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429B1 -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확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확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429B1
KR101082429B1 KR1020110058104A KR20110058104A KR101082429B1 KR 101082429 B1 KR101082429 B1 KR 101082429B1 KR 1020110058104 A KR1020110058104 A KR 1020110058104A KR 20110058104 A KR20110058104 A KR 20110058104A KR 101082429 B1 KR101082429 B1 KR 101082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anchor
bracket
brackets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한
Original Assignee
(주) 한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길산업 filed Critical (주) 한길산업
Priority to KR1020110058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확장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과 보행자나 자전거의 통행이 함께 이루어지는 교량에 있어서 보도 또는 자전거 통행 전용로의 신설 또는 확장 시, 또는 건축물의 베란다나 외부 개방형 상층 회랑의 확장 시 등에 있어서 별도의 하부 지지 구조 설치 없이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cantilever)를 지지부로 이용하여 그에 소정의 간격으로 확장 지지 브라켓을 다수 설치하되 상기한 하나의 확장 지지 브라켓의 선단과 그에 인접한 양측의 다른 확장 지지 브라켓의 기단 또는 앵커 브라켓의 고정구를 텐셔너(tensioner)를 이용하여 텐션 부재(tension member)로 상호 교차 체결함으로써 인발력을 현저히 저감시키고 그 지지 강도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으므로 높은 구조 안전성을 지님과 동시에, 확장 지지 브라켓의 단위 면적 당 개수를 현저히 저감시킴으로써 높은 경제성을 이룸과 동시에 공해 유발 요인의 최소화 및 공기 단축이 가능하며, 충분한 구조 안전성을 담보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확장 시공방법{WIDENING AND SUPPORTING STRUCTURE FOR ARCHITECTURE AND CIVIL ENGINEERING STRUCTURE AND BRIDGE WIDEN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확장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과 보행자나 자전거의 통행이 함께 이루어지는 교량이나 도로 옹벽에 있어서 보도 또는 자전거 통행 전용로의 신설 또는 확장 시, 또는 베란다나 외부 개방형 상층 회랑 등의 확장 시 별도의 하부 지지 구조 설치 없이 구조물 바닥판의 캔틸레버(cantilever)를 지지부로 이용하여 그에 소정의 간격으로 확장 지지 브라켓을 다수 설치하되 상기한 하나의 확장 지지 브라켓의 선단과 그에 인접한 양측의 다른 확장 지지 브라켓의 기단, 또는 앵커 브라켓을 텐셔너(tensioner)를 이용하여 텐션 부재(tension member)로 상호 교차 체결함으로써 인발력을 현저히 저감시키고 그 지지 강도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공기 단축 하에 확장 시공할 수가 있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확장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및 도로는 차도부와 보도부로 나뉘며, 보도부는 안전 상의 이유로 연석부에 의해 차도부 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한 보도부의 외측에는 안전 난간이 설치된다.
그러나 과거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시기에 국내에 건설되었던 국도 및 지방도상의 많은 교량과 도로는 차도부와 보도부의 구분이 없으며 따라서 불가피하게 보행자가 교량이나 도로의 외측으로 통행하고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에 직접 노출되어 있음이 현실이며, 전형적인 후진국형 교통사고라 할 수 있는 보행자 관련 교통사고로 인한 국내 사망자 수는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수의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 들어서는 보행자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과 동시에, 경제 수준의 향상에 따라 건강 증진 및 레저 활동의 일환으로서 자전거 통행 전용로 확보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으므로, 신설 교량 및 도로는 물론, 기존 교량이나 도로에 있어서도 보도부 또는 자전거 전용 통행로를 신설하거나, 또는 보도부를 확장하여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통행량 증가에 따른 교통 체증을 해소할 목적으로 기존 교량이나 옹벽 구조 도로에서 교량 상판 또는 옹벽 도로 외측의 보도부를 차도부로 전환함과 동시에, 교량이나 옹벽 도로를 확장하여 보도부를 신설하거나 또는 자전거 통행 전용로를 별도로 확장 설치할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근자의 "도로구조규칙"의 개정은 도로안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제고와 여가활동을 위한 보행 또는 자전거 통행 수요의 증가를 반영하여, 과거 자동차 소통에 중점을 둔 도로정책으로 인한 보행자 통행권의 상대적 위축을 시정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한 통행로 확보를 위한 여러 규정을 담고 있다.
상기한 "도로구조규칙"에 따르면 보도의 유효 폭은 원칙상 최소 2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하되, 예외로 인정되는 경우에만 1.5미터 이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보도는 보행자의 통행 경로를 따라 연속성과 일관성이 유지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보도부가 설치되지 않은 종래의 교량이나 옹벽 도로 또는 보도부의 폭이 이에 미치지 못하는 교량이나 옹벽 도로는 교량 폭을 확장하여 보도부를 신설 시공하거나 또는 보도부를 확장하여야만 한다.
