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035B1 - 조립식 교각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교각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035B1
KR101406035B1 KR1020130149183A KR20130149183A KR101406035B1 KR 101406035 B1 KR101406035 B1 KR 101406035B1 KR 1020130149183 A KR1020130149183 A KR 1020130149183A KR 20130149183 A KR20130149183 A KR 20130149183A KR 101406035 B1 KR101406035 B1 KR 101406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ate
column main
column
hollow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환
정원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케이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케이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케이건설
Priority to KR1020130149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에서의 용이한 시공을 통해서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의 효과를 발휘하면서도, 높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현장에서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여 시공오차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교각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하부기초부(1), 기둥본체(2), 및 상부지지부(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기초부(1)는, 받침판(10)과, 중공삽입부(11)와, 하부 브레이싱판(1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부(3)는 상부판(30)과, 상부 브레이싱판(3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부기초부(1)가 지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기둥본체(2)가 중공삽입부(11) 내에 관입되고 중공삽입부(11)보다 더 길게 연장된 하부 브레이싱판(12)의 상부 부분이 기둥본체(2)의 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용접됨으로써, 기둥본체(2)와 하부 브레이싱판(12)과 하부기초부(1)가 일체화되며; 상부판(30)은 기둥본체(2)의 상단면 위에 놓이고 상부 브레이싱판(32)이 기둥본체(2)의 상부 측면에 접하도록 상부지지부(3)가 기둥본체(2)의 상단에 씌워져서 상부 브레이싱판(32)과 기둥본체(2)가 일체화되도록 현장에서 조립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과, 그 시공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립식 교각 및 그 시공방법{Pier fo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행자를 위한 보도(步道) 교량, 자전거 전용 교량, 경량철도용 교량 등과 같은 비교적 규모가 작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데 최적화된 교각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현장에서의 용이한 시공을 통해서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의 효과를 발휘하면서도, 높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현장에서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여 시공오차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교각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책로나 육교 등과 같이 보행자가 통행하기 위한 보도(步道) 교량, 자전거의 통행을 위한 자전거 전용 교량, 또는 경량 철도를 위한 교량 등과 같이 상부구조물의 규모가 작은 교량의 경우, 그 상부구조물의 규모 및 상부구조물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활하중, 사하중)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교각의 규모도 대형 교량의 경우보다 작아지는데 비하여, 도심지 등에 교량이 시공되기 때문에, 교량 시공시, 현장에서의 교통흐름 방해 억제 등을 위해 신속한 교각의 설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소규모의 교량을 위한 교각의 시공을 위한 방법으로는, 다양한 기둥(지주) 설치 방법을 참조할 수 있는데, 종래의 기둥 설치 방법에서는 하단에 수평한 플랜지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강관을 기둥부재로 이용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17143호에는 이러한 플랜지부를 이용한 기둥부재 설치 기술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기둥부재 시공방법에서는, 강관으로 이루어진 기둥부재의 하단에 수평한 판부재로 이루어진 플랜지부를 공장에서 미리 일체로 결합한 상태로 제작하게 되는데, 이 때 플랜지부와 기둥부재 사이에는 보강용 브레이싱 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이렇게 플랜지부와 브레이싱 부재가 결합된 상태로 기둥부재를 공장제작한 후, 이를 현장으로 이송하여, 지면에 플랜지부가 지면에 놓이면서 지면으로 돌출되어 있도록 지반에 미리 설치되어 있던 앵커부재가 플랜지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기둥부재를 지면에 연직하게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플랜지부와 브레이싱 부재가 공장에서부터 이미 기둥부재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기둥부재 전체를 크레인 등의 인양장비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지면에 돌출된 앵커부재를 플랜지부의 관통공에 관통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밖에 없는데, 매우 무거운 중량의 기둥부재 전체가 인양된 상태에서 수행하는 이러한 앵커부재의 관통공 통과 작업은 매우 위험하여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플랜지부와 브레이싱 부재가 이미 공장에서부터 기둥부재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현장 여건상 플랜지부가 놓이게 될 지면이 애초의 설계 높이와 다른 경우에는 결국 기둥부재 상단의 위치가 설계위치와 달라지는 오차가 발생하며, 이러한 오차를 해소할 방법이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둥부재 설치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으며, 소규모 교량에 적합한 교각을 시공하기에 새로운 시공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17143호(2011. 02. 21. 공개) 참조.
