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280B1 -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280B1
KR102409280B1 KR1020210128444A KR20210128444A KR102409280B1 KR 102409280 B1 KR102409280 B1 KR 102409280B1 KR 1020210128444 A KR1020210128444 A KR 1020210128444A KR 20210128444 A KR20210128444 A KR 20210128444A KR 102409280 B1 KR102409280 B1 KR 102409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late
bottom plate
main stee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베
김의헌
Original Assignee
이보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베 filed Critical 이보베
Priority to KR1020210128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Abstract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는 중공의 원기둥형으로 마련되며, 단부에 인터락킹 연결구가 마련된 메인 강관, 메인 강관의 내측 상부에 마련된 볼록판, 볼록판과 체결되도록 상기 메인 강관의 상부에 판형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된 오목판, 오목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닥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및 그 시공방법{PREFABRICATED CIRCULAR STEEL PIPE GIRD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강관을 인접한 강관, 강관과 바닥판을 조립식으로 결합하는,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인 강관 거더는 도 1과 같이 원형 단면의 강관(10)이 적용된다. 대다수의 강관거더는 강관만 구조부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고, 얇은 강판과 포장체로 구성되는 바닥판은 비구조부재로 강관 위에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바닥판이 비구조요소가 되는 구조는 구조적 효율성이 저하될 수 밖에 없다. 구조효율이 낮아지는 상황을 감수하면서까지 강관거더 바닥판을 비구조요소로 설치하는 이유는 강관과 바닥판의 구조적 연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하나의 원형 강관부재와 수평방향으로 넓은 바닥판 구조는 단일 선(Line)으로 만나게 된다. 이 유일한 선 방향으로 전단연결재 등을 통해 완전한 구조적 연결이 가능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상세가 필요하게 된다.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가로보가 강관거더와 바닥판을 연결하고 있지만, 이 가로보는 바닥판의 횡방향지지와 거더끼리의 횡방향 연결 및 하중 분배를 위한 기능을 발휘할 뿐, 종방향 강성 발휘는 미미하다. 또한 강관의 상부에 상당량의 바닥판이 투입되지만 데크(Deck)로서의 역할만 할 뿐 합성단면의 구조재로서는 역할이 미미하다.
기존의 일반적인 강관거더에서 합성된 바닥판이 전단지연이나 국부좌굴 없이 구조적으로 온전하게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소요의 강성을 확보해야 하므로 바닥판의 물량이 증가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재 일반적인 방식인 얇은 강판과 최소한의 수직보강재 구성으로는 상당히 부족하고, 훨씬 많은 강재량이 필요하게 된다.
기존의 일반적인 강관거더는 제작 방식에서도 현장 용접을 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강관거더는 운반 가능한 단위로 공장에서 제작하게 된다. 나머지 조립은 현장에서 용접으로 이루어지는데, 현장 용접은 품질적인 측면과 공기 측면에서 결코 바람직한 방법이 아니다. 특히나 강관끼리의 종방향 현장 용접은 품질 확보를 위한 별도의 차폐 시설이 필요하고 숙련된 용접사가 투입되어야 하며, 용접 전처리와 후처리 과정이 필요해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1943호(2020. 11. 02)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조적으로 효율성이 높으면서도 시공성이 개선된,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는, 중공의 원기둥형으로 마련되며, 단부에 인터락킹 연결구가 마련된 메인 강관; 상기 메인 강관의 내측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 강관의 내주면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상부가 볼록한 형태로 마련된 볼록판; 상기 볼록판과 체결되도록 상기 메인 강관의 상부에 판형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메인 강관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하부가 오목한 형태로 마련되는 오목판; 및 상기 오목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닥판;을 포함하며, 상기 볼록판, 상기 오목판, 상기 바닥판의 각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홀이 다수개 마련되어 전단 연결볼트에 의해 상기 메인 강관과 상기 바닥판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목판의 미리 설정된 간격에 상부가 배치되며 상기 메인 강관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강관의 횡방향으로 한 쌍으로 배치되는 가로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보는, 상기 메인 강관의 측부에 용접되며 상부는 직선형으로 마련되는 가로보 본체; 판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가로보 본체의 상부에 결합하며 상면에 볼트 스터드가 마련된 횡방향 플랜지부; 및 상기 가로보 본체 및 플랜지부의 일측면에 동시에 결합하는 수직방향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보 