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605A -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96605A KR20120096605A KR1020110015779A KR20110015779A KR20120096605A KR 20120096605 A KR20120096605 A KR 20120096605A KR 1020110015779 A KR1020110015779 A KR 1020110015779A KR 20110015779 A KR20110015779 A KR 20110015779A KR 20120096605 A KR20120096605 A KR 201200966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oist
- support
- slab
- formwork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2 fr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의 설치 상태 및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의 설치 상태 및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또 다른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서 결합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결합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서 결합장치의 장선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서 브라켓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 의해 시공된 보 구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시스템에 의해 시공된 슬래브 구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시공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200 : 지지거더 300 : 보 거푸집 지지틀
310 : 장선 320 : 보 거푸집
330 : 결합장치 331 : 장선클립
332 : 나사못 333 : 끼움홈
334 : 결합부 335 : 체결홀
336 : 지지부 337 : 안착부
400 :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 410 : 멍에
420 : 장선 430 : 슬래브 거푸집
440 : 결합장치 G : 보
S : 슬래브
Claims (21)
- 지중에 시공된 골조용 기둥(10)에 각 층의 시공 높이에 맞추어 설치되는 브라켓 장치(100)와;
상기 브라켓 장치(10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지지거더(200)와;
상기 지지거더(20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보(G)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보 거푸집(320)을 갖는 보 거푸집 지지틀(300)과;
상기 지지거더(20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슬래브(S)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슬래브 거푸집(430)을 갖는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
을 포함하며, 상기 슬래브 거푸집(430)이 장선(420)에 합판을 지지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 거푸집 지지틀(300)은,
상기 지지거더(200) 위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장선(310)과;
상기 장선(310) 위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보(G)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보 거푸집(320)과;
상기 지지거더(200)와 장선(310)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장치(3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은,
상기 지지거더(200) 위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멍에(410)와;
상기 멍에(410) 위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장선(420)과;
상기 장선(42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슬래브 거푸집(430)과;
상기 멍에(410)와 장선(420)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장치(4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멍에(410)는 복수개가 슬래브(S) 영역에서 지지거더(200)의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배열되어 설치되되, 이웃 시공된 두 골조용 기둥(10)에 지지된 양측 지지거더(200)에 양 단부가 지지되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멍에(410)로는 H-형강이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선(420)은 복수개가 슬래브(S) 영역에서 멍에(410)의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배열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장선(310,420)으로는 각관이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 거푸집 지지틀(300)에서 보 거푸집(320)을 지지하는 장선(310)과 상기 지지거더(200)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장치(330)는,
판으로 제작되어 지지거더(200)에 결합되는 장선클립(331)과;
상기 장선클립(331)을 장선(31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장선클립(331)의 측단에 H-형강이 적용된 지지거더(200)의 플랜지 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333)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장선클립(331)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334)를 장선(310)과 체결하기 위한 나사못(3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장선클립(331)에서 끼움홈(333) 반대쪽으로 위치되게 반대쪽 측단에는 지지부(336)가 측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36)는 장선(310)이 올려져 지지될 수 있도록 측방으로 꺾이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장선클립(331)에서 끼움홈(333) 상단에는 지지거더(200)의 플랜지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부(337)가 측방으로 꺾이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에서 슬래브 거푸집(430)을 지지하는 장선(420)과, 상기 장선(420)을 지지하는 멍에(410)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장치(440)는,
