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605A -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96605A KR20120096605A KR1020110015779A KR20110015779A KR20120096605A KR 20120096605 A KR20120096605 A KR 20120096605A KR 1020110015779 A KR1020110015779 A KR 1020110015779A KR 20110015779 A KR20110015779 A KR 20110015779A KR 20120096605 A KR20120096605 A KR 201200966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oist
- support
- slab
- bracket
- formwor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2 fr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슬래브 구축용 거푸집 시스템에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이를 통해 시공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중에 시공된 골조용 기둥에 각 층의 시공 높이에 맞추어 설치되는 브라켓 장치와; 상기 브라켓 장치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지지거더와; 상기 지지거더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보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보 거푸집을 갖는 보 거푸집 지지틀과; 상기 지지거더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슬래브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슬래브 거푸집을 갖는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을 포함하며, 상기 슬래브 거푸집이 장선에 합판을 지지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슬래브 구축용 거푸집 시스템에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이를 통해 시공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지하구조물이 축조되는 지반에 흙막이 공사를 한 다음 지반을 굴착하면서 흙막이를 지지할 수 있는 가시설물을 설치하고 토사를 전부 반출한 뒤 맨 아래층부터 구조물을 축조해 올라가는 순타설 공법과, 흙막이를 시공하고 1층 구조물을 축조한 다음 그 구조물을 흙막이용 버팀부재로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지반을 굴착하면서 구조물을 축조해 내려가는 역타설 공법이 그것이다.
최근 토지 이용의 극대화 차원에서 지하공사가 점차 고심도화되고 있고, 특히 순타설 공법에 의한 시공시에는 흙막이 붕괴의 위험이나 주변 건물들 침하 등으로 인한 균열 발생은 물론 시각적으로도 불안할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등의 여러 문제가 있으므로, 근래에는 역타설 공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 역타설 공법은 흙막이벽 및 그 안쪽 지중의 골조용 기둥을 시공한 뒤 슬래브 및 보 등의 지하구조물을 지상 1층부터 지하층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시공해 내려가는 방식이므로, 지하구조물과 지상구조물의 시공이 동시에 진행 가능하고, 지상 1층의 바닥을 작업장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별도의 복공판이 필요하지 않으며, 무지보 거푸집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역타설 공법으로는 지반을 정지한 상태에서 지반 위에 콘크리트 슬래브와 보를 타설하는 방법(Concrete on Grade)과, 지반을 어느 정도 굴착하고 지반을 고른 뒤 동바리를 세우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Form on Supporting)과, 거푸집 지지를 위한 동바리를 세우지 않는 대신에 선시공한 상층의 콘크리트 슬래브에 거푸집을 현수시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무지보 역타설 현수 거푸집 공법) 등이 있다.
이러한 역타설 공법으로는 지반을 정지한 상태에서 지반 위에 콘크리트 슬래브와 보를 타설하는 방법(concrete on grade)과, 지반을 어느 정도 굴착하고 지반을 고른 뒤 동바리를 세우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form on supporting)과, 거푸집 지지를 위한 동바리를 세우지 않는 대신에 선(先) 시공한 상층의 콘크리트 슬래브에 거푸집을 현수시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무지보 역타설 현수 거푸집 공법) 등이 있다.
또한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지지거더(이는 H-형강 철골보로서 영구구조체로 사용되거나, 가설구조체로서 시공 후에 해체함)를 골조용 기둥에 브라켓을 이용하여 지지시키고 상기 지지거더를 이용하여 층간 슬래브 및 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을 지지시켜 설치한 뒤 슬래브 및 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이 있다.
특히, 브라켓 및 거푸집 지지틀을 설치하여 동바리 없이 무지보 시공이 가능한 BRD(Bracket support R/C Downward) 공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이는 와이드 거더(wide girder)(보) 및 데크 슬래브(deck slab)를 사용하여 거푸집을 최소화시키고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지지틀을 현수 하강시켜 재사용함에 따라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킨 공법이다.
