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325B1 -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325B1
KR101836325B1 KR1020160157571A KR20160157571A KR101836325B1 KR 101836325 B1 KR101836325 B1 KR 101836325B1 KR 1020160157571 A KR1020160157571 A KR 1020160157571A KR 20160157571 A KR20160157571 A KR 20160157571A KR 101836325 B1 KR101836325 B1 KR 101836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column member
die
pillar
concret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효
김건수
황규호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7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구조물(10)을 콘크리트 바닥면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격하여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설치되고, 상부에 상측 트임부(101)가 형성됨과 아울러, 측벽에 복수의 결합공(103)이 형성된 보강거푸집(100); 상단이 상기 상부 구조물(10)의 하부에 결합함과 아울러, 하단이 상기 상측 트임부(101)를 통해 상기 보강거푸집(100) 내부에 삽입된 기둥부재(200); 상기 기둥부재(200)의 외주에 설치된 복수의 전단연결부재(210);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기둥부재(200) 또는 상기 전단연결부재(210)의 외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공(103)과 연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장공(221)이 형성된 장공판부재(220); 상기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가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거푸집(100)과 상기 기둥부재(200)를 상호 고정하도록, 상기 결합공(103) 및 장공(221)에 결합한 체결부재(20); 상기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고정하도록, 상기 보강거푸집(100)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를 포함하는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SUPPORTING PAD STRUCTURE ON CONCRETE SLAB}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물탱크 등의 중량물을 콘크리트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지하층이나 옥상에는 조립식 물탱크가 설치되는데, 이는 조립식 물탱크의 점검이나 보수 등을 위하여 콘크리트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간격이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물탱크를 지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구조물은 시공이 편리하면서도, 우수한 구조적 안전성이 요구된다.
특히, 물탱크가 대규모인 경우 넓은 바닥면적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구조물이 필요한데, 콘크리트 바닥면은 완벽한 수평구조를 이루지 못하므로, 지지구조물의 설치위치마다 그 지지구조물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맞추어 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 내지 3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8144호(스테인레스 스틸 복합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물탱크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기초 패드(110)의 상부로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바닥 프레임(120)과, 아연도강판으로 이루어진 아연도 바닥패널(130) 및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스테인레스 바닥패널(140)이 적층되게 시공되어 물탱크의 바닥 구조를 이루고, 상부에는 PDF 패널(210)이 구성되어 물탱크의 상판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물탱크의 바닥 구조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져 물탱크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기초 패드(110)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 구성되며, 이 기초 패드(110)의 상부로 바닥프레임(120)이 사각의 프레임 구조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이 바닥 프레임(120)의 내부에는 기초 패드(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구성되는 아연도 바닥패널(130)이 설치되고, 바닥 프레임(120) 및 아연도 바닥패널(130)의 상부에는 평판의 형상을 이루는 스테인레스 바닥패널(140)이 설치되어 물탱크의 바닥 구조를 구성한다.
여기서, 바닥 프레임(120)은 그 다면의 형상이 대략적으로 "ㄷ" 자의 형상을 이루며, 물탱크의 폭 방향 및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위치함으로써, 물탱크의 면적을 구성하여 기초 패드(110)의 상부에 앙카볼트 등을 통해 결합된다.
또한, 바닥 프레임(120)에는 아연도 바닥패널(130)과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 등에 의해 체결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홀(122)이 형성된다.
아울러, 바닥 프레임(120)은 물탱크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직진성을 가지는 프레임 부재(124)와, 이 프레임 부재(124)를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12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연결 브라켓(126)은 프레임 부재(124)의 양측 단부 즉, 프레임 부재(124)의 코너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바닥 프레임(120)의 각 모서리부에 위치하고, 프레임 부재(124)와 볼트,너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102)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진다.
즉, 바닥 프레임(120)은 물탱크의 하부를 이루도록 그 평면의 형상이 사각의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아연도 바닥패널(130)은 바닥 프레임(120)의 내부로 다수 구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된 바닥 프레임(120)들의 사이사이 공간부에 형성되어 기초 패드(110)와 함께 물탱크의 하중을 지지하며, 물탱크의 바닥 구조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 구성된다.
이러한 아연도 바닥패널(130)은 바닥 프레임(120)과 체결이 이루어지거나, 아연도 바닥패널(130) 간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수직하게 형성된 측면 프레임(132) 및 측면 프레임(132)의 상부에 절곡 형성되며, 기초 패드(110)의 사이 공간부에 위치하며, 바닥 프레임(120)의 상단부와 동일한 위치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스테인레스 바닥패널(140)이 안착되는 상부 프레임(13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아연도 바닥패널(130)의 측면 프레임(132)에는 바닥 프레임(120)에 형성된 관통홀(122)과 연통하며,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통홀(136)이 형성되어 바닥 프레임(120)과 체결되도록 구성되거나, 아연도 바닥패널(130) 간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아연도 바닥패널(130)들 끼리 용접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아연도 바닥패널(130)의 상부 프레임(134)은 물탱크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내부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테인레스 바닥패널(140)이 적층 구성되고, 가장자리에 위치한 스테인레스 바닥패널(140)에는 물탱크의 벽면을 이루는 단위패널(10)들이 용접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바닥 프레임(120) 및 아연도 바닥패널(130)은 아연도강판으로 이루어지며, 물탱크 하부 바닥 구조를 기초 패드(110)와 함께 이루며, 물탱크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바닥 프레임(120)과 아연도 바닥패널(130) 사이에는 가스켓이 더 구성됨으로써, 볼트, 너트의 체결력을 강화하는 한편, 각각의 프레임들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스테인레스 바닥패널(140)은 바닥 프레임(120) 및 아연도 바닥패널(130)의 상부에 적층 구성되어 물탱크의 바닥구조에 대한 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가 최소 1.0t 이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스테인레스 바닥패널(140)은 평판의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물탱크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 프레임(120)과의 접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초채널의 시공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물탱크의 시공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스테인레스 바닥패널(140)은 둘레면의 단부가 바닥 프레임(120)과 접합이 이루어지며, 물탱크의 벽면을 이루는 단위패널(10)들이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도 4 내지 15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82082호(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에 관한 것이다.
