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233A -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233A
KR20100031233A KR1020080090223A KR20080090223A KR20100031233A KR 20100031233 A KR20100031233 A KR 20100031233A KR 1020080090223 A KR1020080090223 A KR 1020080090223A KR 20080090223 A KR20080090223 A KR 20080090223A KR 20100031233 A KR20100031233 A KR 20100031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reinforcing bar
bar
reba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섭
Original Assignee
(주)화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인테크 filed Critical (주)화인테크
Priority to KR1020080090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1233A/ko
Publication of KR20100031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Abstract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은, 복수 개의 철근 조립용 지그를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하는 단계; 철근 조립용 지그에 복수 개의 철근을 결합하여 철근망을 제작하는 단계; 및 철근망을 인양하여 미리 설치된 바닥콘크리트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철근망은, 철근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철근망을 구성하는 최외각의 철근 상호 간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단면적이 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확대되는 단면적 변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철근망을 간편하게 선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근망을 구성하는 철근의 일부분이 절곡되는 단면적 변화형 기둥 철근망에 있어서도, 완성된 철근망의 강성이 충분히 보장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기둥, 철근망, 지그, 철근

Description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Pre-fabrication method of rebar structure for reinforced concrete column}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망을 구성하는 철근의 일부분이 절곡되는 단면적 변화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둥(柱, column)은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축방향 압축을 통해 하부로 전달하는 수직 구조 요소를 의미하며, 특히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에 있어서 기둥은, 상부의 슬라브 또는 보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받아 하부의 기초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므로, 완성된 전체 구조물의 안전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기둥은 설치되어야 할 위치에 철근을 수작업으로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시켜 완성되는데, 이 경우 배근작업을 인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가 있으며, 층고가 높은 건축물의 경우 별도의 가설작업대를 설치한 뒤 작업자가 작업대 위에 올라서서 장시간 까다로운 배근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최근의 기둥은, 시공현장에서 철근을 결합시켜 철근망을 조립하며, 완성된 철근망을 크레인으로 인양한 뒤 기둥이 설치될 자리로 운반하고, 기초에 사용된 철근과 미리 조립된 철근망을 결합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는 철근망 선조립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철근망 선조립 공법은, 철근망에 사용되는 철근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크래인으로 인양하여 직립시켰을때 완성된 철근망의 자립도가 약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철근망을 직립시켜 기초에 고정한 경우라도, 철근망이 쓰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 별도의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철근망의 직립을 유지시켜야 하며, 이에 따라 종래의 철근망 선조립 공법은 추가작업으로 인한 공기의 지연과 비용상승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의 철근망 선조립 공법은 철근망을 구성하는 각 단계가 체계화 되지 못함에 따라 숙련공에 의하지 않을 경우 철근망의 제작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완성된 기둥 자체의 품질을 담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철근망 선조립 공법은 상부 층의 누적하중을 하부 층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철근망 구조를 포함하고 있지 못하며, 이에 따라 고층 건축물의 건축시 완성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실하게 담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망을 간편하게 선조립할 수 있으며, 철근망을 구성하는 철근의 일부분이 절곡되는 단면적 변화형 기둥 철근망에 있어서도, 완성된 철근 망의 강성이 충분히 보장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 개의 철근 조립용 지그를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하는 단계; 상기 철근 조립용 지그에 복수 개의 철근을 결합하여 철근망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철근망을 인양하여 미리 설치된 바닥콘크리트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철근망은, 상기 철근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철근망을 구성하는 최외각의 철근 상호 간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단면적이 상기 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확대되는 단면적 변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철근 조립용 지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단면적 변화부의 시작점 또는 종료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철근은, 상기 철근망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철근망의 하단부까지 이음되지 않는 일체형 철근일 수 있다.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은, 상기 철근 조립용 지그를 배치하는 단계 전에, 상기 철근 조립용 지그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철근 조립용 거치대에 상기 철근망 제작에 필요한 개수의 상기 철근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근 조립용 거치대는, 상기 철근 조립용 거치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 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며 철근이 배치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높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안착부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철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임시 배치되는 보조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안착부는, 상기 안착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 연결바; 및 상기 제1 연결바의 일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안착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철근배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각각, 상기 철근 조립용 거치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리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각각, 상기 안착부를 접촉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부의 상기 너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 샤프트;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높이조절 샤프트의 일측부가 삽입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에 삽입된 상기 높이조절 샤프트의 일측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가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도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철근 조립용 지그는 각각,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철근망의 선조립 작업 중에 직립되어 철근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강관; 및 상기 한 쌍의 강관을 상호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관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강관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에는 철근이 안착되는 강관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관에는, 상기 강관 안착홈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강관 안착홈의 형성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핀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핀홀에는, 상기 강관 안착홈에 안착된 철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강관은 'ㄷ'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고정핀은 테이퍼핀일 수 있다.
