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216B1 -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 Google Patents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216B1
KR101201216B1 KR1020120025259A KR20120025259A KR101201216B1 KR 101201216 B1 KR101201216 B1 KR 101201216B1 KR 1020120025259 A KR1020120025259 A KR 1020120025259A KR 20120025259 A KR20120025259 A KR 20120025259A KR 101201216 B1 KR101201216 B1 KR 101201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hanger
road structure
support
sidew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희
Original Assignee
김석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희 filed Critical 김석희
Priority to KR102012002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에 관한 것으로, 교량, 옹벽, 자전거 도로, 하천 변 둔치 등에 확장 인도를 시공하되,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을 회피하고 보도 데크를 용이하게 설치하여 확장 인도를 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는, 교량, 자전거 도로를 포함하는 도로 구조물의 양측 가장자리 중에서 일측의 가장자리 이상에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지지브래킷(10)과; 상기 지지브래킷들 사이의 공간에 다수열로 배열되는 데크 지지부재와; 상기 데크 지지부재에 걸쳐 고정되어 상기 지지브래킷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면서 보행로를 형성하는 판상의 보도 데크를 포함하며, 상기 보도 데크는 저면에 하부를 향해 개방된 행거가 형성되어, 상기 행거를 통해 상기 데크 지지부재 위에 걸쳐 고정된다.

Description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EXTENSION FOOTPATH OF ROAD CONSTRUCTION}
본 발명은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옹벽, 자전거 도로, 하천변 둔치 등을 포함하는 도로 구조물의 가장자리에 인도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확장 인도 시공 공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교통수요를 질과 양적인 면에서 효율적으로 소화해가면서도 도로이용자 측면에서 안전하며 편리하고 빠른 도로가 건설되도록 하기 위하여 국도나 지방도 등에도 자전거도로를 건설할 수 있도록 하고, 관광지 접근도로, 시가지내 도로 등 자전거 교통량이 많은 도로에 자전거도로 건설을 유도하며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하고 자전거이용의 활성화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까지 제정하여(법령 제4870호:95.1.5)시행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유가 상승으로 인하여 자전거의 사용율을 높이기 위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이 펼쳐지고 있으며, 일예로, 일반 도로 보도부는 물론, 공원, 하천 변 등에 자전거 전용 도로의 신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천 변 등에 자전거 도로를 시공하는 경우 하천 변의 일측 이상에 비탈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자전거의 안전주행을 위해서는 확장 공사를 하여야 한다.
한편, 기존 도로 변에는 보행자의 통행을 위하여 인도가 시공된다.
인도의 폭이 좁아 인도를 확장하는 경우(인도를 신규 시공하는 경우도 포함) 도로 변에 비탈면이 있는 경우 또는 도로 변의 비탈면에 인도를 시공하는 경우 수많은 토사를 이용하여 지반을 확장하고 상기 토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필요하게 되며, 실제 지반의 내구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인도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보다 더 넓은 지역을 확장해야한다. 또는, 인도를 지지할 수 있는 부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존 구조물을 훼손한 후, 터파기를 이용하여 고정지지부재 등을 삽입하고 다시 인도를 포함하는 인도를 재포장하는 방법은 이를 시공하기 위한 비용이 매우 높아지며, 기존의 구조물을 훼손하고 재포장하는 등 작업이 용이치 않으며 공기가 늘어나게 되어 시공을 위한 비용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비탈면을 갖는 도로나 하천 변(둔치)에 자전거 도로를 시공하려는 경우 자전거 도로의 확충을 위한 확장 공법이 제안된 바가 없기 때문에 자전거 도로의 시공율이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감안할 때, 도로 변이나 둔치에 현장 타설로 자전거 도로, 인도를 시공할 수 있으나, 현장 타설에 따라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확장 인도(차도 포함)는 옹벽, 교량 등에도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천, 도로, 항만 등의 측면에 형성된 비탈면에는 옹벽이 설치된다.
이러한 옹벽은 비탈면의 토압을 지지함으로써, 충분한 지지강성을 확보하여 변형 또는 붕괴 등을 방지한다.