종래의 전형적인 교량 확장 시공 방법에 의하면, 교량에 보행자를 위한 보도부를 신설하거나 확장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존 교량의 난간부를 철거한 후 교량 상판 측면을 부분 파쇄하여 배근된 철근을 노출시킨 후 화장 또는 신설하려는 보도부 또는 자전거 전용 통행로 부분에 철근을 이어 배근하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시공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시공 방법은 콘크리트 슬래브의 양생 시공에 장기간이 소요되며 시공성이 열등하여 경제성이 낮고, 공사 시의 소음 및 비산 먼지 등으로 인하여 민원 발생의 소지가 크며, 기존 교량의 자중 증가에 따라 그 확장 폭에 제약이 있으며 더욱이 교량의 안전도에 대한 재평가가 수반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전형적인 방안으로서는 한국등록특허 제0952610호(2010.04.06. 등록) 및 한국등록특허 제0987061호(2010.10.05. 등록) 등에 개시(開示)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별도의 하부 지지 구조 설치 없이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에 소정의 간격으로 확장 지지 브라켓을 다수 외측으로 연장 설치하고 상기한 확장 지지 브라켓의 상면에 바닥재를 얹고 그 외측에 난간을 설치한 교량 확장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량 확장 구조는 확장 지지 브라켓에 일정한 지지 강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그 기부(基部)를 'ㄱ'자형으로 하고 이를 캔틸레버의 단부에 걸쳐 상면과 측면으로부터 동시 고정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확장 지지 브라켓의 보조 지지부가 캔틸레버의 상면 내측으로 길게 연장 지지되는 상기한 한국등록특허 제0952610호의 경우에는 연장 길이만큼 교량의 차도 폭을 잠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한 한국등록특허 제0987061호는 짧은 연장부를 채택하고 있는 관계로 상기한 바와 같은 차도 폭의 잠식 문제는 없으나 확장 지지 브라켓을 고정용 브라켓과 확장용 브라켓으로 나누어 구성하고 있는 관계로 이들의 체결 조립과 별도의 세로 방향 부재의 용접이라는 번거롭고 수고스러운 작업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확장 지지 브라켓의 기부를 평판 구조로 하고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 측면에만 고정하는 간단한 구조가 검토되었으나, 큰 인발력 작용에 따른 지지 강도 약화로 인한 보도부의 탈락이나 부분 파손과 같은 안전상의 문제로 인하여 거의 채택되고 있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교량이나 옹벽 도로의 보도부 또는 자전거 전용 통행로의 확장 또는 신설 시, 또는 건축물의 베란다나 외부 개방형 상층 회랑의 확장 시 별도의 하부 지지 구조 설치 없이 그리고 기존 구조물의 훼손 없이 설치 가능하며, 차도부의 폭에 대한 잠식이 없고, 기설(旣設) 구조물에 대한 현저한 자중 증가 요인이 배제된 교량 상부 구조물 및 옹벽 도로, 또는 베란다나 외부 개방형 상층 회랑과 같은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단순한 구조와 견고한 지지 구조로 인하여 단위 면적 당 확장 지지 브라켓의 사용 개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가 있어서 높은 경제성과 내구 신뢰성을 지니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인발력 저감에 따른 높은 지지 강도로 인하여 안전성이 담보된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전술한 제반 목적에 따른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를 이용한 높은 경제성 및 작업 효율성을 지니며, 건설 공해 요인의 최소화가 가능하고, 공기 단축이 가능하며, 높은 구조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토목건축 구조물의 캔틸레버(cantilever) 측면에 앵커 볼트로 고정되는 연결판과, 상기한 연결판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선단부에 홀을 가지는 거더(girder)로 구성되며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여 위치하는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과; 상기한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의 사이사이에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여 교호적(交互的)으로 설치되며 상기한 캔틸레버 측면에 앵커 볼트로 고정되는 앵커 브라켓과; 상기한 각각의 확장 지지 브라켓의 선단부의 홀로부터 그에 인접한 양측에 위치하는 앵커 브라켓까지 텐셔너(tensioner)를 개재하여 좌우로 반복적으로 교차 체결되어 있는 텐션 부재(tension member)를 포함하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양태에 따르면, 토목건축 구조물의 캔틸레버 측면에 앵커 볼트로 고정되는 연결판과, 상기한 연결판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거더(girder)와, 상기한 거더의 기단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기단 립(lip)과, 상기한 거더의 선단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위치하는 선단 립으로 구성되며,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여 위치하는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과; 상기한 각각의 확장 지지 브라켓의 선단 립으로부터 그에 인접한 양측에 위치하는 확장 지지 브라켓의 기단 립까지 텐셔너(tensioner)를 개재하여 좌우로 반복적으로 교차 체결되어 있는 텐션 부재(tension member)를 포함하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기단 립과 선단 립에 각각 홀이 형성되고, 상기한 기단 립에 형성된 홀과 상기한 선단 립에 형성된 홀이 상기한 확장 지지 브라켓의 상방 및 하방에 각각 위치하여 높이 차이를 가지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확장 지지 브라켓의 거더 선단부의 홀이 선단판에 형성된 좌우 양측의 하부 홀 및 상부 홀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텐션부재가 상기한 앵커 브라켓으로부터 그에 인접한 양측에 위치하는 확장 지지 브라켓 각각의 상기한 앵커 브라켓에 인접한 하부 홀을 통하여 상부 홀로 연장되거나, 또는 상부 홀을 통하여 하부 홀로 연장되며, 상기한 텐셔너가 선단판의 뒤쪽에 위치하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앵커 브라켓에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한 고정구가 상기한 거더의 홀에 대하여 상방에 위치하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텐션 부재가 단일 강선, 강선 와이어, 체인, 또는 강봉이며, 상기한 텐셔너가 쐐기형 강선 클램프 또는 텐션 너트인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텐션 