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382A -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 Google Patents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382A
KR20190066382A KR1020170166050A KR20170166050A KR20190066382A KR 20190066382 A KR20190066382 A KR 20190066382A KR 1020170166050 A KR1020170166050 A KR 1020170166050A KR 20170166050 A KR20170166050 A KR 20170166050A KR 20190066382 A KR20190066382 A KR 20190066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fastening
hole
fixing memb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2976B1 (ko
Inventor
김상효
김건수
한원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66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97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구조물(10)을 콘크리트 바닥면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격하여 지지함과 아울러,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바닥면(1)에 설치되고, 상부에 트임부(111)가 형성되고, 측벽에 복수의 결합공(150)이 형성된 바닥고정부재(100); 상단이 상기 상부 구조물(10)의 하부에 결합한 본체부(210)와, 상기 본체부(210)의 하단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절개부(221)와, 상기 절개부(221)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장공(250)이 형성된 복수의 가동부(220)를 구비한 기둥부재(200); 상기 복수의 가동부(220)가 상기 트임부(111)를 통해 상기 바닥고정부재(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150)과 장공(250)에 공통으로 체결된 체결부재(300);를 포함하는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BALANCE ADJUSTABLE SUPPORTING PAD STRUCTURE ON SLAB}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물탱크 등의 중량물을 콘크리트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지하층이나 옥상에는 조립식 물탱크가 설치되는데, 이는 조립식 물탱크의 점검이나 보수 등을 위하여 콘크리트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간격이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물탱크를 지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구조물은 시공이 편리하면서도, 우수한 구조적 안전성이 요구된다.
특히, 물탱크가 대규모인 경우 넓은 바닥면적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구조물이 필요한데, 콘크리트 바닥면은 완벽한 수평구조를 이루지 못하므로, 지지구조물의 설치위치마다 그 지지구조물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맞추어 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 내지 3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8144호(스테인레스 스틸 복합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물탱크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기초 패드(110)의 상부로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바닥 프레임(120)과, 아연도강판으로 이루어진 아연도 바닥패널(130) 및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스테인레스 바닥패널(140)이 적층되게 시공되어 물탱크의 바닥 구조를 이루고, 상부에는 PDF 패널(210)이 구성되어 물탱크의 상판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물탱크의 바닥 구조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져 물탱크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기초 패드(110)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 구성되며, 이 기초 패드(110)의 상부로 바닥프레임(120)이 사각의 프레임 구조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이 바닥 프레임(120)의 내부에는 기초 패드(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구성되는 아연도 바닥패널(130)이 설치되고, 바닥 프레임(120) 및 아연도 바닥패널(130)의 상부에는 평판의 형상을 이루는 스테인레스 바닥패널(140)이 설치되어 물탱크의 바닥 구조를 구성한다.
여기서, 바닥 프레임(120)은 그 다면의 형상이 대략적으로 "ㄷ" 자의 형상을 이루며, 물탱크의 폭 방향 및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위치함으로써, 물탱크의 면적을 구성하여 기초 패드(110)의 상부에 앙카볼트 등을 통해 결합된다.
또한, 바닥 프레임(120)에는 아연도 바닥패널(130)과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 등에 의해 체결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홀(122)이 형성된다.
아울러, 바닥 프레임(120)은 물탱크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직진성을 가지는 프레임 부재(124)와, 이 프레임 부재(124)를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12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연결 브라켓(126)은 프레임 부재(124)의 양측 단부 즉, 프레임 부재(124)의 코너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바닥 프레임(120)의 각 모서리부에 위치하고, 프레임 부재(124)와 볼트,너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102)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진다.
즉, 바닥 프레임(120)은 물탱크의 하부를 이루도록 그 평면의 형상이 사각의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아연도 바닥패널(130)은 바닥 프레임(120)의 내부로 다수 구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된 바닥 프레임(120)들의 사이사이 공간부에 형성되어 기초 패드(110)와 함께 물탱크의 하중을 지지하며, 물탱크의 바닥 구조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 구성된다.
이러한 아연도 바닥패널(130)은 바닥 프레임(120)과 체결이 이루어지거나, 아연도 바닥패널(130) 간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수직하게 형성된 측면 프레임(132) 및 측면 프레임(132)의 상부에 절곡 형성되며, 기초 패드(110)의 사이 공간부에 위치하며, 바닥 프레임(120)의 상단부와 동일한 위치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스테인레스 바닥패널(140)이 안착되는 상부 프레임(13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아연도 바닥패널(130)의 측면 프레임(132)에는 바닥 프레임(120)에 형성된 관통홀(122)과 연통하며,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통홀(136)이 형성되어 바닥 프레임(120)과 체결되도록 구성되거나, 아연도 바닥패널(130) 간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아연도 바닥패널(130)들 끼리 용접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아연도 바닥패널(130)의 상부 프레임(134)은 물탱크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내부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테인레스 바닥패널(140)이 적층 구성되고, 가장자리에 위치한 스테인레스 바닥패널(140)에는 물탱크의 벽면을 이루는 단위패널(10)들이 용접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바닥 프레임(120) 및 아연도 바닥패널(130)은 아연도강판으로 이루어지며, 물탱크 하부 바닥 구조를 기초 패드(110)와 함께 이루며, 물탱크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바닥 프레임(120)과 아연도 바닥패널(130) 사이에는 가스켓이 더 구성됨으로써, 볼트, 너트의 체결력을 강화하는 한편, 각각의 프레임들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스테인레스 바닥패널(140)은 바닥 프레임(120) 및 아연도 바닥패널(130)의 상부에 적층 구성되어 물탱크의 바닥구조에 대한 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가 최소 1.0t 이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스테인레스 바닥패널(140)은 평판의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물탱크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 프레임(120)과의 접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초채널의 시공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물탱크의 시공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스테인레스 바닥패널(140)은 둘레면의 단부가 바닥 프레임(120)과 접합이 이루어지며, 물탱크의 벽면을 이루는 단위패널(10)들이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도 4 내지 15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82082호(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에 관한 것이다.
