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169B1 -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장치 및 고정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장치 및 고정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169B1
KR101259169B1 KR1020120156928A KR20120156928A KR101259169B1 KR 101259169 B1 KR101259169 B1 KR 101259169B1 KR 1020120156928 A KR1020120156928 A KR 1020120156928A KR 20120156928 A KR20120156928 A KR 20120156928A KR 101259169 B1 KR101259169 B1 KR 101259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upport
main beam
fixed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기용
Original Assignee
(주)효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효명 filed Critical (주)효명
Priority to KR1020120156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장치 및 고정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인도교(5) 하부에 폭 방향으로 구성되는 메인 보(6)의 내측과 외측을 교량(2)에 직접 이중 구조로 연결하여 고정 설치하되, 상기 메인 보(6)의 내측은 교량(2)의 상부면(2a)에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 고정 브라켓(10)에 연결 지지하고, 상기 메인 보(6)의 외측은 교량(2)의 외측면(2b)에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측방 고정 브라켓(20)의 지지 구조물(30)에 연결 지지하도록 제공하므로서 인도교 하부의 메인 보를 교량의 연석부에 캔틸레바(Cantilever) 방식으로 고정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교량의 상부면과 외측면에 직접 이중 구조로 고정 설치하여 종래 보다 경제적이면서 하중 분산과 함께 지지 고정력 증대로 구조적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장치 및 고정 설치방법{Supporting device and method for bridge footway}
본 발명은 교량 일측으로 확장형 인도교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인도교 하부의 메인 보를 교량의 연석부에 캔틸레바(Cantilever) 방식으로 고정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교량의 상부면과 외측면에 직접 이중 구조로 고정 설치하여 종래 보다 경제적이면서 하중 분산과 함께 지지 고정력 증대로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장치 및 고정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하천, 호소, 해협, 만, 운하, 저지 등과 같은 장소에서 육지와 육지를 연결시키는 고가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교량은 주로 차량 통행을 위한 전용 구조물로 설치되어 왔으나 최근 교량에 인도를 추가하는 구조가 채택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교량에 인도를 직접 형성하는 경우, 차도가 좁아질 수 밖에 없어 차량 통행을 저해하기 때문에 교량의 외측으로 인도를 별도로 확장 형성하는 인도교 설치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인도교는 메인 보와 지지 형강 및 바닥 재 등이 결합된 구조로 교량 일측에 고정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교량에 인도교를 확장 설치하는 기술이 등록특허 제10-1109128호, 제10-843306호, 제10-998631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선 출원 기술은 교량 일측에 주로 난간 설치를 위해 마련되는 연석부에 인도교를 고정 설치하는 캔틸레바(Cantilever)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도교 확장 설치 기술은 인도교가 교량의 연석부에 고정 설치되어 하중이 교량의 연석부에 집중되는 구조로서, 특히 상기 연석부는 난간 설치를 위한 목적으로 형성한 것이어서 하중에 취약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조 안전성에 큰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인도교의 확장 설치 기술은 단일의 빔을 브라켓에 의해 고정 설치하는 단순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하중에 대한 지지 견고력이 취약하여 전체적인 구조 안전성에 큰 문제점이 있었으며, 최근에는 인도교에 자전거 도로를 추가하여 설치하는 경우가 있어 인도교의 지지 하중이 종래보다 큰 문제로 대두 되고 있는 실정이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교량 일측으로 확장형 인도교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인도교 하부의 메인 보를 교량의 연석부에 캔틸레바(Cantilever) 방식으로 고정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교량의 상부면과 외측면에 직접 이중 구조로 고정 설치하여 하중이 교량의 상부면 및 교각의 양 단면이 3중으로 지지하는 구조여서 종래 보다 경제적이면서 하중 분산과 함께 지지 고정력 증대로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하고, 교량의 연석부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교량에 설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도교의 메인 보 경량화에 의한 하중 감소와, 상기 메인 보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을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지지 면적이 점차 커지는 안정적 구조로 형성하여 전체적인 구조 안정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도교의 내,외측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인도교의 전체적인 수평을 효과적으로 맞추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량 상부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인도교를 고정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인도교 하부에 폭 방향으로 구성되는 메인 보의 내측과 외측을 교량에 직접 이중 구조로 연결하여 고정 설치하되, 상기 메인 보의 내측은 교량의 상부면에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 