부재가 상기한 하나의 확장 지지 브라켓의 기단 립에 형성된 홀로부터 그에 인접한 다른 확장 지지 브라켓의 선단 립에 형성된 홀로 연장된 다음, 다시 다른 확장 지지 브라켓의 기단 립에 형성된 홀로 연장 고정됨에 있어, 상기한 선단 립에 형성된 홀 주위에 루프(loop)가 형성되도록 관통 체결되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거더가 90°각도로 눕힌 H빔이고, 상기한 거더 하단부에 연장 방향을 따라 폭이 감소하는 변단면(變斷面)을 가지는 보강 립이 형성되어 있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게 위치하는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의 거더 상면부에 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받침재가 상호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한 다수의 받침재 위에 바닥재가 고정되고, 상기한 거더 선단부 상에 난간이 설치되어 있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A) 토목건축 구조물의 캔틸레버 측면에 전술한 확장 지지 브라켓의 연결판을 앵커 볼트로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을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게 고정시키는 확장 지지 브라켓 고정 단계; 또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캔틸레버 측면에 전술한 확장 지지 브라켓의 연결판을 앵커 볼트로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을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게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한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의 사이사이에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여 교호적(交互的)으로 앵커 브라켓을 앵커 볼트로 고정시키는 확장 지지 브라켓 및 앵커 브라켓 고정 단계와; (B) 상기한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게 고정된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 각각의 선단 립의 홀 또는 상기한 거더 선단부의 홀로부터 그에 인접한 양측의 확장 지지 브라켓 기단 립의 홀, 또는 그에 인접한 양측의 앵커 브라켓의 고정구까지 텐션 부재를 연장 고정시키는 텐션 부재 설치 단계를 포함하며, 공지의 단계로서 (C) 상기한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게 고정된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의 거더 상면부에 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받침재를 상호 평행하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한 다수의 받침재 상에 바닥재를 고정시키는 바닥재 설치 단계와; (D) 상기한 확장 지지 브라켓의 거더 선단부 상에 난간을 고정시키는 난간 설치 단계가 후속되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A) 토목건축 구조물의 캔틸레버 측면에 제4항에 따른 확장 지지 브라켓의 연결판을 앵커 볼트로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을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게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한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의 사이사이에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여 교호적(交互的)으로 앵커 브라켓을 앵커 볼트로 고정시키는 확장 지지 브라켓 및 앵커 브라켓 고정 단계; 및 (B) 상기한 각각의 앵커 브라켓으로부터 그에 인접한 양측에 위치하는 확장 지지 브라켓 각각의 상기한 앵커 브라켓에 인접한 하부 홀을 통하여 상부 홀로 텐션 부재를 연장 고정시키거나, 또는 상부 홀을 통하여 하부 홀로 텐션 부재를 연장 고정시키되, 텐셔너를 선단판의 뒤쪽에 위치시키는 텐션 부재 설치 단계가 후속되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는 교량이나 옹벽 도로의 보도부 또는 자전거 전용 통행로의 확장 또는 신설 시, 또는 건축물의 베란다나 외부 개방형 상층 회랑의 확장 시 등에 있어서 별도의 하부 지지 구조 설치 없이 그리고 기존 구조물의 훼손 없이 설치 가능하며, 차도부나 베란다 등의 기성 구조물의 폭에 대한 잠식(蠶食)이 없고, 기설(旣設) 구조물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작업이 전혀 없으므로 그에 따른 상당한 자중 증가 요인을 효과적으로 배제할 수 있으며, 단순하면서도 견고한 지지 구조의 채택으로 인하여 확장 지지 브라켓의 단위 면적 당 사용 개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우수한 경제성과 내구 신뢰성을 보유하면서도 인발력 저감에 따른 높은 지지 강도로 인하여 충분한 안전성을 담보할 수가 있고,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높은 경제성 및 작업 효율성을 지니며, 건설 공해 요인의 최소화 및 공기 단축이 가능하고, 높은 구조 안전성을 담보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건축 구조물의 다른 확장 지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확장 지지 구조에 적용 가능한 확장 지지 브라켓의 예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확장 지지 구조의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확장 지지 구조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확장 지지 브라켓에 대한 난간 지주의 설치 예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건축 구조물의 다른 확장 지지 구조에 적용 가능한 다른 확장 지지 브라켓 및 텐션 부재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일 예시 일부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의 시공 절차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장 기본적인 구성의 토목건축 구조물의 다른 확장 지지 구조(1)를 보여주는 사시 모식도이다.
그 전체적인 구조는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여 위치하는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10)과, 상기한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사이사이에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여 교호적(交互的)으로 설치되는 앵커 브라켓(60)과, 상기한 각각의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선단부의 홀(미도시)로부터 그에 인접한 양측에 위치하는 앵커 브라켓(60)까지 텐셔너(tensioner)(21)를 개재하여 좌우로 반복적으로 교차 체결되어 있는 텐션 부재(tension member)(20)로 구성된다.