BRD 공법은 지하층 역타 시공시 지지거더, 및 보 거푸집을 포함한 거푸집 지지틀을 브라켓에 지지시켜 설치하고,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를 설치한 뒤, 콘크리트 타설하여 상층의 와이더 거더(보) 및 데크 슬래브를 시공하고, 이어 현수장치를 이용해 브라켓과 지지거더, 거푸집 지지틀을 하강시켜 재설치한 다음,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층의 와이드 거더(보) 및 데크 슬래브를 시공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전체적인 과정을 살펴보면, 시공 부지 정지 작업, 흙막이벽 시공, 천공 및 골조용 기둥 시공, 굴토, 골조용 기둥에 브라켓을 설치, 브라켓에 지지거더 및 거푸집 지지틀(보 거푸집을 포함함)을 지지시켜 설치, 거푸집 지지틀에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시켜 설치,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하여 지상 1층을 시공하고, 이어 굴토, 브라켓 해체 및 하강/재설치, 지지거더 및 거푸집 지지틀 하강/재설치, 데크플레이트 설치,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의 과정을 반복하여 지하 각층을 시공한 뒤, 최종 굴토, 브라켓 및 지지거더, 거푸집 지지틀의 해체/반출, 기초 콘크리트 타설 및 미시공분(벽체, 코어 등) 콘크리트 타설 등의 과정을 거쳐 지하구조물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BRD 공법에서는 동바리의 사용을 줄이기 위하여 무지보 시공의 장점을 가진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있는데, 지하구조물의 골조 부분인 보의 거푸집으로는 재래식의 장선과 합판을 이용한 거푸집을 사용하고, 슬래브 구간은 시공성 및 경제성 향상을 위하여 얇은 철판에 철근을 선 조립하여 부착시킨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강재 가격의 상승으로 인하여 데크 플레이트의 가격이 상승하고 있고, 이에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바, 시공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역타설 시공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지하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슬래브 구축용 거푸집 시스템에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이를 통해 시공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중에 시공된 골조용 기둥에 각 층의 시공 높이에 맞추어 설치되는 브라켓 장치와; 상기 브라켓 장치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지지거더와; 상기 지지거더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보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보 거푸집을 갖는 보 거푸집 지지틀과; 상기 지지거더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슬래브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슬래브 거푸집을 갖는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을 포함하며, 상기 슬래브 거푸집이 장선에 합판을 지지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 거푸집 지지틀에서 보 거푸집을 지지하는 장선과 상기 지지거더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장치는, 판으로 제작되어 지지거더에 결합되는 장선클립과; 상기 장선클립을 장선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선클립의 측단에 H-형강이 적용된 지지거더의 플랜지 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장선클립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를 장선과 체결하기 위한 나사못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선클립에서 끼움홈 반대쪽으로 위치되게 반대쪽 측단에는 지지부가 측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장선이 올려져 지지될 수 있도록 측방으로 꺾이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선클립에서 끼움홈 상단에는 지지거더의 플랜지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부가 측방으로 꺾이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에서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하는 장선과, 상기 장선을 지지하는 멍에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장치는, 판으로 제작되어 멍에에 결합되는 장선클립과; 상기 장선클립을 장선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선클립의 측단에 H-형강이 적용된 멍에의 플랜지 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장선클립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를 장선과 체결하기 위한 나사못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선클립에서 끼움홈 반대쪽으로 위치되게 반대쪽 측단에는 지지부가 측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장선이 올려져 지지될 수 있도록 측방으로 꺾이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선클립에서 끼움홈 상단에는 멍에의 플랜지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부가 측방으로 꺾이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a) 흙막이벽을 시공하고 흙막이벽의 안쪽 지중에 골조용 기둥을 시공하는 단계와; (b) 굴토를 진행한 뒤 상층의 시공 높이에 맞추어 각 골조용 기둥에 브라켓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와; (c) 상기 브라켓 장치에 지지거더를 지지시켜 설치한 뒤 지지거더에 지지되도록 보 거푸집 지지틀과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을 설치하는 단계와; (d) 상기 보 거푸집 지지틀과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보 및 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와; (e) 상기 (b) ~ (d) 단계를 하층으로 가면서 반복 시행하여 각 층의 보 및 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층의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에서 슬래브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슬래브 거푸집은 장선에 합판을 지지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방법이 개시된다.
여기서, 상층의 보 및 슬래브의 시공이 끝난 뒤 브라켓 장치와 지지거더, 보 거푸집 지지틀 및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을 하강시켜 하층의 시공 높이에 맞게 재설치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하층의 보 및 슬래브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 거푸집 지지틀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지지거더 위에 장선을 지지시킨 뒤 지지거더와 장선을 결합장치로 결합하여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장선 위에 보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보 거푸집을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지지거더 위에 멍에를 지지시켜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멍에 위에 장선들을 지지시킨 뒤 멍에와 장선을 결합장치로 결합하여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장선에 슬래브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합판을 지지시켜 슬래브 거푸집을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 의하면, 지하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에 고가의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대신 상대적으로 저가이면서 재사용이 가능한 합판과 장선, 멍에 등을 사용하므로 종래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더욱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장선을 지지거더 및 멍에에 고정함에 있어서 용접방식이 아닌 탈부착이 용이한 결합장치를 사용하므로 고정 및 해체 작업이 수월하고, 신속한 고정 및 해체가 가능하므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용접 작업시에는 장선(각관)들의 손상이 많아지므로 장선의 회수율과 재사용률이 낮아질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공사 비용이 상승하게 되면서 비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결합장치의 구성에 있어서도 얇은 철판과 나사못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므로 결합 및 해체가 수월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용접에 비해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적으로 많은 이점이 있다.
더불어 얇은 두께의 장선(각관)에 용접을 가할 경우 천공이나 용접 불량 등으로 인해 고정이 불확실해지는 반면, 상기의 결합장치를 사용할 경우 보다 확실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의 설치 상태 및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의 설치 상태 및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의 설치 상태 및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또 다른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서 결합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결합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서 결합장치의 장선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서 브라켓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 의해 시공된 보 구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 의해 시공된 슬래브 구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의 설치 상태 및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의 설치 상태 및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또 다른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서 결합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결합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서 결합장치의 장선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서 브라켓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 의해 시공된 보 구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 의해 시공된 슬래브 구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의 설치 상태 및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부호 G는 보를, 도면부호 S는 슬래브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의 설치 상태 및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의 설치 상태 및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또 다른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서 결합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결합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서 결합장치의 장선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서 브라켓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 의해 시공된 보 구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 의해 시공된 슬래브 구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은, 지중에 선 시공된 골조용 기둥(10), 예컨대 H-형강 기둥(10)에 설치되는 브라켓 장치(100)와, 상기 브라켓 장치(10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지지거더(200)와, 상기 지지거더(20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거푸집 지지틀(300,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라켓 장치(100)는 흙막이벽 시공 후 그 안쪽 지중에 시공된 각 골조용 기둥(10)에 설치되는 것으로, 거푸집 지지틀(300,400)을 해당 층의 시공 높이에 맞게 지지시키기 위한 구성부이다.