본 발명은 시공성이 우수하며 공기단축과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교량 상부구조물의 설계 높이에 일치하도록 현장에서 교각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어서 소규모 교량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교각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기초부,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기초부와 일체로 조립 결합되는 기둥본체, 및 상기 기둥본체의 상단에 일체로 조립 결합되는 상부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기초부는, 지면에 놓이는 받침판과, 원형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받침판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중공삽입부와, 중공삽입부의 원주를 따라 복수개로 연직하게 일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공삽입부보다 더 긴 연직길이를 가지는 하부 브레이싱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부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하면에 복수개로 연직하게 일체 구비되어 있는 상부 브레이싱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부기초부가 지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기둥본체가 중공삽입부 내에 관입되고 중공삽입부보다 더 길게 연장된 하부 브레이싱판의 상부 부분이 기둥본체의 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기둥본체와 하부 브레이싱판이 용접되어 일체화되며; 상부판은 기둥본체의 상단면 위에 놓이고 상부 브레이싱판이 기둥본체의 상부 측면에 접하도록 상부지지부가 기둥본체의 상단에 씌워져서 상부 브레이싱판과 기둥본체가 용접되어 일체화됨으로써 현장에서 조립되어 설치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받침판과, 원형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중공삽입부와, 중공삽입부의 원주를 따라 복수개로 연직하게 일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공삽입부보다 더 긴 연직길이를 가지는 하부 브레이싱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하부기초부를, 지반에 고정되어 있는 앵커부재가 받침판을 관통한 상태로 체결되도록 하여, 지면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 강관으로 이루어진 기둥본체를 중공삽입부 내에 관입하고, 중공삽입부보다 더 길게 연장된 하부 브레이싱판의 상부 부분이 기둥본체의 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기둥본체와 하부 브레이싱판을 일체화하는 단계; 및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하면에 복수개로 연직하게 일체 구비되어 있는 상부 브레이싱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상부지지부를, 상부판이 기둥본체의 상단면 위에 놓이고 상부 브레이싱판이 기둥본체의 상부 측면에 접하도록 ,기둥본체의 상단에 씌우고, 용접에 의해 상부 브레이싱판과 기둥본체를 일체화가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현장에서 교각을 조립 설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교각 및 그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공삽입부에는 봉 상입공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기둥본체의 하단에는 관통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개의 끼움공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기둥본체가 중공삽입부 내에 관입된 상태에서, 기둥본체의 상단이 원하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게 만드는 끼움공을 선택하여 위치설정용 봉부재를 봉 삽입공과 끼움공에 동시에 관통시킴으로써, 기둥본체가 중공삽입부와 임시로 결합된 상태를 만든 후 기둥본체와 하부 브레이싱판 사이를 용접할 수 있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특히 이 경우, 상기 복수개의 끼움공은, 복수개의 끼움공이 기둥본체를 경사지게 휘감는 형태로 간격을 두고 기둥본체에 배열되는 형태로 관통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각 및 그 시공방법에서는, 각각 분리되어 있는 하부기초, 기둥본체 및 상부지지부가 현장에서 일체로 조립되어 교각이 시공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운송 및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하부기초부를 지반에 고정 설치하는 작업을 기둥본체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인양장비의 규모 축소, 인양장비의 운용 최소화 및 그에 따른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부기초부에 기둥본체를 연직하게 세워서 설치함에 있어서, 기둥본체가 하부기초부의 중공삽입부에 삽입되는 깊이를 현장에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교각의 높이를 현장에서 설계 위치에 맞추어 조정하는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시공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각은 신속하고 경제적인 시공을 진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도교량 등과 같은 소규모 교량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을 이용하여 시공된 구조물의 일예에 해당하는 보도교량의 개략적인 교축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교각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교각이 지반에 설치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원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교각 시공을 위하여 하부기초부가 지면에 고정 설치된 후, 기둥본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기둥본체의 상단에 상부지지부가 조립 결합되는 