고정 브라켓에 연결 지지하고, 상기 메인 보의 외측은 교량의 외측면에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측방 고정 브라켓의 지지 구조물에 연결 지지하는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장치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메인 보는 "H" 형강으로 인도교의 경량화를 위해 Al 소재로 형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상부 고정 브라켓은 메인 보 내측의 인장 하중을 지지하되, 교량의 상부면에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 지지부와 메인 보 상부에 안착 지지되어 볼트로 체결 고정되는 상부 지지부 및 상기 상,하부 지지부를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로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지지 구조물은 경사지게 형성된 메인 지지강관과 상기 메인 지지강관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점차 벌어지게 볼트 조립된 보조 지지강관으로 구성하되, 상기 메인 지지강관과 보조 지지강관 선단의 측방 고정 브라켓이 교량 외측면의 3각 지점에서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되어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지지 구조물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는 일체 연결되고 하부로 갈수록 양측으로 점차 벌어지는 좌우 메인 지지강관과 상기 메인 지지강관의 중앙 하부에서 볼트 조립된 보조 지지강관으로 구성하되, 상기 좌우 메인 지지강관과 보조 지지강관의 선단이 교량 외측면에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측방 고정 브라켓의 3각 지점에 일체 연결되어 지지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지지 구조물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원통 직경이 점차 커지는 꼬깔 모양의 원통 강관으로 지지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원통 강관은 하부 외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보강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를 연장 형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교량의 연석부 상부에 설치하는 인도교의 메인 보를 양측에서 상하로 높이 조절하도록 높낮이 조절수단을 더 설치 구성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메인 보 내측에 상하로 수직 관통 형성된 삽입공 하부에 너트를 일체 고정 설치하고, 상기 너트에 상부 고정 브라켓 상부에서 삽입되는 볼트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볼트의 회전 조절로 너트가 승하강 이동하면서 메인 보 내측을 상하 높낮이 조절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메인 보 외측 하부에 고정 설치된 고정 브라켓의 삽입홈에 지지 구조물 상부의 삽입단을 삽입하여 상기 고정 브라켓과 삽입단의 측방으로 볼트를 축 결합하여 너트로 체결 고정하되, 상기 고정 브라켓에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을 상하 장공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볼트가 승하강 이동하면서 메인 보 외측을 상하 높낮이 조절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교량 상부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인도교를 고정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인도교 하부에 폭 방향으로 구성되는 메인 보의 내측을 교량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고정 브라켓에 연결 지지하고, 상기 메인 보의 외측을 교량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측방 고정 브라켓을 갖는 지지 구조물에 연결 지지하는 것에 의해 인도교를 교량에 직접 이중 구조로 연결 지지하여서 전체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량 일측으로 확장형 인도교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인도교 하부의 메인 보를 교량의 연석부에 캔틸레바 방식으로 고정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교량의 상부면과 외측면에 직접 이중 구조로 고정 설치하여 종래 보다 경제적이면서 하중 분산과 함께 지지 고정력 증대로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하고, 교량의 연석부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교량에 설치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인도교의 메인 보 경량화에 의한 하중 감소와, 상기 메인 보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을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지지 면적이 점차 커지는 안정적 구조로 형성하여 전체적인 구조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도교의 내,외측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인도교의 전체적인 수평을 효과적으로 맞추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3의 "C"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는 도 7의 측방 고정 브라켓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측방 고정 브라켓을 보여주는 정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다.
본 발명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장치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2) 상부 일측을 따라 인도교(5)를 설치하되, 상기 인도교(5)는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메인 보(6)와 상기 메인 보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 형강(7) 및 상기 지지 형상 상부에 설치되는 바닥재(8)로 구성하여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인도교(5)의 메인 보(6) 내측과 외측을 교량의 연석부(3)에 캔틸레바(Cantilever) 방식으로 고정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교량(2)의 상부면과 외측면에 직접 이중 구조로 연결하여 고정 설치하는 것이다.
