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301B1 -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 Google Patents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9301B1 KR102029301B1 KR1020180002789A KR20180002789A KR102029301B1 KR 102029301 B1 KR102029301 B1 KR 102029301B1 KR 1020180002789 A KR1020180002789 A KR 1020180002789A KR 20180002789 A KR20180002789 A KR 20180002789A KR 102029301 B1 KR102029301 B1 KR 1020293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sembly
- pillar
- angle
- support angle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29910001208 Crucible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 기초보강부가 일체로 결합된 선조립 기둥 조립체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기둥 부위의 기초판 보강을 완료할 수 있어 기초판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공기 단축이 가능하고, 현장 시공이 복잡한 앵커볼트나 앵커플레이트의 설치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한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는 강합성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기 위해 기둥의 각 모서리에 기둥의 외면과 일정 간격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주형강재 및 상기 주형강재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횡지지부재로 구성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 및 기초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도록 상기 선조립 기둥 조립체의 주형강재에 결합되는 것으로, 선조립 기둥 조립체의 외측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기초보강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는 강합성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기 위해 기둥의 각 모서리에 기둥의 외면과 일정 간격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주형강재 및 상기 주형강재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횡지지부재로 구성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 및 기초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도록 상기 선조립 기둥 조립체의 주형강재에 결합되는 것으로, 선조립 기둥 조립체의 외측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기초보강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부에 기초보강부가 일체로 결합된 선조립 기둥 조립체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기둥 부위의 기초판 보강을 완료할 수 있어 기초판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공기 단축이 가능하고, 현장 시공이 복잡한 앵커볼트나 앵커플레이트의 설치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한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최근 각종 건축물의 대형화, 고층화 등에 따라 건축물의 규모가 증가하면서 건축물의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는 기초판의 규모 역시 커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기둥이나 벽과 같은 수직 부재 부근의 기초판은 모멘트 및 전단력이 크게 작용한다. 그러므로 이 부분은 기초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터파기 물량 및 콘크리트 물량이 증가하여 공기 및 공사 비용이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이에 종래 등록특허 제10-0624075호에서는 기둥 위치에 철골 부재로 구성되는 기초보강재를 설치하여 기초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은 기둥 위치에 철골 부재로 구성되는 기초보강재를 설치한 다음, 기둥의 주근 이음을 위한 이음철근을 배근한 후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순서로 시공한다.
다음으로, 이음철근에 이음되도록 별도의 기둥 주근을 설치하고 기둥을 시공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은 기초보강재와 기둥이 별도로 시공되므로 공정이 늘어나 공사 기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기초보강재의 위치가 오시공되는 경우 기둥 설치가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기초보강재가 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철골량이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철골 구조는 철구 공장에서 정밀 제작되므로 정밀도가 매우 높은 반면, 현장에서 거푸집 설치와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이루어지는 철근콘크리트 공사는 철골 구조에 비해 시공 정밀도가 많이 떨어진다.
이에 기존에는 선조립되는 철골조 기둥을 기초부에 설치하는 경우, 기초부 콘크리트 타설 전에 버림콘크리트 상부에 앵커볼트 및 앵커플레이트를 설치하여 고정하고, 앵커플레이트 상부에 선조립 철골 기둥을 설치하여 고정하였다. 이때, 앵커볼트의 수직도를 조절하고, 콘크리트의 타설 및 경화 전까지 앵커볼트가 자립할 수 있도록 별도의 지지 프레임을 설치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공정은 철골 공사인지 철근콘크리트 공사인지 소관이 불명확할 뿐 아니라 현장 시공이 어려워 공기는 물론 비용 상승의 요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기둥 모멘트가 큰 경우에는 앵커플레이트와 기둥 형강 사이에 리브 플레이트를 용접 결합하게 되는데, 이러한 리브플레이트는 바닥 슬래브 상부로 돌출되므로 바닥 면적 사용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둥 부위의 기초판 보강시, 공정이 단순하여 시공성 향상,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이 가능한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둥 부위의 기초판 보강을 위하여 기둥 하부에 설치되는 기초보강부의 위치를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는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기초보강재에 소요되는 강판 물량을 절감하여 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철골조의 선조립 기둥 조립체를 기초에 시공하는 경우, 현장 시공이 복잡합 앵커볼트나 앵커플레이트의 설치 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강합성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기 위해 기둥의 각 모서리에 기둥의 외면과 일정 간격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주형강재 