바닥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하부받침대(10)와 상부받침대(20)가 상호 나사부(10',20')에 의해 나사 치합이 이루어짐으로서 상부받침대(2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결합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부받침대(20)와 하부받침대(10) 각각에는 원통형태의 상부하우징(25)과 하부하우징(15)이 회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어지게 되며, 상부하우징(25)과 하부하우징(15) 각각에는 연결 지지대(30,40)의 연결을 위한 상부고리(26) 및 하부고리(16)가 각각 구성된다.
특히, 하부하우징(15)과 상부하우징(25)의 외벽면에는 상,하부고리(16,26)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레일홈(17,27)이 4방향에 각각 형성되었다.
그리고, 상부받침대(20)에는 핀홀(21)이 관통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핀홀(21)에는 상부하우징(25)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핀(22)이 체결되어지게 된다.
상기 지지핀(22)은 1개를 관통형태로 체결하거나, 4개의 개별피스를 일정 간격으로 체결하여 상부하우징(25)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탱크 받침은 다수개가 상호 연결지지대(30,40)에 연결된 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각 물탱크 받침에 구비된 하부고리(16)와 상부고리(26)에 연결지지대(30,40)를 X 형태로 교차되게 연결하거나, 또는 평행하게 연결하여 설치되고, 또는 다양한 형태로 연결대(30,40)의 연결 설치가 이루어짐으로서 물탱크(1)의 안정적인 받침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설치 과정에서는 바닥의 높이에 따라 각 물탱크 받침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물탱크(1)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하게 되는데, 받침부재의 높이를 조절코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받침대(20)를 돌려주게 되면 하부받침대(10)와 나사치합 작용에 의해 용이하게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설치 과정에서 상,하부고리(16,26)는 각각 레일홈(17,27)을 따라 위치의 승하강 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적절한 높이에서 상,하부고리(16,26)를 돌려서 내부볼트와의 압착력에 의해 조여주어서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연결지지대(30,40)와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물탱크(1) 지지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물탱크 받침은 상,하부 하우징(15,25)이 상,하부받침대(10,20)와 착탈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를 이룸으로서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며, 상부받침대(20)에 끼워진 상부하우징(25)에 연결지지대(30,40)가 연결되어짐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6 내지 19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99111호(물탱크용 하이브리드 기초)에 관한 것이다.
이는 물탱크(WT) 등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초에 관한 것으로, 상하로 천공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측면마다 하부에 높이 방향으로 개구된 높이조절홀(12)이 구비되고, 물탱크(WT)가 설치될 바닥에서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본체(10); 'ㄴ'자 단면의 판 형상으로, 상기 본체(10) 각각의 측면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를 바닥에 지지시키고, 일면에 소정 단면의 볼트구멍(22)이 형성되는 받침판(20); 사각 판 형상의 중앙부(30a)와 상기 중앙부(30a)의 양단부에서 직각으로 결합되는 날개부(30b)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ㄷ'자 단면의 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0) 각각의 측면 상부에 중앙부(30a)가 밀착 결합되는 연결판(30); 상기 받침판(20)의 볼트구멍(22)과 상기 본체(10) 일측의 높이조절홀(12)을 통과하고, 마주보이는 타측에 위치된 높이조절홀(12)과 받침판(20)의 볼트구멍(22)을 관통하여 너트(N)로 고정되는 관통볼트(40); 상기 본체(10) 내부에 충전되는 모르타르부(50); 양단이 상기 연결판(30)의 날개부(30b) 내측에 고정되어 인접한 본체(1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관통볼트(40)가 상기 본체(10)의 높이조절홀(12)에 관통된 후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높이가 조절된다.
즉 물탱크(WT)용 하이브리드 기초는 크게 본체(10), 받침판(20), 연결판(30), 관통볼트(40), 모르타르부(50) 및 연결프레임(60)으로 구성된다.
본체(10)의 상·하부에 받침판(20)과 연결판(30)이 결합한다.
본체(10)는 물탱크(WT) 기초의 수직부재로써, 강관 등의 재질로 제작된 사각 관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높이는 약 50∼60㎝로 구성되어 보수 점검이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현행법규 및 구조적 안전성을 만족한다면 다양한 재질 및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4개의 측면을 갖게 되는데, 각각의 측면 하부에 장공 또는 슬롯(Slot)형태의 높이조절홀(1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높이조절홀(12)은 높이 방향으로 길게 구성되어 본체(10)의 상단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받침판(20)은 본체(10)의 측면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10)를 받쳐주는 다리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받침판(20)은 'ㄴ'자 단면의 판 부재로 구성되는데, 한 개의 플레이트를 절곡하거나 두 개의 플레이트를 용접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일면은 본체(10)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면은 지면에 맞닿게 된다.
