시도 및 강관 지주와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법면 확장 보도의 구성은 크게, 강관지주(100), 지주결합관(200), 브래킷(300), 각형강관(400), 바닥재(500) 및 펜스(600)로 구성되며, 이 구성에서 법면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강관지주(100)와 브래킷(300) 사이에 지주결합관(200)을 구비하되 이 지주결합관(200)이 소정의 유격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복수 개 설치되는 브래킷(300)이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강관지주(100)는 법면에 설치되되 지반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법면 확장 보도를 지탱하는 것으로, 항타공법 또는 매립공법 등으로 설치된다. 이때 항타공법 또는 매립공법 등으로 강관지주(100)가 입설되는 과정에서 수직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수직 오차는 강관지주(100)의 두부를 타격하여 입설하는 항타공법에서 크게 발생할 수 있으며, 지반을 천공하여 강관지주(100)를 매립하는 매립공법에서도 지반에 천공되는 구멍의 내경은 이에 매립되는 강관지주(100)의 외경보다 크게 하여 천공하기 때문에 수직 오차는 발생될 수 있다.
이렇게 수직 오차로 입설되는 강관지주(100)에 의해서 그에 직각으로 설치되는 브래킷(300)은 더욱 큰 수평 오차를 일으키며, 이러한 브래킷(300)의 수평 오차는 법면 확장 보도에서 보도 면에 굴곡이 발생하여 전체적으로 미관이 좋지 않으며, 구성요소의 결합을 난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보도 면의 뒤틀림은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확장 보도의 안정성에도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강관지주(100)와 브래킷(300) 사이에 설치되는 지주결합관(200)은 상기 수직 오차를 감소시킴으로써 브래킷의 수평 오차를 감소시키는 구성으로, 이 지주결합관(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지주결합관(200)은 강관지주(100)의 상단부에 이 강관지주(100)에 끼워져 삽입되는 것으로, 상하부는 개구되며 그 내주연에는 강관지주(100)의 외주연이 삽입되고, 그의 고정은 결합나사(210) 또는 용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지주결합관(200)의 내경은 강관지주(100)의 외경보다 크게 제작될 수 있으며, 이 크기의 차이로 인하여 지주결합관(200)이 강관지주(100)에 삽입된 후 소정의 각도변환이 가능하다. 또는 이 지주결합관(200)의 내경과 강관지주(100)의 외경이 면 접촉하게 동일 크기로 제작하고, 브래킷이 결합되는 타측부는 원주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220)를 구비함으로써 이를 대신할 수 있다.
즉, 이 절개부(220)는 지주결합관(200)이 강관지주(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 지주결합관(200)이 소성 변형의 범위 내에서 변형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 절개부(220)는 지주결합관(200)이 강관지주(100)에 삽입되고 지주결합관(200)을 강제 조작에 의해 일정범위 안에서 전후좌우로의 변형을 수용하여 하기에서 설명될 브래킷(300)의 수평을 맞출 수 있게 된다. 즉, 절개부(220)는 지주결합관(200)이 강관지주(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팅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그 절개된 간격은 강관지주(100)의 외경과 지주결합관(200)의 두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지주결합관(200)은 상하부가 개구되어 있으므로 지주결합관(200)은 강관지주(100)의 외주연에서 상하로 승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하 수평 맞춤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지주결합관(200)이 상하부가 개구됨에 따라 지주결합관(200)은 강관지주(100)의 외주연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여 강관지주(100)가 법면에 덜 삽입되어 입설된 경우에도 지주결합관(200)을 하강할 수 있으므로, 강관지주(100)의 상부를 절단하는 부수적인 작업을 시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때, 강관지주(100)와 지주결합관(200)이 결합나사(210)에 의해 결합 될 경우, 지주결합관(200)에는 이 결합나사(210)가 관통되는 결합공(201)을 미리 마련할 수 있으나, 이 결합나사(210)가 지주결합관(200)의 관통한 이후 강관지주(100)를 관통하는 나사공(101)은 브래킷(300)의 수평에 맞춰 천공되어야 하므로, 강관지주(100)에 천공되는 나사공(101)은 브래킷(300)의 수평맞춤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현장에서 천공될 수 있다. 즉, 나사공(101)은 현장에서 입설된 강관지주(100)의 수직도에 따라 결합공(201)에 연통되도록 천공되며, 이때 나사공(101)은 플라즈마(plasma) 절단기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주결합관(200)에 의해서 법면에 입설되는 강관지주(100)와 브래킷(300)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입설되는 강관지주(100)의 수직도에 따라서 브래킷(30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른 브래킷과의 수평 오차를 최소화하여 더욱 안전적인 법면 확장 보도를 제공할 수 있다.