상기 철근은, 상기 철근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가 절곡되어 마련되는 결합강도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근 조립용 지그에 상기 철근을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철근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후프근을 배근하는 단계; 상기 후프근의 둘레를 따라 측부근을 배근하는 단계; 상기 강관 안착홈에 철근을 안착시키고, 상기 핀홀에 상기 고정핀을 체결하여 철근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강도 보강부의 둘레를 따라 단부결합근을 배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근망을 인양하여 미리 설치된 바닥콘크리트와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철근 조립용 지그의 내측과 외측을 교차로 관통하도록 인양줄을 설치 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철근 조립용 지그 중 최하측에 위치한 상기 철근 조립용 지그에 인양고리를 설치하고 상기 철근망을 인양하는 단계; 및 상기 인양된 철근망을 바닥콘크리트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철근 조립용 지그를 사용하여 철근망을 골조화함으로써 철근망을 간편하게 선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근망을 구성하는 철근의 일부 분이 절곡되는 단면적 변화형 기둥 철근망에 있어서도, 완성된 철근망의 강성이 충분히 보장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하여 완성된 철근망은 단면적 변화형 철근망이며, 여기서 철근망의 단면적이란, 철근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철근망을 구성하는 최외각의 철근 상호 간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면적을 말하고, 단면적 변화형 철근망이란, 상부 층의 누적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하부층의 철근망의 단면적을 확대시키는 철근망을 의미한다. 이와 함께,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은, 철근망을 구성하는 철근이 용접 이음, 기계식 이음 및 겹침 이음 등의 방식에 따라 이음되지 않는 일체형 철근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준비단계에서 사용되는 철근 조립용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준비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철근 조립용 거치대에 철근을 배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상부근(11, 도 10 참조)은 철근망의 상부에 배치되는 철근을 의미하며, 하부근(12, 도 10 참조)은 철근망의 하부에 배치되는 철근을 의미하고, 후프근(15, 도 10 참조)은 상부근(11) 및 하부근(12)으로 구성되는 철근망의 둘레를 따라 배근되는 철근을 의미하며, 측부근(13, 도 10 참조)은 상부근(11) 및 하부근(12) 사이에서 후프근(15)에 각각 결합되는 철근을 의미한다. 상부근(11), 하부근(12) 및 측부근(13)은 모두 동일한 철근(10)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명칭을 달리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준비단계(S1)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단계(S2)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설치 단계(S3)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준비단계(S1)에서 사용되는 철근 조립용 거치대(300)는, 철근망의 선조립에 앞서 철근망의 제작에 사용되는 철근을 미리 배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재로, 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310)와, 한 쌍의 지지부(310)를 상호 연결하며 철근이 안착되는 안착부(320)와, 안착부(3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마련되는 한 쌍의 높이조절부(33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부(310)는 각각 4개의 다리(311)와, 다리(311)의 상면에 고정되는 판재 형상의 고정판(312)과, 고정판(312)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너트(미도시)와, 안착부(3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한 쌍의 이동방지블록(313) 을 포함한다.
지지부(310)의 다리(311)는 지지부(31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므로 그 개수나 형상의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다리(311)의 구현 방식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고정판(312)은, 다리(311)의 상면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며,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공(미도시)을 포함한다. 고정판(312)의 상면에는 관통공(미도시)의 크기에 대응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미도시)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결합된다. 높이조절 샤프트(332)는, 고정판(312)의 관통공(미도시)을 관통하여 너트(미도시)에 나사결합 됨으로써 지지부(310)에 결합된다.
한 쌍의 이동방지블록(313)은 안착부(320)의 양측부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되, 고정판(312)의 상면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높이조절 샤프트(332)에 의한 안착부(320)의 높이조절시 안착부(3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조립용 거치대(300)의 지지부(310)는, 다리(311)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지지부(310)가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도방지부(314)를 더 포함한다.
전도방지부(314)는, 다리(311)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바(314a)와, 지지바(314a)와 다리(311)의 결합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제2 연결바(314b)를 포함한다.
철근 조립용 거치대(300)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철근망을 구성한 후에는, 크레인(50, 도 12 참조)을 사용하여 철근망을 인양하게 되는데, 인양고리를 건 후 철 근망을 들어올리면 충격에 의하여 철근 조립용 거치대(300)가 넘어지고, 이에 따라 철근 조립용 거치대(300)가 파손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전도방지부(314)는 이러한 철근 조립용 거치대(300)의 파손 위험을 막기 위해 갖춰진 구성으로, 철근 조립용 거치대(300)와 지면의 접촉 면적을 넓히는 지지바(314a)에 의하여 철근 조립용 거치대(30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착부(320)는 한 쌍의 지지부(310)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이동방지블록(313)의 사이에 배치되며, 철근망의 제작에 사용되는 철근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각형 강관 또는 목재 등 일반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마련되고, 하측에 결합되는 보조안착부(321)를 더 포함한다.