또한 받침판(20)은 일면에 본체(10)의 높이조절홀(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직경으로 천공된 볼트구멍(2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받침판(20)의 볼트구멍(22)과 본체(10)의 높이조절홀(12)에는 관통볼트(40)가 통과하면서 체결되는데, 볼트구멍(22)과 높이조절홀(12)의 가로 직경이 동일하게 구성됨으로써 관통볼트(40)가 체결된 후 좌우 유동이 없도록 구성된다.
관통볼트(40)는 일측의 높이조절홀(12)과 볼트구멍(22)을 관통하는 동시에, 단부의 일부분이 돌출될 정도로 마주보이는 반대편에 위치된 본체(10)의 높이조절홀(12)과 받침판(20)의 볼트구멍(22)도 통과하게 된다. 이때 돌출된 일부분에는 너트(N)가 체결됨으로써 관통볼트(40)가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높이 방향으로 길게 천공된 높이조절홀(12)에 관통볼트(40)가 통과되는 위치에 따라 본체(10)의 높이가 결정된다.
다시 말해서 받침판(20)과 본체(10)는 관통볼트(40)가 체결됨으로써 고정 결합되는데, 지면과 맞닿은 받침판(20)의 볼트구멍(22)을 통과한 관통볼트(40)가 본체(10)의 높이조절홀(12)을 통과하는 위치에 따라 본체(1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결정되고, 이로 인하여 본체(10)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때 받침판(20)의 볼트구멍(22)과 인접한 받침판(20)의 볼트구멍(22)은 상기 관통볼트(40)의 직경만큼 높이 차이가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체(10) 내부를 통과하는 한 쌍의 관통볼트(40)는 서로 교차되는 형상으로 결합되는데, 동일한 높이로 통과된다면 서로 간섭되어 결합이 불가능 해지며, 관통볼트(40)의 직경만큼 높이 차로 통과하면 서로 접촉하면서 본체(10) 내부를 통과하게 되어 더욱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체(10)의 높이를 조정해야한다면 체결된 관통볼트(40)를 해체하고 상술한 과정으로 재체결만 하면 되기에,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연결판(30)은 본체(10)의 측면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ㄷ'자 단면의 판 부재로, 본체(1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60)을 본체(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결판(30)은 본체(10)의 측면에 결합되는 중앙부(30a)와 상기 중앙부(30a)의 양단부에서 수직 연장된 날개부(30b)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체(10)는 측면마다 상부에 소정 단면의 체결홈(14)이 형성되고, 연결판(30)의 중앙부(30a)에는 체결홈(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결속홈(32)이 형성되며, 본체(10)와 연결판(30)은 체결홈(14)과 제1결속홈(32)을 관통하는 볼트 등의 제1체결구(B)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60)은 물탱크(WT)가 설치되는 바닥에서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설치된 [0037] 본체(10)를 서로 연결시키는 부재로, 본체(10)의 측면 상부에 결합된 연결판(30)에 고정된다. 이때 연결판(30)은 각각의 날개부(30b)에 소정 단면 천공된 제2결속홈(34)이 형성되고, 연결프레임(60)은 날개부(30b)의 제2결속홈(34)을 관통하는 볼트 등의 제2체결구(B`)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연결프레임(60)은 각관 또는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져 물탱크(WT)의 하부골조로 이용될 수 있는데, 물탱크(WT)를 설치하기 위한 일부 공정이 생략가능해 짐으로써 공기단축은 물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기술들은 지지구조물(기둥)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는 작업이 불편하므로, 시공성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82082호(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의 경우, 파이프에 나사를 형성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다.
