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621B1 - 단면 하부에 강재가 집중 배치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 Google Patents

단면 하부에 강재가 집중 배치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621B1
KR102433621B1 KR1020170137062A KR20170137062A KR102433621B1 KR 102433621 B1 KR102433621 B1 KR 102433621B1 KR 1020170137062 A KR1020170137062 A KR 1020170137062A KR 20170137062 A KR20170137062 A KR 20170137062A KR 102433621 B1 KR102433621 B1 KR 102433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deck
beams
composite girder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4763A (ko
Inventor
심남주
김건영
Original Assignee
심남주
김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남주, 김건영 filed Critical 심남주
Priority to KR1020170137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6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4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04B5/29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the prefabricated parts of the beams consisting whol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는 보의 중앙부에서 중립축 하부에 강재의 전체 단면을 배치하여 단면 성능면에서 강재의 인장 효율을 극대화(강재의 전체 단면이 인장 영역에 배치)하고 중립축 상부는 리브 데크의 마구리면을 경계로 하는 와이드한 콘크리트 단면이 구성되어 압축 면적을 확보하므로 단면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보 하부의 형틀 작업을 생략하고 서포트 개소를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현장의 작업성 및 공기 단축을 이룰 수 있으며, 리브 데크의 높은 춤을 합성보의 측면 마구리 형틀로 사용하여 시공성을 높일 수 있고, 단면에서 리브 데크쪽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므로 상부 철근 배근 간격에 여유가 생겨 배근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면 하부에 강재가 집중 배치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Unidirectional structure of wide double composite girder in which steel members is placed in the lower section thereof}
본 발명은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보의 중앙부에서 중립축 하부에 강재의 전체 단면을 배치하여 단면 성능면에서 강재의 인장 효율을 극대화(강재의 전체 단면이 인장 영역에 배치)하고 중립축 상부는 리브 데크의 마구리면을 경계로 하되 상부로 갈수록 단면의 폭이 확장되는 와이드한 콘크리트 단면이 구성되어 압축 면적을 확보하므로 단면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고, 보 하부의 형틀 작업을 생략하고 서포트 개소를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현장의 작업성 및 공기단축을 이룰 수 있으며, 리브 데크의 높은 춤을 합성보의 측면 마구리 형틀로 사용하여 시공성을 높일 수 있고, 단면에서 리브 데크쪽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므로 상부 철근 배근 간격에 여유가 생겨 배근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장스팬용 리브 데크는 보와 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슬래브를 이룬다.
도 1은 리브 데크(3)의 단부가 보(2, H형강)의 상부 플랜지에 거치된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보의 춤이 너무 커지고 상부 플랜지에 양쪽의 리브 데크(3)가 거치되므로 하중을 전달하는 면이 협소하여 구조적으로 취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미설명 도면 참조부호 5는 리브 데크(3)와 보(2)의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부를 나타낸다.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스팬용 리브 데크(3)의 단부를 하부 플랜지에 거치시키는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구조는 보 설치후 현장에서 데크를 판개하는 시공성이 저하되고 보춤이 낮아지기 때문에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춤이 낮은 한 쌍의 보(H형강)를 기둥의 양측면에 접하거나 기둥에 근접하도록 설치하고 보(H형강)의 상부 플랜지에 리브 데크의 단부를 거치함으로써 보춤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한 쌍의 보(H형강)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와 보(H형강)로 인해 단면 내력이 증가하고 슬래브와 강재 및 콘크리트의 합성 효과를 가지므로 보춤 감소로 인한 내력 감소를 보완할 수 있고 한 쌍의 보(H형강)가 배치되므로 하중을 전달하는 면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의 중앙부에서 중립축 하부에 강재의 전체 단면을 배치하여 단면 성능면에서 강재의 인장 효율을 극대화(강재의 전체 단면이 인장 영역에 배치)하고 중립축 상부는 리브 데크의 마구리면을 경계로 하는 와이드한 콘크리트 단면이 구성되어 압축 면적을 확보하므로 단면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 하부의 형틀 작업을 생략하고 서포트 개소를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현장의 작업성 및 공기단축을 이룰 수 있고, 리브 데크의 높은 춤을 합성보의 측면 마구리 형틀로 사용하여 시공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단면에서 리브 데크쪽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므로 상부 철근 배근 간격에 여유가 생겨 배근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100)는, 기둥; 기둥의 양측면에 접하거나 양측면에 근접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제1 보(10); 제1 보(10)의 상부 플랜지에 그 끝단이 거치되도록 설치된 리브 데크(30); 및, 리브 테크(30) 사이의 공간 및 한 쌍의 제1 보(10) 사이의 공간에 타설된 콘크리트부(50);를 포함한다.