상기한 각각의 확장 지지 브라켓(10)은 토목건축 구조물(1)의 캔틸레버(cantilever)(101) 측면에 앵커 볼트(예컨대 도 4의 도면부호 11a 참조)로 고정되는 연결판(11)과, 상기한 연결판(11)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선단부에 홀(미도시로서 도면부호 미부여)을 가지는 거더(girder)(1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앵커 브라켓(60) 역시 캔틸레버(101) 측면에 앵커 볼트(예컨대 도 4의 도면부호 11a 참조)로 연결판(61)이 고정되며, 예컨대 루프형 걸쇠와 같은 임의의 형태의 고정구(62)가 설치되며, 상기한 고정구(62)는 거더(12) 선단부의 홀(미도시) 보다 높은 상방에 위치시키는 것이 인발력 저감 및 지지 강도 부여에 효과적이다.
상기한 거더(12) 및 보강 립(13)과 텐션 부재(20) 등과 그 완성 구조체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에 대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하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2a는 상면부, 12b는 저면부, 12c는 수직부, 13은 보강 립, 13a는 상향 경사부, 16은 선단 판으로서 이에 대해서도 전술한 도면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선단판(16)이 수직부(도면부호 미부여)와 난간 지주 설치용 수평부(도면부호 미부여)로 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한 수직부의 좌우 양측에 홀(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필요하다면 도 1에서 지지력 증강을 위해 텐션 부재(20)를 좌측의 홀(도면 부호 미부여)로부터 선단판(16)의 외표면을 경유하여 우측의 홀(도면부호 미부여)로 경유하도록 체결할 수도 있으며(미도시), 상기한 텐션 부재(20)가 대각선상으로 좌우 반복적으로 교차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한 모두 본 발명의 영역 내로서 이러한 대각선상의 교차 체결 구조에 있어서의 텐션 부재의 미세한 체결 형태나 방식, 또는 텐션너의 위치 등은 본 발명에 있어 제한적이지 아니하며 당업자가 임의 선택적으로 변경 수행할 수 있는 설계적 사항에 불과한 것으로서 모두 본 발명의 영역 내라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확장 지지 브라켓(10)에 텐션 부재(20) 체결을 위한 홀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홀 대신에 돌출 걸쇠나 후크, 클램프, 파스너 등과 같은 임의의 다양한 공지의 체결 고정 또는 관통 수단을 채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등가(等價)의 균등(均等) 수단을 채택한다 하더라도 역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이어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건축 구조물의 다른 확장 지지 구조(1a)를 보여주는 사시 모식도로서, 그 전체적인 구조는 토목건축 구조물(100)의 캔틸레버(101) 측면에 고정되며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여 위치하는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10)과, 상기한 각각의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선단에 형성된 홀(예컨대, 도 3의 도면부호 14a 참조)을 관통하며 그에 인접한 양측에 위치하는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기단에 형성된 홀(예컨대, 도 3의 도면부호 15a 참조)까지 좌우로 반복적으로 교차 체결되어 있는 텐션 부재(tension member)(20)와, 바닥재(40) 및, 난간(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닥재(40) 및 난간(50) 구조는 당업계 공지로서, 본 발명에 있어 필수구성요소로서 간주되지는 않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도 3은 도 2의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1a)에 적용 가능한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예시 측면도로서 텐션 부재(20)체결 상태도 아울러 예시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의 확장 지지 브라켓(10)은 토목건축 구조물(100)의 캔틸레버(101) 측면에 앵커 볼트(도 4의 도면부호 11a 참조)로 고정되는 연결판(11)과, 상기한 연결판(11)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거더(girder)(12)와, 상기한 거더(12)의 기단 양측에 형성되며 각각 홀(15a)을 가지는 기단 립(15)(lip)과, 상기한 거더(12)의 선단 하부에 하방으로 위치하며 홀(14a)을 가지는 선단 립(14)과, 상기한 거더(12) 하단부에 연장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부(13a)에 의하여 그 폭이 감소하는 변단면(變斷面)을 가지는 보강 립(13)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기단 립(15)과 거더(12) 사이에는 공간부(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된다.
상기한 보강 립(13)은 도 1의 토목건축 구조물의 다른 확장 지지 구조(1)에서와 동일하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거더(12)가 90˚각도로 눕혀진 H형강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중앙 수직부(12c)의 상하 쪽에는 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면부(12a) 및 저면부(1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 역시 도 1의 토목건축 구조물의 다른 확장 지지 구조(1)에서와 동일하며, 단지 도 2의 경우에는 거더(12)의 선단부에 직접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 점과 전술한 바와 같은 기단 립을 가지지 않는다는 점에서만 상위하다.