골조용 기둥(10)의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은 H-형강 기둥이 설치된다고 할 때, 지하구조물 시공 부지의 정지 작업 및 지중 흙막이벽 시공을 완료한 뒤, 지중에 소정 간격의 각 기둥 위치마다 수직 천공을 시행하고, 이어 각 천공된 지중 위치에 H-형강 기둥(10)을 삽입하여 고정 설치한 다음, 지상 1층의 보 및 슬래브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1단 굴토 작업 후, 각 H-형강 기둥(10)의 노출 부위에 보 및 슬래브의 시공 높이로 브라켓 장치(100)를 설치한다.
이때, 브라켓 장치(100)는 각 골조용 기둥(10), 즉 각 H-형강 기둥(10)에서 보(G) 및 슬래브(S)의 시공 높이에 맞게 지지거더(200) 및 거푸집 지지틀(300,400)을 지지할 수 있는 높이로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브라켓 장치(100)는 BRD 공법에 사용되는 모든 형태의 브라켓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H-형강 기둥(10)에 쉽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이동 조립식의 브라켓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나, 지지거더(200)를 직접 지지시킬 수 있으면서 H-형강 기둥(10)에 고정될 수 있는 브라켓 형태라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H-형강 기둥(10)에 용접 또는 볼팅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브라켓이 사용될 수 있으며, H-형강 기둥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브라켓이라면 해체시 절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반면, 볼팅 등의 방법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이동 조립식의 브라켓 장치는 지상 1층 또는 상층의 시공 후 쉽게 해체하여 체인 블록 및 윈치 등을 이용해 하강 작업을 할 수 있는바, 현수 하강 후 하층 시공 높이에 맞추어 해당 H-형강 기둥에 재설치한 뒤 하층 시공에 사용하게 되며, 각 층 높이로 이동 및 조립, 해체가 용이하여 각 층마다 반복 설치 및 사용함에 있어서 보다 유리한 측면이 있고, 시공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동 조립식의 브라켓 장치를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브라켓 장치의 바람직한 일례를 도 9에 도시하였다.
도 9에 도시된 브라켓 장치(100)는 골조용 기둥(10)으로 시공된 H-형강 기둥(10)에 쉽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브라켓 본체(111)가 H-빔(beam) 및 'L'자 단면 부재인 앵글(angle)부재를 조립하여 구성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브라켓 본체(111)를 H-형강 기둥(10)에 고정하여 지지시키기 위한 브라켓 고정수단(130) 역시 스톱 플레이트(131)와 커버 플레이트(132)로 구성되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브라켓 본체(111)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이는 H-빔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 가공한 빔 부재(113) 2개를 나란히 평행 배치한 뒤 상기 두 빔 부재(이하, '상부 빔 부재'라 함)(113)를 앵글부재(114)로 연결하여 상호 일체 고정한 빔 조립체(112)와, 역시 H-빔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 가공한 뒤 상부 빔 부재(113)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배치하여 볼팅 조립한 나란한 2개의 받침보(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앵글부재(114)는 평행한 두 상부 빔 부재(113)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서, 두 상부 빔 부재(113)를 일체화시키기 위한 부재이며, 평행한 두 상부 빔 부재(113)의 양 단부쪽에서 상, 하 플랜지의 내측으로 각각 용접 설치된 보강 플레이트(116a)에 각 앵글부재(114)의 양 단부가 볼팅되어서 조립된다.
특히, 평행한 두 상부 빔 부재(113)의 각 단부쪽에서 두 상부 빔 부재(113)의 양측 보강 플레이트(116a) 사이에 두 개의 앵글부재(114)를 'X'자 형태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여 설치하며, 두 개의 앵글부재(114)가 교차하여 만나는 위치에도 두 앵글부재 사이를 볼팅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앵글부재(114)가 볼팅되는 양 단부쪽의 보강 플레이트(116a) 외에, 각 상부 빔 부재(113)의 중간 위치에도 별도의 보강 플레이트(116b)를 추가로 용접 설치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중간 위치에 좌우 양쪽으로 2개의 보강 플레이트(116b)가 추가로 설치됨을 볼 수 있으며, 나란한 두 받침보(115)에도 각 받침보(115)의 상, 하 플랜지 내측으로 보강 플레이트(117)가 설치되고 있다.