위 종래기술의 도면부호는 당해 종래기술의 설명에 대하여만 한정되는 것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8144호(스테인레스 스틸 복합 물탱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82082호(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99111호(물탱크용 하이브리드 기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 구조물(10)을 콘크리트 바닥면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격하여 지지함과 아울러,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상기 바닥면(1)에 설치되고, 상부에 트임부(111)가 형성되고, 측벽에 복수의 결합공(150)이 형성된 바닥고정부재(100); 상단이 상기 상부 구조물(10)의 하부에 결합한 본체부(210)와, 상기 본체부(210)의 하단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절개부(221)와, 상기 절개부(221)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장공(250)이 형성된 복수의 가동부(220)를 구비한 기둥부재(200); 상기 복수의 가동부(220)가 상기 트임부(111)를 통해 상기 바닥고정부재(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150)과 장공(250)에 공통으로 체결된 체결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바닥고정부재(100) 및 기둥부재(200)의 종단면은 다각형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고정부재(100)는, 상기 바닥면(1)에 결합한 바닥부(120); 상기 바닥부(1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종단면은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트임부(111)가 형성되고, 측벽에 상기 복수의 결합공(150)이 형성된 몸통부(1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부(220)는 내측으로 접힌 상태로, 상기 트임부(111)를 통해 상기 바닥고정부재(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210)에는 상기 체결부재(300)의 체결작업을 위한 작업공(310)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부 구조물(10)을 콘크리트 바닥면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격하여 지지함과 아울러,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상기 바닥면(1)에 설치되고, 상부에 트임부(111)가 형성되고, 측벽에 복수의 결합공(150)이 형성된 바닥고정부재(100); 상부에 제1 트임부(111a)가 형성되고, 측벽에 복수의 제1 결합공(150a)이 형성된 제1 본체부(210a)와, 상기 제1 본체부(210a)의 하단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1 절개부(221a)와, 상기 제1 절개부(221a)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장공(250a)이 형성된 복수의 제1 가동부(220a)를 구비한 제1 기둥부재(200a); 상단이 상기 상부 구조물(10)의 하부에 결합한 제2 본체부(210b)와, 상기 제2 본체부(210b)의 하단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 절개부(221b)와, 상기 제2 절개부(221b)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장공(250b)이 형성된 복수의 제2 가동부(220b)를 구비한 제2 기둥부재(200b); 상기 제1 기둥부재(200a)의 복수의 제1 가동부(220a)가 상기 트임부(111)를 통해 상기 바닥고정부재(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150)과 제1 장공(250a)에 공통으로 체결된 제1 체결부재(300a); 상기 제2 기둥부재(200b)의 복수의 제2 가동부(220b)가 상기 제1 트임부(111a)를 통해 상기 제1 기둥부재(200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공(150a)과 제2 장공(250b)에 공통으로 체결된 제2 체결부재(30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제1 기둥부재(200a)의 내면에는 방사대칭구조의 비틀림 저항부(23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틀림 저항부(230)는 종단면을 따라 넓게 형성된 판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결합공(150a)은 상기 비틀림 저항부(23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비틀림 저항부(230)와 상기 제1 절개부(221a)의 사이에는 상기 체결부재(300)의 체결작업을 위한 제1 작업공(310a)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바닥고정부재(100)를 상기 바닥면(1)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둥부재(200)의 복수의 가동부(220)를 상기 트임부(111)를 통해 상기 바닥고정부재(100)의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결합공(150) 중 일부 결합공(151)과 상기 복수의 장공(250) 중 일부 장공(251)에 대하여, 임시체결부재(320)를 공통으로 체결하고, 상기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는 임시체결 및 조절단계; 상기 복수의 결합공(150) 중 나머지 결합공(152)과 상기 복수의 장공(250) 중 나머지 장공(252)에 대하여, 상기 체결부재(300)를 공통으로 체결하는 1차 고정단계; 상기 임시체결부재(320)를 제거하고, 상기 임시체결부재(320)가 체결되었던 상기 일부 결합공(151)과 상기 일부 장공(251)에 대하여, 상기 체결부재(300)를 공통으로 체결하는 2차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임시체결 및 조절단계는, 상기 복수의 결합공(150) 중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일부 결합공(151)과, 상기 복수의 장공(250) 중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일부 장공(251)에 대하여, 상기 임시체결부재(320)를 공통으로 체결하고, 상기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고정부재(100)의 복수의 측벽 중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측벽에는 각각 복수의 결합공(150)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가동부(220) 중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가동부(220)에는 각각 복수의 장공(250)이 형성되고, 상기 임시체결 및 조절단계는, 상기 복수의 결합공(150) 중 상호 대각선 방향의 위치에 형성된 상기 일부 결합공(151)과, 상기 복수의 장공(250) 중 상호 대각선 방향의 위치에 형성된 상기 일부 장공(251)에 대하여, 상기 임시체결부재(320)를 공통으로 체결하고, 상기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을 제시한다.
도 1 내지 3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8144호(스테인레스 스틸 복합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도 4 내지 15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82082호(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에 관한 것이다.
도 16 내지 19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99111호(물탱크용 하이브리드 기초)에 관한 것이다.
도 20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0은 지지구조물의 제1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1 내지 24는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의 제1 실시예의 공정도.
도 25는 지지구조물의 제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6 내지 28은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의 제2 실시예의 공정도.
도 29는 지지구조물의 제3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0은 지지구조물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31은 지지구조물의 제3 실시예의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 내지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상부 구조물(10)을 콘크리트 등에 의한 바닥면(1)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격하여 지지함과 아울러,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고정부재(100), 기둥부재(200), 체결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고정부재(100)는 바닥면(1)에 설치되고, 상부에 트임부(111)가 형성되고, 측벽에 복수의 결합공(150)이 형성된다.
기둥부재(200)는 상단이 상부 구조물(10)의 하부에 결합한 본체부(210)와, 본체부(210)의 하단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절개부(221)와, 절개부(221)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장공(250)이 형성된 복수의 가동부(220)를 구비한 구성을 취한다.
기둥부재(200)는 강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체부(210)의 하단에 절개부(221)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그 절개부(221)의 사이 영역에 형성된 가동부(220)는 다소의 휨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복수의 가동부(220)가 바닥고정부재(100)의 트임부(111)를 통해 바닥고정부재(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부재(300)가 결합공(150)과 장공(250)에 공통으로 체결된다.
이러한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바닥고정부재(100)를 바닥면(1)에 설치한다.