상기한 거더(12)의 기부(基部) 양측 상단부에는 2개의 기단 립(15)이 좌우 양측으로 하나씩 연결판(11)과 거더(12)에 당접(當接)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한 거더(12)의 수직부(12c)와의 사이에 텐셔너(21)의 체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부(도면부호 미부여)를 형성하며 상기한 기단 립(15)에는 홀(15a)이 천공되고 그 전체적인 형상은 상향 경사면(15b)에 의하여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되어 있는 한편, 상기한 거더(12)의 선단 하부에는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하나의 선단 립(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선단 립(14)에도 홀(14a)이 천공되고 그 전체적인 형상은 외향 경사면(14b)에 의하여 직각 사다리꼴 또는 직감삼각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한 거더(12)의 기부 쪽 저면부(12b)에 위치하는 상기한 보강 립(13)은 H형강을 대각선 방향으로 절단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연장 방향을 따라 폭이 감소하는 변단면(變斷面)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모멘트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 기부 쪽이 안정될 수 있도록 단면을 최적화하고 있으나 일정 단면을 갖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보강 립(13)의 형태 및 그 사용 여부는 선택적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비록 선단 립(14)과 기단 립(15)을 별도로 형성하고 그에 대한 명칭을 부여하고는 있으나 그 형태 및 적용 여부, 그리고 그 구체적인 위치는 별도의 명칭 및 도면부호 부여에도 불구하고 결코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거더(12)에 직접 기단 홀과 선단 홀을 형성하고 이에 직접 텐션 부재(20)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 유의할 점은 상기한 기단 립(15)에 형성된 홀(15a)의 위치는 상기한 선단 립(14)에 형성된 홀(14a)의 위치 보다 높은 위치,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인 높이 차이를 최대화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선단 하단부(즉, 선단 립(14)의 하부)가 그에 인접한 양측의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기단 상단부(즉, 기단 립(15))에 의해 상방으로 당겨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한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각 구성 요소는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6은 선단 립(14)의 고정 강도 보강 및 미관상의 이유를 위한 선단 판이며, 미설명 부호 16a는 후술하는 난간 지주의 용이한 위치 선정을 위한 돌출부이다.
이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텐션 부재(20)에 대하여 설명하면, 텐션 부재(20)는 단일 강선이나 꼬임을 준 강선 와이어 또는 체인, 또는 강봉(원형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각각의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선단 립(14)에 형성된 홀(14a)로부터 그에 인접한 양측에 위치하는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기단 립(15)에 형성된 홀(15a)까지 쐐기형 강선 클램프 또는 텐션 너트와 같은 텐셔너(tensioner)(21)를 개재(介在)하여 좌우로 반복적으로 교차 체결된다.
상기한 텐션 부재(20)가 강선이나 와이어 또는 체인인 경우에는 선단 립(14)에 형성된 홀(14a)을 관통하며, 이 경우 강성은 별도의 꼬임 없이 선단 립(14)에 형성된 홀(14a)을 관통하게 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하나의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기단 립(15)에 형성된 홀(15a)로부터 연장되어 그에 인접한 다른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선단 립(14)의 외측면으로부터 홀(14a)을 관통한 다음, 상기한 선단 립(14)의 내측면으로 빠져 나오게 하여 다시 다른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기단 립(15)에 형성된 홀(15a)로 연장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 경우 상기한 선단 립(14)에 형성된 홀(14a) 주위에는 위에서 내려다 볼 때 루프(loop)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인발력 최소화 및 지지 강도 강화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텐셔너(21)는, 텐션 부재(20)가 강선일 경우에는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0956799호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은 테이퍼 구멍이 형성된 클램핑 몸체와 쐐기 형태의 클램핑 척을 가지는 텐션 부여용의 쐐기형 강선 클램프일 수 있으며, 텐션 부재(20)가 강봉일 경우에는 예컨대, 강봉을 2 부분으로 나누어 각 선단부에 나사부를 가공한 다음 이에 너트를 채워 돌려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 너트일 수 있다.
상기한 텐션 부재(20)는 거더(12)에 텐션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발력이 작용하는 거더(12)에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가함으로써 인발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한 텐셔너(21)의 회전에 의해 거더(12)에 걸리는 텐션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가 있다.
도 4 및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1)의 일부 측단면도 및 일부 정면도와 저면도이고, 도 7은 확장 지지 브라켓(10)에 대한 난간 지주(51)의 설치 예시 모식도로서 편의 상 함께 언급하기로 하며, 앞서 이미 언급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게 위치하는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거더(12)의 상면부(12a)에는 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받침재(30)가 상호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한 다수의 받침재(30) 위에는 바닥재(40)가 고정되고, 상기한 거더(12)의 선단부 상에는 난간(50)이 설치된다.