및 상기 주형강재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횡지지부재로 구성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 및 기초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도록 상기 선조립 기둥 조립체의 주형강재에 결합되는 것으로, 선조립 기둥 조립체의 외측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기초보강부; 로 구성되되, 상기 기초보강부는, 지반 또는 버림 콘크리트층의 상면에 거치되는 것으로 상기 주형강재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선조립 기둥 조립체의 어느 일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하부지지앵글, 상기 제1하부지지앵글의 상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주형강재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1상부지지앵글 및 상기 제1하부지지앵글과 이와 대응되는 제1상부지지앵글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앵글로 구성되는 제1보강부; 및 상기 제1보강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하부지지앵글의 상면에 복수의 제1하부지지앵글을 가로지르도록 주형강재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2하부지지앵글, 상기 제1상부지지앵글의 상면 또는 하면에 복수의 제1상부지지앵글을 가로지르도록 주형강재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2상부지지앵글 및 상기 제2하부지지앵글과 이와 대응되는 제2상부지지앵글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앵글로 구성되는 제2보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2하부지지앵글의 기둥 외부로 돌출된 부분 하면에는 하부 지지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기초보강부의 단부는 하부 길이가 길어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선조립 기둥 조립체의 하부에 기초보강부가 일체로 결합되므로, 선조립 기둥 조립체의 설치만으로 기둥 부위의 기초판 보강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기둥 부위의 기초판 보강이 용이하고 공정이 단순하여 시공성 향상,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이 가능하다.
둘째, 기초보강부에 의하여 기초부의 펀칭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기초부의 휨 강성 및 전단 강성이 증가되므로 기초부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터파기 물량 및 소요 콘크리트 물량을 감소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셋째, 선조립 기둥 조립체에 기초보강부를 미리 결합하므로 시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기초보강부의 높이 조절을 통해 선조립 기둥 조립체의 수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정밀 시공이 가능하다.
넷째, 철골조의 선조립 기둥 조립체를 기초에 시공하는 경우 현장 시공이 복잡합 앵커볼트나 앵커플레이트 설치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다.
다섯째, 기초보강부를 구성하는 제1보강부 또는 제2보강부, 즉 하부지지앵글, 상부지지앵글 및 이들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앵글을 트러스로 형성하면 경량이면서도 강성이 우수한 기초보강부를 구성할 수 있다.
여섯째, 기초의 펀칭파괴면을 고려하여 기초보강부의 단부를 하부 길이가 길어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면, 기초보강부 시공을 위한 강재량을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기초보강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4는 제2보강부가 구비된 본 발명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하부 지지바가 구비된 본 발명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4는 제2보강부가 구비된 본 발명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하부 지지바가 구비된 본 발명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을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는 강합성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기 위해 기둥의 각 모서리에 기둥의 외면과 일정 간격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주형강재(31) 및 상기 주형강재(31)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횡지지부재(32)로 구성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3); 및 기초 콘크리트(23) 내에 매립되도록 상기 선조립 기둥 조립체(3)의 주형강재(31)에 결합되는 것으로, 선조립 기둥 조립체(3)의 외측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기초보강부(4);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장 제작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3)의 하부에 기초보강부(4)가 일체로 결합된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선조립 기둥 조립체(3)는 기둥 모서리에 배치되는 복수의 주형강재(31)와 이웃하는 주형강재(31)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횡지지부재(32)로 구성된다.
기둥의 크기에 따라 모서리에 배치되는 주형강재(31) 사이에 형강재를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주형강재(31)는 피복 두께 확보를 위하여 기둥의 외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기둥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선조립 기둥 조립체(3)는 기둥 전체 높이로 구성할 수도 있고, 기둥 하부 일부 높이까지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기초보강부(4)는 기초 콘크리트(23) 내에 매립되는 부분으로, 상기 선조립 기둥 조립체(3)의 주형강재(31)에 결합된다.
상기 기초보강부(4)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3)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기초보강부(4)가 선조립 기둥 조립체(3)의 하부를 지지하므로 선조립 기둥 조립체(3)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기초보강부(4)의 하부 높이를 조절하여 선조립 기둥 조립체(3)의 전체적인 수직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수직도 조정 작업이 용이하다.
상기 기초보강부(4)는 기둥 주변 위험 단면 이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기초보강부(4)는 기초부(2)를 구성하는 상부철근(22)의 거치대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부철근(22) 배근시 상부철근(22)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 철근, 즉 우마 철근이 필요 없다.
