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651B1 -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및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 - Google Patents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및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651B1
KR101791651B1 KR1020160058336A KR20160058336A KR101791651B1 KR 101791651 B1 KR101791651 B1 KR 101791651B1 KR 1020160058336 A KR1020160058336 A KR 1020160058336A KR 20160058336 A KR20160058336 A KR 20160058336A KR 101791651 B1 KR101791651 B1 KR 101791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deck
fixing bar
deck plate
long s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남
Original Assignee
(주)센벡스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센벡스,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filed Critical (주)센벡스
Priority to KR1020160058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27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s composed of a prefabricated reinforcing mat combined with reinforcing elements protruding out of the plane of the ma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2005/324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peripheral anchors o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바를 이용하여 강선트러스를 데크플레이트의 산부에 직접 고정함으로써, 강선트러스와 데크플레이트가 일체화된 합성 구조물 형성으로 장스팬 지지가 가능한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및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는 골부와 산부가 교대로 형성된 데크플레이트; 상기 골부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하현재, 상기 하현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상현재 및 파형으로 상기 상현재와 하현재를 연결하도록 상현재와 하현재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 절곡부가 하현재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부 절곡부는 상현재의 내측에 결합되는 파형 래티스로 구성되는 강선트러스; 및 일측은 강선트러스에 결합되고, 타측은 데크플레이트의 산부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바; 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바는 파형 래티스의 상부 절곡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현재의 상부를 감아 외측 하부로 절곡되어 산부 상면에 결합되되, 상부 절곡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강선트러스와 고정바가 절점이 일치된 3차원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및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Reversed triangular truss deck for long span and Connection system of the truss deck and TSC beam}
본 발명은 고정바를 이용하여 강선트러스를 데크플레이트의 산부에 직접 고정함으로써, 강선트러스와 데크플레이트가 일체화된 합성 구조물 형성으로 장스팬 지지가 가능한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및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에 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바닥판은 공사비 및 건물 자중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바닥판이 과대하면 공사비 및 하부구조에 차례대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은 영구거푸집 또는 가설거푸집 공법을 이용하여 조성하나, 일반적으로 가설거푸집은 노동 집약적이어서 영구거푸집으로 전향되어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골데크플레이트 상부에 직접 또는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 평박강판 상면에 평면 강선트러스 또는 삼각 강선트러스를 부착한 트러스데크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트러스데크의 하나로 데크플레이트 상면에 하나의 상현재와 두 개의 하현재에 래티스재가 용접 결합된 강선트러스가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특허 제10-0245268호).
이때 상기 상현재와 하현재는 피복두께 확보를 위해 데크플레이트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은 평데크플레이트는 래티스재를 연장하여 데크플레이트에 결합함으로써 하현재를 데크플레이트에 고정한다.
따라서 래티스재의 하부 꼭짓점이 하현재와 만나 절점을 형성하지 못하고, 하현재 하부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데크플레이트 상면에 위치되게 된다.
또한, 하부의 데크플레이트는 단순히 거푸집 역할을 할 뿐 하중은 강선트러스가 지지하기 때문에 처짐으로 인하여 장스팬에 사용하기 곤란하다. 아울러 상부근이 적어 단부 부모멘트 대응에 불리하다.
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스팬 사용을 위해 오메가 형상으로 데크플레이트를 절곡하여 단면 2차 모멘트를 증가시킴으로써, 부재의 휨 강성을 증대시킨 오메가데크가 있다(특허 제10-1128446호).
그러나 상기 오메가데크는 골부의 하부 폭이 넓어 데크플레이트의 탈형이 불가능하고, 데크플레이트 면적이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이다.
또한, 하현재가 더 많이 배치되므로 여전히 부모멘트 대응에 불리한 단점이 있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상현재와 하나의 하현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역삼각 강선 트러스데크에 대한 기술이 있다(특허 제10-1008414호).
상기 등록기술은 상부근을 보완하여 단부 부모멘트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나, 하현재가 하나만 구비되므로 래티스재를 이용하여 강선트러스를 데크플레이트에 결합하기 어렵다.