바닥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하부받침대(10)와 상부받침대(20)가 상호 나사부(10',20')에 의해 나사 치합이 이루어짐으로서 상부받침대(2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결합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부받침대(20)와 하부받침대(10) 각각에는 원통형태의 상부하우징(25)과 하부하우징(15)이 회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어지게 되며, 상부하우징(25)과 하부하우징(15) 각각에는 연결 지지대(30,40)의 연결을 위한 상부고리(26) 및 하부고리(16)가 각각 구성된다.
특히, 하부하우징(15)과 상부하우징(25)의 외벽면에는 상,하부고리(16,26)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레일홈(17,27)이 4방향에 각각 형성되었다.
그리고, 상부받침대(20)에는 핀홀(21)이 관통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핀홀(21)에는 상부하우징(25)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핀(22)이 체결되어지게 된다.
상기 지지핀(22)은 1개를 관통형태로 체결하거나, 4개의 개별피스를 일정 간격으로 체결하여 상부하우징(25)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탱크 받침은 다수개가 상호 연결지지대(30,40)에 연결된 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각 물탱크 받침에 구비된 하부고리(16)와 상부고리(26)에 연결지지대(30,40)를 X 형태로 교차되게 연결하거나, 또는 평행하게 연결하여 설치되고, 또는 다양한 형태로 연결대(30,40)의 연결 설치가 이루어짐으로서 물탱크(1)의 안정적인 받침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설치 과정에서는 바닥의 높이에 따라 각 물탱크 받침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물탱크(1)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하게 되는데, 받침부재의 높이를 조절코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받침대(20)를 돌려주게 되면 하부받침대(10)와 나사치합 작용에 의해 용이하게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설치 과정에서 상,하부고리(16,26)는 각각 레일홈(17,27)을 따라 위치의 승하강 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적절한 높이에서 상,하부고리(16,26)를 돌려서 내부볼트와의 압착력에 의해 조여주어서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연결지지대(30,40)와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물탱크(1) 지지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물탱크 받침은 상,하부 하우징(15,25)이 상,하부받침대(10,20)와 착탈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를 이룸으로서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며, 상부받침대(20)에 끼워진 상부하우징(25)에 연결지지대(30,40)가 연결되어짐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6 내지 19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99111호(물탱크용 하이브리드 기초)에 관한 것이다.
이는 물탱크(WT) 등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초에 관한 것으로, 상하로 천공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측면마다 하부에 높이 방향으로 개구된 높이조절홀(12)이 구비되고, 물탱크(WT)가 설치될 바닥에서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본체(10); 'ㄴ'자 단면의 판 형상으로, 상기 본체(10) 각각의 측면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를 바닥에 지지시키고, 일면에 소정 단면의 볼트구멍(22)이 형성되는 받침판(20); 사각 판 형상의 중앙부(30a)와 상기 중앙부(30a)의 양단부에서 직각으로 결합되는 날개부(30b)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ㄷ'자 단면의 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0) 각각의 측면 상부에 중앙부(30a)가 밀착 결합되는 연결판(30); 상기 받침판(20)의 볼트구멍(22)과 상기 본체(10) 일측의 높이조절홀(12)을 통과하고, 마주보이는 타측에 위치된 높이조절홀(12)과 받침판(20)의 볼트구멍(22)을 관통하여 너트(N)로 고정되는 관통볼트(40); 상기 본체(10) 내부에 충전되는 모르타르부(50); 양단이 상기 연결판(30)의 날개부(30b) 내측에 고정되어 인접한 본체(1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관통볼트(40)가 상기 본체(10)의 높이조절홀(12)에 관통된 후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높이가 조절된다.
즉 물탱크(WT)용 하이브리드 기초는 크게 본체(10), 받침판(20), 연결판(30), 관통볼트(40), 모르타르부(50) 및 연결프레임(60)으로 구성된다.
본체(10)의 상·하부에 받침판(20)과 연결판(30)이 결합한다.