리브 데크(30)의 단부는 위로 갈수록 제1 보(10)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제1 보(10)의 상측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콘크리트부(51)가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보(10) 사이의 공간에는 직사각 형상의 콘크리트부(55)가 형성되고, 콘크리트부(51)와 콘크리트부(55)는 일체로 형성된다. 제1 보(10)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중립축의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춤이 낮은 한 쌍의 보(H형강)를 기둥의 양측면에 접하거나 근접하도록 설치하고 보(H형강)의 상부 플랜지에 리브 데크의 단부를 거치함으로써 보춤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한 쌍의 보(H형강)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와 H형강으로 인해 단면 내력이 증가하고 슬래브와 강재 및 콘크리트의 합성 효과를 가지므로 보춤 감소로 인한 내력 감소를 보완할 수 있고 한 쌍의 H형강이 배치되므로 하중을 전달하는 면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둘째, 보의 중앙부에서 중립축 하부에 강재의 전체 단면을 배치하여 단면 성능면에서 강재의 인장 효율을 극대화(강재의 전체 단면이 인장 영역에 배치)하고 중립축 상부는 리브 데크의 마구리면을 경계로 하는 와이드한 콘크리트 단면이 구성되어 압축 면적을 확보하므로 단면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셋째, 보 하부의 형틀 작업을 생략하고 서포트 개소를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현장의 작업성 및 공기 단축을 이룰 수 있고, 리브 데크의 높은 춤을 합성보의 측면 마구리 형틀로 사용하여 시공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단면에서 리브 데크쪽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므로 상부 철근 배근 간격에 여유가 생겨 배근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브 데크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브 데크의 또 다른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단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도.
도 5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중앙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a는 도 3의 철판 데크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는 데크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데크 플레이트가 연결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가 CFT 기둥에 연결된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VIII-VIII' 단면도.
도 9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가 SRC 기둥에 연결된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정면도.
도 11은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가 SRC 기둥에 연결된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a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제1 보 사이에 횡보강 간격재로서 철근이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b는 도 12a의 평면도.
도 13은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제1 보 사이에 횡보강 간격재로서 앵글이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4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제1 보 사이에 횡보강 간격재로서 철판이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단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도이며, 도 5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중앙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100)는 한 쌍의 제1 보(10)와, 제1 보(10)의 상부 플랜지에 그 단부가 거치되도록 설치된 리브 데크(30) 및, 리브 테크(30)의 단부 사이의 공간 및 한 쌍의 제1 보(10) 사이의 공간에 타설된 콘크리트부(50)를 포함한다.
제1 보(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보(10)는 기둥(도 7의 90 및 도 9의 95, 도 3에는 미도시)의 양측면에 접하거나 기둥(90)(95)으로부터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제1 보(10)가 기둥(90)(95)과 접합되지 아니하고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기둥(90)(95)과 제1 보(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97, 도 7~8에는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제1 보(10) 사이의 거리(w)는 500mm ~ 1200mm이다.
한 쌍의 제1 보(10) 사이에는 평평한 철판 데크(20)와, 철판 데크(20)의 위에 설치된 철근 트러스(21)가 설치될 수 있다. 철판 데크(20)와 철근 트러스(21)는 상부 하중을 지지한다.
한편, 미설명된 도면 참조부호 22는 주철근을 나타내고, 23은 상부 철근을 나타내며, 24는 스터럽 철근을 나타낸다.
철판 데크(20)의 대안으로서, 일반적인 평평한 철판 또는 프리스트레싱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또는 도 6a ~ 6b에 도시된 데크 플레이트(25)가 사용될 수도 있다.