옹벽은 그 구조에 따라 그 쓰임새와 형태가 다르게 적용됨으로 지형을 고려하여 그 쓰임새에 맞는 옹벽을 선택하여 시공하면 된다.
옹벽의 종류로는 도시한 바와 같이 L형 옹벽, 역T형 옹벽, 중력식 옹벽, 역L형 옹벽 등이 있다.
그런데, 옹벽 위에 충분한 폭을 확보하지 못해 차량만 통행 가능하도록 시공된 도로에는 보행자가 보행하기 위한 인도가 없어 비현실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도의 설치하고자 할때에는 설치에 따른 과도한 비용과 비효율적인 문제로 인해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교량(bridge)이라 함은 냇가나 강가 등에 보행자나 차량 등이 통행을 위해 건설되는 것으로서, 설치하고자 하는 환경이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공법에 의해 건설된다.
현재, 건설되어 사용되고 있는 교량은 다수의 교각(橋脚), 상판, 교자 및 난간 등을 구성되며, 상기 교량은 차량의 통행뿐만 아니라, 일반 보행자의 통행을 위한 인도가 함께 설치되기도 하며, 이러한, 교량에 설치되는 인도는 별도의 방법에 의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차량통행을 위한 차도, 즉, 상판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난간 등으로 구획시켜 이를 인도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종래의 차량통행이 이루어지는 교량에는 보행을 위한 인도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보행을 위한 인도를 설치하려면, 별도로 보행을 위한 교량을 설치해야되나, 이는 현실적이지 못하고, 설치에 따른 과다한 비용과 비효율적인 문제로 인해, 현재, 시행되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에 따라 기존 교량, 옹벽, 하천 변 둔치 등에 확장 인도를 시공하기 위한 다수의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 특허문헌은 각각 확장 인도를 시공하는 기술로서, 교량 등 기존 구조물에 브래킷을 외팔보 형태로 고정하고 상기 브래킷들 위에 발판을 체결구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말뚝 등을 사용하지 않고 인도를 확장할 수 있는 점에서는 효과가 있겠지만, 발판을 다수의 체결구로 체결하여야 하므로 공기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고, 발판이 양측의 브래킷을 지지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브래킷에서 먼 부분의 지지기반이 약하여 발판의 처짐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등록특허 제10-1081840호 등록특허 제10-0952237호 등록특허 제10-097567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량, 옹벽, 자전거 도로, 하천 변 둔치 등에 확장 인도를 시공하되,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을 회피하고 보도 데크를 용이하게 설치하여 확장 인도를 시공할 수 있는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는, 교량, 자전거 도로를 포함하는 도로 구조물의 양측 가장자리 중에서 일측의 가장자리 이상에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지지브래킷과; 상기 지지브래킷들 사이의 공간에 다수열로 배열되는 데크 지지부재와; 상기 데크 지지부재에 걸쳐 고정되어 상기 지지브래킷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면서 보행로를 형성하는 판상의 보도 데크를 포함하며, 상기 보도 데크는 저면에 하부를 향해 개방된 행거가 형성되어, 상기 행거를 통해 상기 데크 지지부재 위에 걸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에 의하면, 보도 데크를 데크 지지부재(케이블, 관 등) 위에 걸치는 것만으로 설치하여 도로 구조물(교량, 옹벽, 자전거 도로, 하천 변 둔치 등)에 인도를 확장 시공하므로 공구의 사용에 따른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식 행거를 사용하는 경우 보도 데크를 데크 지지부재에 걸쳐 고정함은 물론 시각적이나 구조적으로 볼 때 안정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데크 지지부재의 중앙부(지지브래킷으로부터 먼 곳)가 하부로 처지더라도 높이조절판을 통해 보도 데크를 항상 일정한 높이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확장 인도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인도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인도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인도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인도에 적용된 케이블의 고정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인도에 적용된 케이블의 고정구조를 보인 다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인도에 적용된 브레이싱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인도에 적용된 케이블의 배선 방법의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인도에 적용된 보도 데크의 예시도.