본체(10)는 물탱크(WT) 기초의 수직부재로써, 강관 등의 재질로 제작된 사각 관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높이는 약 50∼60㎝로 구성되어 보수 점검이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현행법규 및 구조적 안전성을 만족한다면 다양한 재질 및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4개의 측면을 갖게 되는데, 각각의 측면 하부에 장공 또는 슬롯(Slot)형태의 높이조절홀(1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높이조절홀(12)은 높이 방향으로 길게 구성되어 본체(10)의 상단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받침판(20)은 본체(10)의 측면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10)를 받쳐주는 다리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받침판(20)은 'ㄴ'자 단면의 판 부재로 구성되는데, 한 개의 플레이트를 절곡하거나 두 개의 플레이트를 용접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일면은 본체(10)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면은 지면에 맞닿게 된다.
또한 받침판(20)은 일면에 본체(10)의 높이조절홀(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직경으로 천공된 볼트구멍(2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받침판(20)의 볼트구멍(22)과 본체(10)의 높이조절홀(12)에는 관통볼트(40)가 통과하면서 체결되는데, 볼트구멍(22)과 높이조절홀(12)의 가로 직경이 동일하게 구성됨으로써 관통볼트(40)가 체결된 후 좌우 유동이 없도록 구성된다.
관통볼트(40)는 일측의 높이조절홀(12)과 볼트구멍(22)을 관통하는 동시에, 단부의 일부분이 돌출될 정도로 마주보이는 반대편에 위치된 본체(10)의 높이조절홀(12)과 받침판(20)의 볼트구멍(22)도 통과하게 된다. 이때 돌출된 일부분에는 너트(N)가 체결됨으로써 관통볼트(40)가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높이 방향으로 길게 천공된 높이조절홀(12)에 관통볼트(40)가 통과되는 위치에 따라 본체(10)의 높이가 결정된다.
다시 말해서 받침판(20)과 본체(10)는 관통볼트(40)가 체결됨으로써 고정 결합되는데, 지면과 맞닿은 받침판(20)의 볼트구멍(22)을 통과한 관통볼트(40)가 본체(10)의 높이조절홀(12)을 통과하는 위치에 따라 본체(1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결정되고, 이로 인하여 본체(10)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때 받침판(20)의 볼트구멍(22)과 인접한 받침판(20)의 볼트구멍(22)은 상기 관통볼트(40)의 직경만큼 높이 차이가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체(10) 내부를 통과하는 한 쌍의 관통볼트(40)는 서로 교차되는 형상으로 결합되는데, 동일한 높이로 통과된다면 서로 간섭되어 결합이 불가능 해지며, 관통볼트(40)의 직경만큼 높이 차로 통과하면 서로 접촉하면서 본체(10) 내부를 통과하게 되어 더욱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체(10)의 높이를 조정해야한다면 체결된 관통볼트(40)를 해체하고 상술한 과정으로 재체결만 하면 되기에,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연결판(30)은 본체(10)의 측면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ㄷ'자 단면의 판 부재로, 본체(1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60)을 본체(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결판(30)은 본체(10)의 측면에 결합되는 중앙부(30a)와 상기 중앙부(30a)의 양단부에서 수직 연장된 날개부(30b)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체(10)는 측면마다 상부에 소정 단면의 체결홈(14)이 형성되고, 연결판(30)의 중앙부(30a)에는 체결홈(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결속홈(32)이 형성되며, 본체(10)와 연결판(30)은 체결홈(14)과 제1결속홈(32)을 관통하는 볼트 등의 제1체결구(B)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60)은 물탱크(WT)가 설치되는 바닥에서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설치된 [0037] 본체(10)를 서로 연결시키는 부재로, 본체(10)의 측면 상부에 결합된 연결판(30)에 고정된다. 이때 연결판(30)은 각각의 날개부(30b)에 소정 단면 천공된 제2결속홈(34)이 형성되고, 연결프레임(60)은 날개부(30b)의 제2결속홈(34)을 관통하는 볼트 등의 제2체결구(B`)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연결프레임(60)은 각관 또는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져 물탱크(WT)의 하부골조로 이용될 수 있는데, 물탱크(WT)를 설치하기 위한 일부 공정이 생략가능해 짐으로써 공기단축은 물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지지구조물(기둥)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정하는 작업이 불편하므로, 시공성이 좋지 못하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82082호(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의 경우, 파이프에 나사를 형성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다.
둘째, 콘크리트 바닥면과 일체화시키는 구조가 없고, 몰탈 충전을 하더라도, 무근 콘크리트 구조가 되므로, 우수한 강도를 얻을 수 없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82082호(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99111호(물탱크용 하이브리드 기초)의 경우, 콘크리트 바닥면과 일체화된 구조를 얻을 수 없다.
위 종래기술의 도면부호는 당해 종래기술의 설명에 대하여만 한정되는 것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8144호(스테인레스 스틸 복합 물탱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82082호(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99111호(물탱크용 하이브리드 기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 구조물(10)을 콘크리트 바닥면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격하여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설치되고, 상부에 상측 트임부(101)가 형성됨과 아울러, 측벽에 복수의 결합공(103)이 형성된 보강거푸집(100); 상단이 상기 상부 구조물(10)의 하부에 결합함과 아울러, 하단이 상기 상측 트임부(101)를 통해 상기 보강거푸집(100) 내부에 삽입된 기둥부재(200); 상기 기둥부재(200)의 외주에 설치된 복수의 전단연결부재(210);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기둥부재(200) 또는 상기 전단연결부재(210)의 외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공(103)과 연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장공(221)이 형성된 장공판부재(220); 상기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가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거푸집(100)과 상기 기둥부재(200)를 상호 고정하도록, 상기 결합공(103) 및 장공(221)에 결합한 체결부재(20); 상기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고정하도록, 상기 보강거푸집(100)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을 제시한다.