보조안착부(321)는, 하부근(12) 및 측부근(13)으로 사용되는 철근(10)이 임시 배치되는 부분으로, 안착부(32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 연결바(321a)와, 제1 연결바(321a)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철근배치부재(321b)를 포함한다. 철근배치부재(321b)는 안착부(3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므로, 철근배치부재(321b)에 임시 배치된 철근(10)이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임의로 굴러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철근망의 제작에 사용되는 철근(10)은, 안착부(320) 및 보조안착부(321)에 미리 배치됨으로써 철근망 제작의 편의가 도모된다.
한 쌍의 높이조절부(330)는, 한 쌍의 지지부(310)에 각각 결합되어 안착부(32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이다. 높이조절부(330)는, 판재형상의 지지판(331)과, 지지판(331)의 하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반구 형상의 수용부재(미도시)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일단부가 수용 부재(미도시)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높이조절 샤프트(332)와, 수용부재(미도시)의 내부에서 수용부재(미도시)에 삽입된 높이조절 샤프트(332)의 일단부를 구속하는 고정부재(미도시)와, 높이조절 샤프트(332)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핸들(333)을 포함한다.
높이조절 샤프트(3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310)의 고정판(312)의 관통공(미도시)을 관통하여 고정판(312)의 상면에 결합된 너트(미도시)와 나사결합되며, 그 일단부가 수용부재(미도시)에 삽입되고, 와셔 등의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하여 구속된다. 이에 따라, 핸들(333)을 회전시키면, 높이조절 샤프트(332)가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에 대응하여 지지판(331) 및 지지판(331)의 상면과 면 접촉하는 안착부(320)가 함께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즉, 핸들(333)의 회전에 따른 높이조절 샤프트(332)의 회전에 의하여 안착부(32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331)은, 양단부가 절곡되어 마련되는 이탈방지부(331a)를 더 포함함으로써 지지부(310)의 이동방지블록(313)과 함께 안착부(320)가 높이조절부(3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준비단계(S1)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단계(S2)에 사용되는 철근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고 정렬하여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단계(S2)를 준비하기 위한 단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준비단계(S1)는, 철근 조립용 거치대의 지지부를 각각 배치하는 단계(S11)와, 간격부재를 배치하는 단계(S12)와, 간격부재의 상면에 철근을 배치하는 단계(S13)와, 철근 조립용 거치대의 안착부를 배치하는 단계(S14)와, 철근 조립용 거치대의 높이조절부를 통해 안착부의 높이를 조절하고, 안착부의 상면에 철근을 배치하는 단계(S15)와, 간격부재의 상면에 배치된 철근을 보조안착부에 배치하는 단계(S16)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철근 조립용 거치대의 지지부를 각각 배치하는 단계(S11)는, 철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지지부(310)를 각각 배치하는 단계로, 본 단계에서 사용되는 지지부(310)의 개수는 기둥을 구성하는 철근의 전체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간격부재를 배치하는 단계(S12)는, 복수 개의 간격부재(400)를 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시켜 배치하는 단계이다. 간격부재(400)는 철근을 지면으로부터 간편히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부재로,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각목 등을 사용한다. 간격부재를 배치하는 단계(S12)를 생략하는 경우, 철근은 지면에 직접 배치되기 때문에 흙 등의 이물질이 묻어 있을 뿐만 아니라, 철근 조립용 지그(100, 도 8 참조)에 결합시키는 경우 지면으로부터 철근을 들어올려야 하므로 작업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간격부재(400)를 철근 조립용 거치대(300)의 하측에 마련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간격부재의 상면에 철근을 배치하는 단계(S13)는, 미리 배치된 복수 개의 간격부재(400)의 상면을 따라 적정한 개수의 철근(10)을 배치하는 단계로, 배치되는 철근(10)의 개수는 선조립하고자 하는 철근망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철근 조립용 거치대의 안착부를 배치하는 단계(S14)는, 지지부(310)의 상면에 마련되는 이동방지블록(313)의 사이에 안착부(320)를 삽입함으로써 한 쌍의 지지부(310)를 상호 연결하는 단계이다. 철근 조립용 거치대(300)의 안착부(320)는 지지부(31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먼저 안착부(320)가 없는 상태에서 간격부재(400)의 상면에 철근(10)을 배치하고, 다음으로 지지부(310)의 상면에 안착부(320)를 결합하여 한 쌍의 지지부(310)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철근 조립용 지그(100)에 결합될 철근(10)의 배치 편의를 도모한다. 또한, 이 경우 높이조절부(330)는 지지부(310)에 결합된 상태로 사전에 준비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철근 조립용 거치대의 높이조절부를 통해 안착부의 높이를 조절하고, 안착부의 상면에 철근을 배치하는 단계(S15)는, 높이조절 샤프트(332)의 회전을 통하여 안착부(320)의 높이를 조절한 후 안착부(320)의 상면에 철근을 배치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여 완성되는 철근망은 단면적 변화형 철근망이므로, 도 4를 참조하면, 철근망의 제작에 사용되는 철근(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되는 철근변화부(10a)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철근변화부(10a)를 포함하는 철근(10)의 안정적 지지를 위해서는 안착부(320)의 높이 조절이 요구되며, 따라서, 본 단계에서는, 철근 조립용 거치 대(300)의 안착부(320)의 상면에 철근변화부(10a)를 포함하는 철근을 개략적으로 위치시킨 후, 높이조절부(330)를 통해 안착부(320)의 높이를 세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안착부(320)의 상면에 안착된 철근(10)의 철근변화부(10a)에 의한 높이 차에 맞추어 철근(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간격부재의 상면에 배치된 철근을 보조안착부에 배치하는 단계(S16)는, 간격부재(400)의 상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철근(10)을 보조안착부(321)의 철근배치부재(321b)에 옮기는 단계이다.