것을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본 상태로 도시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교각(100)을 이용하여 시공된 구조물의 일예로서 보도교량의 개략적인 교축방향(종방향)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a 및 도 2b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교각(100)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도 2a) 및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교각(10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교각(10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보도(步道) 교량, 자전거의 통행을 위한 자전거 전용 교량, 또는 경량 철도를 위한 교량 등과 같이 상부구조물의 규모가 작은 교량에서 교량 상부구조물(거더, 바닥판, 횡보 등)을 지지하는데 최적화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교각(100)은 위에서 예시한 구조물에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고, 기타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에서 도면부호 8과 9는 각각 보도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이루는 바닥판(8)과 횡보(9)이고, 도면부호 7은 난간(7)이다.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교각(100)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기초부(1), 관 부재(예를 들면 강관)로 이루어지고 하단이 상기 하부기초부(1)에 삽입되어 하부기초부(1)와 일체로 조립 결합되는 기둥본체(2), 및 상기 기둥본체(2)의 상단에 일체로 조립 결합되며 교량의 상부구조물이 그 상부에 놓이게 되는 상부지지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기초부(1)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부재로서, 지면에 놓이는 받침판(10)과, 기둥본체(2)의 하단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중공을 가지는 관 부재(예를 들면 강관)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판(10)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중공삽입부(11)와, 판재로 이루어지며 중공삽입부(11)의 측면과 받침판(10)의 상면 사이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되 중공삽입부(11)의 원주를 따라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연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휨 보강용 하부 브레이싱판(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판(10)은 두께를 가지는 판부재로서 앵커부재(200)가 관통하게 되는 앵커공(101)이 형성되어 있다. 중공삽입부(11)는 강관으로 이루어진 부재로서 그 하단이 받침판(10)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는 후술하는 것처럼 기둥본체(2)가 삽입되도록 개방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기둥본체(2)가 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중공삽입부(11)도 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기둥본체(2) 및 중공삽입부(11)의 단면은 원형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타원형이나 기타 다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즉, 기둥본체(2)는 다각 단면 강관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고, 중공삽입부(11)도 기둥본체(2)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다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하부 브레이싱판(12)은 중공삽입부(11)의 측면과 받침판(10)의 상면 사이에 일체로 결합되어 연직하게 구비되는 판 부재인데,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브레이싱판(12)은 연직길이가 상기 중공삽입부(11)의 연직길이보다 더 크다. 따라서 하부 브레이싱판(12)의 하단면과 횡측면이 각각 받침판(10)의 상면과 중공삽입부(11)의 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하부 브레이싱판(12)의 일부분(상부 부분)은 중공삽입부(11)의 상단 이상으로 더 길게 연장되어 있게 된다. 도 4에는 도 3의 원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특히 중공삽입부(11)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하부 브레이싱판(12)의 상부 부분은 판부재의 내측면이 중공삽입부(11)의 강관 두께만큼 더 중공삽입부(1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하부 브레이싱판(12)의 상부 부분의 내측면과 중공삽입부(11)의 내측면은 동일한 연직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중공삽입부(11)에는 그 측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봉 삽입공(110)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후술하는 것처럼 봉 삽입공(110)에는 기둥본체(2)의 위치를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위치설정용 봉부재(22)가 관통 삽입된다.
이와 같이 받침판(10), 중공삽입부(11) 및 하부 브레이싱판(12)을 포함하여 구성된 하부기초부(1)는 지면에 놓여서 고정된다. 즉,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서는 공장에서 제작된 하부기초부(1)를 현장으로 이송하여 지면에 고정시키는 단계(S1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 때 지반에 고정되어 있는 앵커부재(200)를 이용하여 하부기초부(1)를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기초부(1)가 고정 설치되는 지반은 토사 지반이거나 암반일 수도 있고,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된 기초일 수도 있다.