본체는 상기 메인 강관측으로 형성된 제1 곡선부와 상기 수직방향 플랜지부 측으로 형성된 제2 곡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곡선부와 상기 제2 곡선부의 곡률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보의 플랜지부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바닥판을 고정하는 바닥판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판 고정부는, 상기 볼트 스트더가 관통도록 마련되며 상기 가로보의 플랜지부에 고정결합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과 수직하게 결합하며 상기 바닥판의 측부와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수직판; 상기 수직판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판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 고정부와 상기 가로보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미디어 난간기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디어 난간기초는, 상기 메인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며, 난간이 결합되도록 판형으로 마련되는 기초판; 상기 기초판의 일측 하부에 'L'자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바닥판 고정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L형판; 및 상기 기초판의 타측 하부에 수직하게 마련되어 내측면이 상기 수직방향 플랜지부에 결합하며 외측면은 미디어가 설치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미디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시공방법은, 중공의 원형으로 마련되며, 단부에 인터락킹 연결구가 마련된 메인 강관의 상부에 상기 메인 강관의 내주면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상부가 볼록한 형태로 마련된 볼록판과, 상기 볼록판과 체결되도록 상기 메인 강관의 상부에 판형으로 마련되되 상기 메인 강관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하부가 오목한 형태로 마련되는 오목판을 체결하는 제1 시공단계;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오목판 사이에 상부가 배치되며 상기 메인 강관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강관의 횡방향으로 한 쌍으로 배치되는 가로보를 체결하는 제2 시공단계; 상기 가로보의 플랜지부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바닥판을 고정하는 바닥판 고정부를 상기 가로보의 상부에 마련하는 제3 시공단계; 및 상기 바닥판 고정부 사이 사이에 바닥판을 조립하는 제4 시공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 고정부와 상기 가로보에 고정되도록 마련되어 난간기초와 미디어가 설치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미디어 난간기초를 마련하는 제5 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판을 메인 강관과 합성함으로써 중립축이 상승되어 강관은 인장지배구조로 설계 가능하고 구조적 효율성이 제고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구성간 단순 밀착에 이은 볼트체결로 바닥판과 메인 강관을 용이하게 조립함으로써 현장 작업이 최소화되어 시공성이 개선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 강관거더가 설치된 교량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의 메인 강관에 볼록판이 마련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의 상부에 마련되는 바닥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의 측부에 마련되는 가로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의 상부에 마련되는 바닥판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의 메인 강관에 볼록판이 마련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의 상부에 마련되는 바닥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의 측부에 마련되는 가로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의 상부에 마련되는 바닥판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100)는 메인 강관(110), 오목판(120), 볼록판(130), 인터락킹 연결구(140), 바닥판(150), 가로보(160), 바닥판 고정부(170)를 포함한다.
메인 강관(110)은 중공의 원기둥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단부에 인터락킹 연결구(140)가 마련된다. 메인 강관(110)은 단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메인 강관(110)의 길이방향으로 인터락킹 연결구(14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오목판(120)은 메인 강관(110)의 상부에 판형으로 마련되되 메인 강관(110)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하부가 오목한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오목판(120)의 상면은 바닥판(150)과 면 대 면으로 결합한다.
오목판(120)의 오목한 하면은 메인 강관(110)의 상부에 밀착하도록 마련되며, 오목판(120)의 길이방향으로 오목판 본체(121)의 중심에는 다수 개의 볼트홀(123)이 마련된다.
볼록판(130)은 메인 강관(110)의 내측 상부에 마련되며, 메인 강관(110)의 내주면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상부가 볼록한 형태로 마련된다.
볼록판(130)의 볼록한 상면은 메인 강관(110)의 내측 상부에 밀착하도록 마련되며, 볼록판(120)의 길이방향으로 볼록판 본체(131)의 중심에는 다수 개의 볼트홀(133)이 마련된다.