즉, 상기 메인 보(6)의 내측은 교량(2)의 상부면(2a)에 앙카 볼트(11)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 고정 브라켓(10)에 연결 지지하고, 상기 메인 보(6)의 외측은 교량(2)의 외측면(2b)에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측방 고정 브라켓(20)을 갖는 지지 구조물(30)에 연결 지지하여 메인 보(6) 내측과 외측에 이중 구조로 교량에 직접 고정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 보(6)는 "H" 형강으로 인도교(5)의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Al) 소재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 브라켓(10)은 메인 보(6) 내측의 인장 하중을 지지하되, 교량(2)의 상부면(2a)에 앙카 볼트(11)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 지지부(10a)와 메인 보(6) 상부에 안착 지지되어 볼트(15)로 체결 고정되는 상부 지지부(10b) 및 상기 상,하부 지지부를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10c)에 의해 "
Figure 112013022767215-pat00001
" 형상의 단면 구조로 하여 교량의 상부면(2a) 및 교각의 양단면이 3중으로 지지하게 하여 지지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한다.
상기 지지 구조물(30)은 메인 보(6) 외측의 압축 하중을 지지하되, 메인 보(6)의 고정 위치에서 교량 외측면(2b)의 고정 위치로 갈수록 점차 지지 면적이 커지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다.
삭제
즉, 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는 경사지게 형성된 메인 지지강관(31)과 상기 메인 지지강관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점차 벌어지게 볼트 조립된 보조 지지강관(32)(32')으로 구성하되, 상기 메인 지지강관(31)과 보조 지지강관(32)(32') 선단의 측방 고정 브라켓(20a)(20b)(20c)이 교량 외측면(2b)의 3각 지점에서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되어 하중이 분산되어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는 일체 연결되고 하부로 갈수록 양측으로 점차 벌어지는 좌우 메인 지지강관(33)(33')과 상기 메인 지지강관(33)(33')의 중앙 하부에서 볼트 조립된 보조 지지강관(34)으로 구성하되, 상기 좌우 메인 지지강관(33)(33')과 보조 지지강관(34)의 선단이 교량 외측면(2b)에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측방 고정 브라켓(20)의 3각 지점에 일체 연결되어 하중이 분산되어 지지하도록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원통 직경이 점차 커지는 꼬깔 모양의 원통 강관(35)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통 강관(35)은 하부 외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보강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36)를 연장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날개부(36)는 내측에 통공(36a)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 구조물(30)은 인접하는 지지 구조물과 함께 연결 강관(38)으로 연결되어 2개의 지지 구조물이 하나로 일체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에 설치하는 인도교의 메인 보(6)를 양측에서 상하로 높이 조절하도록 높낮이 조절수단(50)이 더 설치 구성된다.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50)은 메인 보(6) 내측에 상하로 수직 관통 형성된 삽입공(6a) 하부에 너트(51)를 일체 고정 설치하고, 상기 너트에 상부 고정 브라켓(10) 상부에서 삽입되는 볼트(15)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볼트의 회전 조절로 너트가 승하강 이동하면서 메인 보(6) 내측을 상하 높낮이 조절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메인 보(6) 외측 하부에 고정 설치된 고정 브라켓(52)의 삽입홈(53)에 지지 구조물(30) 상부의 삽입단(30a)을 삽입하여 상기 고정 브라켓(52)과 삽입단(30a)의 측방으로 볼트(55)를 축 결합하여 너트(56)로 체결 고정하되, 상기 고정 브라켓(52)에 볼트(55)가 삽입되는 구멍을 상하 장공(54)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볼트가 승하강 이동하면서 메인 보(6) 외측을 상하 높낮이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미설명부호로서, 9는 난간, 32a,32'a는 볼트, 34b는 보조 지지강관(34)의 브라켓(34a) 체결 조립용 볼트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교량 일측을 따라 인도교(5)를 설치하되, 인도교 하부에 구성되는 메인 보(6)의 내측과 외측을 연석부에 캔틸레바(Cantilever) 방식으로 고정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교량(2)의 상부면과 외측면에 이중 구조로 고정 설치하는 것이다.