여기서,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교량 상부 구조물(100)의 캔틸레버(101) 측면에 대한 고정은 연결판(11)을 통하여 앵커 볼트(11a)를 체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케미컬 앵커 볼트(chemical anchor bolt)나 세트 앵커 볼트(set anchor bolt)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접착 수지를 사용하는 케미컬 앵커 볼트가 양호한 고하중 부담능(負擔能)을 가지며 내진동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할 수 있으며, 도 1에서의 앵커 브라켓(60)의 연결판(61)과의 체결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상기한 받침재(30)로서는 각형 강관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한 바닥재(40)로서는 하드 보드, 칩 보드, 파티클 보드, 또는 합성수지 인조목 패널뿐만 아니라, 천연 목재, 강판, 재활용 고무 포장, 우레탄 포장 등이 사용될 수고, 각형 강관과 같은 다수의 받침재(30)에 의해 바닥재(40)가 견고하게 지지되며 파스너(fastener)(도면부호 미부여)로 고정되므로 바닥재(40)의 파손 우려가 적고, 설령 파손되는 일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교체 작업이 용이하고도 안전하게 되며, 이는 도 1에 대해서도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한 바닥재(40)의 상면은 내마모성이 강한 수지 보호층을 가지거나 또는 그에 더하여 그 내층에 멜라민 장식층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자중 저감을 위하여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과 같은 경량 금속 내지 그 합금으로 제작되는 난간(50)은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난간 지주(51)와 이들 사이를 횡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안전 바(safty bar)(52)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선단부 상면에 개재된 별도의 받침판(17)과 전술한 선단판(16)의 돌출부(16a)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난간 지주(51)의 기부가 볼트(53)에 의하여 견고히 고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건축 구조물의 다른 확장 지지 구조(1)에 적용 가능한 다른 확장 지지 브라켓(10)과, 텐션 부재(20)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일 예시 일부 사시도로서,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거더(12) 선단부의 홀이 선단판(16)에 형성된 좌우 양측의 하부 홀(16b) 및 상부 홀(16c)의 4개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텐션 부재(20)가 상기한 앵커 브라켓(60)으로부터 그에 인접한 양측에 위치하는 확장 지지 브라켓(20) 각각의 상기한 앵커 브라켓(20)에 인접한 하부 홀(16b)을 통하여 상부 홀(16c)로 연장되며, 상기한 텐셔너(21)가 선단판(16)에 위치하는 상부 홀(16c)의 바로 뒤쪽에 걸려 있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제외하고는 도 1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도 1 및 그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또한 상기한 도시된 예와 달리, 상기한 텐션 부재(20)가 상기한 앵커 브라켓(60)으로부터 그에 인접한 양측에 위치하는 확장 지지 브라켓(20) 각각의 상기한 앵커 브라켓(20)에 인접한 상부 홀(16c)을 통하여 하부 홀(16b)로 연장되며, 상기한 텐셔너(21)가 선단판(16)에 위치하는 하부 홀(16b)의 바로 뒤쪽에 걸려 있는 구조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1 또는 1a)의 시공방법에 관하여, 도 1 및 그 축차 설명도인 도 9a 내지 도 9d와 함께, 최종 상태를 나타내는 도 4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1)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른 시공방법은 다음의 기본 단계로 구성된다.
(A) 토목건축 구조물(100)의 캔틸레버(101) 측면에 도 1의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연결판(11)을 앵커 볼트로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10)을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게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한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사이사이에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여 교호적(交互的)으로 앵커 브라켓(60)을 앵커 볼트로 고정시키는 확장 지지 브라켓 및 앵커 브라켓 고정 단계; 및
(B) 상기한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게 고정된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각각의 선단부의 홀(미도시)로부터 그에 인접한 양측의 앵커 브라켓(60)의 고정구(62)까지 텐션 부재(20)를 연장 고정시키는, 상기한 (A) 단계에 후속하는 텐션 부재 설치 단계.(도 1 참조)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1a)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른 시공방법은 다음의 기본 단계로 구성된다.
(A) 확장 지지 브라켓 고정 단계:
교량 상부 구조물(100)의 캔틸레버(101) 측면에 전술한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연결판(11)을 앵커 볼트(11a)로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10)을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게 고정시킨다(도 9a 참조).
(B) 텐션 부재 설치 단계:
상기한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게 고정된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각각의 선단 립(14)의 홀(14a)로부터 그에 인접한 양측의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기단 립(15)의 홀(15a)까지 텐션 부재(20)를 연장 고정시킨다(도 9b와 도 2 내지 도 6 참조).
그 다음은 공지의 단계로서 하기의 단계를 더욱 수행하게 된다.
(C) 바닥재 설치 단계:
상기한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게 고정된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거더(12)의 상면부(12a)에 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받침재(30)를 상호 평행하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한 다수의 받침재(30) 상에 바닥재(40)를 고정시킨다(도 9c 및 도 9d 참조).
(D) 난간 설치 단계:
상기한 확장 지지 브라켓(10)의 거더(12)의 선단부 상에 난간(50)을 고정시킨다(도 4 및 도 7 참조).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10: 확장 지지 브라켓
11: 연결판 11a: 앵커 볼트
12: 거더(girder) 12a: 상면부