브래킷(300)은 지주결합관(20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법면 확장 보도의 보도 면을 지탱하는 기초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부 플랜지(310), 하부 플랜지(320) 및 웨브(330)로 구성되어 그 단면이 H형강(또는 I형강) 형상으로 구성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하부 플랜지(320)가 상부 플랜지(310)에 근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브래킷(300)과 지주결합관(200)의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지주결합관(200)과 웨브(330) 사이에는 보강리브(3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브래킷(300)과 지주결합관(200)은 현장에서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조속한 공사를 위해 미리 결합하여 공사 현장에 투입될 수 있다. 이에 브래킷(300)과 지주결합관(200)이 미리 결합되어 제작되고, 지주결합관(200)을 강관지주(100)에 삽입하여 결합하게 되면 브래킷(300)의 끝단부를 조절하는 것으로 수평 맞춤이 더욱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브래킷(300)의 상부 플랜지(310)에는 각형강관(400)이 설치되는데, 이 각형강관(400)은 브래킷(300)의 상부 플랜지(310)에 직각방향으로 상호 연결에 의해 연설되며 복수 개로 배열된다. 즉, 각형강관(400)은 일정 길이의 단위체가 서로 연설되어 브래킷(300)의 상부 플랜지(310)에 설치되는데, 이를 첨부된 도면의 도 6에 이를 도시하였다. 각형강관(400)이 연설되는 길이는 일반적으로 법면 확장 보도의 길이에 대응되는 경우가 많고, 연설되는 길이가 상당히 길 경우에는 일정 길이로 그 간격을 띄워서 설치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 각형강관(400)은 서로 연설되어 상부 플랜지(310)에 설치되기 때문에 그 길이가 상당할 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부분으로 이 신축을 수용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각형강관(400)의 신축을 수용하기 위해 각형강관(400)과 그에 연설되는 다른 각형강관(401)은 연결체(450)에 의해서 결합되는데, 이 연결체(450)는 상부가 개구되며, 그 일측은 각형강관(4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다른 각형강관(401)의 내부에 삽입되어 타측의 각형강관(401)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 연결체(450)에 의한 각형강관(400, 401)의 결합 구성은 일측 각형강관(400)은 고정되고 타측 각형강관(401)은 연결체(450)의 외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신축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연결체(450)의 상부는 개구되어 있으므로 첨부된 도면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재(500) 및 각형강관(401)은 스크류(501)에 의해 서로 체결되고, 스크류(501)는 바닥재(500) 및 각형강관(401)을 관통하여 연결체(450) 상부의 개구된 부위에 위치하여 스크류(501)가 연결체(450)를 구속하지 않으므로 각형강관(401)이 신축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결체(450)는 온도에 의한 각형강관의 신축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법면 확장 보도의 내구성이 증진되며 이에 따라 안정성이 뛰어난 법면 확장 보도를 제공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 7은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형강관의 연결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연결체(450)는 "ㄷ"형상의 연결체이나, 도 7에 도시된 연결체는 "C"형상의 연결체(451)이며, 이러한 "C"형상의 연결체(451)일 경우 바닥재(500)가 받는 하중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바닥재(500)는 법면 확장 보도의 바닥을 이루는 마감재에 해당하는 것으로, 목재, 합성 목재 및 합성수지 또는 이들 재료의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재(500)를 관통한 스크류(501)가 각형강관(400)에 나사 결합되어 스크류(501)에 의해서 바닥재(500)를 직접 고정할 수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550)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클립(550)은 각형강관(400)에 스크류(502)에 의해 설치되며 좌우측으로는 일정 높이에 각각 돌출 형성된 돌기(551)를 가지고 그 중심부는 하부 측으로 함몰되어 그 저면이 각형강관(400)의 상부에 면접촉하고, 그 중심부에는 스크류(502)가 삽입 관통되어 관통된 스크류(502)가 각형강관(400)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각형강관(400)에 고정된다. 이때 바닥재(500)에는 클립(550)의 돌기(551)에 대응되는 요홈(51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각형강관(400)에 클립(550)이 스크류(502)에 의해서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이 클립(550)의 돌기(551)가 바닥재(500)의 요홈(510)에 삽입되게 결합하는 것으로 바닥재(500)가 설치된다.
펜스(600, 도 3 참조)는 브래킷(300)의 상부 플랜지(310) 외측 끝단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보행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으로, 상부 플랜지(310)의 외측 끝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펜스지주(610)와 이 펜스지주(610)를 연결하는 안전바(620)로 구성된다. 이 펜스(600)와 상부 플랜지(310)와의 결합은 나사결합 또는 용접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브래킷(300)의 최외각에 설치되므로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비교적 가벼운 경량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법면 확장 보도를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법면 확장 보도가 시공되어야 할 법면에 강관지주(100)를 항타공법 또는 매립공법 등으로 입설한다.