하단이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결합한 복수의 바닥고정부재(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하부에는 하측 트임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고정부재(110)는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고정부재(110)는,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접촉하여 결합하는 바닥부(111);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부(111)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1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112)의 내측에는 상부 삽입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삽입홈(113)에 삽입되도록,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내부에 상기 전단연결부재(210)의 외부를 둘러 상부띠철근(150)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단연결부재(210)의 외측에는 하부 삽입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삽입홈(211)에 삽입되도록,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내부에 상기 전단연결부재(210)의 외부를 둘러 하부띠철근(250)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하측 트임부(102)를 폐쇄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결합한 바닥판부재(1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보강거푸집(100)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돌출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공판부재(220)는 상기 전단연결부재(210)에 대하여 힌지거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단연결부재(210)의 외측 단부에 "ㄷ"자형 단면의 힌지결합부재(212)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결합부재(212)의 외측 단부에 상기 장공판부재(220)가 힌지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부재(200)의 상단에는 상부 결합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재(200)의 중앙부에는 중앙부 결합부(24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부재(200)의 타측에는 간격을 두고 상기 기둥부재(200)와 동일한 구조의 인접 기둥부재(200a)가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200)의 상부 결합부(230)와 상기 인접 기둥부재(200a)의 상부 결합부(230a)에는 각각 수평재(300)의 양단이 결합하고, 상기 수평재(300)의 양단의 내측에는 각각 일측 경사보강재 결합부(301) 및 타측 경사보강재 결합부(302)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재(300)의 일측 경사보강재 결합부(301)와 상기 인접 기둥부재(200a)의 중앙부 보강재 결합부(240a)에는 각각 일측 경사보강재(310)의 양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수평재(300)의 타측 경사보강재 결합부(302)와 상기 기둥부재(200)의 중앙부 결합부(240)에는 각각 타측 경사보강재(320)의 양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상기 복수의 바닥고정부재(110)의 하단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바닥고정부재(110)에 의해 위치가 확보되도록, 상기 보강거푸집(10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상측 트임부(101)를 통해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정함과 아울러, 상기 체결부재(20)를 상기 결합공(103) 및 장공(221)에 공통으로 결합하여, 상기 보강거푸집(100)과 상기 기둥부재(200)를 임시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보강거푸집(100) 내부에 충전재를 충전하여, 상기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상기 복수의 바닥고정부재(110)의 하단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바닥고정부재(110)에 의해 위치가 확보되도록, 상기 보강거푸집(10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둥부재(200)의 전단연결부재(210)의 외부를 둘러 하부띠철근(250)를 설치하되, 상기 하부띠철근(250)이 상기 하부 삽입홈(211)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상측 트임부(101)를 통해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정함과 아울러, 상기 체결부재(20)를 상기 결합공(103) 및 장공(221)에 공통으로 결합하여, 상기 보강거푸집(100)과 상기 기둥부재(200)를 임시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내부에 상기 상부띠철근(150)을 설치하되, 상기 상부띠철근(150)이 상기 상부 삽입홈(113)에 삽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띠철근(150)이 상기 하부띠철근(250)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상부띠철근(150) 및 하부띠철근(250)이 매몰되도록, 상기 보강거푸집(100) 내부에 충전재를 충전하여, 상기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하측 트임부(102)를 폐쇄하도록 상기 바닥판부재(120)를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바닥판부재(120)를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상측 트임부(101)를 통해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정함과 아울러, 상기 체결부재(20)를 상기 결합공(103) 및 장공(221)에 공통으로 결합하여, 상기 보강거푸집(100)과 상기 기둥부재(200)를 임시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보강거푸집(100)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돌출부재(13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거푸집(100) 내부에 충전재를 충전하여, 상기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을 제시한다.
도 1 내지 3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8144호(스테인레스 스틸 복합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도 4 내지 15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82082호(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에 관한 것이다.
도 16 내지 19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99111호(물탱크용 하이브리드 기초)에 관한 것이다.
도 20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0은 상부구조물과 지지구조물의 측면도.
도 21은 상부구조물과 지지구조물의 평면도.
도 22 내지 25는 지지구조물의 사용상태도.
도 26은 보강거푸집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7은 보강거푸집과 바닥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28은 기둥부재의 사시도.
도 29,30은 기둥부재의 주요부 확대도.
도 31,32는 지지구조물의 경사보강재의 사용상태도.