도 5에는 하부기초부(1)가 지면에 고정 설치된 후, 기둥본체(2)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하부기초부(1)의 고정 설치 작업과 후속하는 기둥본체(2)의 결합 작업의 예를 살펴보면, 지반에는 앵커부재(200)가 관입 설치되어 있고, 현장으로 이송되어 온 하부기초부(1)의 받침판에 형성된 앵커공(101)에, 앵커부재(200)에서 지면 위로 돌출되어 있는 상단이 관통되도록 한 후, 앵커부재(200)에 너트 등의 체결수단(210)을 결합함으로써 하부기초부(1)를 지면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각(100)의 경우,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앵커부재(200)의 상단이 하부기초부(1)의 받침판(10)을 관통하게 만드는 작업은, 하부기초부(1)에 아직 기둥본체(2)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된다. 기둥부재에 플랜지부가 미리 결합되어 있는 종래 기술의 경우, 큰 중량의 기둥부재 전체를 인양장비로 인양한 상태에서 앵커부재를 플랜지부의 관통공에 관통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밖에 없으므로 작업의 위험성이 높았으며 대형 인양장비의 이용에 따른 비용 증가를 피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아직 기둥본체(2)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의 하부기초부(1)만을 들어 올려서 앵커부재(200)가 받침판(10)을 관통하게 만들면 되므로, 들어 올려야 하는 부재의 규모와 중량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 매우 작으며, 그에 따라 종래 기술과 달리 인양장비 없이도 인력을 이용한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앵커부재(200)와 받침판(10)을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며, 필요에 의해 인양장비를 사용하더라도 인양장비의 규모를 종래기술보다 크게 축소할 수 있게 되어 점유하는 작업공간의 축소, 및 이를 통한 교통 방해 최소화, 그리고 인양장비 운용비용의 절감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하부기초부(1)가 지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연직하게 세워진 기둥본체(2)의 하단을 상기 하부기초부(1)에 결합하여 설치하는 단계(S2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기둥본체(2)는 강관으로 이루어진 부재로서, 그 하단은 중공삽입부(11)의 중공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기둥본체(2)의 하단에는 끼움공(2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기둥본체(2)를 인양하여 그 하단이 중공삽입부(11)의 중공 내부로 삽입할 때, 필요한 깊이로 기둥본체(2)의 하단이 중공삽입부(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위치설정용 봉부재(22)를 중공삽입부(11)의 봉 삽입공(110)과 기둥본체(2)의 끼움공(21)에 동시에 관통되도록 삽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위치설정용 봉부재(22)가 관통 설치되면 기둥본체(2)는 중공삽입부(11)로의 삽입 깊이가 고정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기둥본체(2)와 하부 브레이싱판(12)을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 하부 브레이싱판(12)의 상부 부분은 중공삽입부(11)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고, 이러한 하부 브레이싱판(12)의 상부 부분은 중공삽입부(11)의 강관 두께만큼 더 중공삽입부(1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하부 브레이싱판(12)의 상부 부분의 내측면과 중공삽입부(11)의 내측면은 동일한 연직선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기둥본체(2)가 중공삽입부(11)의 내부로 삽입되면, 하부 브레이싱판(12)의 상부 부분의 내측면이 기둥본체(2)의 측면에 접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하부 브레이싱판(12)의 상부 부분과 기둥본체(2)의 측면을 용접에 의해 용이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하부 브레이싱판(12)과 기둥본체(2)가 용접에 의해 일체화되면 결국 하부기초부(1)와 기둥본체(2)가 일체화되는 것이다. 하부 브레이싱판(12)과 기둥본체(2) 간의 용접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위치설정용 봉부재(22)는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기둥본체(2)가 중공삽입부(11)에 관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기둥본체(2)의 하단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 및 전단력에 대해 큰 저항력을 발휘하게 되는데, 이에 더하여 하부 브레이싱판(12)이 중공삽입부(11)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기둥본체(2)의 측면에 일체화되어 지지하게 되므로 기둥본체(2) 하단부에서의 휨모멘트 저항력 및 전단 저항력은 더욱 커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기둥본체(2)의 하단에서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끼움공(21)은 그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는 교각의 높이를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끼움공(21) 각각은 기둥본체(2)의 하단면으로부터의 이격 거리를 달리하여 기둥본체(2)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끼움공(21)이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둥본체(2)가 중공삽입부(11) 내에 관입된 상태에서, 기둥본체(2)의 상단이 원하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게 만드는 끼움공(21)을 선택하여 위치설정용 봉부재(22)를 봉 삽입공(110)과 해당 끼움공(21)에 동시에 관통시킴으로써, 현장에서 교각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게 된다.
특히, 위치설정용 봉부재(22)가 봉 삽입공(110)과 끼움공(21)에 동시에 관통된 상태에서는 기둥본체(2)의 관입 위치가 변동되지 않으며 결국 기둥본체(2)가 중공삽입부(11)와 임시로 결합된 상태가 되며, 기둥본체(2)와 하부 브레이싱판(12) 사이를 안정된 상태에서 용접할 수 있게 된다.