데크 플레이트(25)는 금속판이 벤딩되어 만들어진 것으로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수직부(26)와 좌우 양측단의 결속부(27)(28)를 포함한다. 데크 플레이트(25)는 그 자체로서 상부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철근 트러스(21) 등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현장 작업이 수월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철판 데크(20)와 데크 플레이트(25)를 대신하여 형틀이 사용될 수도 있다.
수직부(26)는 금속판이 소정 간격으로 접혀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부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좌우 양측단의 결속부(27)(28)는 서로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25)를 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리브 데크(30)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리브(31)를 갖는 데크로서, 리브 데크(30)는 리브(31)가 제1 보(10)와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리브 데크(30)는 다수 개의 리브(31)를 가지므로 그 자체적으로 상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리브 데크(30)의 내부에는 상부 보강근(32), 배력근(33), 상부근(34), 하부근(35), 하부 보강근(36) 및, 전단 보강근(37)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철근들이 배근 완료된 후, 리브 데크(30)에는 현장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슬래브로 이루어진다. 한편, 하부근(35)을 정위치시키기 위해서 원형 스페이서(38)가 사용될 수도 있다.
리브 데크(30)의 양쪽 단부(39)는 위로 갈수록 제1 보(10)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고, 이에 따라 제1 보(10)의 상측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경우 양쪽의 단부(39)가 마구리 형틀 역할을 하므로 사다리꼴 형상의 콘크리트부(51)가 형성된다.
한편, 한 쌍의 제1 보(10) 사이의 공간에는 제1 보(10)와 철판 데크(20)에 의해서 직사각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현장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직사각 형상의 콘크리트부(55)가 형성된다. 물론, 현장 콘크리트는 한꺼번에 타설되므로 콘크리트부(51)와 콘크리트부(55)는 일체로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 하부의 형틀 작업을 생략하고 서포트 개소를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현장의 작업성 및 공기단축을 이룰 수 있고, 리브 데크(30)의 높은 춤을 합성보의 측면 마구리 형틀로 사용하여 시공성을 높일 수 있으며, 리브 데크(30)쪽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므로 상부 철근 배근 간격에 여유가 생겨 배근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구조(100)에서는 제1 보(10, H형강 보)가 통상적인 H형강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대신에 제1 보(10)가 소정 간격으로 한 쌍이 배치되고 제1 보(10)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부(50)가 형성되므로 낮은 보춤을 보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10)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중립축(NA)의 하부에 위치하고, 보의 중앙부에서 중립축 하부에 강재의 전체 단면을 배치하여 단면 성능면에서 강재의 인장 효율을 극대화(강재의 전체 단면이 인장 영역에 배치)하고 중립축(NA)의 상부는 리브 데크(30)의 마구리면을 경계로 하는 와이드한 콘크리트 단면이 구성되어 압축 면적을 확보하므로 단면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리브 데크(30)가 사용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리브 데크(30)를 대신하여 보이드 데크(void deck), RIB RC SLAB, RC FLAT SLAB, PC SLAB, RIB, Hollow Core SLAB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은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가 CFT 기둥에 연결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VIII-VIII'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보(10)는 CFT 기둥(90)의 양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1 보(10)와 CFT 기둥(90)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해, 제1 보(10) 사이에 철판(92)이 용접되어 설치되고 제1 보(10)의 바깥쪽에 철판(93)이 용접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8에는 철판(92)(93)이 쉽게 식별되도록 해칭으로 도시되어 있다.
CFT 기둥(90)의 철판에는 소정 간격으로 주입구(91)가 형성된다. 주입구(91)는 현장 콘크리트를 CFT 기둥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1 보(10)가 CFT 기둥(90)과 근접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연결부재(도면에 미도시)가 제1 보(10)와 CFT 기둥(90)을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제1 보(10) 사이의 거리(w)는 500mm ~ 12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가 SRC 기둥에 연결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보(10)는 SRC 기둥(95)의 양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되, 제1 보(10)와 기둥 철골(96)을 연결하는 연결부재(97)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보강판(98)이 기둥철골(96)과 연결부재(97) 및 제1 보(10)에 수직으로 결합(용접)되어 전단력을 증강시킨다.