도 7d와 도 7e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인도에 적용된 보도 데크의 이음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인도에 적용된 행거의 다른 예시도.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인도의 행거에 높이조절판이 적용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인도에 적용된 행거가 개폐식인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인도에 적용된 행거의 다른 개폐식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인도에 적용된 데크 지지부재의 다른 예를 보인 측면도.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인도가 지반에 연계하는 예를 도시한 측면도와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인도의 보강을 위해 서포트가 적용된 예시도.
도 16a와 도 16b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인도를 추가로 확장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인도는, 기존 구조물(교량, 옹벽, 도로 등 확장 인도가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구조물을 말하며 이하에서는 교량(1)을 예로 들어 설명함) 즉 교량(1)의 일측 가장자리 이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브래킷(10), 지지브래킷(10)들 사이에 거치되는 데크 지지부재[케이블(20) 등의 사용이 가능하고 이하에서는 케이블(20)로 예로 들어 설명함], 케이블(20) 위에 지지되어 지지브래킷(10) 사이의 공간을 막아 인도를 형성하는 보도 데크(30)로 구성된다.
지지브래킷(10)은 교량(1)의 예를 들어 일측에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어 케이블(20)과 함께 교량(1) 바깥쪽에 보도 데크(30)를 시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의 지지브래킷(10)은 교량(1)의 상면과 측면에 각각 면 접촉되도록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져 앵커로 고정되는 고정부(11)가 구비된다.
고정부(11)는 교량(1)의 상면과 측면에 함께 지지되면서 예를 들어 교량(1)에 매설되는 하나 이상의 앵커(11a)를 통해 고정된다. 또는 고정부(11)는 교량(1)의 연석을 감싸는 캡 구조로 이루어져 연석과 교량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고정될 수도 있고, 또는 연석이 파손된 경우 연속을 제거한 후 교량 상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지지브래킷(10)은 케이블(20)[또는 케이블(20)과 보도 데크(30)]를 지지하며, 도 4a에서 보이는 것처럼, 케이블(20)이 상부에서 안착되는 안착홈(12)이 형성되거나, 도 4b에서처럼 케이블(20)이 관통하는 체결공(13)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브래킷(10)은 스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보도 데크(30)의 하중 등에 따라 상호 간의 간격이 달라진다.
지지브래킷(10)은 단부에 난간대를 설치할 수 있는 구성(난간대의 포스트가 삽입 고정되는 홈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지지브래킷(10)은 고정부(11)와 앵커(11a)만으로 교량(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지만, 상호 간의 간격을 유지함과 더불어 압축력으로 인한 설계 위치 변경을 막기 위하여 제1,2간격유지대(14,15)가 적용된다. 제1간격유지대(14)는 교량(1) 상면에 안착되어 예를 들어 앵커링으로 고정되어 이웃하는 지지브래킷(10)을 지지하고, 제2간격유지대(15)는 지지브래킷(10)의 고정부(11) 반대쪽에 배치되어 양측이 이웃하는 지지브래킷(10)에 체결구,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지지브래킷(10)의 타측[교량(1)에서 먼 곳)을 지지한다. 제1,2간격유지대(14,15)는 필요에 따라 선택 사용되고 교량(1)이나 지지브래킷(10)에 대한 고정 방법은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므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거나 도시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 5에서처럼, 이웃하는 지지브래킷(10)을 지지하는 방법으로 브레이싱(16)이 적용될 수도 있다. 브레이싱(16)은 이웃하는 지지브래킷(10)들의 사이에 지브래킷(10)과 다른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양측이 이웃하는 지지브래킷(10)들에 고정 또는 지지브래킷(10)과 교량(1)에 고정된다.
브레이싱(16)은 제1,2간격유지대(14,15)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로써, 지지브래킷(10)과 제1,2간격유지대(14,15)들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보도 데크(30)가 설치된다.