철근망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철근(10)은 상당한 무게를 지니고 있으므로, 이를 지면 또는 간격부재(400)로부터 들어올린 후 철근망의 정위치에 위치시키고, 다시 이를 결속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단계에서는 철근망을 제작하기에 앞서 사용되는 철근(10) 들을 작업의 편의가 극대화될 수 있는 지점에 위치시키도록 하여 작업자의 노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부근(11)으로 사용되는 철근(10)은 안착부(320)의 상면에 임시로 배치되며, 하부근(12) 및 측부근(13)으로 사용되는 철근은 보조안착부(321)의 철근배치부재(321b)에 임시로 배치함으로써 작업의 편의를 도모한다.
다만, 전술한 각 단계 중에서 간격부재를 배치하는 단계(S12), 간격부재의 상면에 철근을 배치하는 단계(S13) 및 간격부재의 상면에 배치된 철근을 보조안착부에 배치하는 단계(S16)는 생략가능하며, 이 경우 하부근(12) 및 측부근(13)으로 사용되는 철근은 철근 조립용 거치대의 안착부를 배치하는 단계(14) 이후에 보조안착부(321)에 직접 배치되게 될 것이다.
도 5는 도 1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며, 도 6은 도 5의 후프근을 배근하는 단계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하부근을 배치하는 단계 및 측부근을 배근하는 단계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5의 철근 조립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단계(S2)는, 철근 조립용 거치대(300) 및 철근 조립용 지그(100)를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을 완성하는 단계로, 후프근을 배근하는 단계(S21)와, 하부근을 배치하는 단계(S22)와, 측부근을 배근하는 단계(S23)와, 철근 조립용 지그를 배치하는 단계(S24)와, 철근 조립용 지그에 철근을 결합하여 철근망을 완성하는 단계(S25)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후프근을 배근하는 단계(S21)는, 철근 조립용 거치대(300)의 안착부(320) 상면에 임시 배치된 상부근(11)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후프근(15)을 배근하는 단계이다. 후프근(15)은 상부근(11) 및 하부근(12)으로 구성되는 철근망의 둘레를 따라 '
Figure 112008064774280-PAT00001
'자형으로 결합되는 철근을 의미한다.
후프근(15)은 상부근(11) 및 하부근(12) 간의 결합강도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완성된 철근망의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전체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하부근을 배치하는 단계(S22)는, 보조안착부(321)에 임시 배치된 철근을 후프근(15)의 하측부에 떨어뜨림으로써, 철근 조립용 지 그(100)의 결합을 준비하기 위한 단계이다. 즉, 보조안착부(321)에 임시 배치된 철근(10) 중 일부는 하부근(12)으로 사용되게 되며, 나머지 철근(10)은 측부근(13)으로 사용되게 되는바, 상부근(11)의 개수에 맞추어 동일한 개수의 하부근(12)을 보조안착부(321)로부터 후프근(15)의 하측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철근(10)의 배근 편의를 도모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측부근을 배근하는 단계(S23)는, 보조안착부(321)에 임시 배치된 나머지 철근을 일정한 간격으로 후프근(15)에 결합시킴으로써 각각의 측부근(13)을 배근하는 단계이다. 복수 개의 측부근(13)은 후프근(15)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상호 이격되어 배근되며, 후프근(15)과 측부근(13)은 체결부재(80)를 통하여 상호 결속된다. 여기서, 체결부재(80)는 반생(굵은 철사)를 의미한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철근 조립용 지그(100)를 배치하는 단계(S24)는, 조립하고자하는 철근망의 크기를 고려하여 철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철근 조립용 지그(100)를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한 개의 철근 조립용 지그(100)를 배치한 후 철근을 결합하고, 다음의 철근 조립용 지그(100)를 차례대로 철근에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나, 공기 단축을 고려할 때 인력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복수 개의 철근 조립용 지그(100)를 한꺼번에 배치한 후 철근망을 조립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에서 사용되는 철근(10)은, 철근(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되는 철근변화부(10a)를 포함하는 철근(10)이므로, 철근변화부(10a)의 시작점과 종료점에는 각각 철근 조립용 지그(100)를 배치함으로써, 철근변화에 따른 응력집중 현상에 지탱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조립용 지그(100)는 철근망의 선조립 작업 중에 직립되어 철근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강관(110,120)과, 한 쌍의 강관(110,120)을 상호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관 연결부재(130)를 포함한다.