복수개의 끼움공(21)은 기둥본체(2)의 하단에서 연직한 직선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개의 끼움공(21)이 높이를 달리하되 연직 위치가 서로 어긋나는 형태로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아래쪽에 위치하는 끼움공(21)과 연직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위쪽의 끼움공(2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끼움공(21)이 서로 어긋나는 형태로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경우, 끼움공(21)의 관통형성으로 인한 기둥본체(2)의 강성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복수개의 끼움공(21)이 기둥본체(2)를 경사지게 휘감는 형태로 간격을 두고 기둥본체(2)에 배열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기둥본체(2)를 중공삽입부(11)에 관입할 때, 기둥본체(2)를 회전시키면서 관입함으로써, 필요한 높이에 맞는 끼움공(21)이 중공삽입부(11)의 봉 삽입공(110)과 일치되도록 하는 것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a 및 도 2b에는 위치설정용 봉부재(22)가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기둥본체(2)와 하부 브레이싱판(12) 사이가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후에는, 상기 위치설정용 봉부재(22)를 제거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교각(100)에서 기둥본체(2)의 상단에는 상부지지부(3)가 일체로 조립 결합된다. 기둥본체(2)의 상단에 상부지지부(3)가 미리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한 기둥본체(2)와 하부기초부(1)의 결합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인양장비의 규모 축소, 작업의 용이성 및 안정성 등을 위해서는, 기둥본체(2)가 하부기초부(1)에 결합되어 연직하게 설치된 후에, 상부지지부(3)를 기둥본체(2)의 상단에 결합하는 작업을 수행(S3 단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기둥본체(2)의 상단에 상부지지부(3)가 조립 결합되는 것을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본 상태로 도시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인데, 상기 상부지지부(3)는, 기둥본체(2)의 상단면에 놓이는 상부판(30)과, 상기 상부판(30)의 하면에 복수개로 일체 구비되어 있는 상부 브레이싱판(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브레이싱판(32)은 판부재로서 그 판부재의 얇은 내측면이 기둥본체(2)의 외주면 원주위치에 존재하도록 상부판(30)의 하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지지부(3)가 기둥본체(2)의 상단에 씌워졌을 때, 상부판(30)은 기둥본체(2)의 상단면 위에 놓이고 복수개의 상부 브레이싱판(32)의 내측면이 기둥본체(2)의 외주 측면에 접하게 된다. 이렇게 상부지지부(3)가 기둥본체(2)의 상단에 씌워져서 복수개의 상부 브레이싱판(32) 내측면이 기둥본체(2)의 외주 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부 브레이싱판(32)과 기둥본체(2)를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교각(100)을 완성하게 된다. 기둥본체(2)의 상단에서 그 외주면에 복수개의 상부 브레이싱판(32)이 일체화되어 지지하고 있으므로, 기둥본체(2)의 상단부에서도 휨모멘트 저항력 및 전단 저항력이 더욱 커지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교각(100) 상부에 교량 상부구조물이 설치될 때, 교량 상부구조물의 횡보가 별도로 상기 상부지지부(3)의 상부판(30) 위에 결합설치될 수도 있지만, 상기 횡보의 하부 플랜지가 상기 상부지지부(3)의 상부판(30)에 해당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교각(100)은, 각각 분리되어 있는 하부기초부(1), 기둥본체(2) 및 상부지지부(3)가 현장에서 일체로 조립되어 시공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운송 및 취급이 용이하며, 특히 하부기초부(1)를 지반에 고정 설치하는 작업을 기둥본체(2)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인양장비의 규모 축소, 인양장비의 운용 최소화 및 그에 따른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경제적인 시공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따라서 보도교량 등과 같은 소규모 교량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1: 하부기초부
2: 기둥본체
3: 상부지지부

Claims (4)