다음으로, 브라켓 고정수단에 대하여 설명하면, H-형강 기둥(10)의 양측 플랜지 바깥면에 각각 스톱 플레이트(131)와 커버 플레이트(132)를 차례로 밀착되도록 포개어 겹쳐 놓은 뒤, H-형강 기둥(10)의 플랜지, 스톱 플레이트(131), 커버 플레이트(132)에 다수개의 볼트를 관통 체결하여, 플랜지 바깥면에 내측의 스톱 플레이트(131)와 외측의 커버 플레이트(132)를 함께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H-형강 기둥(10)의 양측 플랜지 바깥면에 스톱 플레이트(131)가 고정 설치되고 나면, 양측 플랜지 바깥면의 스톱 플레이트(131)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H-형강 기둥(10)의 플랜지 양 측방으로 돌출된 스톱 플레이트(131)의 양 날개부 위에 브라켓 본체(111)가 얹혀져 지지되게 된다.
보다 명확히는, 스톱 플레이트(131)의 양 날개부 위에 브라켓 본체(111)의 받침보(115)가 횡방향으로 얹혀져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 본체(111)를 구성하는 상부 빔 부재(113)의 플랜지 위에는 H-형강 기둥(10)을 중심으로 좌우 양쪽에 각각 횡방향으로 길게 고정용 앵글부재(118)가 볼팅되어 설치되고, 고정용 앵글부재(118)와 H-형강 기둥(10) 사이에는 필러(119)가 삽입 개재된다.
고정용 앵글부재(118)와 필러(119)는 브라켓 본체(111)가 스톱 플레이트(131) 위에서 H-형강 기둥(10)을 중심으로 측방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브라켓 본체(111)의 위치를 잡아주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브라켓 장치(100) 위에 지지거더(200)가 설치되는데, 이웃한 H-형강 기둥(10)에 설치된 두 브라켓 장치(100)에 각 지지거더(200)의 양 단부를 지지시키는 방식으로 설치된다(도 12 참조).
이때, 시공될 보(G)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거더(2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거더(200)로는 H-형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지지거더(200) 위에는 거푸집 지지틀(300,400)을 설치하고, 이 거푸집 지지틀(300,400)에 철근을 배근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구조물의 보(G) 및 슬래브(S)를 시공하게 된다.
도 5는 상기한 브라켓 장치(100)와 더불어 지지거더(200), 지하구조물의 보(G) 및 슬래브(S) 구축용 구조체인 거푸집 지지틀(300,400)을 설치하여 동바리 없이 무지보 시공을 가능하게 한 새로운 BRD(Bracket support R/C Downward)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보(G) 및 슬래브(S)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지지틀(300,400)을 지지거더(200) 위에 지지시켜 설치한 뒤 사용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BRD 공법은 브라켓 장치(100)와 거푸집 지지틀(300,400)을 사용하되, 상층의 보(G) 및 슬래브(S)의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 거푸집 지지틀(300,400)을 현수 하강하여 하층의 시공시에 재사용함에 따라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킨 공법으로서, 거푸집 지지틀(300,400)에서 장스팬 무지보 시스템으로 이용하기 위해 각재가 아닌 강재를 사용하고, 좁은 간격으로 설치되는 장선(310,420)으로는 범용성이 있는 각관을 사용하며, 멍에(410)로는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H-형강을 사용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BRD 공법에서는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로서 가격이 고가인 기존의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것 대신에 합판(슬래브 거푸집이 됨)(430)과 장선(420), 멍에(410) 등으로 구성되는 거푸집 지지틀(400)을 구성하여 사용한다.
이하, 거푸집 지지틀의 구성에 대해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하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틀은 보(G)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시스템, 즉 보 거푸집 지지틀(300)과, 슬래브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시스템, 즉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보 거푸집 지지틀(300)은 지지거더(200) 위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장선(310)과, 상기 장선(310)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보 거푸집(320)과, 상기 지지거더(200)와 장선(310)을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결합장치(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 거푸집(320)은 합판을 장선(310)에 지지되도록 각각 수평 및 수직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하판(321)과 측판(3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장선(310)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관이 사용되며, 장선(310)을 지지거더(200) 위에 그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하여 설치하는데, 소정 간격, 예컨대 시공될 보(G)의 길이방향을 따라 300~400 mm의 좁은 간격으로 복수개의 장선(310)들을 배열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때, 각 장선(310)의 위치를 보(G)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하여 지지거더(200) 위에 고정시켜야 하는데, 장선(310)으로 각관을 사용할 경우 각관의 두께(예를 들면, 2.3 mm)가 매우 얇은 관계로, 지지거더(200) 윗면에 직접 용접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적용하면 용접시 각관에 구멍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해체 작업시 용접된 각관의 손상이 발생하므로 손상되지 않게 해체하는 것도 쉽지 않으며, 이는 공기 지연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좁은 간격으로 설치되는 장선(310)(각관)과 지지거더(200)(H-형강)를 쉽게 결합 및 해체할 수 있는 결합장치(330)가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얇은 철판과 체결나사못(332)을 이용한 결합장치(330)가 적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결합장치(330)는 H-형강이 적용된 지지거더(200)의 플랜지 부분에 결합되는 장선클립(331)과, 상기 장선클립(331)을 장선(31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 구성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선클립(331)은 얇은 철판으로 제작되는데, 측단 일측에는 지지거더(200)(H-형강)의 플랜지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333)이 형성되고, 상측의 결합부(334)에는 장선(310)(각관)의 측면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335)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체결수단은 나사못(332) 등이 될 수 있는데, 장선클립(331)의 체결홀(335)이 장선(310)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홀(311)과 일치되도록 하여 장선클립(331) 상부인 결합부(334)를 장선(310)의 측면에 접합시킨 뒤, 장선클립(331)의 체결홀(335)과 장선(310)의 체결홀(311)에 나사못(332)을 삽입하여 양측을 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장선(310)과 장선클립(331)의 결합부(334)가 나사못(332)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결합부(334) 하측에 형성된 장선클립(331)의 끼움홈(333)에는 지지거더(200)의 플랜지 부분이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지지거더(200)와 장선(310)이 장선클립(331)을 매개로 하여 일체로 결합된 상태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장선클립(331)에서 끼움홈(333) 반대쪽으로 위치되게 반대쪽 측단의 하부에는 지지부(336)가 측방 연장되게 형성하는바, 지지부(336)는 장선(310)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즉 장선(310)이 올려져 지지될 수 있도록 장선클립(331)에서 측방으로 꺾이어 형성된다.