판으로 제작되어 멍에(410)에 결합되는 장선클립(331)과;
상기 장선클립(331)을 장선(42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장선클립(331)의 측단에 H-형강이 적용된 멍에(410)의 플랜지 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333)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장선클립(331)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334)를 장선(420)과 체결하기 위한 나사못(3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장선클립(331)에서 끼움홈(333) 반대쪽으로 위치되게 반대쪽 측단에는 지지부(336)가 측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36)는 장선(420)이 올려져 지지될 수 있도록 측방으로 꺾이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장선클립(331)에서 끼움홈(333) 상단에는 멍에(410)의 플랜지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부(337)가 측방으로 꺾이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 (a) 흙막이벽을 시공하고 흙막이벽의 안쪽 지중에 골조용 기둥(10)을 시공하는 단계와;
(b) 굴토를 진행한 뒤 상층의 시공 높이에 맞추어 각 골조용 기둥(10)에 브라켓 장치(100)를 설치하는 단계와;
(c) 상기 브라켓 장치(100)에 지지거더(200)를 지지시켜 설치한 뒤 지지거더(200)에 지지되도록 보 거푸집 지지틀(300)과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을 설치하는 단계와;
(d) 상기 보 거푸집 지지틀(300)과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보(G) 및 슬래브(S)를 시공하는 단계와;
(e) 상기 (b) ~ (d) 단계를 하층으로 가면서 반복 시행하여 각 층의 보(G) 및 슬래브(S)를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각 층의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에서 슬래브(S)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슬래브 거푸집(430)은 장선(420)에 합판을 지지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방법.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층의 보(G) 및 슬래브(S)의 시공이 끝난 뒤 브라켓 장치(100)와 지지거더(200), 보 거푸집 지지틀(300) 및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을 하강시켜 하층의 시공 높이에 맞게 재설치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하층의 보 및 슬래브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방법.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보 거푸집 지지틀(300)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지지거더(200) 위에 장선(310)을 지지시킨 뒤 지지거더(200)와 장선(310)을 결합장치(330)로 결합하여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장선(310) 위에 보(G)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보 거푸집(320)을 설치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방법.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거푸집 지지틀(400)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지지거더(200) 위에 멍에(410)를 지지시켜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멍에(410) 위에 장선(420)들을 지지시킨 뒤 멍에(410)와 장선(420)을 결합장치(440)로 결합하여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장선(420)에 슬래브(S)를 성형 시공하기 위한 합판을 지지시켜 슬래브 거푸집(430)을 구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방법.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멍에(410)는 슬래브(S) 영역에서 지지거더(200)의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설치하되, 이웃 시공된 두 골조용 기둥(10)에 지지된 양측 지지거더(200)에 양 단부를 지지시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방법.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장선(420)은 복수개가 슬래브(S) 영역에서 멍에(410)의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배열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5779A KR20120096605A (ko) | 2011-02-23 | 2011-02-23 |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5779A KR20120096605A (ko) | 2011-02-23 | 2011-02-23 |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6605A true KR20120096605A (ko) | 2012-08-31 |
Family
ID=4688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5779A KR20120096605A (ko) | 2011-02-23 | 2011-02-23 |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96605A (ko)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7785B1 (ko) * | 2012-04-23 | 2013-11-11 | 대림산업 주식회사 | 건물의 코어부 역타시공방법 |
KR101707376B1 (ko) * | 2016-05-20 | 2017-02-16 | (주)대우건설 |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
KR20190066754A (ko) * | 2017-12-06 | 2019-06-14 | 이충규 | 기둥단위 지지구조를 가진 역타공법용 거푸집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
KR102184568B1 (ko) * | 2019-06-10 | 2020-11-30 | 현대건설(주) | 탑다운 공법 시행용 브래킷 설치 장치 |
CN112412009A (zh) * | 2020-11-30 | 2021-02-26 | 中建科工集团有限公司 | 钢结构建筑现浇楼板吊模方法 |
CN112482636A (zh) * | 2020-12-03 | 2021-03-12 | 中铁广州工程局集团深圳工程有限公司 | 一种地下装配式车站现浇梁免支模结构及其施工方法 |
