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526A - 교대 벽체와 콘크리트 빔 단부의 결속용 어태치먼트,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교대 벽체와 콘크리트 빔 단부의 결속용 어태치먼트,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42526A KR20130042526A KR1020130034578A KR20130034578A KR20130042526A KR 20130042526 A KR20130042526 A KR 20130042526A KR 1020130034578 A KR1020130034578 A KR 1020130034578A KR 20130034578 A KR20130034578 A KR 20130034578A KR 20130042526 A KR20130042526 A KR 201300425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ttachment
- wall
- concrete
- attached
- altern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라멘교의 교대 벽체의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라멘교에서 완성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측면부에 볼트가 매입된 빔 단부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어태치먼트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교대 벽체에 빔을 거치하기 전에, 벽체 및 빔 단부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교대 벽체에 빔 거치한 후, 벽체 및 빔 단부가 결합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된 벽체 연결부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교대 벽체와 콘크리트 빔 단부의 결속용 어태치먼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공 플로우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일반적인 콘크리트 빔의 단면 형상에 따른 벽체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 및 빔 단면도이다.
도 9c 및 도 9d는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가 설치된 콘크리트 빔의 단면 형상에 따른 벽체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 및 빔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라멘교와 단순지지교의 휨모멘트 비교도이다.
22, 22'...기초저판 24, 24'...기둥
28, 28'...수직보강철근 30...받침부
32...후크 100...콘크리트 빔
110...볼트 200...어태치먼트
202...연직판 204...볼트홀
206...스터드볼트 208...관통홀 또는 관통홈
210...수평보강철근
Claims (10)
- 교대 벽체와의 콘크리트 빔 단부를 결속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빔의 양 단부의 양측에 부착되는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빔의 단부에 부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빔의 단부를 지나 돌출되어 상기 빔에 부착되지 않는 연직판(202);
상기 빔에 직접 부착되는 측면을 제외한 상기 연직판(202)의 측부에 돌출 부착된 다수의 스터드볼트(206); 및
상기 연직판(202)이 부착되는 상기 빔의 측부에 돌출 부착된 볼트(110)가 삽입부착되도록 상기 연직판(202)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홀(204)을 구비한, 교대 벽체와 콘크리트 빔 단부의 결속용 어태치먼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직판(202)의 단부에는 빔 거치후 수평보강철근(210)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통홀 또는 관통홈(208)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볼트(206)를 대신해 앵글이나 ㄷ형 강재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교대 벽체와 콘크리트 빔 단부의 결속용 어태치먼트를 제작하고, 상기 콘크리트 빔 단부에 상기 어태치먼트를 부착 고정하는 단계(S80);
교대 벽체 상단에 받침부가 설치되고, 수직보강철근이 돌출되는 형태로 각각의 교대 벽체를 축조하는 단계(S82); 및
상기 빔을 받침부 위에 거치시키고, 벽체 상부와 바닥판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빔과 벽체를 일체화하는 단계(S86)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 부착 고정 단계(S80)는 빔 제작시 별도로 제작된 상기 어태치먼트를 거푸집 내에 설치하여 빔과 일체화된 상태로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는
일단부가 상기 빔의 단부에 부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빔의 단부를 지나 돌출되어 상기 빔에 부착되지 않는 연직판(202);
상기 빔에 직접 부착되는 측면을 제외한 상기 연직판(202)의 측부에 돌출 부착되는 다수의 스터드볼트(206); 및
상기 빔에 돌출 형성된 볼트(110)가 삽입부착되도록 상기 연직판(202)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홀(2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직판(202)의 단부에는 빔 거치후 수평보강철근(210)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통홀 또는 관통홈(208)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빔을 받침부 위에 거치시키고 수평보강철근을 상기 어태치먼트에 형성된 관통홀 또는 관통홈을 관통하여 설치하는 단계(S84)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볼트(206)를 대신해 앵글이나 ㄷ형 강재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재료는 강관, 강봉, 강판, 또는 H 형강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4578A KR101472027B1 (ko) | 2013-03-29 | 2013-03-29 | 교대 벽체와 콘크리트 빔 단부의 결속용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4578A KR101472027B1 (ko) | 2013-03-29 | 2013-03-29 | 교대 벽체와 콘크리트 빔 단부의 결속용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2526A true KR20130042526A (ko) | 2013-04-26 |