그리고 데크플레이트 결합을 위한 너트에 의해서만 하현재가 데크플레이트에 결합되므로, 데크플레이트와 강선트러스의 일체성이 부족해 휨 강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선트러스를 데크플레이트에 직접 고정시켜 강선트러스와 데크플레이트가 결합된 합성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장스팬에 사용 가능한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및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가 단순히 시공 중 거푸집 역할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데크플레이트 자체의 강성 증대 및 강선트러스와의 합성에 의해 시공하중은 물론 시공 후에도 설계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및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강선트러스를 역삼각으로 형성하여 단부 부모멘트 대응에 유리한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및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강선트러스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절점을 일치시켜 부재 단면에 비하여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부재의 처짐 감소로 장스팬에 사용 가능한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및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골부와 산부가 교대로 형성된 데크플레이트; 상기 골부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하현재, 상기 하현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상현재 및 파형으로 상기 상현재와 하현재를 연결하도록 상현재와 하현재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 절곡부가 하현재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부 절곡부는 상현재의 내측에 결합되는 파형 래티스로 구성되는 강선트러스; 및 일측은 강선트러스에 결합되고, 타측은 데크플레이트의 산부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바; 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바는 파형 래티스의 상부 절곡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현재의 상부를 감아 외측 하부로 절곡되어 산부 상면에 결합되되, 상부 절곡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강선트러스와 고정바가 절점이 일치된 3차원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고정바는 상현재의 외측에서 하향 절곡된 후 데크플레이트의 산부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산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의 수평 절곡된 부분의 하면 일측이 리브의 상단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하부플랜지 양단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각각 웨브가 형성된 TSC보; 및 상기 TSC보에 거치되는 상기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로 구성되되, 상기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의 골부 및 하현재는 TSC보의 웨브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데크플레이트 하면의 이웃하는 골부 사이에는 막음 부재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고정바를 이용하여 역삼각 형상의 강선트러스를 데크플레이트의 산부에 고정함으로써, 강선트러스를 데크플레이트에 직접 결합시켜 강선트러스와 데크플레이트가 일체화된 합성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휨 강성 증가로 장스팬 지지가 가능하므로 경제적인 시공을 기대할 수 있으며, 하현재의 피복두께 확보 및 단부 부모멘트 대응에 유리하다.
둘째, 데크플레이트가 단순히 시공 중 거푸집 역할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데크플레이트 자체의 강성 증대 및 강선트러스와의 합성에 의해 시공하중은 물론 시공 후에도 설계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셋째, 파형 래티스의 상하부 절곡부를 각각 상현재와 하현재에 결합되도록 하는 경우, 강선트러스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절점을 일치시켜 인장 및 압축에 의하여 하중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부재 단면에 비하여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처짐을 감소시켜 장스팬 구조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넷째, 고정바를 파형 래티스의 상부 절곡부에서 절곡 연장시켜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 강선트러스와 데크플레이트의 일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부 절곡부에서 절곡된 한 쌍의 고정바를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더욱 견고한 3차원 트러스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트러스데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종래 오메가데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종래 역삼각 강선 트러스데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의 사시도.
도 5는 일실시예에 의한 강선트러스와 고정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띠판 형태의 고정바가 구비된 본 발명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의 사시도.