강관(110,120)은 완성된 철근망의 전체적인 지지역할을 담당하는 부재로,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강관 안착홈(110a,110b,120a,120b)과, 강관 안착홈(110a,110b,120a,120b)에 인접한 위치에서 강관(110,12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핀홀(111a,111b,121a,121b)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중공 형상의 사각형 강관(110,120)이 사용되지만, 원형 강관(미도시) 또는 일측면이 개방되어 'ㄷ'자형 단면을 갖는 강관(미도시)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강관(110,120)은 중공 형상을 지님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강관(110,120) 내측으로 흘러들 수 있도록 한다. 강관(110,120) 내측으로 흘러든 콘크리트는 기둥의 양생과정에 따라 강관(110,120)과 일체로 경화된다.
강관(110,120)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강관 안착홈(110a,120a)은 철근망을 구성하는 철근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강관(110,120) 상단부로부터 함몰되어 'U'자형 단면을 갖는다. 강관(110,12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강관 안착홈(110b,120b)은 철근망을 구성하는 철근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강관(110,120) 하단부로부터 함몰되어 'U'자형 단면을 갖는다.
핀홀(111a,111b,121a,121b)은 고정핀(140,도 10 참조)의 삽입통로가 되는 부분으로, 강관 안착홈(110a,110b,120a,120b)에 인접한 위치에서 각각 강관 안착홈(110a,110b,120a,120b)의 형성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강관(110,12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강관 안착홈(110a,110b,120a,120b)에 안착된 철근은 고정핀(140)의 삽입에 따라 강관(110,120)에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그 이동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핀(140)은 소정의 테이퍼면을 갖는 일반적인 테이퍼핀이 사용되므로, 핀홀(111a,111b,121a,121b)은 테이퍼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고정핀(140)의 삽입개시지점이 되는 핀홀(111a,111b,121a,121b) 부분의 직경은 고정핀(140)의 삽입종료지점이 되는 핀홀(111a,111b,121a,121b) 부분의 직경보다 약간 크도록 구성하여, 고정핀(140)의 삽입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강관 연결부재(130)는 한 쌍의 강관(110,1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강관(110,120)의 양측면에 용접(W) 등의 방법에 의하여 결합된다. 강관 연결부재(13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철근(10)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철근 조립용 지그(100)에 의해 완성된 철근망은, 골조화됨으로써 강성이 증대되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은 추가적인 지지부재 없이도 자립가능한 철근망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바, 비용을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근 간격이 균일하고 철근 피복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고품질의 철근망을 선조립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도 5의 철근 조립용 지그에 철근을 결합하여 철근망을 완성하는 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각 단계에 의하여 완성된 철근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다.
도 5,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철근 조립용 지그(100)에 철근을 결합하여 철근망을 완성하는 단계(S22)는, 상부근을 고정하는 단계(S221)와, 하부근을 고정하는 단계(S222)와, 타이근을 결합하는 단계(S223)와, 단부결합근을 결합하는 단계(S224)를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부근을 고정하는 단계(S221)는, 철근 조립용 거치대(300)의 안착부(320)의 상면에 배치된 두 개의 철근(10, 도 4 참조)을 강관(110,120)의 상단부에 형성된 강관 안착홈(110a,120a)에 각각 안착시키며, 핀홀(111a,121a)에 고정핀(140)을 삽입하여 안착된 상부근(11)을 고정하고, 안착부(320)의 상면에 배치된 나머지 철근(10, 도 4 참조)을 강관(110,120)의 상부를 연결하는 강관 연결부재(130)의 상부에 배치하고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하여 고정하는 단계이다.