볼록판 본체(131)의 하면에는 다수 개의 볼트 조임구(135)가 마련되며, 볼트 조임구(135)는 볼트홀(123)과 볼트홀(133)에 대응되는 곳에 대응되는 수량으로 마련된다.
도 6a를 참조하면, 인터락킹 연결구(140)는 메인 강관(110)의 단부에 고정결합하도록 마련되어 메인 강관(110)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인터락킹 연결구(140)는 중공의 디스크형으로 형성되며, 하부 연결부(141), 상부 연결부(145), 인터락킹 연결부(143), 중공부(147)를 포함한다.
하부 연결부(141)는 호형으로 마련되며 휨인장에 저항하도록 형성된다. 하부 연결부(141)는 다수 개의 체결홀(142)이 형성되어 인접한 메인 강관(110)의 인터락킹 연결구(140)의 하부 연결부(141)와 체결장치(미도시)에 의해 체결된다.
상부 연결부(145)는 바닥판(150)과 함께 휨압축에 저항하도록 마련되며, 다수 개의 체결홀(146)이 형성되어 인접한 메인 강관(110)의 인터락킹 연결구(140)의 상부 연결부(145)와 체결장치(미도시)에 의해 체결된다.
인터락킹 연결부(143)는 하부 연결부(141)와 상부 연결부(145)를 연결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며, 다수 개의 돌출부와 오목부가 교번하도록 마련된다.
인터락킹 연결부(143)는 인터락킹 연결구(140)의 복부에 마련되어 돌출부와 오목부의 인터락킹 작용을 수반하는 전단키로 전단저항을 수행하게 된다.
바닥판(150)은 오목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추가적으로 바닥판 고정부(170)에 측부가 결합되는 것이다.
바닥판(150)은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마련되며, 메인 강관(11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그 길이방향을 가진다.
바닥판 본체(151) 중심부에는 메인 강관(1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볼트홀(153)이 마련되고, 바닥판 본체(151)의 측면에는 바닥판(15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측면 체결홀(155)이 마련된다. 측면 체결홀(155)은 바닥판 고정부(170)의 수직판(171)에 마련된 체결홀(175)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체결장치(미도시)에 의해 바닥판(150)의 측면은 바닥판 고정부(170)에 체결된다.
볼록판(130), 오목판(120), 바닥판(150)의 각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홀(123, 133, 153)이 다수 개 마련되어 도 6d와 같이 전단 연결볼트(157)에 의해 메인 강관(110)과 바닥판(150)이 고정결합된다.
가로보(160)는 오목판(120)의 미리 설정된 간격(g)에 상부가 배치되며 메인 강관(110)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메인 강관(110)의 횡방향으로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가로보(160)는 바닥판(150)을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가로보(160)는 도 7과 같이 바닥판(150)을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다주형간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200)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메인 강관(110)의 측부에 용접되며 상부는 직선형으로 마련되는 가로보 본체(161, 판형으로 마련되어 가로보 본체(161)의 상부에 결합하며 상면에 볼트 스터드(167)가 마련된 횡방향 플랜지부(165), 가로보 본체(161) 및 횡방향 플랜지부(165)의 일측면에 동시에 결합하는 수직방향 플랜지부(163)를 포함한다.
가로보 본체(161)는 메인 강관(110)측으로 형성된 제1 곡선부(161a)와 수직방향 플랜지부(163) 측으로 형성된 제2 곡선부(161b)를 포함하며, 제2 곡선부(161b)는 원호형 또는 아치형으로 마련된다. 제2 곡선부(161b)는 원호형으로 마련될 경우, 제1 곡선부(161a)와 제2 곡선부(161b)의 곡률은 상이하게 마련된다.
가로보 본체(161)의 제1 곡선부(161a)는 메인 강관(110)의 측면에 용접으로 부착되며, 제2 곡선부(161b)는 원호형 또는 아치형으로 마련됨으로써 바닥판(150)의 하중에 효과적으로 저항하게 된다.
바닥판 고정부(170)는 가로보(160)의 플랜지부(165)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플랜지부(165)의 상부에 연결되며, 바닥판(150)을 고정하는 것이다.