도 7은 고정바가 파형 래티스와 일체로 형성된 본 발명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의 사시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선트러스와 고정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선트러스와 고정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보와 본 발명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고정바와 데크플레이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막음 부재가 구비된 본 발명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일실시예에 의한 강선트러스와 고정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는 골부(21)와 산부(22)가 교대로 형성된 데크플레이트(2); 상기 골부(21)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하현재(31), 상기 하현재(31)의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상현재(32) 및 파형으로 상기 상현재(32)와 하현재(31)를 연결하도록 상현재(32)와 하현재(31)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 절곡부(331)가 하현재(31)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부 절곡부(333)는 상현재(32)의 내측에 결합되는 파형 래티스(33)로 구성되는 강선트러스(3); 및 일측은 강선트러스(3)에 결합되고, 타측은 데크플레이트(2)의 산부(22)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바(4); 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바(4)는 파형 래티스(33)의 상부 절곡부(333)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현재(32)의 상부를 감아 외측 하부로 절곡되어 산부(22) 상면에 결합되되, 상부 절곡부(333)가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강선트러스(3)와 고정바(4)가 절점이 일치된 3차원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크플레이트(2)는 골부(21)와 산부(22)가 교대로 형성된 것으로, 하나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4 등과 같이, 상기 골부(21)는 하부 폭을 상부 폭보다 좁게 형성 가능하다. 이 경우 전술한 도 2의 오메가데크와 비교하여 데크플레이트(2)의 절곡이 용이하고, 철판 면적이 작게 소요되어 경제적이다. 아울러 콘크리트 양생 후 데크플레이트(2)의 탈형이 용이하며, 골부(21) 내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양을 줄일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중량 감소로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강선트러스(3)는 하현재(31), 한 쌍의 상현재(32) 및 파형 래티스(33)로 구성된다.
상기 하현재(31)는 골부(21) 내부에 위치되도록 골부(21)의 하부에 골부(2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하현재(31)는 저면에 구비된 스페이서(5)에 의하여 골부(21) 저면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5)는 하현재(31)를 데크플레이트(2)에 지지하여 데크플레이트(2)에 대하여 발생하는 하현재(31)의 상대 변위를 잡아준다. 상현재(32)는 고정바(4)에 의해 데크플레이트(2)에 위치가 고정되나 하현재(31)는 매달린 채로 데크플레이트(2)와 이격 설치되므로 휨 발생 시 상대 변위가 발생하여 합성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5)에 의해 강선트러스(3)와 데크플레이트(2)의 상대 변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합성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스페이서(5)는 강선트러스(3)를 콘크리트 하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데크플레이트(2)를 제거하더라도 강재의 피복두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페이서(5)는 폭을 골부(21)의 하단 폭과 일치되도록 조절하여 억지 끼움에 의하여 골부(21)에 삽입하여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현재(32)는 단부 부모멘트 대응에 유리하도록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한 쌍이 배치되며, 하현재(31)와 함께 전체적으로 역삼각형 형상을 이룬다.
상기 상현재(32)는 도 4에서와 같이 데크플레이트(2)의 산부(22)보다 높이가 높을 수 있으며, 데크플레이트(2)의 산부(22)와 높이가 같거나 그 이하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파형 래티스(33)는 파형으로 상기 상현재(32)와 하현재(31)를 연결하도록 상현재(32)와 하현재(31)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파형 래티스(33)는 강선을 절곡하여 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4)는 일측은 강선트러스(3)에 결합되고 타측은 데크플레이트(2)의 산부(22) 상면에 결합되어, 강선트러스(3)를 데크플레이트(2)의 산부(22) 상면에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바(4)에 의하여 강선트러스(3)를 강선트러스(3) 양측의 산부(22)에 결합하므로, 강선트러스(3)가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데크플레이트(2)에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바(4)를 이용하여 강선트러스(3)를 데크플레이트(2)의 산부(22)에 고정하므로, 강선트러스(3)의 하부를 데크플레이트(2)의 골부(21) 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현재(31)의 피복두께 확보가 용이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강선트러스(3)를 역삼각으로 형성하면서도 직접 데크플레이트(2)에 고정함으로써, 데크플레이트(2)와 강선트러스(3)가 결합된 합성 구조물을 형성하여 장스팬에 사용 가능한 트러스데크를 제공한다.