철근망을 구성하는 상부근(11) 중 최외각에 위치한 상부근(11)은 각각, 강관(110,120)의 상단부에 형성된 강관 안착홈(110a,120a)에 안착된 후 고정핀(140)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며, 나머지 상부근(11)은 강관 연결부재(130)의 상부에 배치되고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체결부재(미도시)는 굵은 철사를 의미한다. 또한, 강관(110,120)의 상부를 연결하는 강관 연결부재(130)와 상부근(11) 측에 배근된 후프근(15) 사이의 간격은, 상부근(11)의 두께 와 거의 동일하도록 함으로써, 강관 안착홈(110a,120a)에 안착 고정된 상부근(11) 이외의 상부근(11)은, 강관 연결부재(130) 뿐만 아니라 후프근(15)과도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근(12)을 고정하는 단계(S222)는, 후프근(15)의 하부에 배치된 철근(10) 중 두 개를 강관(110,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강관 안착홈(110b,120b)에 각각 안착시키며, 핀홀(111b,121b)에 고정핀(140)을 삽입하여 하부근(12)을 고정하고, 후프근(15)의 하부에 배치된 나머지 철근(10)을 강관(110,120)의 하부를 연결하는 강관 연결부재(130)의 하부에 배치하고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하여 고정하는 단계이다. 체결부재(미도시) 및 강관(110,120)의 하부를 연결하는 강관 연결부재(130)와 하부근(12) 측에 배근된 후프근(15) 사이의 간격에 관한 사항은, 앞서 살핀 상부근을 고정하는 단계(S221)에 대한 설명 부분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타이근을 결합하는 단계(S223)는, 철근망의 둘레를 따라 부분적으로 타이근(16)을 배근하고, 상부근(11) 및 하부근(12)과 타이근(16)을 체결부재(미도시)로 결속하는 단계이다.
도면상 나타내기 어려운 면이 있으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타이근(16)은 상부근(11), 하부근(12) 및 측부근(13)으로 구성되는 철근망 둘레의 일부분에 '
Figure 112008064774280-PAT00002
'자형으로 결합하는 철근을 의미한다. 타이근(16)은 축 방향 철근의 좌굴 방지를 위하여 축 방향 철근을 횡 방향으로 결속하는 철근을 말하며, 다만, 타이근(16)은 철근망의 전체적인 높이 등을 고려하여 생략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단부결합근을 결합하는 단계(S224)는, 철근(10)의 양단부에 돌출된 결합강도 보강부(10b)를 상호 결속하는 단부결합근(17)을 결합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철근(10)은, 양단부가 각각 'ㄴ'자형으로 절곡되는 결합강도 보강부(10b, 도 10 참조)를 포함한다. 결합강도 보강부(10b)는, 바닥콘크리트 및 슬라브 콘크리트에 매립됨으로써 철근(10)과 콘크리트 상호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부분이며,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결합강도 보강부(10b)의 포함 여부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단부결합근(17)은, 결합강도 보강부(10b)의 둘레를 따라 후프근(15)에 유사하게 '
Figure 112008064774280-PAT00003
'자형으로 배근된 후, 체결부재(미도시, 굵은 철사 등)를 사용하여 결합강도 보강부(10b)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철근망의 구조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단부결합근(17)은 철근망의 인양작업이나 설치작업시 철근망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완성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함께한다.
도 12는 도 10의 철근망을 크레인으로 인양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바닥콘크리트에 결합된 도 10의 철근망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설치 단계(S3)는, 철근망(30)을 인양하여 기둥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고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철근망을 고정하는 단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철근망(30)은 크레인(50)을 통해 인양 및 이동되게 되며, 이 경우 강관(110,120)은 인양용 바아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종래 인양방법과 달리 별도의 인양장치를 요하지 않는다. 즉, 강관(110,120)의 두 측면 또는 네 측면에 인양고리를 설치하고 크레인(50)을 통해 들어올리기만 하면 되므로 인양의 편의가 도모된다. 인양된 철근망(30)은 바닥콘크리트(B)가 타설될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크레인(50)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양줄(S)은 복수 개의 철근 조립용 지그(100)의 내측과 외측을 번갈아 가며 연장되고, 최하측에 위치한 철근 조립용 지그(100)에 설치된 인양고리와 결합되므로, 철근망(30)을 인양하는 경우 인양의 안전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인양고리 및 인양줄(S)의 해체 작업의 편의를 함께 도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은, 종래의 인양방법과 달리 철근망(30)을 인양한 후에는 별도의 가설대 없이 인양고리를 해체하고 인양줄(S)을 푸는 작업을 지면에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을 낮출 뿐만 아니라 인양 및 인양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철근망(30)을 인양하여 바닥콘크리트(B)가 타설될 위치에 자립시킨 후에는, 강관(110,120)의 일측부에 접촉되어 철근망(30)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500)를 설치함으로써 철근망(30)의 자립도를 높이도록 한다. 물론, 본 실시예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에 의하여 완성된 철근망(30)은, 철근 조립용 지그(100)를 사용하여 철근망 자체가 골조화됨으로써 지지 대(500)의 추가적인 설치가 없더라도 스스로 자립할 수 있으나, 갑작스런 풍속의 증대 또는 외부 충격 등의 원인에 의하여 철근망(30)이 쓰러지는 일이 없도록 지지대(500)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지지대(500)는, 바닥콘크리트(B)의 타설에 따라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게 되며, 철근망(30)과 바닥콘크리트(B) 상호 간의 결합력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에 의하여 완성되는 철근망(30)은, 철근(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철근망(30)을 구성하는 최외각의 철근(10) 상호 간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단면적이 철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확대되는 단면적 변화부(30a)를 포함하며, 이처럼 단면적 변화부(30a)를 포함하는 단면적 변화형 철근망은, 완성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 층의 누적하중을 하부 층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3에 도시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30)은, 사각 단면을 갖는 철근망(30)을 구성하는 모든 철근(10)에 철근변화부(10a)가 포함되는 단면적 변화형 철근망이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사각 단면의 일부분, 즉 철근망(30)에 사용되는 철근(10)의 일부분만이 철근변화부(10a)를 갖는 단면적 변화형 철근망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본 발명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은, 철근 조립용 지그(100)를 사용하여 철근망(30)을 골조화 함으로써, 완성된 철근망(30)의 강성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크레인(50)으로 인양하여 정착철근(미도시)과 결합하는 경우 철근망(30)의 자립이 가능해진다. 