즉, 교량의 연석부(3)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교량에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도교 하부에 구성되는 메인 보(6)의 내측은 교량(2)의 상부면(2a)에 앙카 볼트(11)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 고정 브라켓(10)에 연결 고정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보(6)의 외측은 교량(2)의 외측면(2b)에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측방 고정 브라켓(20)을 갖는 지지 구조물(30)에 연결 고정되어 지지되는 것이다.
즉, 상기 인도교 하부에 구성되는 메인 보(6)의 내측과 외측을 교량(2)의 상부면과 외측면에 상부 고정 브라켓(10)과 측방 고정 브라켓(20)을 갖는 지지구조물(30)에 의해 이중 구조로 지지하도록 고정 설치하므로서 상기 인도교의 전체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메인 보(6)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 고정 브라켓(10)은 "
Figure 112013022767215-pat00002
" 형상의 단면 구조로 하여, 교량의 상부면(2a) 및 교각의 양단면이 3중으로 지지하게 하여 지지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로써, 하부 지지부(10a)가 교량(2)의 상부면(2a)에 지지되어 앙카 볼트로 고정되고, 상부 지지부(10b)가 메인 보(6) 상부에 안착 지지되어 볼트(15)로 체결 고정되며 상기 상,하부 지지부를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10c)가 연석부(3)의 단차진 측면(3a)에 지지되는 지지 구조에 의해 지지 견고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 보(6)의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30)은 메인 보(6)의 고정 위치에서 교량 외측면(2b)의 고정 위치로 갈수록 점차 지지 면적이 커지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메인 지지강관(31)과 상기 메인 지지강관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점차 벌어지게 볼트 조립된 보조 지지강관(32)(32')이 역 삼각 형태로 점차 벌어지면서 상기 메인 지지강관(31)과 보조 지지강관(32)(32') 선단의 측방 고정 브라켓(20a)(20b)(20c)이 교량 외측면(2b)의 3각 지점에서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부는 일체 연결되고 하부로 갈수록 양측으로 점차 벌어지는 좌우 메인 지지강관(33)(33')과 상기 메인 지지강관(33)(33')의 중앙 하부에서 볼트 조립된 보조 지지강관(34)이 삼각 형태로 점차 벌어지면서 상기 좌우 메인 지지강관(33)(33')과 보조 지지강관(34)의 선단이 교량 외측면(2b)에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측방 고정 브라켓(20)의 3각 지점에 일체 연결되어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원통 직경이 점차 커지는 꼬깔 모양의 원통 강관(35)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 구조물(30)은 메인 보(6)의 고정 위치에서 교량 외측면(2b)의 고정 위치로 갈수록 점차 지지 면적이 커지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전체적인 지지 안전성을 더욱 우수하게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그 밖에 상기 원통 강관(35)의 경우에 하부 외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날개부(36)를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 형성하여 보강하거나, 상기 인도교의 메인 보(6)를 Al 소재료 경량화하여 하중을 경감시키거나, 상기 지지 구조물(30)을 인접하는 지지 구조물과 서로 연결 강관(38)으로 연결하여 2개의 지지 구조물이 하나로 일체 연결시키는 구조 개선이나 재질 변경에 의해 하중에 대한 지지 견고력을 증대시켜 안전성을 더 우수하게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인도교(5)는 메인 보(6)의 양측을 높낮이 조절하여 수평을 맞추는데, 특히 교량의 연석부(3) 상부면이 불규칙한 경우에도 메인 보(6)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인도교의 수평을 일정하게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메인 보(6) 내측에 상하로 수직 관통 형성된 삽입공(6a) 하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 너트(51)에 상부 고정 브라켓(10) 상부에서 삽입되는 볼트(15)를 나사 결합하여서 상기 볼트의 회전 조절로 너트가 승하강 이동하면서 메인 보(6) 내측을 상하 높낮이 조절하여 맞추고,