상기 기초보강부(4)는 기둥 하부의 기초를 보강하여 기초부(2)의 펀칭 파괴를 방지하고, 휨 및 전단 강성을 증대시킨다. 이에 따라 기초부(2)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기초판 시공을 위한 터파기 물량 및 소요 콘크리트 물량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철골조의 선조립 기둥 조립체를 기초에 시공하는 경우 현장 시공이 복잡합 앵커볼트나 앵커플레이트 설치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다.
상기 기초보강부(4)는 공장에서 선조립 기둥 조립체(3) 제작시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고, 선조립 기둥 조립체(3)를 현장에 반입한 다음 현장에서 선조립 기둥 조립체(3)에 기초보강부(4)를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기초부(2)를 시공하는 과정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버림 콘크리트층(1)을 형성한 다음, 버림 콘크리트층(1) 상부에 기초부(2)의 하부철근(21)을 설치한다.
이후, 하부철근(21) 상부에 본 발명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를 설치한다. 이때, 기초보강부(4)의 높이를 조절하여 선조립 기둥 조립체(3)의 수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기초보강부(4)는 하부철근(21)의 상부에 설치되므로, 기초보강부(4)를 하부철근(21) 상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버림 콘크리트층(1) 상면에 스페이서(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초보강부(4) 상부에 기초부(2)의 상부철근(22)을 설치하며, 기초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부(2) 시공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선조립 기둥 조립체(3)의 하부에 기초보강부(4)가 일체로 결합되므로, 선조립 기둥 조립체(3)의 설치만으로 기둥 부위의 기초판 보강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기초판 시공에 소요되는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시공이 용이하다.
아울러 기초보강부(4)에 의하여 기초부(2)의 펀칭 파괴를 방지할 수 있고, 휨 및 전단 강성이 증가되므로 기초부(2)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터파기 물량 및 소요 콘크리트 물량을 감소할 수 있다.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보강부(4)는, 지반 또는 버림 콘크리트층(1)의 상면에 거치되는 것으로 상기 주형강재(31)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선조립 기둥 조립체(3)의 어느 일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하부지지앵글(41), 상기 제1하부지지앵글(41)의 상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주형강재(31)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1상부지지앵글(42) 및 상기 제1하부지지앵글(41)과 이와 대응되는 제1상부지지앵글(42)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앵글(43)로 구성되는 제1보강부(4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초보강부(4)는 제1보강부(4a)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4a)는 제1하부지지앵글(41), 제1상부지지앵글(42) 및 이들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앵글(43)로 구성된다.
상기 제1하부지지앵글(41)은 지반 또는 버림 콘크리트층(1)의 상면에 거치된다.
상기 제1상부지지앵글(42)은 제1하부지지앵글(41)의 상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하부지지앵글(41)과 제1상부지지앵글(42)은 선조립 기둥 조립체(3)를 구성하는 주형강재(31)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주형강재(31)로 앵글을 이용하면, 주형강재(31)의 일측 레그 면에 제1하부지지앵글(41)과 제1상부지지앵글(42)의 레그 면을 밀착시켜 각각 볼트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용접 공정 없이 볼트 결합만으로 선조립 기둥 조립체(3)에 기초보강부(4)를 결합할 수 있으므로 품질이 우수하다.
상기 제1하부지지앵글(41)과 제1상부지지앵글(42)은 선조립 기둥 조립체(3)의 어느 일방향으로 각각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지지앵글(41)과 제1상부지지앵글(42)은 연결앵글(43)로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하부지지앵글(41), 제1상부지지앵글(42) 및 연결앵글(43)을 트러스로 형성하면 경량이면서도 강성이 우수한 기초보강부(4)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지지앵글(41)의 하부에는 심플레이트 등을 삽입하여 기초보강부(4)의 높이 및 선조립 기둥 조립체(3)의 수직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초보강부(4)가 제1보강부(4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기초부(2)의 상부철근(22)은 제1상부지지앵글(42)의 상부에 거치할 수 있다.
도 4는 제2보강부가 구비된 본 발명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보강부(4)는 제1보강부(4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하부지지앵글(41)의 상면에 복수의 제1하부지지앵글(41)을 가로지르도록 주형강재(31)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2하부지지앵글(44), 상기 제1상부지지앵글(42)의 상면 또는 하면에 복수의 제1상부지지앵글(42)을 가로지르도록 주형강재(31)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2상부지지앵글(45) 및 상기 제2하부지지앵글(44)과 이와 대응되는 제2상부지지앵글(45)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앵글(46)로 구성되는 제2보강부(4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초보강부(4)는 서로 직교하는 제1보강부(4a)와 제2보강부(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4a)와 제2보강부(4b)에 의하여 기초보강부(4)는 기둥 주변을 2방향으로 보강한다.