도 11은 이러한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가 SRC 기둥에 연결된 구조를 보여준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양쪽 단부는 SRC 기둥(95)에 강접합으로 연결되고, 제2 보(70)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되 제2 보(70)의 양쪽 단부가 SRC 기둥(95)에 강접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CFT 기둥과 SRC 기둥에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가 접합되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는 RC 기둥, PC 기둥, STEEL 기둥 등 모든 형태의 기둥에 접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은 본 명세서를 참조한 당업자가 쉽게 그 구조를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2a ~ 도 14는 제1 보(10) 사이에 횡보강 간격재가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 12a ~ 도 14에는 콘크리트부(50)와 리브 데크(30) 등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상기 횡보강 간격재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횡좌굴과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a는 제1 보 사이에 횡보강 간격재로서 철근이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평면도이다.
상기 철근(61)은 그 양쪽 끝단이 갈고리 형태로 벤딩되어 스터드 볼트(12)에 체결되거나 그 양쪽 끝단이 벤딩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H 형강(제1 보, 10)에 직접 용접될 수도 있다.
상기 철근(61)은 직경 10mm ~ 16mm인 이형철근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철근(61)은 스터드 볼트(12) 마다 설치되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터드 볼트(12)를 건너뛴 후 설치될 수도 있다. 철근(61)은 제1 보(10)의 길이방향으로 300mm ~ 1200mm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횡방향 간격재로서 'ㄱ' 단면을 갖는 앵글이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앵글(63)은 제1 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앵글(63)은 그 양쪽 단부가 용접 또는 볼트(도면에 미도시)에 의해서 상,하부 플랜지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앵글(63)을 대신하여 철판(도면에 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4는 횡방향 간격재로서 철판이 양쪽 제1 보(10)의 측면(상,하부 플랜지의 측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상기 철판(65)은 제1 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철판(65)은 그 양쪽 단부가 상,하부 플랜지의 측면에 용접되어 결합된다.
10 : 제1 보 20 : 철판 데크
30 : 리브 데크 50 : 콘크리트부
70 : 제2 보 90 : CFT 기둥
95 : SRC 기둥
100 :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Claims (6)

  1. 기둥;
    기둥의 양측면에 각각 접하거나 양측면에 근접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제1 보(10);
    제1 보(10)의 상부 플랜지에 그 끝단이 거치되도록 설치된 리브 데크(30); 및,
    리브 테크(30) 사이의 공간 및 한 쌍의 제1 보(10) 사이의 공간에 타설된 콘크리트부(50);를 포함하고,
    리브 데크(30)의 단부는 위로 갈수록 제1 보(10)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제1 보(10)의 상측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콘크리트부(51)가 형성되며, 한 쌍의 제1 보(10) 사이의 공간에는 직사각 형상의 콘크리트부(55)가 형성되고, 콘크리트부(51)와 콘크리트부(55)는 일체로 형성되며,
    제1 보(10)의 단면 전체가 중립축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기둥은 기둥철골(96)을 갖는 SRC 기둥(95)이고,
    기둥철골(96)과 제1 보(10)를 연결하도록 연결부재(97)가 설치되며,
    기둥철골(96)의 네 측면 중 제1 보(10)와 마주보는 측면에는 보강판(98)이 리브데크(3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보강판(98)은 기둥철골(96)의 측면과 연결부재(97)의 윗면 및 제1 보(10)의 상부 플랜지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전단력을 증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리브 테크(30)는 아래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리브(31)를 포함하고, 리브(31)는 이웃하는 리브(31)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리브(31)는 제1 보(1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리브(31)의 내부에는 철근이 설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채워지며,
    리브(31)의 끝단의 하단은 제1 보(10)의 상부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보(10) 사이에는 평평한 철판 데크(20)가 양쪽 제1 보(10)의 하부 플랜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철판 데크(20)의 위에는 철근 트러스(21)와 주철근(22)이 설치되며,
    철근 트러스(21)는 제1 보(10)의 길이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보(10) 사이에는 데크 플레이트(25)가 양쪽 제1 보(10)의 하부 플랜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데크 플레이트(25)는 금속판이 벤딩되어 만들어진 것으로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수직부(26)와 좌우 양측단의 결속부(27)(28)를 포함하며, 수직부(26)는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금속판이 중첩되도록 접혀서 형성되고,