상기 데크 지지부재는 보도 데크(30)를 지지하는 것으로, 케이블(20), 관, 케이블과 보호관 조립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블(20)은 지지브래킷(10)들과 예를 들어 직교하는 방향(직각이 아닌 각도도 포함)으로 배열되어 보도 데크(30)를 저부에서 지지한다. 또한, 케이블(20)은 도면에 직선형으로 설치되는 것으로만 도시하였으나, 측면에서 볼 때 중앙부가 하부로 볼록하도록 설치되고 행거(31)도 중앙부가 하부로 볼록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케이블(20)이 슬래브(30)의 중앙부를 상부로 지지하는 힘을 발생한다.
케이블(20)은 보도 데크(30)의 모든 부분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브래킷(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되며, 도 4a에 도시된 안착홈(12), 도 4b에 도시된 체결공(13)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20)은 항상 일정한 장력으로 보도 데크(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도 6에서처럼, 양측에 자유부[보도 데크(30)를 지지하지 않는 부분]를 구성하여 교량(1)에 고정 내지 인장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인장기를 사용하지 않고 인장할 수 있도록 케이블(20)은 턴버클(21)을 통해 긴장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인도의 거리가 멀다면 다수의 지지브래킷(10)을 한 셋트의 케이블(20)로 지지할 수 없을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다수의 지지브래킷(10)들을 한 셋트의 케이블(20)로 지지할 것이고, 이때 케이블(20)의 단부는 이웃하는 셋트에서 마지막에 배치되는 지지브래킷(10)을 공유하여 설치될 것이다.
케이블(20)은 모든 지지브래킷(10)에 걸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웃하는 지지브래킷(10)들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양측이 이웃하는 지지브래킷(10)에 고정되어 다수개가 연쇄적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케이블(20)은 지지브래킷(10)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이동방지용 쐐기(30b)(도 3에 도시됨)가 적용될 수 있다.
보도 데크(30)는 지지브래킷(10)들 사이의 공간을 막아 인도를 조성하며, 보행 하중으로 인해 변형되지 않는 모든 재질과 강도의 제품 예컨대 철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수지패널 등이 가능하다.
보도 데크(30)는 케이블(20)에 별도의 체결구없이 설치가 가능하도록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저부에 행거(31)가 구비된다.
보도 데크(30)는 폭방향 양측에 난간대를 설치할 수 있는 난간대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보도 데크(30)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난간대 고정부가 있는 보도 데크(30)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한다.
행거(31)는 저부에 개방부가 있는 형태 예를 들어 "∩"일 수 있으며, 보도 데크(3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내지 체결구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즉 행거(31)의 개방부를 케이블(20)에 맞춰 보도 데크(30)를 올림으로써 보도 데크(30)를 설치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보도 데크(30)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보도 데크(30)는 한 장으로 구성되거나(도 7a), 다수개가 종방향(도로 진행 방향)으로 설치되거나(도 7b), 다수개가 횡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7c). 도 7b와 도 7c에서처럼, 다수의 보도 데크(30)로 이루어지는 경우 보도 데크(30)들을 서로 결속하여 일체화할 수 있도록 도 7d와 같이 연결간(30a)을 사용할 수 있다. 연결간(30a)은 예를 들어 양측으로 개방된 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홈에 이웃하는 보도 데크(30)가 삽입되며 체결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도 7e와 같이 별도의 연결간(30a)을 사용하지 않고, 보도 데크(30)의 이웃하는 단부를 서로 겹쳐지도록 단차지게 형성하여 체결구로 체결하거나 돌기와 홈에 의한 끼움 및 체결식도 가능하다.
행거(31)의 저부에 개방부가 있지만 보도 데크(30)의 하중 또는 제1,2간격유지대(14,15)를 위에서 덮는 방법을 통해 보도 데크(30)가 케이블(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지만, 행거(31)의 개방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불안감을 줄 수도 있을 것이므로 행거(31)의 개방부에 마감핀(32)(도 8a)이 적용될 수도 있다.
마감핀(32)은 예를 들어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행거(31)의 양 측벽에 관통 체결되는 방식, 행거(31)의 양 측벽에 끼워지는 핀 방식 등이 가능하다. 마감핀(32)과 함께 행거(31)의 개방부를 덮는 덮개(32a)가 형성될 수 있다. 덮개(32a)는 상부[보도 데크(30)측]를 향해 개방된 구조로서 좌우 양측이 마감핀(32)을 통해 행거(30)에 고정된다.