  1.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기초부(1), 관 부재로 이루어지고 하부기초부(1)와 일체로 조립 결합되는 기둥본체(2), 및 상기 기둥본체(2)의 상단에 일체로 조립 결합되는 상부지지부(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기초부(1)는, 지면에 놓이는 받침판(10)과, 관 부재로 이루어지고 받침판(10)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중공삽입부(11)와, 중공삽입부(11)의 원주를 따라 복수개로 연직하게 일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공삽입부(11)보다 더 긴 연직길이를 가지는 하부 브레이싱판(1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부(3)는 상부판(30)과, 상기 상부판(30)의 하면에 복수개로 연직하게 일체 구비되어 있는 상부 브레이싱판(3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공삽입부(11)에는 봉 삽입공(110)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하부 브레이싱판(12)의 상부 부분은 중공삽입부(11)의 강관 두께만큼 더 중공삽입부(1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기둥본체(2)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끼움공(21)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복수개의 끼움공(21)은 기둥본체(2)를 경사지게 휘감는 형태로 간격을 두고 관통 높이를 달리하면서 기둥본체(2)에 배열되는 형태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하부기초부(1)가 지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기둥본체(2)가 중공삽입부(11) 내에 관입된 상태에서, 기둥본체(2)의 상단이 원하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게 만드는 끼움공(21)을 선택하여 위치설정용 봉부재(22)를 봉 삽입공(110)과 끼움공(21)에 동시에 관통시킴으로써, 기둥본체(2)가 중공삽입부(11)와 임시로 결합된 상태가 형성된 후, 중공삽입부(11)보다 더 길게 연장된 하부 브레이싱판(12)의 상부 부분이 기둥본체(2)의 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기둥본체(2)와 하부 브레이싱판(12)이 용접되어 일체화되며;
    상부판(30)은 기둥본체(2)의 상단면 위에 놓이고 상부 브레이싱판(32)이 기둥본체(2)의 상부 측면에 접하도록 상부지지부(3)가 기둥본체(2)의 상단에 씌워져서 상부 브레이싱판(32)과 기둥본체(2)가 용접되어 일체화됨으로써 현장에서 조립되어 설치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2. 삭제
  3. 삭제
  4. 지반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기초부(1)에 강관으로 이루어진 기둥본체(2)를 결합하고, 기둥본체(2)의 상단에 상부지지부(3)를 결합하여 현장에서 교각을 조립 설치하게 되는 교각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하부기초부(1)는, 받침판(10)과, 원형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판(10)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며 봉 삽입공(110)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중공삽입부(11)와, 상기 중공삽입부(11)의 원주를 따라 복수개로 연직하게 일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공삽입부(11)보다 더 긴 연직길이를 가지는 하부 브레이싱판(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지지부(3)는 상부판(30)과, 상기 상부판(30)의 하면에 복수개로 연직하게 일체 구비되어 있는 상부 브레이싱판(3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공삽입부(11)에는 봉 삽입공(110)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기둥본체(2)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끼움공(21)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복수개의 끼움공(21)은 기둥본체(2)를 경사지게 휘감는 형태로 간격을 두고 관통 높이를 달리하면서 기둥본체(2)에 배열되는 형태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브레이싱판(12)의 상부 부분은 중공삽입부(11)의 강관 두께만큼 더 중공삽입부(1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기둥본체(2)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끼움공(21)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복수개의 끼움공(21)은 기둥본체(2)를 경사지게 휘감는 형태로 간격을 두고 관통 높이를 달리하면서 기둥본체(2)에 배열되는 형태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기초부(1)를, 지반에 고정되어 있는 앵커부재(200)가 받침판(10)을 관통한 상태로 체결되도록 하여, 지면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
    기둥본체(2)를 중공삽입부(11) 내에 관입하되, 기둥본체(2)가 중공삽입부(11) 내에 관입된 상태에서, 기둥본체(2)의 상단이 원하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게 만드는 끼움공(21)을 선택하여 위치설정용 봉부재(22)를 봉 삽입공(110)과 끼움공(21)에 동시에 관통시킴으로써, 기둥본체(2)를 중공삽입부(11)와 임시로 결합하는 단계;
    중공삽입부(11)보다 더 길게 연장된 하부 브레이싱판(12)의 상부 부분이 기둥본체(2)의 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기둥본체(2)와 하부 브레이싱판(12)을 일체화하는 단계; 및
    상부판(30)이 기둥본체(2)의 상단면 위에 놓이고 상부 브레이싱판(32)이 기둥본체(2)의 상부 측면에 접하도록, 상부지지부(3)를 기둥본체(2)의 상단에 씌우고, 용접에 의해 상부 브레이싱판(32)과 기둥본체(2)를 일체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의 시공방법.