도 33은 보강거푸집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탱크와 같은 상부 구조물(10)을 콘크리트 바닥면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격하여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콘크리트 바닥면(1)에 설치되고, 상부에 상측 트임부(101)가 형성됨과 아울러, 측벽에 복수의 결합공(103)이 형성된 보강거푸집(100); 상단이 상부 구조물(10)의 하부에 결합함과 아울러, 하단이 상측 트임부(101)를 통해 보강거푸집(100) 내부에 삽입된 기둥부재(200); 기둥부재(200)의 외주에 설치된 복수의 전단연결부재(210); 보강거푸집(100)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전단연결부재(210)의 외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결합공(103)과 연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장공(221)이 형성된 장공판부재(220);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가 조정된 상태에서, 보강거푸집(100)과 기둥부재(200)를 상호 고정하도록, 결합공(103) 및 장공(221)에 결합한 체결부재(20);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고정하도록, 보강거푸집(100)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시공된다.
콘크리트 바닥면(1)에 대하여, 보강거푸집(100)을 설치한다(도 26,27,33).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보강거푸집(100)의 상측 트임부(101)를 통해 내부에 삽입하고,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정한 후, 볼트 등의 체결부재(20)를 결합공(103) 및 장공(221)에 공통으로 결합하여, 보강거푸집(100)과 기둥부재(200)를 임시로 고정한다(도 22 내지 25).
도 22,23은 기둥부재(200)의 높이가 가장 낮은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장공(221)의 가장 높은 부위에 체결부재(20)가 결합하고, 도 24,25는 기둥부재(200)의 높이가 가장 높은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장공(221)의 가장 낮은 부위에 체결부재(20)가 결합한다.
보강거푸집(100) 내부에 무수축 몰탈 등의 충전재를 충전하여,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고정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둥부재(200)에 결합한 장공판부재(220)에 장공(221)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기둥부재(200)의 높낮이가 다소 변경되더라도, 체결부재(20)에 의해 안정적으로 보강거푸집(100)에 임시결합할 수 있고, 장공판부재(220)가 판형 구조를 취함에 따라 힌지거동이 가능하므로, 기둥부재(200)의 기울기가 다소 변경되더라도, 장공판부재(220)의 외면이 보강거푸집(100)의 내면에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보강거푸집(100)에 결합할 수 있다.
둘째, 위 구조로 인하여 지지구조물(기둥부재)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정하는 작업이 간편하므로, 시공성이 우수하다.
셋째, 보강거푸집 내부에 기둥부재의 하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충전재를 충전하므로, 우수한 구조적 안전성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보강거푸집(100)의 구조와 관련된 2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째, 보강거푸집(100)의 하부에는 하측 트임부(102)가 형성되고, 콘크리트 바닥면(1)에 결합한 복수의 바닥고정부재(110)에 의해 콘크리트 바닥면(1)에 설치되는 경우이다(도 22 내지 27).
보강거푸집(100)은 복수의 바닥고정부재(110)에 의해 위치가 확보되도록 설치되고, 하단이 콘크리트 바닥면(1)에 접촉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부에 상측 트임부(101)가 형성되고, 측벽에 복수의 결합공(103)이 형성된 통형 구조를 취한다(도 26).
이는 충전재의 거푸집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반드시 강재에 의해 형성될 필요는 없고, 합성수지 재질 등에 의해 형성되어도 충분하며, 원통형, 육면체형 등 어떠한 구조를 취하더라도 관계없다.
보강거푸집(100)은 충전재의 충전 이후에도 제거되지 않고, 충전재의 고결체의 외부를 구속(confinement)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충전재의 압축강도를 증대할 수 있다.
보강거푸집(100)의 하부에 하측 트임부(102)가 형성되고, 복수의 바닥고정부재(110)가 보강거푸집(1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므로, 시공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바닥고정부재(110)는 보강거푸집(100)의 위치를 확보하는 역할 및 충전재와 일체로 결합하여 충전재를 콘크리트 바닥면(1)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로서, 콘크리트 바닥면(1)에 접촉하여 결합하는 바닥부(111); 보강거푸집(1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바닥부(111)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112)를 포함하는 구조로 설치된다(도 27).
바닥고정부재(110)의 바닥부(111)는 콘크리트 바닥면(1)에 접촉하여 결합하는데, 이는 견고한 구조를 취하기 위하여 앵커 결합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콘크리트 바닥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폭시 등의 접착제에 의한 결합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연장부(112)의 내측에 상부 삽입홈(113)이 형성되고, 상부 삽입홈(113)에 삽입되도록, 보강거푸집(100)의 내부에 상기 전단연결부재(210)의 외부를 둘러 상부띠철근(150)이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기둥부재(200)가 상측으로 이탈하는 하중에 대한 저항성능(인장방향)이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연장부(112)는 상부 삽입홈(113)이 형성된 구조를 취함에 따라 "ㄷ"자형 단면구조가 되어 상부띠철근(150)과 함께 거동하게 되는데, 이는 충전재에 매설된 상태에서 perfobond rib 전단연결재의 역할을 하게 된다.
둘째, 보강거푸집(100)의 하측 트임부(102)를 폐쇄하도록 바닥판부재(120)가 설치되고, 그 바닥판부재(120)가 콘크리트 바닥면(1)에 결합하는 경우이다(도 33 내지 35).
보강거푸집(100)과 바닥판부재(120)는 용접, 볼트결합 등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조립되고, 바닥판부재(120)는 앵커결합, 에폭시 등의 접착제에 의해 콘크리트 바닥면에 결합한다.