행거(31) 내부를 몰탈로 충진하는 경우 덮개(32a)는 거푸집의 기능을 겸한다.
도면에는 덮개(32a)가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덮개(32a)는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행거(31)의 안쪽에 몰탈(M)(도 8b참고)을 채워 밀봉할 수도 있다. 보도 데크(30)를 케이블(20)에 거치한 후 행거(31)의 저부를 거푸집으로 막은 후 행거(31) 내부에 몰탈을 주입함으로써 밀봉할 수 있고, 보도 데크(30)와 케이블(20)이 고정됨으로써 보도 데크(30)의 흔들림을 막을 수 있다. 몰탈(M)의 주입을 위하여 보도 데크(30)와 행거(31)에는 서로 연통하는 주입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블(20)(관 포함)은 변형 등에 의해 하부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처짐은 보행시 불안감을 주게 될 것이므로 케이블(20)의 처짐으로 인한 보도 데크(3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케이블(20)의 처짐으로 인하여 케이블(20)과 행거(31)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하여 도 9에서 보이는 것처럼, 높이조절판(33)이 적용될 수 있다. 높이조절판(33)은 보도 데크(30)에 나사 체결되는 높이조절봉(33a)의 하단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승강을 통해 항상 케이블(20)을 지지한다.
행거(31)의 내부에 끼움이나 체결이나 용접 등으로 미리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고, 높이차를 극복하기 위하여 1개 이상이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서, 높이조절판(33)은 도 9b에서처럼, 길이방향의 양측이 이웃하는 지지브래킷(10)의 상면에 안착 및 상부의 보도 데크(30)를 통해 지지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높이조절판(33)이 케이블(20)의 상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높이조절판(33)은 케이블(20)의 저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따라서, 높이조절봉(33a)은 행거(31)의 개방부쪽[덮개(32a) 등]에 설치된다.
행거는 개방부가 개폐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에서 보이는 것처럼, 행거는 2개의 행거편(34,35)으로 구성된다. 행거편(34,35)은 각각 상부 고정부(34a,35a), 수직부(34b,35b), 하부 마감부(34c,35c)로 구성되어 도 10 기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회전축을 통해 회동(서로 벌어지는 방향 또는 모아지는 방향) 가능하게 장착되며, 작동핀(34d,35d)을 통해 벌어지거나 모아지도록 작동한다.
작동핀(34d,35d)은 봉 형태로서 각각 보도 데크(30)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저부에 횡방향의 고정부(34e,35e)가 연장 형성되어, (A)와 같이 고정부(34e,35e)가 행거편(34,35)으로부터 이격되면 행거편(34,35)은 마감부(34c,35c)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개방 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부재가 적용될 수도 있다), (B)와 같이 작동핀(34d,35d)이 회전되어 고정부(34e,35e)가 행거편(34,35)을 밀면 행거편(34,35)의 마감부(34c,35c)가 폐쇄된다. 탄성부재가 적용되어도 작동핀(34d,35d)을 회동시킬 수 없으므로 행거편(34,35)은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개폐식 행거는 전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개방부를 갖는 행거(31)의 개방부에 회동식 마감부를 형성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도 11에서처럼, 마감부(36)는 체크밸브 형태로서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면서 탄성부재를 통해 막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방식으로서, 보도 데크(30)를 케이블(20)에 거치할 때 마감부(36)가 회전하면서 케이블(20)이 행거(31) 내부에 삽입되고 데크 지지지부재(20)의 삽입이 완료되면 마감부(36)가 탄성부재를 통해 반대로 회전하여 개방부를 폐쇄한다.
지금까지는 데크 지지부재를 케이블(20)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12에서 보이는 것처럼, 케이블(20)과 보호관(22)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보호관(22)은 양측이 이웃하는 지지브래킷(10)[지지브래킷(10)의 안착부 내지 체결공에 결합되는 관형의 고정편(17)]에 결합되며, 내부에 케이블(20)이 통과한다.