또한, 철근망(30)을 구성하는 철근(10) 상호 간을 이음하지 않는 일체형 철근을 사용하여 철근망(30)을 구성하는 경우라도 단면적 변화형 철근망의 강성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완성된 전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준비단계에서 사용되는 철근 조립용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준비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철근 조립용 거치대에 철근을 배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후프근을 배근하는 단계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하부근을 배치하는 단계 및 측부근을 배근하는 단계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철근 조립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철근 조립용 지그에 철근을 결합하여 철근망을 완성하는 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각 단계에 의하여 완성된 철근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철근망을 크레인으로 인양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바닥콘크리트에 결합된 도 10의 철근망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철근 조립용 지그 110,120 : 강관
110a,110b,120a,120b : 강관 안착홈 111a,111b,121a,121b : 핀홀
130 : 강관 연결부재 140 : 고정핀
300 : 철근 조립용 거치대 310 : 지지부
311 : 다리 312 : 고정판
313 : 이동방지블록 314 : 전도방지부
314a : 지지바 314b : 제2 연결바
320 : 안착부 321 : 보조안착부
321a : 제1 연결바 321b : 철근배치부재
330 : 높이조절부 331 : 지지판
331a : 이탈방지부 332 : 높이조절 샤프트
333 : 핸들 400 : 간격부재
500 : 지지대 10 : 철근
10a : 철근변화부 10b : 결합강도 보강부
11 : 상부근 12 : 하부근
13 : 측부근 15 : 후프근
16 : 타이근 17 : 단부결합근
B : 바닥콘크리트 30 : 철근망
30a : 단면적 변화부 50 : 크레인
80 : 체결부재

Claims (14)

  1. 복수 개의 철근 조립용 지그를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하는 단계;
    상기 철근 조립용 지그에 복수 개의 철근을 결합하여 철근망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철근망을 인양하여 미리 설치된 바닥콘크리트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철근망은, 상기 철근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철근망을 구성하는 최외각의 철근 상호 간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단면적이 상기 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확대되는 단면적 변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조립용 지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단면적 변화부의 시작점 또는 종료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은, 상기 철근망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철근망의 하단부까지 이음되 지 않는 일체형 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조립용 지그를 배치하는 단계 전에,
    상기 철근 조립용 지그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철근 조립용 거치대에 상기 철근망 제작에 필요한 개수의 상기 철근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조립용 거치대는,
    상기 철근 조립용 거치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며 철근이 배치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안착부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철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임시 배치되는 보조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안착부는,
    상기 안착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 연결바; 및
    상기 제1 연결바의 일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안착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철근배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각각,
    상기 철근 조립용 거치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리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각각,
    상기 안착부를 접촉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부의 상기 너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 샤프트;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높이조절 샤프트의 일측부가 삽입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에 삽입된 상기 높이조절 샤프트의 일측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가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도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철근 조립용 지그는 각각,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철근망의 선조립 작업 중에 직립되어 철근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강관; 및
    상기 한 쌍의 강관을 상호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관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강관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에는 철근이 안착되는 강관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에는,
    상기 강관 안착홈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강관 안착홈의 형성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핀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핀홀에는,
    상기 강관 안착홈에 안착된 철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은 'ㄷ'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고정핀은 테이퍼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은,
    상기 철근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가 절곡되어 마련되는 결합강도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조립용 지그에 상기 철근을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철근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후프근을 배근하는 단계;
    상기 후프근의 둘레를 따라 측부근을 배근하는 단계;
    상기 강관 안착홈에 철근을 안착시키고, 상기 핀홀에 상기 고정핀을 체결하여 철근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강도 보강부의 둘레를 따라 단부결합근을 배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망을 인양하여 미리 설치된 바닥콘크리트와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철근 조립용 지그의 내측과 외측을 교차로 관통하도록 인양줄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철근 조립용 지그 중 최하측에 위치한 상기 철근 조립용 지그에 인양고리를 설치하고 상기 철근망을 인양하는 단계; 및