입설된 강관지주(100)에 지주결합체(200)를 삽입하여 수직도를 측정하고 이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지주결합체(200)를 강관지주(100)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이 지주결합체(200)에 브래킷(300)을 결합한다.
이 과정에서 지주결합체(200)와 브래킷(300)은 미리 결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이를 먼저 실행하는 경우, 즉 지주결합체(200)와 브래킷(300)을 미리 결합하여 제작된 경우에는 입설된 강관지주(100)에 브래킷(300)이 결합된 지주결합체(200)를 삽입하여 브래킷(300)을 조정하는 것으로 수평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공으로 설치되는 브래킷(300)은 다른 브래킷(300)과의 수평 오차 발생이 현저히 감소된다.
브래킷(300)이 설치된 이후에는 현장 요건에 따라 펜스(600) 또는 각형강관(400)이 순차적으로 설치되거나 병행 설치될 수 있다.
브래킷(300)의 상부 플랜지(310)에 설치되는 각형강관(400)의 연설은 연결체(450, 451)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상부 플랜지(310)에 복수 개로 배열된다.
각형강관(400)이 설치되면, 그 상부에 바닥재(500)를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법면에 입설되는 강관지주와 브래킷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입설되는 강관지주의 수직도에 따라서 브래킷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른 브래킷과의 수평 오차를 최소화하여 더욱 안전적인 법면 확장 보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온도에 의한 각형강관의 신축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법면 확장 보도의 내구성이 증진되며 이에 따라 안정성이 뛰어난 법면 확장 보도를 제공할 수 있다.
100 : 강관지주 101 : 나사공
200 : 지주결합체 201 : 결합공
210 : 결합나사 220 : 절개부
300 : 브래킷 310 : 상부 플랜지
320 : 하부 플랜지 330 : 웨브
340 : 보강리브 400, 401 : 각형강관
450, 451 : 연결체 500 : 바닥재
501, 502 : 스크류 510 : 요홈
550 : 클립 551 : 돌기
600 : 펜스 610 : 펜스지주
620 : 안전바
200 : 지주결합체 201 : 결합공
210 : 결합나사 220 : 절개부
300 : 브래킷 310 : 상부 플랜지
320 : 하부 플랜지 330 : 웨브
340 : 보강리브 400, 401 : 각형강관
450, 451 : 연결체 500 : 바닥재
501, 502 : 스크류 510 : 요홈
550 : 클립 551 : 돌기
600 : 펜스 610 : 펜스지주
620 : 안전바
Claims (6)
- 법면에 수직으로 입설되며, 복수 개 배열되는 강관지주(100)와;
상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강관지주(100)의 상단부에 끼워져 삽입되는 지주결합관(200)과;
상기 지주결합관(200)에 결합되어 상기 강관지주(100)와 수직을 이루고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부 플랜지(310)와 하부 플랜지(320) 및 웨브(330)로 구성되는 브래킷(300)과;
상기 상부 플랜지(310)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상호 연결에 의해 연설되어 복수 개 배열되는 각형강관(400)과;
상기 각형강관(400)의 상부에 상기 각형강관(400)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바닥재(500) 및
상기 상부 플랜지(310)의 외측 끝단부에 설치되는 펜스(600)로 구성되며,
상기 각형강관(400)과 이에 연설되는 각형강관(401)은 그 단면이 상부가 개구된‘C’형상을 가지며, 일측은 상기 각형강관(40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각형강관(401)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체(451)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지주결합관(200)은 원주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220)를 가지며,
상기 바닥재(500) 및 상기 각형강관(401)은 스크류(501)에 의해 서로 체결되고, 상기 스크류(501)는 상기 바닥재(500) 및 상기 각형강관(401)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체(451) 상부의 개구된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확장 보도.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결합관(200)과 상기 강관지주(100)는 결합나사(210)에 의해서 결합되되,
상기 강관지주(100)에 천공되는 나사공(101)은 상기 브래킷(300)의 수평맞춤에 따라 현장에서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확장 보도.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9181A KR101181678B1 (ko) | 2011-10-25 | 2011-10-25 | 법면 확장 보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9181A KR101181678B1 (ko) | 2011-10-25 | 2011-10-25 | 법면 확장 보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81678B1 true KR101181678B1 (ko) | 2012-09-19 |
Family
ID=4711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9181A KR101181678B1 (ko) | 2011-10-25 | 2011-10-25 | 법면 확장 보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1678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8742B1 (ko) * | 2013-11-28 | 2014-08-11 | 주식회사 태하 | 도로용 확장 인도 구조물 |