보호관(22)은 각관, 원형관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데크 지지부재는 케이블(20) 또는 케이블(20)과 보호관(22)의 조합뿐만 아니라 내부가 중공인 관(각관, 원형관 등), 내부가 막힌 봉부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교량(1)의 경우 교량(1)의 양쪽 끝과 연결되는 부분이 도로(지반)와 연계할 수 있으며, 지반의 경우 지지브래킷(10)을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지지브래킷(10)을 고정부(11)를 통해 고정할 수 없고, 하지만, 이러한 부분에도 인도가 연속될 수 있으므로 도 13과 도 14에서처럼, 지지브래킷(10)을 말뚝(40)을 통해 지지한다.
말뚝(40)은 지반에 통상의 방법으로 설치되며 지지브래킷(10)은 말뚝(40)에 고정되도록 저부에 캡(18)이 형성된다. 캡(18)은 말뚝(40)의 두부를 감싸 고정하며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캡(18)과 말뚝(40)의 두부 사이에는 몰탈 등이 타설(지지브래킷(10)에 캡(18) 내부와 연통하는 몰탈주입공을 형성하여 이 몰탈주입공을 통해 몰탈을 주입 타설)될 수 있다.
지지브래킷(10)이 도로 구조물과 주변 여건에 따라 교량(1)과 말뚝(40)에 고정되어도 케이블(20)과 보도 데크(30)는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된다.
즉, 교량 구간이 없고 토목 구간만 있는 곳에서도 말뚝(40)을 설치하여 지지브래킷(10)을 말뚝(40)에 결합함으로써 케이블(20)의 거치가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지지브래킷(10)의 지지가 불안할 경우 도 15에서 보이는 것처럼, 지지브래킷(10)을 지지하는 서포트(50)가 적용된다. 서포트(50)는, 빔, 관 등 지지브래킷(10)을 지지할 수 있는 모든 자재의 사용이 가능하고, 일측은 교량(1)의 거더(2)[여기서 거더(2)는 교량(1) 저부에 있는 거더뿐 만 아니라 서포트(50)가 지지될 수 있는 모든 것을 총칭한다)] 예를 들어 앵커링되고, 타측은 지지브래킷(10)에 체결구 등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서포트(50)가 거더(2)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지지브래킷(10)을 지지하여 지지브래킷(10)의 처짐을 막을 수 있다.
도면에서 거더(2)는 I 단면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원형 단면, 사각형 단면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서포트(50)는 거더(2)와 지지브래킷(10)간의 각도 및 거리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거더(2)와 지지브래킷(10)에 각도 조정 가능하도록 축 결합되고 다수개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서포트(50)에 전가되는 하중을 교량(1)으로 분산하고 서포트(50)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간(51)이 적용된다.
본 발명은 확장 인도를 시공한 후 추가의 확장이 필요한 경우 이미 시공되어 있는 지지브래킷(10) 등을 철거하지 않고 추가 확장이 가능하도록 도 16a에서처럼 지지브래킷(10)은 본체부(10-1)와 난간부(10-2)로 구성된다. 본체부(10-1)와 난간부(10-2)는 전단키 형식으로 끼움 결합됨과 아울러 앵커링을 통해 결합된다. 도 16a와 같이 시공되어 사용되는 중에 추가 확장이 필요한 경우 난간부(10-2)를 분리하고 본체부(10-1)에 확장부(10-3)를 연결하며 확장부(10-3)에 난간부(10-2)를 결합함으로써 확장부(10-3)만큼 추가 확장이 가능하다. 즉 확장부(10-3)는 1개만 적용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이 연쇄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확장부(10-3)는 케이블(20)이 수용되도록 본체부(10-1)와 동일한 구조이며, 본체부(10-1) 및 난간부(10-2)와 전단키 및 앵커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난간부(10-2)는 콘크리트, 강재 등 다양한 제품이 가능하고, 본체부(10-1) 처럼 케이블로 지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시공 공법은 다음과 같다.