바닥판 고정부(170)는 볼트 스터드(167)가 관통도록 마련되며 가로보(160)의 플랜지부(165)에 고정결합하는 하부판(176), 하부판(167)과 수직하게 결합하며 바닥판(150)의 측부와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수직판(171)을 포함한다.
또한 바닥판 고정부(170)는 바닥판 연결부의 부족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수직판(171)의 상부에 다수 개 마련되어 수직판(171)의 강성을 보강하는 제1 강성보강판(173), 수직판(171) 사이에 마련되고 제1 강성보강판(173)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2 강성보강판(178)을 포함한다. 이들 구조는 바닥판(150)의 종방향 축강성 대비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마련되어 합성단면 성능의 연속성을 확보한다.
하부판(176)에는 볼트 스터드(167)가 관통되도록 슬롯홀(177)이 마련되며, 슬롯홀(177)은 장홀로 마련되어 바닥판 설치 시 소요 공차를 확보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판(171)에는 수직판 체결홀(175)이 다수 개 마련되어, 바닥판(150)의 측부에 마련된 측면 체결홀(155)과 수직판 체결홀(175)을 체결장치(미도시)가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바닥판 고정부(170)는 바닥판(150)의 측부를 고정한다.다수개의 바닥판 설치에 따른 누적오차로 발생되는 바닥판 고정부(170)와 바닥판(150)의 틈새는 무수축 그라우팅 재료로 채워 보완한다.
바닥판 고정부(170)의 수직판(171)의 상단부는 바닥판(150)의 상면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미디어 난간기초(180)는 난간기초 및 미디어 보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6e를 참조하면, 미디어 난간기초(180)는 바닥판(150)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바닥판 고정부(170)와 가로보(160)에 고정된다.
미디어 난간기초(180)는 메인 강관(110)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며, 난간(미도시)이 결합되도록 판형으로 마련되는 기초판(181), 기초판(181)의 일측 하부에 'L'자 형태로 마련되어 바닥판 고정부(170)의 상부에 결합되는 L형판(185) 및 기초판(181)의 타측 하부에 수직하게 마련되어 내측면이 수직방향 플랜지부(163)에 결합하며 외측면은 미디어가 설치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미디어판(183)을 포함한다.
미디어판(183)은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마련되어, 현수막, 경관조명, 미디어 보드, 미디어 글라스가 설치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200)는 한 쌍의 메인 강관(210a, 210b)이 횡방향으로 이웃하도록 마련되어 폭이 넓은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200)로 생성되며, 가로보(260a, 260b)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100)의 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중공의 원형으로 마련되며, 단부에 인터락킹 연결구(140)가 마련된 메인 강관(110)의 상부에 메인 강관(110)의 내주면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상부가 볼록한 형태로 마련된 볼록판(130)과, 볼록판(130)과 체결되도록 메인 강관(110)의 상부에 판형으로 마련되되 메인 강관(110)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하부가 오목한 형태로 마련되는 오목판(120)을 체결하는 제1 시공단계가 마련된다.
오목판(120)은 메인 강관(110)의 길이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g)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되며, 볼록판(130) 역시 바람직하게는 오목판(120)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미리 설정된 간격(g)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오목판 사이에 상부가 배치되며 메인 강관(110)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메인 강관(110)의 횡방향으로 한 쌍으로 배치되는 가로보(160)를 체결하는 제2 시공단계가 마련된다. 가로보(160)는 메인 강관(110)의 측부에 용접되도록 마련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가로보(160)의 플랜지부(165)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플랜지부(165)의 상부에 연결되며, 바닥판(150)을 고정하는 바닥판 고정부(170)를 가로보(160)의 상부에 마련하는 제3 시공단계가 마련된다.
도 6d를 참조하면, 바닥판 고정부(170) 사이 사이에 바닥판(150)을 조립하는 제4 시공단계가 마련된다.
바닥판(150)은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마련되며, 메인 강관(11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그 길이방향을 가진다.