KR1020130149183A 2013-12-03 2013-12-03 조립식 교각 및 그 시공방법 KR101406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183A KR101406035B1 (ko) 2013-12-03 2013-12-03 조립식 교각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183A KR101406035B1 (ko) 2013-12-03 2013-12-03 조립식 교각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035B1 true KR101406035B1 (ko) 2014-06-11

Family

ID=5113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183A KR101406035B1 (ko) 2013-12-03 2013-12-03 조립식 교각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03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412B1 (ko) * 2015-04-15 2015-11-13 주식회사 로드파크 데크로드의 지지대 결속용 지주 결속구
CN105780653A (zh) * 2014-12-15 2016-07-20 任丘市永基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桥墩现场组焊技术
WO2017045223A1 (zh) * 2015-09-18 2017-03-23 河海大学 装配式钢-混凝土组合结构桥墩柱构件
CN107165038A (zh) * 2017-07-13 2017-09-15 北京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桥梁的全预制下部结构与施工方法
CN108221646A (zh) * 2018-01-03 2018-06-29 魏志峰 公路桥梁施工中能纠偏和加固的桥墩
KR20190066382A (ko) * 2017-12-05 2019-06-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695A (ko) * 2002-03-28 2002-05-07 최종채 다각형 가로등 베이스
KR20090101416A (ko) * 2009-08-28 2009-09-28 장신찬 일체의 중요 구조물을 공장 제작 후 현장 조립과 설치를 하는 자전거 및 보도 전용 소형 교량 및 그 시공 방법
KR200455862Y1 (ko) * 2011-07-13 2011-09-29 (주)세림철탑산업 강관지주의 연결구조
KR20130025189A (ko) * 2011-09-01 2013-03-11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승강장용 조립식기둥 및 이에 의한 기둥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695A (ko) * 2002-03-28 2002-05-07 최종채 다각형 가로등 베이스
KR20090101416A (ko) * 2009-08-28 2009-09-28 장신찬 일체의 중요 구조물을 공장 제작 후 현장 조립과 설치를 하는 자전거 및 보도 전용 소형 교량 및 그 시공 방법
KR200455862Y1 (ko) * 2011-07-13 2011-09-29 (주)세림철탑산업 강관지주의 연결구조
KR20130025189A (ko) * 2011-09-01 2013-03-11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승강장용 조립식기둥 및 이에 의한 기둥설치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0653A (zh) * 2014-12-15 2016-07-20 任丘市永基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桥墩现场组焊技术
KR101567412B1 (ko) * 2015-04-15 2015-11-13 주식회사 로드파크 데크로드의 지지대 결속용 지주 결속구
WO2017045223A1 (zh) * 2015-09-18 2017-03-23 河海大学 装配式钢-混凝土组合结构桥墩柱构件
US10047485B2 (en) 2015-09-18 2018-08-14 Honhai University Assembled type pier column member with steel-concrete composite structure
CN107165038A (zh) * 2017-07-13 2017-09-15 北京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桥梁的全预制下部结构与施工方法
CN107165038B (zh) * 2017-07-13 2018-12-07 北京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桥梁的全预制下部结构与施工方法
KR20190066382A (ko) * 2017-12-05 2019-06-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KR102002976B1 (ko) * 2017-12-05 2019-07-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CN108221646A (zh) * 2018-01-03 2018-06-29 魏志峰 公路桥梁施工中能纠偏和加固的桥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035B1 (ko) 조립식 교각 및 그 시공방법
US8522381B1 (en) System and method for bridge pier replacement
KR101391637B1 (ko) 강재트러스를 이용한 복합트러스 거더의 제작공법
KR102187993B1 (ko) 조립식 교각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108442232B (zh) 装配式钢便桥结构及其施工方法
JP5807253B2 (ja) 伸縮式足場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吊り足場設置方法
KR20110086008A (ko) 교각과 콘크리트빔의 강결합 구조
CN110387822B (zh) 现浇盖梁装配式钢管支架及其施工方法
JP6180376B2 (ja) 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方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構造
KR20140001418A (ko) 교량 확장 구조
KR20120096605A (ko)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0138643A (ja) 高架橋の柱梁接合部の構築方法、高架橋
KR101618746B1 (ko) 시공성이 개선되게 한 확장 인도교의 조립식 거더 구조
JP3844743B2 (ja) 箱桁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2009035884A (ja) 鉄塔のリフトアップ工法
JP2005256341A (ja) 波形鋼板ウエブuコンポ橋
JP2006265976A (ja) 波形鋼板ウェブuコンポ橋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160113917A (ko) 자전거 통행용 연속 교량
KR102085928B1 (ko) 스플라이스 파일캡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518210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콘크리트 인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200450609Y1 (ko)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용 브라켓 고정 장치
KR20050088628A (ko) 파형 중공관을 이용한 중공 교각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JP2002206209A (ja) 上下部一体構造の橋梁及びその施工方法
JP3991067B1 (ja) 鉄道ホーム間仮設橋
KR101726068B1 (ko) 프리캐스트 패널구조체 및,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