1. 지지브래킷 설치.
교량(1)의 가장자리에 다수의 지지브래킷(10)을 설치하되, 케이블(20)의 지지 능력과 보도 데크(30)의 하중 등에 따라 지지브래킷(10)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설치한다. 예를 들어 교량(1)의 가장자리에 앵커를 매설하고, 지지브래킷(10)의 고정부(11)를 상기 앵커에 고정한다.
2. 케이블 배선.
다수의 지지브래킷(10)에 걸쳐 다수의 케이블(20)를 배선한다.
턴버클(21)이 적용된 경우 다수의 케이블(20)을 다수의 지지브래킷(10)에 걸쳐 배선한 후 길이방향의 양측을 교량(1)에 고정하고, 턴버클(21)을 조작하여 케이블(20)의 텐션을 팽팽하게 조정한다. 또한, 케이블(20)은 지지브래킷(10)에 고리 형태로 연결되거나 지지브래킷(10)에 볼트 형태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는 케이블(20)은 단부가 지지브래킷(10)에 정착될 수도 있다.
다수의 케이블(20)이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 도 6의 원호에서 보이는 것처럼, 지지브래킷(10) 안에서 이웃하는 케이블(20)이 턴버클(21a)로 연결될 수도 있다.
3. 보도 데크 설치.
보도 데크(30)의 행거(31)의 개방부를 케이블(20)에 맞춰 올리면 보도 데크(30)는 케이블(20) 위에 설치된다. 보도 데크(30)는 도 7a 내지 도 7c에서처럼 한 개일 수도 있고 다수 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므로 크기에 맞춰 한 개 또는 다수 개를 설치하여 지지브래킷(10)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면서 인도를 구축한다.
1 : 교량, 10 : 지지브래킷
11 : 고정부, 12 : 안착부
13 : 체결공, 14,15 : 제1,2간격유지대
16 : 브레이싱,
20 : 케이블, 21 : 턴버클
22 : 보호관,
30 : 보도 데크, 31 : 행거

Claims (15)

  1. 교량, 옹벽, 자전거 도로를 포함하는 도로 구조물의 양측 가장자리 중에서 일측 이상의 가장자리에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면서 상기 도로 구조물에 고정되거나, 상기 도로 구조물의 일측 이상에 형성된 사면에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말뚝(40)의 두부에 캡식으로 고정되는 지지브래킷(10)과;
    상기 지지브래킷들 사이의 공간에 다수열로 배열되는 데크 지지부재와;
    상기 데크 지지부재에 걸쳐 고정되어 상기 지지브래킷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면서 보행로를 형성하는 판상의 보도 데크(30)를 포함하며,
    상기 보도 데크는 저면에 하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 형태로 형성된 행거(31)가 형성되어, 상기 행거의 내부에 상기 데크 지지부재가 삽입되도록 거치됨으로써 상기 데크 지지부재 위에 걸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저부가 덮개를 통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내부에 몰탈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행거의 안쪽에 삽입되며 상기 보도 데크 또는 상기 행거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정봉(33a)을 통해 승강하여 상기 행거 내부에 삽입된 데크 지지부재를 상부 또는 저부에서 지지하는 높이조절판(33)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상기 데크 지지부재가 삽입 가능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개폐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상부 고정부(34a,35a), 상기 상부 고정부의 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34b,35b),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상부 고정부와 반대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 마감부(34c,35c)로 이루어진 2개의 행거편(34,35)이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작동핀을 통해 상기 하부 마감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은 상기 데크 지지부재가 수용되는 본체부(10-1),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난간이 설치되는 난간부(10-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난간부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확장부(10-3)가 결합되어 상기 확장부를 통해 폭을 추가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들 사이에 개재되면서 양측이 상기 지지브래킷들에 각각 지지되어 이웃하는 지지브래킷들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크 지지부재는 유연성이 있는 케이블이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다수의 지지브래킷에 걸쳐 배선되면서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가 상기 도로 구조물에 인장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지지브래킷에 설치되는 보호관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크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브래킷에 장착되는 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은 도로 구조물에 지지되며 타측은 상기 지지브래킷에 지지되어 상기 도로 구조물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지지브래킷을 지지하는 서포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턴버클을 통해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KR1020120025259A 2012-03-12 2012-03-12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KR101201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259A KR101201216B1 (ko) 2012-03-12 2012-03-12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259A KR101201216B1 (ko) 2012-03-12 2012-03-12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1216B1 true KR101201216B1 (ko) 2012-11-15