KR101472027B1 KR101472027B1 (ko) | 2014-12-15 |
Family
ID=4844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4578A Expired - Fee Related KR101472027B1 (ko) | 2013-03-29 | 2013-03-29 | 교대 벽체와 콘크리트 빔 단부의 결속용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202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94203A (zh) * | 2014-12-31 | 2015-05-06 | 北京市市政专业设计院股份公司 | 一种梁体下方的上垫石施工工艺 |
CN109856046A (zh) * | 2019-04-01 | 2019-06-07 | 大连理工大学 | 一种钢筋-混凝土粘结性能测试装置及测试方法 |
CN111622083A (zh) * | 2020-05-21 | 2020-09-04 | 大连理工大学 | 一种钢箱梁与混凝土桥墩的固结装置及方法 |
KR20220127495A (ko) | 2021-03-11 | 2022-09-20 | 김용태 | 빔 장착 브라켓, 빔 장착 브라켓 설치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2954B1 (en) * | 2002-08-12 | 2003-10-30 | Anpoong Construction Co Ltd | Bridge seat system for pulling and preventing fall of bridge bea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JP4245657B1 (ja) * | 2008-10-24 | 2009-03-25 | 朝日エンヂニヤリング株式会社 | 橋脚とコンクリート桁の剛結合構造 |
KR101182084B1 (ko) * | 2012-03-30 | 2012-09-11 | 박숭호 | 가받침에 의해 도입된 압축응력 증대 구조계를 갖는 라멘구조의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거더의 제작방법과 압축응력 증대 구조계의 가받침이 우각부의 힌지구조 및 강결구조가 되게 시공하는 라멘교 시공방법 |
-
2013
- 2013-03-29 KR KR1020130034578A patent/KR10147202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94203A (zh) * | 2014-12-31 | 2015-05-06 | 北京市市政专业设计院股份公司 | 一种梁体下方的上垫石施工工艺 |
CN109856046A (zh) * | 2019-04-01 | 2019-06-07 | 大连理工大学 | 一种钢筋-混凝土粘结性能测试装置及测试方法 |
CN111622083A (zh) * | 2020-05-21 | 2020-09-04 | 大连理工大学 | 一种钢箱梁与混凝土桥墩的固结装置及方法 |
KR20220127495A (ko) | 2021-03-11 | 2022-09-20 | 김용태 | 빔 장착 브라켓, 빔 장착 브라켓 설치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72027B1 (ko) | 2014-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0419B1 (ko) |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 |
KR100889273B1 (ko) | 라멘교 시공방법 | |
KR101544803B1 (ko) | 절곡강판 합성보의 기둥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834006B1 (ko) |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 |
JP2008223370A (ja) | 隅角部の剛結構造 | |
KR102597084B1 (ko) | 강합성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JP3844743B2 (ja) | 箱桁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 |
KR101011252B1 (ko) |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 및 이를 갖는 라멘 구조물 | |
KR200455723Y1 (ko) | 하이브리드 철골보 | |
JP2010242390A (ja) | 鉄骨ブレースを有する柱・梁の接合部の接合方法とその構造 | |
KR101703798B1 (ko) | 곡선형 구현이 가능한 연결구조를 갖는 피에스씨 빔 및 그 시공방법 | |
KR102029301B1 (ko) |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 |
KR20130042526A (ko) | 교대 벽체와 콘크리트 빔 단부의 결속용 어태치먼트,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 |
KR100949828B1 (ko) | 층고절감형 철골보 및 이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합성보 | |
JP4585614B1 (ja) | 合成鋼床版橋の施工方法、並びにリブ付き鋼床版、及び合成鋼床版橋 | |
KR100893110B1 (ko) | 바닥판 타설시 우각부가 힌지구조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프리캐스트 유니트 거더와 바닥판 합성부 철근으로 강결된우각부를 형성하는 라멘교량공법 | |
KR101243777B1 (ko) |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긴장력이 도입된 파형강판 합성형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998822B1 (ko) | 합성형 라멘교, 합성형 라멘교용 강거더 및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 방법 | |
KR20210004289A (ko) |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 |
KR100626544B1 (ko) | 강판-콘크리트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 합성구조시스템 | |
KR100621928B1 (ko) | 프리캐스트 패널을 갖는 이중합성 철도 판형교 시공방법 | |
KR101107729B1 (ko) | 조립식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
CN110820976A (zh) | 减震阻尼器的拼装结构及方法、预制墩托梁和装配式建筑 | |
KR102033052B1 (ko) |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 |
KR101194866B1 (ko) | 종방향 강재와 횡방향 강재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