상기 메인 보(6) 외측 하부에 고정 설치된 고정 브라켓(52)의 삽입홈(53)에 지지 구조물(30) 상부의 삽입단(30a)을 삽입하여 측방에서 볼트(55)로 축 결합하는데, 상기 볼트(55)를 고정 브라켓(52)의 상하 장공(54)에서 상하 높낮이 조절한 상태로 너트(56)와 체결 고정하므로 메인 보(6) 외측을 상하 높낮이 조절하여 맞추어 주므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교량 상부 일측을 따라 인도교를 고정 설치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교량의 연석부에 연결 지지하는 캔틸레바(Cantilever) 방식으로 고정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인도교 하부에 구성되는 메인 보의 내측을 교량의 상부면에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 고정 브라켓에 연결 지지하고, 상기 메인 보의 외측을 교량의 외측면에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측방 고정 브라켓을 갖는 지지 구조물에 연결 지지하여 인도교를 교량에 직접 이중 구조로 연결 지지하므로서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에 의해 전체적인 구조 안전성, 지지 견고성 등을 우수하게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2: 교량 3: 연석부
5: 인도교 6: 메인 보
10: 상부 고정 브라켓 11: 앙카 볼트
10a: 하부 지지부 10b: 상부 지지부
10c: 수직 연결부 15: 볼트
20,20a,20b,20c: 측방 고정 브라켓
30: 지지 구조물 31,33,33': 메인 지지강관
32,32',34: 보조 지지강관
35: 원통 강관 36: 날개부
50: 높낮이 조절수단
51: 너트 52: 고정 브라켓
53: 삽입홈 55: 볼트
56: 너트 54: 장공

Claims (9)

  1. 교량(2) 상부 일측을 따라 고정 설치하는 인도교(5)의 하부에 폭 방향으로 구성되는 메인 보(6)의 내측과 외측을 교량(2)에 직접 이중 구조로 연결하여 고정 설치하되, 상기 메인 보(6)의 내측은 교량(2)의 상부면(2a)에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 고정 브라켓(10)에 연결 지지하고, 상기 메인 보(6)의 외측은 교량(2)의 외측면(2b)에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측방 고정 브라켓(20)의 지지구조물(30)에 연결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6)는 "H" 형강으로 인도교(5)의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Al) 소재로 형성한 특징과;
    상기 상부 고정 브라켓(10)은 메인 보(6) 내측의 인장 하중을 지지하되, 교량(2)의 상부면(2a)에 앙카 볼트(11)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 지지부(10a)와 메인 보(6) 상부에 안착 지지되어 볼트(15)로 체결 고정되는 상부 지지부(10b) 및 상기 상,하부 지지부를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10c)에 의해 "
    Figure 112013035331508-pat00026
    " 으로 형성하여 인도교(5)에 걸리는 지지 하중이 분산되도록 교량(2)의 상부면(2a) 및 인도교(2)가 얹혀지는 교각(3)의 양단면이 지지되는 3점 지지구조로 설치하는 특징과;

    상기 지지 구조물(30)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메인 지지강관(31)과 상기 메인 지지강관의 중앙에서 좌우 양측으로 점차 벌어진 3각 형태로 볼트 조립된 보조 지지강관(32)(32')으로 구성하되, 상기 메인 지지강관(31)과 보조 지지강관(32)(32') 선단의 측방 고정 브라켓(20a)(20b)(20c)이 교량 외측면(2b)의
    3각 지점에서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되어 지지하중을 분산되게 설치한 특징과;
    상기 인도교의 메인 보(6)의 양측에는 상하로 높이 조절하도록 높낮이 조절수단(50)을 설치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50)은 메인 보(6) 내측에 상하로 수직 관통 형성된 삽입공(6a) 하부에 너트(51)를 일체 고정 설치하고, 상기 너트(51)에 상부 고정 브라켓(10) 상부에서 삽입되는 볼트(15)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볼트의 회전 조절로 너트가 승하강 이동하면서 메인 보(6) 내측을 상하 높낮이 조절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메인 보(6) 외측 하부에 고정 설치된 고정 브라켓(52)의 삽입홈(53)에 지지 구조물(30) 상부의 삽입단(30a)을 삽입하여 상기 고정 브라켓(52)과 삽입단(30a)의 측방으로 볼트(55)를 축 결합하여 너트(56)로 체결 고정하되, 상기 고정 브라켓(52)에 볼트(55)가 삽입되는 구멍을 상하 장공(54)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볼트가 승하강 이동하면서 메인 보(6) 외측을 상하 높낮이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메인 지지강관(31)과 상기 메인 지지강관의 중앙에서 좌우 양측으로 점차 벌어진 3각 형태로 조립된 보조 지지강관(32)(32') 선단의 측방 고정 브라켓(20a)(20b)(20c)과 교량 외측면(2b)이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된 지지 구조물(30)을 상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하부로 갈수록 양측으로 점차 벌어지는 좌우 메인 지지강관(33)(33')과 상기 메인 지지강관(33)(33')의 중앙 하부에서 볼트 조립된 보조 지지강관(34)의 선단이 교량 외측면(2b)에 앙카볼트로 고정 설치한 측방 고정 브라켓(20)의 3각 지점에 일체로 연결된 지지구조물(30)로 대체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장치.