KR20210088852A (ko) * | 2020-01-07 | 2021-07-15 | (주)한국건설공법 | 브라켓을 이용한 더블 거더 역타공법 |
KR20210088850A (ko) * | 2020-01-07 | 2021-07-15 | (주)한국건설공법 |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
KR20220112000A (ko) | 2021-02-03 | 2022-08-10 | (주)한국건설공법 | 철골 하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향 골조타설 방법 |
KR20220153333A (ko) * | 2021-05-11 | 2022-11-18 | 주식회사 씨에스콘텍 |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
KR102484762B1 (ko) * | 2022-04-22 | 2023-02-06 | (주)에스앤피이엔지 | 지하구조물의 개량 다운업장치 |
KR102504211B1 (ko) * | 2022-04-22 | 2023-02-28 | (주)에스앤피이엔지 | 지하구조물의 개량 다운업 시공방법 |
KR20240023364A (ko) * | 2022-08-11 | 2024-02-21 | 주식회사 씨에스콘텍 | 토압 미지지 역타 공법을 위한 바닥 지지 시스템 |
-
2011
- 2011-02-23 KR KR1020110015779A patent/KR2012009660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7785B1 (ko) * | 2012-04-23 | 2013-11-11 | 대림산업 주식회사 | 건물의 코어부 역타시공방법 |
KR101707376B1 (ko) * | 2016-05-20 | 2017-02-16 | (주)대우건설 |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
KR20190066754A (ko) * | 2017-12-06 | 2019-06-14 | 이충규 | 기둥단위 지지구조를 가진 역타공법용 거푸집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
KR102184568B1 (ko) * | 2019-06-10 | 2020-11-30 | 현대건설(주) | 탑다운 공법 시행용 브래킷 설치 장치 |
KR20210088852A (ko) * | 2020-01-07 | 2021-07-15 | (주)한국건설공법 | 브라켓을 이용한 더블 거더 역타공법 |
KR20210088850A (ko) * | 2020-01-07 | 2021-07-15 | (주)한국건설공법 |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
CN112412009A (zh) * | 2020-11-30 | 2021-02-26 | 中建科工集团有限公司 | 钢结构建筑现浇楼板吊模方法 |
CN112482636A (zh) * | 2020-12-03 | 2021-03-12 | 中铁广州工程局集团深圳工程有限公司 | 一种地下装配式车站现浇梁免支模结构及其施工方法 |
KR20220112000A (ko) | 2021-02-03 | 2022-08-10 | (주)한국건설공법 | 철골 하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향 골조타설 방법 |
KR20220153333A (ko) * | 2021-05-11 | 2022-11-18 | 주식회사 씨에스콘텍 |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
KR102484762B1 (ko) * | 2022-04-22 | 2023-02-06 | (주)에스앤피이엔지 | 지하구조물의 개량 다운업장치 |
KR102504211B1 (ko) * | 2022-04-22 | 2023-02-28 | (주)에스앤피이엔지 | 지하구조물의 개량 다운업 시공방법 |
KR20240023364A (ko) * | 2022-08-11 | 2024-02-21 | 주식회사 씨에스콘텍 | 토압 미지지 역타 공법을 위한 바닥 지지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96605A (ko) |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 |
KR20090094971A (ko) | 지하구조물 역타설 시공방법 | |
KR101687495B1 (ko) |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 |
KR200417438Y1 (ko) |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 |
JP5405337B2 (ja) | 鉄道rcラーメン構造高架橋の構築方法 | |
JP6855296B2 (ja) | 建物基礎部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KR101107567B1 (ko) | Rc 구조물 역타 공법을 위한 보구조체와 수직 강재부재의 접합장치, 전용지지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0894650B1 (ko) | 프리플렉션 하중이 도입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 |
KR20200032316A (ko) | 트러스형 지지체를 이용한 탑다운 방식의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 |
KR100694503B1 (ko) | 지하층의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 시공을 위한 하향 골조타설 시스템 및 방법 | |
KR20100100193A (ko) | Rc역타공법에서의 rc보 시공용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rc역타공법 | |
KR101242395B1 (ko) | 합성형 프리스트레스트 아치 라멘교 시공방법 | |
KR102286225B1 (ko) | 무지주 탑다운 지하구조물 pc복합화 시공공법 | |
JP4060323B2 (ja) | ブラケット支持タイプの下向骨組打設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下向骨組打設方法 | |
KR101521946B1 (ko) |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src)의 확장된 주두부 구조 | |
KR100694493B1 (ko) | 브라켓 지지되는 가설구조체를 작업대로 활용할 수 있는역타설 공법 | |
KR100640244B1 (ko) | 테두리보가 생략된 이렉션 파일을 이용한 지하층의슬래브-외벽 동시 타설 구축방법 | |
KR101485563B1 (ko) | 건축용 수평구조프레임 구조 | |
KR200381303Y1 (ko) | 흙막이벽과 슬래브간의 연결부를 위한 거푸집 구조체 | |
KR20210004289A (ko) |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 |
KR200385376Y1 (ko) |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 |
JP5872332B2 (ja) | 建物の耐震補強方法 | |
KR101258330B1 (ko) | 철골 보 가설 지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 |
JP2018178588A (ja) | 橋梁の施工方法 | |
KR200398231Y1 (ko) |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일방향 지지 브라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1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0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