    결속부(27)는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25)의 결속부(28)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5. 삭제
  6. 삭제
KR1020170137062A 2017-10-23 2017-10-23 단면 하부에 강재가 집중 배치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KR102433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062A KR102433621B1 (ko) 2017-10-23 2017-10-23 단면 하부에 강재가 집중 배치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062A KR102433621B1 (ko) 2017-10-23 2017-10-23 단면 하부에 강재가 집중 배치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763A KR20190044763A (ko) 2019-05-02
KR102433621B1 true KR102433621B1 (ko) 2022-08-17

Family

ID=66581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062A KR102433621B1 (ko) 2017-10-23 2017-10-23 단면 하부에 강재가 집중 배치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504B1 (ko) 2022-11-23 2024-01-16 (주)에스엠구조안전진단 콘크리트 충전형 변단면 철골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변단면 와이드 합성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4530B (zh) * 2019-12-31 2023-10-03 深圳机械院建筑设计有限公司 大跨度建筑钢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102B1 (ko) * 2010-03-09 2011-04-13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데크플레이트 연결구조
KR101727518B1 (ko) * 2016-05-23 2017-04-18 대림산업 주식회사 역타공법용 층고 절감형 바닥 구조 및 층고 절감형 바닥 구조를 이용한 역타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2889Y2 (ja) * 1992-03-19 1998-05-25 清水建設株式会社 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上部構造
KR100629795B1 (ko) * 2004-09-07 2006-09-28 전상현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보와바닥판의 결합 구조
KR20060024850A (ko) * 2004-09-15 2006-03-20 삼성물산 주식회사 철골-콘크리트 샌드위치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합성 구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102B1 (ko) * 2010-03-09 2011-04-13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데크플레이트 연결구조
KR101727518B1 (ko) * 2016-05-23 2017-04-18 대림산업 주식회사 역타공법용 층고 절감형 바닥 구조 및 층고 절감형 바닥 구조를 이용한 역타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504B1 (ko) 2022-11-23 2024-01-16 (주)에스엠구조안전진단 콘크리트 충전형 변단면 철골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변단면 와이드 합성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763A (ko)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194B1 (ko)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134460B1 (ko) 래티스 철근을 이용한 강재빔 및 그 시공방법
KR101186062B1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과 에이치형 단면 강재 보의 접합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40434B1 (ko) 강재거더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거더를 적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으로 시공된 합성형 라멘교
KR101082575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장지간 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KR20170076876A (ko) 단부 보강형 합성보와 기둥의 접합 구조
KR102029301B1 (ko)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KR102433621B1 (ko) 단면 하부에 강재가 집중 배치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KR200455723Y1 (ko) 하이브리드 철골보
KR20070004279A (ko)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전단보강구조
KR101396440B1 (ko) 프리스트레스트 단부 보강 복합 보
KR100949828B1 (ko) 층고절감형 철골보 및 이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합성보
KR101402384B1 (ko) 압축력 전달판을 구비하는 철골보 및, 그 시공방법
KR101458875B1 (ko) 플레이트-각관 조립철골보에 의한 슬림플로어 합성구조
KR101176846B1 (ko) 보의 내력 강화구조를 갖는 공작물
KR102131498B1 (ko) 합성보, 바닥구조체 및 합성보와 기둥부재의 접합구조
KR101124820B1 (ko) 슬래브 구축용 결합구조
KR101014195B1 (ko) 프리스트레스트 웨브 골형강판 합성보
KR101878762B1 (ko)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KR101184762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에이치형 단면 강재 보
KR101738244B1 (ko) 트러스보강 조립보
KR101984211B1 (ko) 보와 기둥이 연결되는 부분을 보강할 수 있는 와이드 합성 구조
KR102139851B1 (ko) 역t형 단면 혼합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329482B1 (ko) 강성 보강 링크 바를 갖는 슬림플로어 공법의 데크플레이트 처짐 제어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