  5. 삭제
  6. 제1항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메인 지지강관(31)과 상기 메인 지지강관의 중앙에서 좌우 양측으로 점차 벌어진 3각 형태로 조립된 보조 지지강관(32)(32') 선단의 측방 고정 브라켓(20a)(20b)(20c)과 교량 외측면(2b)이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된 구조의 지지 구조물(30)을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원통 직경이 점차 커지는 꼬깔 모양의 원통 강관(35)으로 지지하도록 하여 하중이 분산되게 설치하되, 상기 원통강관(35)은 하부 외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보강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36)를 연장 형성한 지지구조물(30)로 대체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장치.
  7. 삭제
  8. 삭제
  9. 교량 상부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인도교를 고정 설치하는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방법에 있어서,
    교량의 상부면(2a)에 앙카볼트로 고정브라켓(10)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10)은 교량(2)의 상부면(2a)에 고정 설치된 하부 지지부(10a)와 메인 보(6) 상부에 안착 지지되어 볼트(15)로 체결 고정되는 상부 지지부(10b) 및 상기 상,하부 지지부를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10c)에 의해 "
    Figure 112013035331508-pat00027
    " 형상의 단면 구조로 형성하여 인도교(5)에 걸리는 지지 하중이 분산되도록 교량(2)의 상부면(2a) 및 인도교(2)가 얹혀져 교각(3)의 양단면이 지지되는 3점 지지구조의 메인보 내측 연결단계;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메인 지지강관(31)과 상기 메인 지지강관의 중앙에서 좌우 양측으로 점차 벌어진 3각 형태로 볼트 조립된 보조 지지강관(32)(32')으로 구성하되, 상기 메인 지지강관(31)과 보조 지지강관(32)(32') 선단의 측방 고정 브라켓(20a)(20b)(20c)이 교량 외측면(2b)의 3각 지점에서 앙카 볼트로 고정 설치되어 지지하중을 분산되게 설치하는 지지구조물(30)설치단계;
    상기 지지구조물(30)에 메인보의 외측이 연결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메인보 외측 연결단계;
    메인 보(6) 내측에 상하로 수직 관통 형성된 삽입공(6a) 하부에 너트(51)를 일체 고정 설치하고, 상기 너트에 상부 고정 브라켓(10) 상부에서 삽입되는 볼트(15)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볼트의 회전 조절로 너트가 승하강 이동하면서 메인 보(6) 내측을 상하 높낮이 조절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보(6) 외측 하부에 고정 설치된 고정 브라켓(52)의 삽입홈(53)에 지지 구조물(30) 상부의 삽입단(30a)을 삽입하여 상기 고정 브라켓(52)과 삽입단(30a)의 측방으로 볼트(55)를 축 결합하여 너트(56)로 체결 고정하되, 상기 고정 브라켓(52)에 볼트(55)가 삽입되는 구멍을 상하 장공(54)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볼트가 승하강 이동하면서 메인 보(6)의 외측을 상하 높낮이 조절하도록 설치하는 높낮이 조절수단 설치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방법.