12b: 저면부 12c: 수직부
13: 보강 립(lip) 13a: 상향 경사부
14: 선단 립 14a: 홀
14b: 외향 경사면 15: 기단 립
15a: 홀 15b: 상향 경사면
16: 선단 판 16a: 돌출부
16b: 하부 홀 16c: 상부 홀
17: 받침판
20: 텐션 부재(tension member) 21: 텐셔너(tensioner)
30: 받침재 40: 바닥재
50: 난간 51: 난간 지주
52: 안전 바(safety bar) 53: 볼트
60: 앵커 브라켓
61: 연결판 62: 고정구
100: 토목건축 구조물 101: 캔틸레버(cantilever)

Claims (12)

  1. 토목건축 구조물의 캔틸레버(cantilever) 측면에 앵커 볼트로 고정되는 연결판과, 상기한 연결판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선단부에 홀을 가지는 거더(girder)로 구성되며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여 위치하는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과;
    상기한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의 사이사이에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여 교호적(交互的)으로 설치되고 상기한 캔틸레버 측면에 앵커 볼트로 고정되며 고정구를 가지는 앵커 브라켓과;
    상기한 각각의 확장 지지 브라켓의 선단부의 홀로부터 그에 인접한 양측에 위치하는 앵커 브라켓까지 텐셔너(tensioner)를 개재하여 좌우로 대각선상으로 반복적으로 교차 체결되어 있는 텐션 부재(tension member)를 포함하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2. 토목건축 구조물의 캔틸레버(cantilever) 측면에 앵커 볼트로 고정되는 연결판과, 상기한 연결판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거더(girder)와, 상기한 거더의 기단 양측에 형성되는 기단 립(lip)과, 상기한 거더의 선단 하부에 하방으로 위치하는 선단 립을 가지며,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여 위치하는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과;
    상기한 각각의 확장 지지 브라켓의 선단 립으로부터 그에 인접한 양측에 위치하는 확장 지지 브라켓의 기단 립까지 텐셔너(tensioner)를 개재하여 좌우로 대각선상으로 반복적으로 교차 체결되어 있는 텐션 부재(tension member)를 포함하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앵커 브라켓이 평판형이고 고정구가 루프(loop)형 걸쇠이고 상기한 거더 선단부의 홀의 상방에 위치하여 높이 차이를 가지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확장 지지 브라켓의 거더 선단부의 홀이 선단판에 형성된 좌우 양측의 하부 홀 및 상부 홀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텐션부재가 상기한 앵커 브라켓으로부터 그에 인접한 양측에 위치하는 확장 지지 브라켓 각각의 상기한 앵커 브라켓에 인접한 하부 홀을 통하여 상부 홀로 연장되거나, 또는 상부 홀을 통하여 하부 홀로 연장되며, 상기한 텐셔너가 선단판의 뒤쪽에 위치하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단 립과 선단 립에 각각 홀이 형성되고, 상기한 기단 립에 형성된 홀과 상기한 선단 립에 형성된 홀이 상기한 확장 지지 브라켓의 상방 및 하방에 각각 위치하여 높이 차이를 가지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텐션 부재가 단일 강선, 강선 와이어, 체인, 또는 강봉이며, 상기한 텐셔너가 쐐기형 강선 클램프 또는 텐션 너트인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텐션 부재가 상기한 하나의 확장 지지 브라켓의 기단 립에 형성된 홀로부터 그에 인접한 다른 확장 지지 브라켓의 선단 립에 형성된 홀로 연장된 다음, 다시 다른 확장 지지 브라켓의 기단 립에 형성된 홀로 연장 고정됨에 있어, 상기한 선단 립에 형성된 홀 주위에 루프(loop)가 형성되도록 관통 체결되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거더가 90˚각도로 눕힌 H형강이고, 상기한 거더 하단부에 연장 방향을 따라 폭이 감소하는 변단면(變斷面)을 가지는 보강 립이 형성되어 있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단 립이 연결판과 거더에 당접(當接)하여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한 선단 립이 상기한 거더의 선단 하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10.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의 시공방법:
    (A) 토목건축 구조물의 캔틸레버 측면에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확장 지지 브라켓의 연결판을 앵커 볼트로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을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게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한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의 사이사이에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여 교호적(交互的)으로 앵커 브라켓을 앵커 볼트로 고정시키는 확장 지지 브라켓 및 앵커 브라켓 고정 단계; 및
    (B) 상기한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게 고정된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의 각각의 선단부의 홀로부터 그에 인접한 양측의 앵커 브라켓의 고정구까지 텐션 부재를 연장 고정시키는, 상기한 (A) 단계에 후속하는 텐션 부재 설치 단계.
  11.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의 시공방법:
    (A) 토목건축 구조물의 캔틸레버 측면에 제4항에 따른 확장 지지 브라켓의 연결판을 앵커 볼트로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을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게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한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의 사이사이에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여 교호적(交互的)으로 앵커 브라켓을 앵커 볼트로 고정시키는 확장 지지 브라켓 및 앵커 브라켓 고정 단계; 및
    (B) 상기한 각각의 앵커 브라켓으로부터 그에 인접한 양측에 위치하는 확장 지지 브라켓 각각의 상기한 앵커 브라켓에 인접한 하부 홀을 통하여 상부 홀로 텐션 부재를 연장 고정시키거나, 또는 상부 홀을 통하여 하부 홀로 텐션 부재를 연장 고정시키되 텐셔너를 선단판의 뒤쪽에 위치시키는, 상기한 (A) 단계에 후속하는 텐션 부재 설치 단계.
  12.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의 시공방법:
    (A) 토목건축 구조물의 캔틸레버 측면에 상기한 제2항 또는 제5항 또는 제7항 또는 제9항에 따른 확장 지지 브라켓의 연결판을 앵커 볼트로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을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게 고정시키는 확장 지지 브라켓 고정 단계; 및
    (B) 상기한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게 고정된 다수의 확장 지지 브라켓의 각각의 선단 립의 홀로부터 그에 인접한 양측의 확장 지지 브라켓의 기단 립의 홀까지 텐션 부재를 연장 고정시키는, 상기한 (A) 단계에 후속하는 텐션 부재 설치 단계.