기둥부재(200)의 복수의 가동부(220)를 트임부(111)를 통해 바닥고정부재(100)의 내부에 삽입한다.
복수의 결합공(150) 중 일부 결합공(151)과 복수의 장공(250) 중 일부 장공(251)에 대하여, 임시체결부재(320)를 공통으로 체결하고,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한다(도 22,23).
기둥부재(200)의 가동부(220)에 장공(25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둥부재(2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원하는 높이에서 기둥부재(200)와 바닥고정부재(100)를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나아가, 임시체결부재(320)에 의해 바닥고정부재(100)와 기둥부재(200)가 임시로 고정된 상태에서, 망치 등의 공구에 의해 기둥부재(200)에 대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변형을 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휨변형이 가능한 가동부(220)로 인하여, 기둥부재(200)의 기울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도 22).
여기서 임시체결부재(320)란, 위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작업을 쉽게 하기 위하여, 바닥고정부재(100)와 기둥부재(200)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을 정도로 약하게 결합한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의미한다.
이러한 임시체결부재(320)를 체결한 상태에서,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작업이 완료되면, 복수의 결합공(150) 중 나머지 결합공(152)과 복수의 장공(250) 중 나머지 장공(252)에 대하여, 체결부재(300)를 공통으로 체결한다.
여기서 체결부재(300)는 바닥고정부재(100)와 기둥부재(200)의 영구결합을 위한 구조이므로, 고장력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한다.
이후, 임시체결부재(320)를 제거하고, 그 임시체결부재(320)가 체결되었던 일부 결합공(151)과 일부 장공(251)에 대하여도, 체결부재(300)를 공통으로 체결한다(도 24).
이는 바닥고정부재(100)에 대한 기둥부재(200)의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바닥고정부재(100) 및 기둥부재(200)는 그 종단면이 사각형 등의 다각형 구조를 취하는 경우, 상술한 절개부(221)의 형성에 따른 가동부(220)의 휨변형 효과를 더욱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절개부(221)는, 종단면이 다각형 구조를 취하는 바닥고정부재(100) 및 기둥부재(200)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다.
바닥고정부재(100)는, 앵커나 접착제에 의해 바닥면(1)에 결합한 바닥부(120); 바닥부(120)의 상부에 용접결합 등에 의해 형성되고, 종단면은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부에 트임부(111)가 형성되고, 측벽에 복수의 결합공(150)이 형성된 몸통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부재(200)가 바닥고정부재(100)의 트임부에 쉽게 삽입되고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가동부(220)의 하단 외면 사이의 폭에 비해 바닥고정부재(100)의 상단 내면 사이의 폭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부(220)의 휨변형에 의한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효과를 더욱 안정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바닥고정부재(100)의 몸통부(110)의 두께가 기둥부재(200)의 가동부(22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부재(200)의 가동부(220)의 좌굴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가동부(220)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보다, 가동부(220)의 내면에 별도의 보강재를 덧대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재(300)인 볼트의 내측에 너트를 체결하는 경우, 본체부(210)에는 위 체결부재(300)의 체결작업을 위한 작업공(3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작업공(310)은 별도의 마개부재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임시체결부재(320)에 의해 바닥고정부재(100)와 기둥부재(200)가 임시로 고정된 상태(느슨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망치 등의 공구에 의해 기둥부재(200)에 대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가 변화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체결부재(300)에 의해 견고하게(강하게) 결합하면, 기둥부재(200)의 가동부(220)의 상단에 휨변형이 발생하면서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이루게 된다(도 22).
여기서, 복수의 결합공(150) 중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일부 결합공(151)과, 복수의 장공(250) 중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일부 장공(251)에 대하여, 임시체결부재(320)를 공통으로 체결하고,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우, 위 조절작업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추가된다.
즉, 도 21,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결합공(151)(바닥고정부재(100)의 전방벽과 후방벽의 결합공(150)) 및 일부 장공(251)(전방 가동부와 후방 가동부의 장공(250))에만 임시체결부재(320)를 서로 마주보는 구조로 결합하고, 나머지 결합공(152)(바닥고정부재(100)의 좌측벽과 우측벽의 결합공(150)) 및 나머지 장공(252)(좌측 가동부와 우측 가동부의 장공(250))에는 임시체결부재(320)를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위 조절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시공성을 위하여 바람직한 것이다.
도 25 내지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고정부재(100)의 복수의 측벽 중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측벽에는 복수의 결합공(150)이 형성되고, 복수의 가동부(220) 중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가동부(220)에는 각각 복수의 장공(250)이 형성된 경우, 더욱 견고한 볼트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바닥고정부재(100)의 측벽에 상하로 복수의 결합공(150)이 형성되고, 이들 결합공(150)과 가동부(220)의 하나의 장공(250)이 복수의 볼트에 의해 결합하는 경우, 더욱 견고한 결합구조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결합공(150) 중 상호 대각선 방향의 위치에 형성된 상기 일부 결합공(151)과, 복수의 장공(250) 중 상호 대각선 방향의 위치에 형성된 일부 장공(251)에 대하여, 임시체결부재(320)를 공통으로 체결하고,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6,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결합공(151)(바닥고정부재(100)의 전방벽의 좌측 결합공(150)과 후방벽의 우측 결합공(150)) 및 일부 장공(251)(전방 가동부의 좌측 장공(250)과 후방 가동부의 우측 장공(250))에만 임시체결부재(320)를 서로 마주보는 구조로 결합하고, 나머지 결합공(152)(바닥고정부재(100)의 전방벽의 우측 결합공(150)과 후방벽의 좌측 결합공(150), 바닥고정부재(100)의 좌측벽과 우측벽의 모든 결합공(150)) 및 나머지 장공(252)(전방 가동부의 우측 장공(250)과 후방 가동부의 좌측 장공(250), 좌측 가동부 및 우측 가동부의 모든 장공(250))에는 임시체결부재(320)를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위 조절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시공성을 위하여 바람직한 것이다.