보강거푸집(100)과 바닥판부재(120)에 작용하는 주된 하중은 압축력이고, 인장력은 크게 발생하지 않으므로, 바닥판부재(120)는 에폭시 등의 접착제에 의해 콘크리트 바닥면에 결합하면 충분하고, 이는 앵커결합에 의한 콘크리트 바닥면의 손상을 방지한다는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보강거푸집(100)의 내부에 충전된 몰탈 등의 충전재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강거푸집(100)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재(130)가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재(130)는 보강거푸집(10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너트(131)와 결합한 볼트(130), 철근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기둥부재(200)에 결합하는 전단연결부재(210)의 외측에 하부 삽입홈(211)이 형성되고, 하부 삽입홈(211)에 삽입되도록, 보강거푸집(100)의 내부에 전단연결부재(210)의 외부를 둘러 하부띠철근(250)이 설치되고, 하부띠철근(250)은 상부띠철근(150)보다 하부에 배치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기둥부재(200)에 의해 전달되는 상부구조물(10)의 하중에 대한 전단연결부재(210)의 저항성능(압축방향)이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다(도 28).
여기서, 전단연결부재(210)는 하부 삽입홈(211)이 형성된 구조를 취함에 따라 "ㄷ"자형 단면구조가 되어 하부띠철근(250)과 함께 거동하게 되는데, 이는 충전재에 매설된 상태에서 perfobond rib 전단연결재의 역할을 하게 된다.
장공판부재(220)는 전단연결부재(210)의 외측에 결합하는데, 이와 다른 구조로 기둥부재(200)의 외측에 결합하더라도 관계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둥부재(200)의 기울기 조정을 쉽게 하기 위하여, 장공판부재(220)는 전단연결부재(210)에 대하여 힌지거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도 29,30).
이를 위하여, 전단연결부재(210)의 외측 단부에 "ㄷ"자형 단면의 힌지결합부재(212)가 설치되고, 힌지결합부재(212)의 외측 단부에 장공판부재(220)가 힌지결합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정한 후, 결합공(103) 및 장공(221)에 공통으로 체결부재(20)가 결합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볼트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장공판부재(220)의 장공(221)에는 암나사 구조를 적용하기가 어려우므로, 석고보드용 앵커와 같이 별도의 쐐기형성부재와의 결합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6).
도 28과 같이 조립된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보강거푸집(100)의 상측 트임부(101)를 통해 내부에 삽입하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20)를 결합공(103) 및 장공(221)에 공통으로 결합하여, 보강거푸집(100)과 기둥부재(200)를 임시로 고정한다(도 22 내지 25).
경사보강재(310,320)(브레이싱)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230,240)가 기둥부재(200)의 상단과 보강거푸집(100)의 외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기둥부재(200)의 설치 높이의 조절에 따라 기둥부재(200)와 보강거푸집(100)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보강재 결합부(230,240)는 기둥부재(200)의 상단 및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둥부재(200)의 상단에는 상부 결합부(230)가 형성되고, 기둥부재(200)의 중앙부에는 중앙부 결합부(24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도 31,32).
구체적으로, 기둥부재(200)의 타측에는 간격을 두고 기둥부재(200)와 동일한 구조의 인접 기둥부재(200a)가 설치되고, 기둥부재(200)의 상부 결합부(230)와 인접 기둥부재(200a)의 상부 결합부(230a)에는 각각 수평재(300)의 양단이 결합하고, 수평재(300)의 양단의 내측에는 각각 일측 경사보강재 결합부(301) 및 타측 경사보강재 결합부(302)가 형성되고, 수평재(300)의 일측 경사보강재 결합부(301)와 인접 기둥부재(200a)의 중앙부 보강재 결합부(240a)에는 각각 일측 경사보강재(310)의 양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 수평재(300)의 타측 경사보강재 결합부(302)와 기둥부재(200)의 중앙부 결합부(240)에는 각각 타측 경사보강재(320)의 양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평소에는 일측 경사보강재(310)와 타측 경사보강재(320)가 "X"자형 브레이싱 구조로서 상부구조물(10)을 지지하도록 하고, 상부구조물(10)의 하부점검시 등과 같이 상부구조물(10)의 하부로 진입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양측 기둥부재(200,200a)의 중앙부 결합부(240)와 경사보강재(310,320)의 하단의 결합을 해제하고, 수평재(300)의 양측 경사보강재 결합부(301,302)와 경사보강재(310,320)의 상단의 결합을 일부 해제하여 양측 기둥부재(200,200a)의 사이에 진입공간(A)이 쉽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경사보강재(310,320)의 상단이 수평재(300)에 매달려 있도록 하므로, 추후 경사보강재(310,320)의 재결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즉, 착탈의 필요가 없는 수평재(300)는 그 양단이 상부 결합부(230)에 고정되도록 하고, 이와 별도로 수평재(300)의 양단의 내측에 경사보강재 결합부(301,302)를 형성함에 따라 상술한 구조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 바닥면(1)에 복수의 바닥고정부재(110)의 하단을 결합하고, 복수의 바닥고정부재(110)에 의해 위치가 확보되도록, 보강거푸집(100)을 설치한다.