또한 지지거더(200)의 플랜지가 끼워지는 끼움홈(333)의 상단에는 지지거더(200)의 플랜지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부(337)가 측방으로 꺾이어 형성된다.
끼움홈(333)에 지지거더(200)의 플랜지가 끼워진 상태로 안착부(337)는 지지거더(200)의 플랜지 상면에 안착 지지되는데, 이로써 장선클립(331) 전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0과 도 11은 각각 보(G) 구간과 슬래브(S) 구간에서 결합장치(330,440)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은 지지거더(200) 위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멍에(410)와, 상기 멍에(410) 위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장선(420)과, 상기 장선(420)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슬래브 거푸집(430)과, 상기 멍에(410)와 장선(420)을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결합장치(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슬래브 거푸집(430)은 합판을 시공될 슬래브(S) 영역의 장선(420) 위에 설치하여 구성된다.
또한 멍에(410)는 슬래브(S) 영역에 지지거더(200)의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설치하되, 이웃 설치된 두 기둥(10)에 지지된 양측 지지거더(200)에 멍에(410)의 양 단부를 지지시키는 방식으로 설치한다.
상기 멍에(410)로는 H-형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멍에(410) 위에 그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장선(420)을 설치하는바,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의 장선(420) 역시 소정 간격, 예컨대 300 ~ 400 mm의 좁은 간격으로 복수개를 배열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때, 각 장선(420)들을 슬래브(S) 영역에서 이격되게 배열하여 각 위치에서 멍에(410)에 고정시켜야 하는데, 장선(420)으로 각관을 사용할 경우 이 역시 용접보다는 전술한 바의 결합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1 참조).
즉,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에 사용되는 결합장치(440)는 전술한 보 거푸집 지지틀(300)의 결합장치(33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멍에(410)가 지지거더(200)와 마찬가지로 H-형강이면서, 장선(420) 역시 보 거푸집 지지틀(300)에서와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각관이 사용되므로,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의 결합장치(440)가 보 거푸집 지지틀(300)의 결합장치(33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결합장치(440)의 구성에 대해서는 보 거푸집 지지틀(300)의 결합장치(330)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서는 지하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에 고가의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대신 상대적으로 저가이면서 재사용이 가능한 합판과 장선(420), 멍에(410) 등을 사용하므로 종래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더욱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장선(310,420)을 지지거더(200) 및 멍에(410)에 고정함에 있어서 용접방식이 아닌 탈부착이 용이한 결합장치(330,440)를 사용하므로 고정 및 해체 작업이 수월하고, 신속한 고정 및 해체가 가능하므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용접 작업시에는 장선(310,420)(각관)들의 손상이 많아지므로 장선의 회수율과 재사용률이 낮아질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공사 비용이 상승하게 되면서 비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결합장치(330,440)의 구성에 있어서도 얇은 철판과 나사못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므로 결합 및 해체가 수월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용접에 비해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적으로 많은 이점이 있다.
더불어 얇은 두께의 장선(310,420)(각관)에 용접을 가할 경우 천공이나 용접 불량 등으로 인해 고정이 불확실해지는 반면, 상기의 결합장치(330,440)를 사용할 경우 보다 확실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을 적용하여 지하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 내지 19는 시공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시공 부지 정지 작업 후 흙막이벽을 시공하고, 흙막이벽의 안쪽 지중에 골조용 기둥(10)을 수직으로 시공한다.
골조용 기둥(10)은 지중의 각 기둥 위치를 천공한 후 천공된 위치에 H-형강 기둥을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시공될 수 있다.
도 12에는 골조용 기둥(10)으로 시공된 H-형강 기둥을 도시하였는데, BRD 공법에서 흙막이벽 및 골조용 기둥(10)의 시공 상태는 잘 알려진 내용이므로 지중에 설치되는 흙막이벽 등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어 지상 1층을 시공하기 위해 1차 굴토를 진행한 뒤 지중에서 노출된 각 골조용 기둥(10)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 장치(100)의 스톱 플레이트(131)를 설치하고, 이어 나머지 구성부를 차례로 설치하여 브라켓 장치(100)의 설치를 완료한다.