이러한 임시체결부재(320)를 체결한 상태에서,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작업이 완료되면, 복수의 결합공(150) 중 나머지 결합공(152)과 복수의 장공(250) 중 나머지 장공(252)에 대하여, 체결부재(300)를 공통으로 체결한다(도 28).
여기서 체결부재(300)는 바닥고정부재(100)와 기둥부재(200)의 영구결합을 위한 구조이므로, 고장력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한다.
이후, 임시체결부재(320)를 제거하고, 그 임시체결부재(320)가 체결되었던 일부 결합공(151)과 일부 장공(251)에 대하여, 체결부재(300)를 공통으로 체결한다.
한편, 위 실시예에서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의 조절 정도는 장공의 길이, 바닥고정부재(100)의 몸통부(110)와 기둥부재(200)의 가동부(220) 사이의 유격, 가동부(220)의 휨변형 가능폭 등에 의해 제한된다.
이러한 제한에 불구하고 조절 정도를 증대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기둥부재(200) 복수가 적층된 구조를 적용하면 된다.
본 실시예는 바닥고정부재(100), 제1 기둥부재(200a), 제2 기둥부재(200b), 제1 체결부재(300a), 제2 체결부재(300b)에 의해 구성된다(도 29,30).
바닥고정부재(100)는 위 실시예와 같이, 바닥면(1)에 설치되고, 상부에 트임부(111)가 형성되고, 측벽에 복수의 결합공(150)이 형성된다.
제1 기둥부재(200a)는 상부에 제1 트임부(111a)가 형성되고, 측벽에 복수의 제1 결합공(150a)이 형성된 제1 본체부(210a)와, 제1 본체부(210a)의 하단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1 절개부(221a)와, 제1 절개부(221a)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장공(250a)이 형성된 복수의 제1 가동부(220a)를 구비한 구성을 취한다.
제2 기둥부재(200b)는 상단이 상부 구조물(10)의 하부에 결합한 제2 본체부(210b)와, 제2 본체부(210b)의 하단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 절개부(221b)와, 제2 절개부(221b)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장공(250b)이 형성된 복수의 제2 가동부(220b)를 구비한 구성을 취한다.
제1 기둥부재(200a)의 복수의 제1 가동부(220a)가 트임부(111)를 통해 바닥고정부재(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체결부재(300a)가 결합공(150)과 제1 장공(250a)에 공통으로 체결된다.
제2 기둥부재(200b)의 복수의 제2 가동부(220b)가 제1 트임부(111a)를 통해 상기 제1 기둥부재(200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체결부재(300b)가 제1 결합공(150a)과 제2 장공(250b)에 공통으로 체결된다.
즉, 본 실시예의 바닥고정부재(100), 제2 기둥부재(200b)는 위 실시예의 바닥고정부재(100), 기둥부재(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다만 유사한 구조의 제1 기둥부재(200a)가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기둥부재(200a)의 하부는 위 기둥부재(200)의 구조와 동일하고, 제1 기둥부재(200a)의 상부는 위 바닥고정부재(100)의 몸통부(110)의 구조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기둥부재(200a)는 바닥고정부재(100)와 제2 기둥부재(200b)의 사이에 결합할 수 있으며, 그 결합구조 및 공정은 위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구조를 취하는 경우, 바닥고정부재(100)와 제1 기둥부재(200a) 사이에서 1차로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을 할 수 있고, 제1 기둥부재(200a)와 제2 기둥부재(200b) 사이에서 2차로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을 할 수 있으므로, 위 실시예에 비해 높낮이 및 기울기의 조절 정도가 증대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제3 기둥부재, 제4 기둥부재 등을 추가하여 조절 정도를 더욱 증대할 수도 있다.
바닥고정부재(100), 제2 기둥부재(200b)와 달리, 제1 기둥부재(200a)는 상부 또는 하부가 타 구조에 의해 구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비틀림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1 기둥부재(200a)의 내면에는 방사대칭구조의 비틀림 저항부(2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비틀림 저항부(230)는 종단면을 따라 넓게 형성된 판 구조를 취하는 것이 효율적이다(도 31).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체결부재(300)의 체결작업을 위하여 제1 기둥부재(200a)의 측벽을 관통하여 제1 작업공(310a)이 형성되는데, 제1 결합공(150a)은 비틀림 저항부(230)의 상부에 형성되고, 비틀림 저항부(230)와 제1 절개부(221a)의 사이에 제1 작업공(310a)이 형성되는 경우, 비틀림 저항부(230)의 방해를 받지 않고, 제1 작업공(310a)을 통해 제1 체결부재(300a)의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도 29,30).