기둥부재(200)의 전단연결부재(210)의 외부를 둘러 하부띠철근(250)를 설치하되, 하부띠철근(250)이 하부 삽입홈(211)에 삽입되도록 한다.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보강거푸집(100)의 상측 트임부(101)를 통해 내부에 삽입하고,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정함과 아울러, 체결부재(20)를 결합공(103) 및 장공(221)에 공통으로 결합하여, 보강거푸집(100)과 기둥부재(200)를 임시로 고정한다.
보강거푸집(100)의 내부에 상부띠철근(150)을 설치하되, 상부띠철근(150)이 삽입홈(113)에 삽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부띠철근(150)이 하부띠철근(250)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원형 구조의 상부띠철근(150)이나 하부띠철근(250)의 설치가 어려운 경우, 반원형 구조의 철근 2개를 조립하여 원형 구조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부띠철근(150) 및 하부띠철근(250)이 매몰되도록, 보강거푸집(100) 내부에 충전재를 충전하여,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고정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콘크리트 바닥면 10 : 상부 구조물
20 : 체결부재 100 : 보강거푸집
101 : 상측 트임부 102 : 하측 트임부
103 : 결합공 110 : 바닥고정부재
111 : 바닥부 112 : 연장부
113 : 상부 삽입홈 120 : 바닥판부재
130 : 돌출부재 150 : 상부띠철근
200 : 기둥부재 210 : 전단연결부재
211 : 하부 삽입홈 212 : 힌지결합부재
220 : 장공판부재 221 : 장공
230 : 보강재 결합부 250 : 하부띠철근
300 : 수평재 301,302 : 경사보강재 결합부
310 : 일측 경사보강재 320 : 타측 경사보강재

Claims (14)

  1. 상부 구조물(10)을 콘크리트 바닥면(1)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격하여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설치되고, 상부에 상측 트임부(101)가 형성됨과 아울러, 측벽에 복수의 결합공(103)이 형성된 보강거푸집(100);
    상단이 상기 상부 구조물(10)의 하부에 결합함과 아울러, 하단이 상기 상측 트임부(101)를 통해 상기 보강거푸집(100) 내부에 삽입된 기둥부재(200);
    상기 기둥부재(200)의 외주에 설치된 복수의 전단연결부재(210);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기둥부재(200) 또는 상기 전단연결부재(210)의 외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공(103)과 연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장공(221)이 형성된 장공판부재(220);
    상기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가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거푸집(100)과 상기 기둥부재(200)를 상호 고정하도록, 상기 결합공(103) 및 장공(221)에 결합한 체결부재(20);
    상기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고정하도록, 상기 보강거푸집(100)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결합한 복수의 바닥고정부재(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하부에는 하측 트임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고정부재(110)는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고정부재(110)는,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접촉하여 결합하는 바닥부(111);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부(111)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12)의 내측에는 상부 삽입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삽입홈(113)에 삽입되도록,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내부에 상기 전단연결부재(210)의 외부를 둘러 상부띠철근(1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연결부재(210)의 외측에는 하부 삽입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삽입홈(211)에 삽입되도록,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내부에 상기 전단연결부재(210)의 외부를 둘러 하부띠철근(2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하측 트임부(102)를 폐쇄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결합한 바닥판부재(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보강거푸집(100)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돌출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판부재(220)는 상기 전단연결부재(210)에 대하여 힌지거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연결부재(210)의 외측 단부에 "ㄷ"자형 단면의 힌지결합부재(212)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결합부재(212)의 외측 단부에 상기 장공판부재(220)가 힌지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200)의 상단에는 상부 결합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재(200)의 중앙부에는 중앙부 결합부(2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200)의 타측에는 간격을 두고 상기 기둥부재(200)와 동일한 구조의 인접 기둥부재(200a)가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200)의 상부 결합부(230)와 상기 인접 기둥부재(200a)의 상부 결합부(230a)에는 각각 수평재(300)의 양단이 결합하고,
    상기 수평재(300)의 양단의 내측에는 각각 일측 경사보강재 결합부(301) 및 타측 경사보강재 결합부(302)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재(300)의 일측 경사보강재 결합부(301)와 상기 인접 기둥부재(200a)의 중앙부 보강재 결합부(240a)에는 각각 일측 경사보강재(310)의 양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수평재(300)의 타측 경사보강재 결합부(302)와 상기 기둥부재(200)의 중앙부 결합부(240)에는 각각 타측 경사보강재(320)의 양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12.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상기 복수의 바닥고정부재(110)의 하단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바닥고정부재(110)에 의해 위치가 확보되도록, 상기 보강거푸집(10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상측 트임부(101)를 통해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정함과 아울러, 상기 체결부재(20)를 상기 결합공(103) 및 장공(221)에 공통으로 결합하여, 상기 보강거푸집(100)과 상기 기둥부재(200)를 임시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보강거푸집(100) 내부에 충전재를 충전하여, 상기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
  13. 제5항의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상기 복수의 바닥고정부재(110)의 하단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바닥고정부재(110)에 의해 위치가 확보되도록, 상기 보강거푸집(10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둥부재(200)의 전단연결부재(210)의 외부를 둘러 하부띠철근(250)를 설치하되, 상기 하부띠철근(250)이 상기 하부 삽입홈(211)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상측 트임부(101)를 통해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정함과 아울러, 상기 체결부재(20)를 상기 결합공(103) 및 장공(221)에 공통으로 결합하여, 상기 보강거푸집(100)과 상기 기둥부재(200)를 임시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내부에 상기 상부띠철근(150)을 설치하되, 상기 상부띠철근(150)이 상기 상부 삽입홈(113)에 삽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띠철근(150)이 상기 하부띠철근(250)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상부띠철근(150) 및 하부띠철근(250)이 매몰되도록, 상기 보강거푸집(100) 내부에 충전재를 충전하여, 상기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