다음으로, 브라켓 장치(100)의 상부 빔 부재(113) 위로 지지거더(200)를 지지시켜 설치한 후,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거더(200) 위에 그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멍에(410)를 소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지지시킨다.
다음으로, 현수용 받침보(500)를 멍에(410) 하측으로 그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고정시켜 설치하며, 이때 각 현수용 받침보(500)는 멍에(410)와 간단히 용접하여 고정시키거나 별도의 결합장치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 영역에서는 지지거더(200) 위에 그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장선(310)들을 배열하여 지지시키고, 슬래브 영역에서는 멍에(410) 위에 그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장선(420)들을 배열하여 지지시킨다.
이때, 각 장선(310)과 지지거더(200), 그리고 각 장선(420)과 멍에(410)는 전술한 결합장치(330,440)를 사용하여 장선들이 각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서로 고정시킨다.
이후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 영역과 슬래브 영역에 모두 합판을 설치하여 거푸집(320,430)을 포함하는 보 거푸집 지지틀(300) 및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을 완성하게 된다.
이어 각 거푸집 지지틀(300,400)의 거푸집(320,430) 내에 철근(보 및 슬래브 내에 매립되는 철근)(도시하지 않음)을 배근하고, 또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H-형강 기둥(골조용 기둥)(10)과 시공될 보의 일체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기둥(10)에 고정 플레이트(511) 및 결착부재(512) 등을 설치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H-형강 기둥(10)에 설치된 결착부재(512)로서 스터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스터드는 보의 영역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어 기둥과 보를 결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슬래브(S)에 현수용 통공, 즉 현수용 와이어(도 2 및 도 17에서 도면부호 531임)가 삽입, 관통되는 통공을 형성하기 위해 슬래브 거푸집(430)에는 현수용 받침보(500)의 와이어 연결부(도 2에서 도면부호 501임) 대응위치마다 통공관(521)을 세워 설치한다.
상기 통공관(521)은 추후 슬래브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그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태에서 슬래브(S)에 현수용 통공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거푸집 지지틀(300,400)의 거푸집(도 15에서 도면부호 320,430임) 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여 지상 1층의 보(G) 및 슬래브(S)를 시공하고, 이렇게 지상 1층의 시공이 완료되면 그 하측으로 하층(지하 1층)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추가 굴토를 진행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푸집 지지틀을 현수 하강시키기 위한 와이어(531)를 포함하는 하강장치를 설치한다.
이때, 와이어(531)를 슬래브(S)의 통공을 통해 현수용 받침보(500)의 와이어 연결부(도 2에서 도면부호 501임)에 연결하고, 브라켓 장치(100)를 현수 하강하기 위한 하강장치로서 브라켓 장치(100)에 체인(541)을 연결하여 체인 블록 등을 설치한다.
이후 각 브라켓 장치(100)를 골조용 기둥(H-형강 기둥)(10)에서 해체한 뒤, 체인 블록 및 윈치 등을 이용하여 하층(지하 1층)의 시공 높이로 현수 하강하고, 이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층의 시공 높이에서 골조용 기둥(10)에 재조립하여 설치한다.
이와 더불어 보 거푸집 지지틀(300)을 하강하여 하층의 브라켓 장치(100)에 지지시켜 설치한 뒤, 유압 승강기 및 와이어(531) 등을 이용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을 현수 하강하여 상층 시공시와 동일하게 하층 위치에 설치한다.
이후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하층, 즉 지하 1층의 보 및 슬래브 시공을 진행하고, 이어 다시 그 하층, 즉 지하 2층의 시공을 위해 굴토 및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지하 2층의 보 및 슬래브를 시공한다.
이와 같이 지하 각 층 시공시마다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보와 슬래브를 시공하며, 마지막으로 최종 굴토, 브라켓 장치(100) 및 거푸집 지지틀(300,400) 해체/반출, 기초 콘크리트 타설 및 미시공분(벽체, 코어 등) 콘크리트 타설 등의 과정을 거쳐 지하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골조용 기둥(H-형강 기둥) 100 : 브라켓 장치
200 : 지지거더 300 : 보 거푸집 지지틀
310 : 장선 320 : 보 거푸집
330 : 결합장치 331 : 장선클립
332 : 나사못 333 : 끼움홈
334 : 결합부 335 : 체결홀
336 : 지지부 337 : 안착부
400 :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 410 : 멍에
420 : 장선 430 : 슬래브 거푸집
440 : 결합장치 G : 보
S : 슬래브
200 : 지지거더 300 : 보 거푸집 지지틀
310 : 장선 320 : 보 거푸집
330 : 결합장치 331 : 장선클립
332 : 나사못 333 : 끼움홈
334 : 결합부 335 : 체결홀
336 : 지지부 337 : 안착부
400 :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 410 : 멍에
420 : 장선 430 : 슬래브 거푸집
440 : 결합장치 G : 보
S : 슬래브
Claims (21)
- 지중에 시공된 골조용 기둥(10)에 각 층의 시공 높이에 맞추어 설치되는 브라켓 장치(100)와;
상기 브라켓 장치(10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지지거더(200)와;
상기 지지거더(20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보(G)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보 거푸집(320)을 갖는 보 거푸집 지지틀(300)과;
상기 지지거더(20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슬래브(S)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슬래브 거푸집(430)을 갖는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
을 포함하며, 상기 슬래브 거푸집(430)이 장선(420)에 합판을 지지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 거푸집 지지틀(300)은,
상기 지지거더(200) 위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장선(310)과;
상기 장선(310) 위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보(G)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보 거푸집(320)과;
상기 지지거더(200)와 장선(310)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장치(3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은,