상기 제2보강부(4b)는 제2하부지지앵글(44), 제2상부지지앵글(45) 및 이들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앵글(46)로 구성된다.
상기 제2하부지지앵글(44)은 제1하부지지앵글(41)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하부지지앵글(44)은 제1하부지지앵글(41)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기초보강부(4)의 높이 및 선조립 기둥 조립체(3)의 수직도는 제1하부지지앵글(41)에 의해서 조정 가능하다.
상기 제2하부지지앵글(44)은 복수의 제1하부지지앵글(41)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상부지지앵글(45)은 제1상부지지앵글(42)의 상면 또는 하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2상부지지앵글(45)은 복수의 제1상부지지앵글(42)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하부지지앵글(44)과 제2상부지지앵글(45)은 선조립 기둥 조립체(3)를 구성하는 주형강재(31)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제1보강부(4a)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하부지지앵글(44)과 제2상부지지앵글(45)은 각 레그의 면을 주형강재(31)의 일측 레그 면에 볼트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하부지지앵글(44)과 제2상부지지앵글(45)은 연결앵글(46)로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하부지지앵글(44), 제2상부지지앵글(45) 및 연결앵글(46)은 트러스 형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제2상부지지앵글(45)이 제1상부지지앵글(42)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었다.
그러나 제1보강부(4a)와 제2보강부(4b)의 강성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 즉 제1하부지지앵글(41)과 제1상부지지앵글(42)의 거리 및 제2하부지지앵글(44)과 제2상부지지앵글(45)의 거리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제2상부지지앵글(45)을 제1상부지지앵글(42)의 상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상부지지앵글(42)과 제2상부지지앵글(45)은 서로 대면하는 레그 면이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하부 지지바가 구비된 본 발명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부지지앵글(44)의 기둥 외부로 돌출된 부분 하면에는 하부 지지바(48)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4a)의 방향은 상기 제1하부지지앵글(41)의 하부가 지반 또는 버림 콘크리트층(1) 상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제1하부지지앵글(41)의 양단 높이를 조절하여 기초보강부(4)의 높이 및 선조립 기둥 조립체(3)의 수직도 조정이 용이하다.
이에 반해 제2하부지지앵글(44)은 제1하부지지앵글(41)의 높이만큼 지반 또는 버림 콘크리트층(1)의 하부에서 이격되어 있으므로, 높이나 수직도 조정이 용이하지 않다.
물론 폭 방향으로 상호 이웃하는 제1하부지지앵글(41) 간의 높이 조절에 의해 높이나 수직도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나, 제1하부지지앵글(41)의 최대 폭은 기둥 폭 이내이므로 조정이 용이하지는 않다.
따라서 제2보강부(4b)의 방향 역시 제2하부지지앵글(44)의 단부에서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제2하부지지앵글(44)의 하부에 하부 지지바(48)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바(48)는 제2하부지지앵글(44)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되거나 제2하부지지앵글(44)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보강부(4)의 단부는 하부 길이가 길어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기둥 주변 기초는 하부가 인장을 받는데다 펀칭 파괴면이 하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펀칭파괴면을 고려하여 상부지지앵글(42 및/또는 45)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고 하부지지앵글(41 및/또는 44)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면, 강재량을 절약할 수 있다.