바닥판 본체(151) 중심부에는 메인 강관(1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볼트홀(153)이 마련되고, 바닥판 본체(151)의 측면에는 바닥판(15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측면 체결홀(155)이 마련된다. 측면 체결홀(155)은 바닥판 고정부(170)의 수직판(171)에 마련된 체결홀(175)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체결장치(미도시)에 의해 바닥판(150)의 측면은 바닥판 고정부(170)에 체결된다.
또한, 볼록판(130), 오목판(120), 바닥판(150)의 각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홀(123, 133, 153)이 다수 개 마련되어 도 6d와 같이 전단 연결볼트(157)에 의해 메인 강관(110)과 바닥판(150)이 고정결합된다.
도 6e를 참조하면, 바닥판(150)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바닥판 고정부(170)와 가로보(160)에 고정되도록 마련되어 난간기초와 미디어가 설치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미디어 난간기초(180)를 마련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판을 메인 강관과 합성함으로써 중립축이 상승되어 강관은 인장지배구조로 설계 가능하고 구조적 효율성이 제고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구성간 단순 밀착에 이은 볼트체결로 바닥판과 메인 강관을 용이하게 조립함으로써 현장 작업이 최소화되어 시공성이 개선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110: 메인 강관
120: 오목판
130: 볼록판
140: 인터락킹 연결구
150: 바닥판
160: 가로보
170: 바닥판 고정부
180: 미디어 난간기초

Claims (10)

  1. 중공의 원기둥형으로 마련되며, 단부에 인터락킹 연결구가 마련된 메인 강관;
    상기 메인 강관의 내측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 강관의 내주면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상부가 볼록한 형태로 마련된 볼록판;
    상기 볼록판과 체결되도록 상기 메인 강관의 상부에 판형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메인 강관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하부가 오목한 형태로 마련되는 오목판; 및
    상기 오목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닥판;을 포함하며,
    상기 볼록판, 상기 오목판, 상기 바닥판의 각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홀이 다수개 마련되어 전단 연결볼트에 의해 상기 메인 강관과 상기 바닥판이 체결되며,
    상기 오목판의 미리 설정된 간격에 상부가 배치되며 상기 메인 강관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강관의 횡방향으로 한 쌍으로 배치되는 가로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보는, 상기 메인 강관의 측부에 용접되며 상부는 직선형으로 마련되는 가로보 본체; 판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가로보 본체의 상부에 결합하며 상면에 볼트 스터드가 마련된 횡방향 플랜지부; 및 상기 가로보 본체 및 플랜지부의 일측면에 동시에 결합하는 수직방향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보 본체는 상기 메인 강관측으로 형성된 제1 곡선부와 상기 수직방향 플랜지부 측으로 형성된 제2 곡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곡선부와 상기 제2 곡선부의 곡률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의 플랜지부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바닥판을 고정하는 바닥판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고정부는,
    상기 볼트 스터드가 관통도록 마련되며 상기 가로보의 플랜지부에 고정결합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과 수직하게 결합하며 상기 바닥판의 측부와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수직판;
    상기 수직판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 고정부와 상기 가로보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미디어 난간기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난간기초는,
    상기 메인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며, 난간이 결합되도록 판형으로 마련되는 기초판;
    상기 기초판의 일측 하부에 'L'자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바닥판 고정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L형판; 및
    상기 기초판의 타측 하부에 수직하게 마련되어 내측면이 상기 수직방향 플랜지부에 결합하며 외측면은 미디어가 설치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미디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9. 중공의 원형으로 마련되며, 단부에 인터락킹 연결구가 마련된 메인 강관의 상부에 상기 메인 강관의 내주면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상부가 볼록한 형태로 마련된 볼록판과, 상기 볼록판과 체결되도록 상기 메인 강관의 상부에 판형으로 마련되되 상기 메인 강관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하부가 오목한 형태로 마련되는 오목판을 체결하는 제1 시공단계;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오목판 사이에 상부가 배치되며 상기 메인 강관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강관의 횡방향으로 한 쌍으로 배치되는 가로보를 체결하는 제2 시공단계;
    상기 가로보의 플랜지부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바닥판을 고정하는 바닥판 고정부를 상기 가로보의 상부에 마련하는 제3 시공단계; 및
    상기 바닥판 고정부 사이 사이에 바닥판을 조립하는 제4 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보는, 상기 메인 강관의 측부에 용접되며 상부는 직선형으로 마련되는 가로보 본체; 판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가로보 본체의 상부에 결합하며 상면에 볼트 스터드가 마련된 횡방향 플랜지부; 및 상기 가로보 본체 및 플랜지부의 일측면에 동시에 결합하는 수직방향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보 본체는 상기 메인 강관측으로 형성된 제1 곡선부와 상기 수직방향 플랜지부 측으로 형성된 제2 곡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곡선부와 상기 제2 곡선부의 곡률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 고정부와 상기 가로보에 고정되도록 마련되어 난간기초와 미디어가 설치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미디어 난간기초를 마련하는 제5 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시공방법.