상기 지지거더(200) 위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멍에(410)와;
상기 멍에(410) 위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장선(420)과;
상기 장선(42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슬래브 거푸집(430)과;
상기 멍에(410)와 장선(420)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장치(4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멍에(410)는 복수개가 슬래브(S) 영역에서 지지거더(200)의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배열되어 설치되되, 이웃 시공된 두 골조용 기둥(10)에 지지된 양측 지지거더(200)에 양 단부가 지지되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멍에(410)로는 H-형강이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선(420)은 복수개가 슬래브(S) 영역에서 멍에(410)의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배열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장선(310,420)으로는 각관이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 거푸집 지지틀(300)에서 보 거푸집(320)을 지지하는 장선(310)과 상기 지지거더(200)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장치(330)는,
판으로 제작되어 지지거더(200)에 결합되는 장선클립(331)과;
상기 장선클립(331)을 장선(31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장선클립(331)의 측단에 H-형강이 적용된 지지거더(200)의 플랜지 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333)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장선클립(331)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334)를 장선(310)과 체결하기 위한 나사못(3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장선클립(331)에서 끼움홈(333) 반대쪽으로 위치되게 반대쪽 측단에는 지지부(336)가 측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36)는 장선(310)이 올려져 지지될 수 있도록 측방으로 꺾이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장선클립(331)에서 끼움홈(333) 상단에는 지지거더(200)의 플랜지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부(337)가 측방으로 꺾이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에서 슬래브 거푸집(430)을 지지하는 장선(420)과, 상기 장선(420)을 지지하는 멍에(410)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장치(440)는,
판으로 제작되어 멍에(410)에 결합되는 장선클립(331)과;
상기 장선클립(331)을 장선(42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장선클립(331)의 측단에 H-형강이 적용된 멍에(410)의 플랜지 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333)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장선클립(331)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334)를 장선(420)과 체결하기 위한 나사못(3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장선클립(331)에서 끼움홈(333) 반대쪽으로 위치되게 반대쪽 측단에는 지지부(336)가 측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36)는 장선(420)이 올려져 지지될 수 있도록 측방으로 꺾이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장선클립(331)에서 끼움홈(333) 상단에는 멍에(410)의 플랜지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부(337)가 측방으로 꺾이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a) 흙막이벽을 시공하고 흙막이벽의 안쪽 지중에 골조용 기둥(10)을 시공하는 단계와;
(b) 굴토를 진행한 뒤 상층의 시공 높이에 맞추어 각 골조용 기둥(10)에 브라켓 장치(100)를 설치하는 단계와;
(c) 상기 브라켓 장치(100)에 지지거더(200)를 지지시켜 설치한 뒤 지지거더(200)에 지지되도록 보 거푸집 지지틀(300)과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을 설치하는 단계와;
(d) 상기 보 거푸집 지지틀(300)과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보(G) 및 슬래브(S)를 시공하는 단계와;
(e) 상기 (b) ~ (d) 단계를 하층으로 가면서 반복 시행하여 각 층의 보(G) 및 슬래브(S)를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각 층의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에서 슬래브(S)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슬래브 거푸집(430)은 장선(420)에 합판을 지지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방법.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층의 보(G) 및 슬래브(S)의 시공이 끝난 뒤 브라켓 장치(100)와 지지거더(200), 보 거푸집 지지틀(300) 및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을 하강시켜 하층의 시공 높이에 맞게 재설치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하층의 보 및 슬래브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방법.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보 거푸집 지지틀(300)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지지거더(200) 위에 장선(310)을 지지시킨 뒤 지지거더(200)와 장선(310)을 결합장치(330)로 결합하여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장선(310) 위에 보(G)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보 거푸집(320)을 설치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방법.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지지거더(200) 위에 멍에(410)를 지지시켜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멍에(410) 위에 장선(420)들을 지지시킨 뒤 멍에(410)와 장선(420)을 결합장치(440)로 결합하여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장선(420)에 슬래브(S)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합판을 지지시켜 슬래브 거푸집(430)을 구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방법.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멍에(410)는 슬래브(S) 영역에서 지지거더(200)의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설치하되, 이웃 시공된 두 골조용 기둥(10)에 지지된 양측 지지거더(200)에 양 단부를 지지시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방법.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장선(420)은 복수개가 슬래브(S) 영역에서 멍에(410)의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배열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5779A KR20120096605A (ko) | 2011-02-23 | 2011-02-23 |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5779A KR20120096605A (ko) | 2011-02-23 | 2011-02-23 |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6605A true KR20120096605A (ko) | 2012-08-31 |