  14. 제7항의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하측 트임부(102)를 폐쇄하도록 상기 바닥판부재(120)를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바닥판부재(120)를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상기 보강거푸집(100)의 상측 트임부(101)를 통해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기둥부재(20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정함과 아울러, 상기 체결부재(20)를 상기 결합공(103) 및 장공(221)에 공통으로 결합하여, 상기 보강거푸집(100)과 상기 기둥부재(200)를 임시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보강거푸집(100)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돌출부재(13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거푸집(100) 내부에 충전재를 충전하여, 상기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60157571A 2016-11-24 2016-11-24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KR101836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571A KR101836325B1 (ko) 2016-11-24 2016-11-24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571A KR101836325B1 (ko) 2016-11-24 2016-11-24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325B1 true KR101836325B1 (ko) 2018-04-19

Family

ID=6208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571A KR101836325B1 (ko) 2016-11-24 2016-11-24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3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141A (ko) * 2018-06-11 2019-12-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102182445B1 (ko) * 2020-07-31 2020-11-24 (주) 세진에스엠씨 기초건식패드를 적용한 smc패널 조립식 물탱크 및 그 물탱크의 시공법
KR20210136646A (ko) * 2020-05-08 2021-11-17 이형기 조립식 물탱크용 바닥프레임
KR102343378B1 (ko) * 2021-09-10 2021-12-24 (주)엔아이씨이 물탱크 지지구조물 및 조립식 물탱크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619Y1 (ko) * 2006-02-24 2006-05-04 한광건설(주) 거푸집 설치용 수평 조절장치
KR20090007606U (ko) * 2008-01-23 2009-07-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형 블록 탑재를 위한 지지대 장치
KR101458144B1 (ko) * 2014-07-07 2014-11-05 (주)덕일기공 스테인레스 스틸 복합 물탱크
KR101482082B1 (ko) * 2014-11-12 2015-01-14 (주)우진테크 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619Y1 (ko) * 2006-02-24 2006-05-04 한광건설(주) 거푸집 설치용 수평 조절장치
KR20090007606U (ko) * 2008-01-23 2009-07-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형 블록 탑재를 위한 지지대 장치
KR101458144B1 (ko) * 2014-07-07 2014-11-05 (주)덕일기공 스테인레스 스틸 복합 물탱크
KR101482082B1 (ko) * 2014-11-12 2015-01-14 (주)우진테크 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141A (ko) * 2018-06-11 2019-12-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102115733B1 (ko) 2018-06-11 2020-05-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20210136646A (ko) * 2020-05-08 2021-11-17 이형기 조립식 물탱크용 바닥프레임
KR102419135B1 (ko) 2020-05-08 2022-07-08 이형기 조립식 물탱크용 바닥프레임
KR102182445B1 (ko) * 2020-07-31 2020-11-24 (주) 세진에스엠씨 기초건식패드를 적용한 smc패널 조립식 물탱크 및 그 물탱크의 시공법
KR102343378B1 (ko) * 2021-09-10 2021-12-24 (주)엔아이씨이 물탱크 지지구조물 및 조립식 물탱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325B1 (ko)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KR101295740B1 (ko)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의 상하 분리식 접합부구조
KR101544803B1 (ko) 절곡강판 합성보의 기둥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66806B1 (ko) Pc기둥에 설치된 임시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KR101067001B1 (ko) 철근을 이용한 스틸 박스 거더 교량의 슬래브 시공 공법
KR101751698B1 (ko) 단부 안장형 걸침부재를 갖는 pc보를 이용한 기둥-보 접합부 구조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KR101791651B1 (ko)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및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
KR20160097888A (ko)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KR101750177B1 (ko) 절단 브리지형 펀칭전단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기초판의 시공방법
KR100906156B1 (ko)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1675045B1 (ko) 모듈박스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80117878A (ko) 교량 상부 구조의 가로보 연결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JP4287755B2 (ja) 鋼桁と合成床版の結合構造
KR102433621B1 (ko) 단면 하부에 강재가 집중 배치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KR101942567B1 (ko) 보의 단부 마구리면을 형틀 지지부로 하는 모멘트 접합 구조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KR101954387B1 (ko)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101872274B1 (ko)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상하 pc기둥 간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와 고정식 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
KR20190126530A (ko) 앵글형 선조립 기둥
KR102002976B1 (ko)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식 지지구조물
KR102115733B1 (ko)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JP7032051B2 (ja) 床構造施工方法および床構造再利用方法
KR20170139873A (ko)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KR20050073773A (ko) 골판형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라브 구조 및 시공법
JP4656460B2 (ja) 建物の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