KR1020120156928A 2012-12-28 2012-12-28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장치 및 고정 설치방법 KR101259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928A KR101259169B1 (ko) 2012-12-28 2012-12-28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장치 및 고정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928A KR101259169B1 (ko) 2012-12-28 2012-12-28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장치 및 고정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169B1 true KR101259169B1 (ko) 2013-05-02

Family

ID=4866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928A KR101259169B1 (ko) 2012-12-28 2012-12-28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장치 및 고정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1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53Y1 (ko) * 2013-05-10 2013-08-01 (주)효명 교량 및 법면의 확장형 인도교
KR101967278B1 (ko) * 2018-05-31 2019-06-04 다산기업 주식회사 교량 점검 시설의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점검 시설 시공 방법
KR102590046B1 (ko) * 2023-06-22 2023-10-18 주식회사 에이치와이코넨 바닥판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닥판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061B1 (ko) * 2010-01-14 2010-10-11 노윤근 교량 상부구조물 확장구조 및 방법
KR101082429B1 (ko) * 2011-06-15 2011-11-10 (주) 한길산업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확장 시공방법
KR101195038B1 (ko) * 2012-05-31 2012-10-29 주식회사 다인건설 교량용 가설인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061B1 (ko) * 2010-01-14 2010-10-11 노윤근 교량 상부구조물 확장구조 및 방법
KR101082429B1 (ko) * 2011-06-15 2011-11-10 (주) 한길산업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확장 시공방법
KR101195038B1 (ko) * 2012-05-31 2012-10-29 주식회사 다인건설 교량용 가설인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53Y1 (ko) * 2013-05-10 2013-08-01 (주)효명 교량 및 법면의 확장형 인도교
KR101967278B1 (ko) * 2018-05-31 2019-06-04 다산기업 주식회사 교량 점검 시설의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점검 시설 시공 방법
KR102590046B1 (ko) * 2023-06-22 2023-10-18 주식회사 에이치와이코넨 바닥판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닥판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209B1 (ko) 교량 및 옹벽 확장 인도교
KR101082429B1 (ko)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확장 시공방법
KR100952610B1 (ko) 교량용 확장 인도
KR101259169B1 (ko)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장치 및 고정 설치방법
CN212983571U (zh) 一种大位移量桥梁伸缩缝
KR101389285B1 (ko) 단부 격벽 일체형 교대 흉벽 pc블록을 이용한 거더교의 교대 단부 일체화 방법
KR100516156B1 (ko)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시 기존 교량의 기능유지장치와 교량인상과 동시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접속가교를조합한 교통미통제 교량승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교통을 차단하지 않고 교량을 승상하는 방법
KR101618746B1 (ko) 시공성이 개선되게 한 확장 인도교의 조립식 거더 구조
KR101083303B1 (ko) 교량 또는 옹벽용 조립식 확장 보도
KR100945041B1 (ko) 교량 확장용 보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확장공법
KR102367426B1 (ko) 경사조정블럭을 갖는 확장 인도교용 강관형 켄틸레버
KR102590046B1 (ko) 바닥판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닥판 시공방법
KR101375525B1 (ko) 경사지용 확장 인도 구조물
KR100832100B1 (ko) 주탑 기부 응력저감 가설구조 및 주탑 기부 응력저감 공법
CN106049527B (zh) 明挖法可修复三拱三索地铁车站结构
KR20200061555A (ko) 등주 지지용 앙카블록
KR20190092170A (ko) 부착형 슬래브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방법, 그에 따른 구조설계방법
KR200402412Y1 (ko) 도로 옹벽구간 전도방지시설 설치구조
KR100918828B1 (ko) 신축되는 교량용 가설인도
CN210262694U (zh) 一种降噪伸缩缝
KR20140040982A (ko) 캔틸레버식 확장형 보도 및 자전거 도로
KR102057323B1 (ko) 부착식 또는 거치식 확장형 인도교
CN109972531B (zh) 一种用于提高贝雷梁临时支架跨度的体外预应力装置
KR100733004B1 (ko)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 방지구조
KR101428748B1 (ko)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