Family
ID=4688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5779A KR20120096605A (ko) | 2011-02-23 | 2011-02-23 |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96605A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7785B1 (ko) * | 2012-04-23 | 2013-11-11 | 대림산업 주식회사 | 건물의 코어부 역타시공방법 |
KR101707376B1 (ko) * | 2016-05-20 | 2017-02-16 | (주)대우건설 |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
KR20190066754A (ko) * | 2017-12-06 | 2019-06-14 | 이충규 | 기둥단위 지지구조를 가진 역타공법용 거푸집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
KR102184568B1 (ko) * | 2019-06-10 | 2020-11-30 | 현대건설(주) | 탑다운 공법 시행용 브래킷 설치 장치 |
KR20210088852A (ko) * | 2020-01-07 | 2021-07-15 | (주)한국건설공법 | 브라켓을 이용한 더블 거더 역타공법 |
KR20210088850A (ko) * | 2020-01-07 | 2021-07-15 | (주)한국건설공법 |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
KR20220112000A (ko) | 2021-02-03 | 2022-08-10 | (주)한국건설공법 | 철골 하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향 골조타설 방법 |
KR20220153333A (ko) * | 2021-05-11 | 2022-11-18 | 주식회사 씨에스콘텍 |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
KR102484762B1 (ko) * | 2022-04-22 | 2023-02-06 | (주)에스앤피이엔지 | 지하구조물의 개량 다운업장치 |
KR102504211B1 (ko) * | 2022-04-22 | 2023-02-28 | (주)에스앤피이엔지 | 지하구조물의 개량 다운업 시공방법 |
-
2011
- 2011-02-23 KR KR1020110015779A patent/KR2012009660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7785B1 (ko) * | 2012-04-23 | 2013-11-11 | 대림산업 주식회사 | 건물의 코어부 역타시공방법 |
KR101707376B1 (ko) * | 2016-05-20 | 2017-02-16 | (주)대우건설 |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
KR20190066754A (ko) * | 2017-12-06 | 2019-06-14 | 이충규 | 기둥단위 지지구조를 가진 역타공법용 거푸집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
KR102184568B1 (ko) * | 2019-06-10 | 2020-11-30 | 현대건설(주) | 탑다운 공법 시행용 브래킷 설치 장치 |
KR20210088852A (ko) * | 2020-01-07 | 2021-07-15 | (주)한국건설공법 | 브라켓을 이용한 더블 거더 역타공법 |
KR20210088850A (ko) * | 2020-01-07 | 2021-07-15 | (주)한국건설공법 |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
KR20220112000A (ko) | 2021-02-03 | 2022-08-10 | (주)한국건설공법 | 철골 하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향 골조타설 방법 |
KR20220153333A (ko) * | 2021-05-11 | 2022-11-18 | 주식회사 씨에스콘텍 |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
KR102484762B1 (ko) * | 2022-04-22 | 2023-02-06 | (주)에스앤피이엔지 | 지하구조물의 개량 다운업장치 |
KR102504211B1 (ko) * | 2022-04-22 | 2023-02-28 | (주)에스앤피이엔지 | 지하구조물의 개량 다운업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96605A (ko) |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 |
KR100694503B1 (ko) | 지하층의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 시공을 위한 하향 골조타설 시스템 및 방법 | |
KR200417438Y1 (ko) |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 |
KR101687495B1 (ko) |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 |
KR20090094971A (ko) | 지하구조물 역타설 시공방법 | |
JP5405337B2 (ja) | 鉄道rcラーメン構造高架橋の構築方法 | |
KR101107567B1 (ko) | Rc 구조물 역타 공법을 위한 보구조체와 수직 강재부재의 접합장치, 전용지지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JP4060323B2 (ja) | ブラケット支持タイプの下向骨組打設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下向骨組打設方法 | |
KR101600845B1 (ko) | 건축용 수평구조프레임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건축물의 시공방법 | |
KR100694493B1 (ko) | 브라켓 지지되는 가설구조체를 작업대로 활용할 수 있는역타설 공법 | |
KR101242395B1 (ko) | 합성형 프리스트레스트 아치 라멘교 시공방법 | |
KR102286225B1 (ko) | 무지주 탑다운 지하구조물 pc복합화 시공공법 | |
KR200381303Y1 (ko) | 흙막이벽과 슬래브간의 연결부를 위한 거푸집 구조체 | |
KR20100100193A (ko) | Rc역타공법에서의 rc보 시공용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rc역타공법 | |
KR100605514B1 (ko) | 브라켓 지지 타입의 하향 골조 타설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하향 골조 타설 방법 | |
KR101521946B1 (ko) |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src)의 확장된 주두부 구조 | |
KR20060096706A (ko) | 데크 현수식 지하 구조물 역타설공법 | |
KR200398231Y1 (ko) |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일방향 지지 브라켓 | |
KR200385376Y1 (ko) |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 |
KR100640244B1 (ko) | 테두리보가 생략된 이렉션 파일을 이용한 지하층의슬래브-외벽 동시 타설 구축방법 | |
KR101485563B1 (ko) | 건축용 수평구조프레임 구조 | |
KR200390421Y1 (ko) | 데크 현수식 역타설 지하 구조물 | |
KR100757710B1 (ko) | 역타설 시공되는 지하구조물의 다월 철근 시공방법 | |
JP2018178588A (ja) | 橋梁の施工方法 | |
JP5872332B2 (ja) | 建物の耐震補強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