1: 버림 콘크리트층 2: 기초부
21: 하부철근 22: 상부철근
23: 기초 콘크리트 3: 선조립 기둥 조립체
31: 주형강재 32: 횡지지부재
4: 기초보강부 4a: 제1보강부
4b: 제2보강부 41: 제1하부지지앵글
42: 제1상부지지앵글 43: 연결앵글
44: 제2하부지지앵글 45: 제2상부지지앵글
46: 연결앵글 48: 하부 지지바
21: 하부철근 22: 상부철근
23: 기초 콘크리트 3: 선조립 기둥 조립체
31: 주형강재 32: 횡지지부재
4: 기초보강부 4a: 제1보강부
4b: 제2보강부 41: 제1하부지지앵글
42: 제1상부지지앵글 43: 연결앵글
44: 제2하부지지앵글 45: 제2상부지지앵글
46: 연결앵글 48: 하부 지지바
Claims (5)
- 강합성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기 위해 기둥의 각 모서리에 기둥의 외면과 일정 간격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주형강재(31) 및 상기 주형강재(31)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횡지지부재(32)로 구성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3); 및
기초 콘크리트(23) 내에 매립되도록 상기 선조립 기둥 조립체(3)의 주형강재(31)에 결합되는 것으로, 선조립 기둥 조립체(3)의 외측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기초보강부(4); 로 구성되되,
상기 기초보강부(4)는, 지반 또는 버림 콘크리트층의 상면에 거치되는 것으로 상기 주형강재(31)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선조립 기둥 조립체(3)의 어느 일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하부지지앵글(41), 상기 제1하부지지앵글(41)의 상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주형강재(31)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1상부지지앵글(42) 및 상기 제1하부지지앵글(41)과 이와 대응되는 제1상부지지앵글(42)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앵글(43)로 구성되는 제1보강부(4a); 및
상기 제1보강부(4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하부지지앵글(41)의 상면에 복수의 제1하부지지앵글(41)을 가로지르도록 주형강재(31)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2하부지지앵글(44), 상기 제1상부지지앵글(42)의 상면 또는 하면에 복수의 제1상부지지앵글(42)을 가로지르도록 주형강재(31)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2상부지지앵글(45) 및 상기 제2하부지지앵글(44)과 이와 대응되는 제2상부지지앵글(45)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앵글(46)로 구성되는 제2보강부(4b);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 삭제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제2하부지지앵글(44)의 기둥 외부로 돌출된 부분 하면에는 하부 지지바(48)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 제1항에서,
상기 기초보강부(4)의 단부는 하부 길이가 길어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2789A KR102029301B1 (ko) | 2018-01-09 | 2018-01-09 |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2789A KR102029301B1 (ko) | 2018-01-09 | 2018-01-09 |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4712A KR20190084712A (ko) | 2019-07-17 |
KR102029301B1 true KR102029301B1 (ko) | 2019-10-07 |
Family
ID=67512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2789A KR102029301B1 (ko) | 2018-01-09 | 2018-01-09 |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930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8760B1 (ko) * | 2020-09-22 | 2022-09-01 |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조립식 독립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 |
KR102429445B1 (ko) * | 2020-09-22 | 2022-08-04 |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및 그 설치방법 |
KR102438759B1 (ko) * | 2020-09-22 | 2022-09-01 |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3835B1 (ko) * | 2001-02-02 | 2003-10-30 |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 철근콘크리트 기초구조물에서의 휨/전단 겸용 보강재 및그 시공방법 |
KR20100031233A (ko) * | 2008-09-12 | 2010-03-22 | (주)화인테크 |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
-
2018
- 2018-01-09 KR KR1020180002789A patent/KR102029301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4712A (ko) | 2019-07-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97194B1 (ko) |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 |
KR101030419B1 (ko) |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 |
KR101295740B1 (ko) |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의 상하 분리식 접합부구조 | |
KR102029301B1 (ko) |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 |
KR102187993B1 (ko) | 조립식 교각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JP2007077630A (ja) | プレキャスト主桁セグメントを使用した連続桁およびその架設方法 | |
KR101011252B1 (ko) |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 및 이를 갖는 라멘 구조물 | |
KR20130026311A (ko) | 프리캐스트 조립식 교각 | |
KR100969586B1 (ko) | 기초 및 벽체의 크기가 최소화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 |
KR100626544B1 (ko) | 강판-콘크리트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 합성구조시스템 | |
JP2011006849A (ja) | 基礎工法 | |
KR100949828B1 (ko) | 층고절감형 철골보 및 이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합성보 | |
KR101998822B1 (ko) | 합성형 라멘교, 합성형 라멘교용 강거더 및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 방법 | |
JP2002146800A (ja) | 上部構造物と基礎杭との結合構造および支持金物 | |
JP2002121747A (ja) | 鉄骨柱の半固定直接基礎および杭基礎構造 | |
KR200450609Y1 (ko) |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용 브라켓 고정 장치 | |
KR20130042526A (ko) | 교대 벽체와 콘크리트 빔 단부의 결속용 어태치먼트,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 |
KR101482523B1 (ko) | 안전휀스 설치 구성을 가지는 조립식 노듈러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2433621B1 (ko) | 단면 하부에 강재가 집중 배치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 |
KR20170139873A (ko) |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 |
KR100837831B1 (ko) |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 |
KR20090093540A (ko) |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 |
KR20190046336A (ko) | 샌드위치 피씨-월 및 그 제조방법 | |
KR100346960B1 (ko) | 철골기둥 정착장치 및 정착방법 | |
KR102372473B1 (ko) | 가설브라켓을 이용한 pc기둥과 pc거더의 접합부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