KR1020110058104A 2011-06-15 2011-06-15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확장 시공방법 KR101082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104A KR101082429B1 (ko) 2011-06-15 2011-06-15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확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104A KR101082429B1 (ko) 2011-06-15 2011-06-15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확장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2429B1 true KR101082429B1 (ko) 2011-11-10

Family

ID=45397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104A KR101082429B1 (ko) 2011-06-15 2011-06-15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확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429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216B1 (ko) * 2012-03-12 2012-11-15 김석희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KR101219633B1 (ko) * 2012-04-12 2013-01-09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고정식 곤돌라 정착장치
KR101259169B1 (ko) * 2012-12-28 2013-05-02 (주)효명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장치 및 고정 설치방법
KR101349948B1 (ko) * 2013-10-01 2014-01-14 (주)신화금속 가설 인도교
KR101353753B1 (ko) * 2013-05-07 2014-01-23 남명선 교량 및 도로의 가설인도
KR101840763B1 (ko) * 2017-05-02 2018-03-21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T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KR101858641B1 (ko) * 2017-07-28 2018-05-17 케이지포장건설(주) 내진수단이 구비되는 확장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29425B1 (ko) * 2018-10-05 2019-10-07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확장 인도교
CN113073549A (zh) * 2021-04-12 2021-07-06 李志伟 一种双重减震式可拓宽桥面的桥梁护栏
KR20230034002A (ko) 2021-09-02 2023-03-09 (주)이알코리아 교량용 지지대 일체형 캔틸레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55737B1 (ko) * 2023-04-11 2023-07-14 주식회사 태하 인장로드가 구비된 프리스트레스 고내구성 확장형 인도교
KR102560129B1 (ko) * 2023-04-11 2023-07-26 주식회사 태하 다목적 난간받침커버에 의한 보행자안정성 및 광폭보행로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021B1 (ko) 2008-10-01 2009-03-19 (주)신흥이앤지 교량시공을 위한 구조용빔의 좌굴방지구조
KR100956799B1 (ko) 2008-04-29 2010-05-07 이상철 쐐기형 강선 클램프
KR100974417B1 (ko) 2009-12-14 2010-08-05 주식회사 서림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 보도부의 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0987061B1 (ko) 2010-01-14 2010-10-11 노윤근 교량 상부구조물 확장구조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799B1 (ko) 2008-04-29 2010-05-07 이상철 쐐기형 강선 클램프
KR100889021B1 (ko) 2008-10-01 2009-03-19 (주)신흥이앤지 교량시공을 위한 구조용빔의 좌굴방지구조
KR100974417B1 (ko) 2009-12-14 2010-08-05 주식회사 서림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 보도부의 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0987061B1 (ko) 2010-01-14 2010-10-11 노윤근 교량 상부구조물 확장구조 및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216B1 (ko) * 2012-03-12 2012-11-15 김석희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KR101219633B1 (ko) * 2012-04-12 2013-01-09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고정식 곤돌라 정착장치
KR101259169B1 (ko) * 2012-12-28 2013-05-02 (주)효명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장치 및 고정 설치방법
KR101353753B1 (ko) * 2013-05-07 2014-01-23 남명선 교량 및 도로의 가설인도
KR101349948B1 (ko) * 2013-10-01 2014-01-14 (주)신화금속 가설 인도교
KR101840763B1 (ko) * 2017-05-02 2018-03-21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T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KR101858641B1 (ko) * 2017-07-28 2018-05-17 케이지포장건설(주) 내진수단이 구비되는 확장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29425B1 (ko) * 2018-10-05 2019-10-07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확장 인도교
WO2020071582A1 (ko) * 2018-10-05 2020-04-09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확장 인도교
CN113073549A (zh) * 2021-04-12 2021-07-06 李志伟 一种双重减震式可拓宽桥面的桥梁护栏
KR20230034002A (ko) 2021-09-02 2023-03-09 (주)이알코리아 교량용 지지대 일체형 캔틸레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55737B1 (ko) * 2023-04-11 2023-07-14 주식회사 태하 인장로드가 구비된 프리스트레스 고내구성 확장형 인도교
KR102560129B1 (ko) * 2023-04-11 2023-07-26 주식회사 태하 다목적 난간받침커버에 의한 보행자안정성 및 광폭보행로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429B1 (ko)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확장 시공방법
US10415262B2 (en) Modular ledger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KR101534833B1 (ko) 통행로 폭이 증가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271446B1 (ko)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US20220341192A1 (en) Load Bearing Components and Safety Deck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KR102221132B1 (ko) 절토부 비탈면 점검로 및 그 시공방법
JP4669464B2 (ja) 歩道用上部構造および歩道用上部構造の構築方法
KR101295823B1 (ko)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US20200011074A1 (en) Modular Ledger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KR100974417B1 (ko)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 보도부의 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JP4284517B2 (ja) 既設橋梁の拡幅歩道構造の施工方法
KR101171041B1 (ko) 파일과 단면높이가 다른 주형을 이용한 자전거도로 및 그 시공방법
KR101170631B1 (ko) 도로의 캔틸레버식 확장 구조
JP6339986B2 (ja) スライド枠を用いた吊り足場の組み立て方法
KR100977482B1 (ko) 기존 도로 법면부에 설치가 용이한 보도교
JP5773469B1 (ja) 吊足場
JP4284518B2 (ja) 既設橋梁の拡幅歩道構造及び拡幅歩道構造の施工方法
KR101124337B1 (ko) 자전거 또는 보도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5807883B1 (ja) 吊足場
JP6590512B2 (ja) 階段仮設足場
CN211171556U (zh) 一种铝合金人行天桥
KR101296749B1 (ko) 교량용 보조 도로 구조물
KR200371107Y1 (ko) 리브 결합형 교량 점검통로
KR200451716Y1 (ko) 교량용 인도교의 브라켓에 고정되는 보행자 난간
CA3085940A1 (e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