제1 기둥부재(200a)와 바닥고정부재(100)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재(300a)의 체결작업은, 제2 기둥부재(200b)에 대한 결합 전, 제1 기둥부재(200a)의 제1 작업공(310a)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1 기둥부재(200a)의 상측 트임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제1 작업공(310a)이 없는 경우).
제2 기둥부재(200b)와 제1 기둥부재(200a)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재(300b)의 체결작업은, 상부 구조물(10)에 대한 결합 전, 제2 기둥부재(200b)의 제2 작업공(310b)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2 기둥부재(200b)의 상측 트임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제2 작업공(310b)이 없는 경우).
비틀림 저항부(230)의 심부에 작업구(231)가 형성되고, 제2 기둥부재(200b)의 상측에 트임부가 형성된 경우, 제1 작업공(310a)이나 제2 작업공(310b)이 없더라도, 상부 구조물(10)에 대한 결합 전, 제2 기둥부재(200b)의 상측 트임부를 통해 체결부재(300a,300b)의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지구조물의 경우에도, 종래기술에 기재된 X 형태의 브레이싱 구조(도 11,13) 등이 적용되어 보강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콘크리트 바닥면 10 : 상부 구조물
100 : 바닥고정부재 110 : 몸통부
111 : 트임부 120 : 바닥부
150,151,152 : 결합공 200 : 기둥부재
210 : 본체부 220 : 가동부
221 : 절개부 230 : 비틀림 저항부
250,251,252 : 장공 300 : 체결부재
310 : 작업공 320 : 임시체결부재

Claims (12)

  1. 상부 구조물(10)을 바닥면(1)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격하여 지지함과 아울러,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상기 바닥면(1)에 설치되고, 상부에 트임부(111)가 형성되고, 측벽에 복수의 결합공(150)이 형성된 바닥고정부재(100);
    상단이 상기 상부 구조물(10)의 하부에 결합한 본체부(210)와, 상기 본체부(210)의 하단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절개부(221)와, 상기 절개부(221)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장공(250)이 형성된 복수의 가동부(220)를 구비한 기둥부재(200);
    상기 복수의 가동부(220)가 상기 트임부(111)를 통해 상기 바닥고정부재(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150)과 장공(250)에 공통으로 체결된 체결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고정부재(100) 및 기둥부재(200)의 종단면은 다각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고정부재(100)는,
    상기 바닥면(1)에 결합한 바닥부(120);
    상기 바닥부(1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종단면은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트임부(111)가 형성되고, 측벽에 상기 복수의 결합공(150)이 형성된 몸통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220)는 내측으로 접힌 상태로, 상기 트임부(111)를 통해 상기 바닥고정부재(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10)에는 상기 체결부재(300)의 체결작업을 위한 작업공(3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6. 상부 구조물(10)을 콘크리트 바닥면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격하여 지지함과 아울러,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상기 바닥면(1)에 설치되고, 상부에 트임부(111)가 형성되고, 측벽에 복수의 결합공(150)이 형성된 바닥고정부재(100);
    상부에 제1 트임부(111a)가 형성되고, 측벽에 복수의 제1 결합공(150a)이 형성된 제1 본체부(210a)와, 상기 제1 본체부(210a)의 하단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1 절개부(221a)와, 상기 제1 절개부(221a)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장공(250a)이 형성된 복수의 제1 가동부(220a)를 구비한 제1 기둥부재(200a);
    상단이 상기 상부 구조물(10)의 하부에 결합한 제2 본체부(210b)와, 상기 제2 본체부(210b)의 하단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 절개부(221b)와, 상기 제2 절개부(221b)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장공(250b)이 형성된 복수의 제2 가동부(220b)를 구비한 제2 기둥부재(200b);
    상기 제1 기둥부재(200a)의 복수의 제1 가동부(220a)가 상기 트임부(111)를 통해 상기 바닥고정부재(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150)과 제1 장공(250a)에 공통으로 체결된 제1 체결부재(300a);
    상기 제2 기둥부재(200b)의 복수의 제2 가동부(220b)가 상기 제1 트임부(111a)를 통해 상기 제1 기둥부재(200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공(150a)과 제2 장공(250b)에 공통으로 체결된 제2 체결부재(30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둥부재(200a)의 내면에는 방사대칭구조의 비틀림 저항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저항부(230)는 종단면을 따라 넓게 형성된 판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공(150a)은 상기 비틀림 저항부(23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비틀림 저항부(230)와 상기 제1 절개부(221a)의 사이에는 상기 체결부재(300)의 체결작업을 위한 제1 작업공(31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바닥고정부재(100)를 상기 바닥면(1)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둥부재(200)의 복수의 가동부(220)를 상기 트임부(111)를 통해 상기 바닥고정부재(100)의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결합공(150) 중 일부 결합공(151)과 상기 복수의 장공(250) 중 일부 장공(251)에 대하여, 임시체결부재(320)를 공통으로 체결하고, 상기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는 임시체결 및 조절단계;
    상기 복수의 결합공(150) 중 나머지 결합공(152)과 상기 복수의 장공(250) 중 나머지 장공(252)에 대하여, 상기 체결부재(300)를 공통으로 체결하는 1차 고정단계;