Family

ID=47564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259A KR101201216B1 (ko) 2012-03-12 2012-03-12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2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525B1 (ko) 2013-11-28 2014-03-17 주식회사 태하 경사지용 확장 인도 구조물
KR101428748B1 (ko) * 2013-11-28 2014-09-23 주식회사 태하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KR101534833B1 (ko) * 2014-05-12 2015-07-08 주식회사 이진 통행로 폭이 증가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64785B1 (ko) * 2016-01-26 2016-10-11 주식회사다우스 캔틸레버 구조를 응용한 확장형 인도교
KR102441988B1 (ko) * 2021-08-26 2022-09-08 김민중 도로 확장 시공 구조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429B1 (ko) * 2011-06-15 2011-11-10 (주) 한길산업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확장 시공방법
KR101083303B1 (ko) * 2011-05-16 2011-11-14 (주)에이치앤디건설 교량 또는 옹벽용 조립식 확장 보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303B1 (ko) * 2011-05-16 2011-11-14 (주)에이치앤디건설 교량 또는 옹벽용 조립식 확장 보도
KR101082429B1 (ko) * 2011-06-15 2011-11-10 (주) 한길산업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확장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525B1 (ko) 2013-11-28 2014-03-17 주식회사 태하 경사지용 확장 인도 구조물
KR101428748B1 (ko) * 2013-11-28 2014-09-23 주식회사 태하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KR101534833B1 (ko) * 2014-05-12 2015-07-08 주식회사 이진 통행로 폭이 증가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64785B1 (ko) * 2016-01-26 2016-10-11 주식회사다우스 캔틸레버 구조를 응용한 확장형 인도교
KR102441988B1 (ko) * 2021-08-26 2022-09-08 김민중 도로 확장 시공 구조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400B1 (ko) 도로의 측변에 설치되는 확장형 인도교의 시공방법
US4964750A (en) Traffic barri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1201216B1 (ko)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KR101633431B1 (ko)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30105147A (ko) 강합성 지하차도 시공 공법
CN111254772A (zh) 一种适用于悬崖峭壁路段老路扩宽的大悬挑结构及施工方法
KR101018637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KR101726725B1 (ko) Pc블록과 현장타설을 이용한 확장도로 및 그 시공방법
JP2013040467A (ja) 縁石併用型防護柵の支柱基礎ブロック
KR101036999B1 (ko) 철근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매립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의 시공방법
KR101567421B1 (ko) 무교대 프리캐스트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970011188A (ko) 조립식 고가도로와 그 시공방법
CA3187101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street furniture
CN211922133U (zh) 一种适用于悬崖峭壁路段老路扩宽的大悬挑结构
US20100272509A1 (en) Traffic barrier section
KR101170327B1 (ko) 슬래브를 이용한 인도 확장장치
JP6144726B2 (ja) 高速道路の山岳トンネルの盤ぶくれした走行路線の修復工法および修復工法用の吊り桟橋
JP3012551B2 (ja) 張り出し歩道構造
CA2041856A1 (en) Construction elements
KR101518210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콘크리트 인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592416B1 (ko) 보도가 확보되지 않은 협소한 도로에서 콘크리트옹벽블록과 트러스형 받침대를 이용한 보도확보 및차도확폭 시공방법
KR100605495B1 (ko) 비개착식 지하통로 개설방법과 그 구조물
KR100975673B1 (ko) 도로 변에 시공되는 확장 자전거 도로 및 이 시공 방법
CN211113119U (zh) 一种临时便桥装置
KR100556629B1 (ko) 교량 승상과 동시에 접속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설치 및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접속가교 및 이의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