KR1020210128444A 2021-09-29 2021-09-29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2409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444A KR102409280B1 (ko) 2021-09-29 2021-09-29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444A KR102409280B1 (ko) 2021-09-29 2021-09-29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280B1 true KR102409280B1 (ko) 2022-06-14

Family

ID=81980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444A KR102409280B1 (ko) 2021-09-29 2021-09-29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2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2258A (ko) * 1997-12-22 1999-07-05 신현준 강교량의 원형강관 강재주형
JP2003105716A (ja) * 2001-10-01 2003-04-09 Japan Steel Works Ltd:The 角形鋼管を主桁に用いた橋梁構造
KR102125079B1 (ko) * 2019-12-02 2020-06-22 김형준 프리캐스트 강합성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2167960B1 (ko) * 2020-03-31 2020-10-21 (주) 대현이엔씨 구조 개선된 보강구조물이 적용된 교량용 강관 거더
KR102171943B1 (ko) 2019-10-29 2020-11-02 주식회사 알피에스스트럭처 원형강관거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2258A (ko) * 1997-12-22 1999-07-05 신현준 강교량의 원형강관 강재주형
JP2003105716A (ja) * 2001-10-01 2003-04-09 Japan Steel Works Ltd:The 角形鋼管を主桁に用いた橋梁構造
KR102171943B1 (ko) 2019-10-29 2020-11-02 주식회사 알피에스스트럭처 원형강관거더
KR102125079B1 (ko) * 2019-12-02 2020-06-22 김형준 프리캐스트 강합성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2167960B1 (ko) * 2020-03-31 2020-10-21 (주) 대현이엔씨 구조 개선된 보강구조물이 적용된 교량용 강관 거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25927A1 (en)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0882341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빔의 제작방법 및 단면강성이 보강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빔을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KR100887742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강재빔의 제작방법
KR101125967B1 (ko) 구조물 접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
KR102409280B1 (ko) 조립식 원형 강관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20100121864A (ko) 피알씨 복합화 공법에 의한 건축 구조물에 이용되는 피씨 보의 연속식 결속구조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KR102343965B1 (ko) 파형 강관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20040099015A (ko) H빔을 다층으로 연결하고, 선택적으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교량거더와 낙교방지장치 및 다중 지점 지지장치로이루어진 가설교량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200236B1 (ko) 벽체모듈 및, 벽체구조물
JP7237668B2 (ja) デッキ用受け材及び該デッキ用受け材の取付方法
JP2000213177A (ja) 耐震補強鋼板を用いた耐震補強構造及びその取付方法
JP7032051B2 (ja) 床構造施工方法および床構造再利用方法
JP2003239532A (ja) 歩廊ユニット、および歩廊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5042812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架台
KR102373167B1 (ko) 조립보의 접합구조 및, 조립보의 접합구조의 시공방법
JP5042815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架台
JP2022136520A (ja) 検査路
KR102508675B1 (ko) 철골 구조물의 기둥-보 접합부 보강구조
JP3828641B2 (ja) 柱と梁の結合構造
JP7127350B2 (ja) 柱梁接合構造、および柱梁接合構造の施工方法
JP4449891B2 (ja) ユニット建物
KR102002976B1 (ko)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JP4296548B2 (ja) 外壁構造
JP2539981B2 (ja) 建物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