KR101428748B1 (ko) * | 2013-11-28 | 2014-09-23 | 주식회사 태하 |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
KR101447143B1 (ko) * | 2012-09-27 | 2014-10-06 | 장유배 | 캔틸레버식 확장형 보도 및 자전거 도로 |
KR102087554B1 (ko) * | 2019-08-27 | 2020-04-09 | (주)신승이앤씨 | 지중장애물 구간에 설치가 용이한 법면 확장 인도교 및 그의 시공 방법 |
KR102229674B1 (ko) * | 2021-01-06 | 2021-03-19 | (주) 나무들 | 데크로드 시공공법 |
JPWO2021090873A1 (ko) * | 2019-11-07 | 2021-05-14 | ||
KR102609642B1 (ko) * | 2022-12-27 | 2023-12-05 | 휴먼이엔씨주식회사 | 인도 및 자전거 교량용 길이 변경이 가능한 보강캡 구조물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5945Y1 (ko) | 2008-11-28 | 2009-09-11 | 주식회사 승보 | 데크 결합부재 |
KR100948501B1 (ko) | 2009-07-10 | 2010-03-23 | (주) 태평양지질 | 옹벽용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
-
2011
- 2011-10-25 KR KR1020110109181A patent/KR10118167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5945Y1 (ko) | 2008-11-28 | 2009-09-11 | 주식회사 승보 | 데크 결합부재 |
KR100948501B1 (ko) | 2009-07-10 | 2010-03-23 | (주) 태평양지질 | 옹벽용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7143B1 (ko) * | 2012-09-27 | 2014-10-06 | 장유배 | 캔틸레버식 확장형 보도 및 자전거 도로 |
KR101428742B1 (ko) * | 2013-11-28 | 2014-08-11 | 주식회사 태하 | 도로용 확장 인도 구조물 |
KR101428748B1 (ko) * | 2013-11-28 | 2014-09-23 | 주식회사 태하 |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
KR102087554B1 (ko) * | 2019-08-27 | 2020-04-09 | (주)신승이앤씨 | 지중장애물 구간에 설치가 용이한 법면 확장 인도교 및 그의 시공 방법 |
JPWO2021090873A1 (ko) * | 2019-11-07 | 2021-05-14 | ||
WO2021090873A1 (ja) * | 2019-11-07 | 2021-05-14 | Jfeシビル株式会社 | 道路構造、型枠治具、及び道路構造の施工方法 |
KR102229674B1 (ko) * | 2021-01-06 | 2021-03-19 | (주) 나무들 | 데크로드 시공공법 |
KR102609642B1 (ko) * | 2022-12-27 | 2023-12-05 | 휴먼이엔씨주식회사 | 인도 및 자전거 교량용 길이 변경이 가능한 보강캡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1678B1 (ko) | 법면 확장 보도 | |
DK2478172T3 (en) | anchoring Stolpe | |
KR101274974B1 (ko) | 흙막이 겸용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090400B1 (ko) | 도로의 측변에 설치되는 확장형 인도교의 시공방법 | |
KR101633431B1 (ko) |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0948501B1 (ko) | 옹벽용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 |
CN111254772B (zh) | 一种适用于悬崖峭壁路段老路扩宽的大悬挑结构及施工方法 | |
KR101018637B1 (ko) |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 |
US20230349117A1 (en)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street furniture | |
EP1916338A1 (en) | Self-supporting soundproofing and retaining prefabricated concrete panel | |
KR101201216B1 (ko) |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 |
KR102186472B1 (ko) | 차도인접 방음벽 기초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CN211922133U (zh) | 一种适用于悬崖峭壁路段老路扩宽的大悬挑结构 | |
KR20080001610U (ko) | 매입형 배수로 부재 | |
KR101416289B1 (ko) | 측구 | |
WO2015059579A2 (en) | Anchor post | |
RU88359U1 (ru) | Свайно-эстакадная дорож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 |
KR102670724B1 (ko) | 매립형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도용 방호 울타리 | |
JP4834649B2 (ja) | 盛土構造物を構築する盛土構造及び盛土構造構成用の擁壁ブロック並びに盛土構造物の構築工法 | |
CN219218564U (zh) | 一种适用于山区的装配式悬挑上下叠合道路结构 | |
JP4282507B2 (ja) | 軽量盛土構造体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軽量盛土構造体の拡幅施工方法 | |
KR100488130B1 (ko) | 조립식 옹벽 | |
NL2025548B1 (en) | Method for renovating a quay wall | |
JP2006265857A (ja) | 張出車道ブロック及び該ブロックを用いた張出車道の施工方法 | |
WO2008090392A1 (en) | Crossings, especially home driveway crossing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