    상기 인양된 철근망을 바닥콘크리트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KR1020080090223A 2008-09-12 2008-09-12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KR20100031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223A KR20100031233A (ko) 2008-09-12 2008-09-12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223A KR20100031233A (ko) 2008-09-12 2008-09-12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233A true KR20100031233A (ko) 2010-03-22

Family

ID=4218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223A KR20100031233A (ko) 2008-09-12 2008-09-12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1233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8537A (zh) * 2011-10-31 2012-04-18 招商局重庆交通科研设计院有限公司 一种精确定位隧道衬砌钢筋的钢筋绑扎方法
KR101239899B1 (ko) * 2010-11-15 2013-03-11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슬러리 월의 철근망 구조와 제작방법 및 철근망을 이용한 슬러리 월의 시공방법
KR101457114B1 (ko) * 2014-05-19 2014-11-06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
KR101718459B1 (ko) * 2015-12-14 2017-03-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선조립 부재 조립용 회전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선조립 부재 조립 방법
KR20190002012A (ko) 2017-06-29 2019-01-08 기언관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
KR101946976B1 (ko) 2018-02-12 2019-02-12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이중복합 용접철근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의 시공방법
KR101970581B1 (ko) 2018-11-22 2019-04-19 한국철강산업(주) 철근 사각 케이지 제조용 지그장치와 이를 이용한 절첩 가능한 철근 사각 케이지 제조방법
KR20190084712A (ko) * 2018-01-09 2019-07-17 (주)센벡스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CN117464831A (zh) * 2023-11-27 2024-01-30 中铁四局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梁钢筋网片拼接台车及拼接方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899B1 (ko) * 2010-11-15 2013-03-11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슬러리 월의 철근망 구조와 제작방법 및 철근망을 이용한 슬러리 월의 시공방법
CN102418537A (zh) * 2011-10-31 2012-04-18 招商局重庆交通科研设计院有限公司 一种精确定位隧道衬砌钢筋的钢筋绑扎方法
CN102418537B (zh) * 2011-10-31 2014-03-12 招商局重庆交通科研设计院有限公司 一种精确定位隧道衬砌钢筋的钢筋绑扎方法
KR101457114B1 (ko) * 2014-05-19 2014-11-06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
WO2015178584A1 (ko) * 2014-05-19 2015-11-26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
KR101718459B1 (ko) * 2015-12-14 2017-03-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선조립 부재 조립용 회전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선조립 부재 조립 방법
KR20190002012A (ko) 2017-06-29 2019-01-08 기언관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
KR20190084712A (ko) * 2018-01-09 2019-07-17 (주)센벡스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KR101946976B1 (ko) 2018-02-12 2019-02-12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이중복합 용접철근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의 시공방법
KR101970581B1 (ko) 2018-11-22 2019-04-19 한국철강산업(주) 철근 사각 케이지 제조용 지그장치와 이를 이용한 절첩 가능한 철근 사각 케이지 제조방법
CN117464831A (zh) * 2023-11-27 2024-01-30 中铁四局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梁钢筋网片拼接台车及拼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1233A (ko)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KR100863974B1 (ko)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KR101143310B1 (ko) 호형의 철근 구멍을 갖는 프리캐스트 세그멘트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US8640419B2 (en) Method of constructing prefabricated steel reinforced concrete (PSRC) column using angle steels and PSRC column using angle steels
CN102605858B (zh) 一种建筑结构及建造方法
KR101055672B1 (ko) 파형 강관을 이용한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씨에프티 교각 및 그 시공방법
KR102187993B1 (ko) 조립식 교각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684149B1 (ko) 건축물의 원심력 중공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그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제조방법 및 철근콘크리트 기둥시공방법
WO2017013694A1 (ja) 架構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US20140173903A1 (en) Prefabricated Structural Concrete Beam and Methods for Use
CN101672070B (zh) 缓粘结预应力装配整体式框架节点体系
CN202706198U (zh) 一种建筑结构
WO2016112376A1 (en) Tow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tower
JP7130029B2 (ja) 風力発電機用支持構造物
KR101478131B1 (ko)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의 시공방법
KR101242395B1 (ko) 합성형 프리스트레스트 아치 라멘교 시공방법
JP2005097946A (ja) 橋脚の構築方法
JP2010242390A (ja) 鉄骨ブレースを有する柱・梁の接合部の接合方法とその構造
KR101582599B1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JP5484288B2 (ja) カーポートやテラス等の柱の基礎構造、柱の基礎の施工方法およ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140125754A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20100121865A (ko) 피알씨 복합화 공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시공방법
US81463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anchor bolts in a cylindrical pier foundation
KR101323140B1 (ko) 공장 조립 철근 프레임 어셈블리를 이용한 보-기동 골조
JP3044459B2 (ja) 塔状構造物建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