    상기 임시체결부재(320)를 제거하고, 상기 임시체결부재(320)가 체결되었던 상기 일부 결합공(151)과 상기 일부 장공(251)에 대하여, 상기 체결부재(300)를 공통으로 체결하는 2차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체결 및 조절단계는,
    상기 복수의 결합공(150) 중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일부 결합공(151)과, 상기 복수의 장공(250) 중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일부 장공(251)에 대하여, 상기 임시체결부재(320)를 공통으로 체결하고, 상기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고정부재(100)의 복수의 측벽 중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측벽에는 각각 복수의 결합공(150)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가동부(220) 중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가동부(220)에는 각각 복수의 장공(250)이 형성되고,
    상기 임시체결 및 조절단계는,
    상기 복수의 결합공(150) 중 상호 대각선 방향의 위치에 형성된 상기 일부 결합공(151)과, 상기 복수의 장공(250) 중 상호 대각선 방향의 위치에 형성된 상기 일부 장공(251)에 대하여, 상기 임시체결부재(320)를 공통으로 체결하고, 상기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70166050A 2017-12-05 2017-12-05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KR102002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050A KR102002976B1 (ko) 2017-12-05 2017-12-05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050A KR102002976B1 (ko) 2017-12-05 2017-12-05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382A true KR20190066382A (ko) 2019-06-13
KR102002976B1 KR102002976B1 (ko) 2019-07-23

Family

ID=6684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050A KR102002976B1 (ko) 2017-12-05 2017-12-05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97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989Y1 (ko) * 2001-06-27 2001-10-26 이종화 파이프 연결구
KR100907863B1 (ko) * 2008-12-18 2009-07-14 (주)일산금속 가로등 지주 기초
KR101178381B1 (ko) * 2012-04-06 2012-08-29 신세계건설(주)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이의 제작방법
JP2013108302A (ja) * 2011-11-22 2013-06-0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鉄塔主柱材の傾斜角度調整装置、及び傾斜角度調整方法
KR101406035B1 (ko) * 2013-12-03 2014-06-11 주식회사 오케이건설 조립식 교각 및 그 시공방법
KR101458144B1 (ko) 2014-07-07 2014-11-05 (주)덕일기공 스테인레스 스틸 복합 물탱크
KR101482082B1 (ko) 2014-11-12 2015-01-14 (주)우진테크 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
KR101499111B1 (ko) 2014-12-12 2015-03-09 사운드인슈주식회사 물탱크용 하이브리드 기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989Y1 (ko) * 2001-06-27 2001-10-26 이종화 파이프 연결구
KR100907863B1 (ko) * 2008-12-18 2009-07-14 (주)일산금속 가로등 지주 기초
JP2013108302A (ja) * 2011-11-22 2013-06-0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鉄塔主柱材の傾斜角度調整装置、及び傾斜角度調整方法
KR101178381B1 (ko) * 2012-04-06 2012-08-29 신세계건설(주)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406035B1 (ko) * 2013-12-03 2014-06-11 주식회사 오케이건설 조립식 교각 및 그 시공방법
KR101458144B1 (ko) 2014-07-07 2014-11-05 (주)덕일기공 스테인레스 스틸 복합 물탱크
KR101482082B1 (ko) 2014-11-12 2015-01-14 (주)우진테크 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
KR101499111B1 (ko) 2014-12-12 2015-03-09 사운드인슈주식회사 물탱크용 하이브리드 기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976B1 (ko) 201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637B1 (ko) 보강형 연결구조를 갖는 건축 모듈러 유닛
KR20100007872A (ko) 빌딩 프레임 내의 헤이로/스파이더, 풀 모멘트 칼럼/빔 연결부
JP2002536574A (ja) 構造部材
KR101880494B1 (ko) 코어벽체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66806B1 (ko) Pc기둥에 설치된 임시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KR101499111B1 (ko) 물탱크용 하이브리드 기초
KR101836325B1 (ko)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KR102409280B1 (ko)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2002976B1 (ko)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KR101125967B1 (ko) 구조물 접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
JP2017214717A (ja) 柱梁接合部と梁との連結構造
KR102115733B1 (ko)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RU2247812C2 (ru) Безригельный бескапительный железобетонный каркас здания
KR101632960B1 (ko) 가설주형과 복공판 일체형 구조 및 지점부 긴장 구조를 가지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040051556A (ko) 건물에 있어서의 빔의 연결 구조
JP7299793B2 (ja) ユニット建物
JP7032051B2 (ja) 床構造施工方法および床構造再利用方法
JP5129297B2 (ja) 建築物設置具
JP5439002B2 (ja) 拡張ユニットの取付構造および拡張ユニットの取付方法およびユニット式建物
JP6669032B2 (ja) 新設鋼床版と既設桁との連結構造
CN111827553B (zh) 一种预制楼板结构及安装方法
JP3245952U (ja) 木製柱支持金具
JP7348771B2 (ja) ユニット建物
JP7303712B2 (ja) ユニット建物
JP4656460B2 (ja) 建物の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