따라서 데크플레이트(2)와 강선트러스(3)의 합성으로 휨 강성을 증대하여 데크플레이트(2)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장스팬 지지가 가능하여 중간보 생략 등으로 시공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데크플레이트(2)가 단순히 시공 중 거푸집 역할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데크플레이트(2) 자체의 강성 증대 및 강선트러스(3)와의 합성에 의해 시공하중은 물론 시공 후에도 설계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상기 파형 래티스(33)는 하부 절곡부(331)가 하현재(31)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부 절곡부(333)는 상현재(32)의 내측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강선트러스(3)를 구성하는 파형 래티스(33)의 꼭짓점이 상현재(32) 또는 하현재(31)와 만나도록 절점(node)을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인장 및 압축에 의하여 하중을 매우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엄밀한 의미의 트러스 부재를 구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부재 단면 크기에 비하여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부재의 처짐을 줄일 수 있어 장스팬 경간에 사용 가능하다.
상기 하부 절곡부(331)와 상부 절곡부(333)는 연결부(332)로 연결한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4)는 중앙은 상기 한 쌍의 상현재(32)에 폭 방향으로 결합되고, 양측은 산부(22) 상면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파형 래티스(33)와 별도로 구성되는 고정바(4)의 실시예이다.
따라서 별도의 고정바(4)에 의해 강선트러스(3)를 데크플레이트(2)에 결합할 수 있다.
통상 상기 상현재(32)는 데크플레이트(2)의 산부(22) 상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고정바(4)는 모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후술할 도 7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달리 고정바(4) 형성을 위하여 파형 래티스(33)를 절곡할 필요가 없으므로, 일반적인 파형 래티스(33)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생산 라인 신설이 불필요하므로, 설비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4)는 파형 래티스(33)의 상부 절곡부(333) 위치의 상현재(3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선트러스(3)의 절점을 일치시킬 뿐 아니라 데크플레이트(2)의 산부(22)에 고정되는 고정바(4) 역시 강선트러스(3)의 절점과 연결되도록 절점을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강선트러스(3) 자체뿐만 아니라 강선트러스(3)와 데크플레이트(2)의 결합 구조를 견고한 3차원 트러스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4)는 트러스데크의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고정바(4)와 연속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강선트러스(3)를 고정바(4)로 일체화할 수 있으므로, 제작 효율을 높일 수 있고 트러스데크의 강성을 증대할 수 있다.
도 6은 띠판 형태의 고정바가 구비된 본 발명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4)는 띠판 형태이고, 상기 데크플레이트(2)의 상부와 체결 부재(B)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4)로 철근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띠판 형태의 고정바(4)를 사용하면 체결 부재(B)를 이용하여 데크플레이트(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래브 콘크리트 경화 후 체결 부재(B)를 해체하여 데크플레이트(2)를 쉽게 탈형할 수 있다.
따라서 데크플레이트(2)를 이용한 콘크리트 물량 감소와 데크플레이트(2) 회수를 통하여 바닥판 자중을 줄일 수 있으므로, 바닥판 자체는 물론 기둥 및 기초 물량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판의 처짐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누수 원을 쉽게 찾을 수 있어 하자 보수에도 유리하다.
상기 데크플레이트(2)를 해체하는 경우에는 고정바(4)가 직접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바(4)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바(4)의 하부면을 에폭시 코팅하거나 용융 플라스틱으로 도장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4)는 강판을 이용하여 제작 가능하며, 상기 체결 부재(B)는 직결나사 또는 너트와 결합되는 볼트로 구성 가능하다.
도 7은 고정바가 파형 래티스와 일체로 형성된 본 발명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선트러스와 고정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4)는 파형 래티스(33)의 상부 절곡부(333)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현재(32)의 상부를 감아 외측 하부로 절곡되어 산부(22) 상면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파형 래티스(33)와 일체형인 고정바(4)의 실시예이다.
상기 고정바(4)는 파형 래티스(33)의 상부 절곡부(333)에서 하부로 절곡된 다음 데크플레이트(2)의 산부(22)에서 수평 방향으로 다시 절곡되어 산부(22) 상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파형 래티스(33)에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고정바(4)에 의하여 강선트러스(3)가 데크플레이트(2)에 직접 결합되므로, 강선트러스(3)와 데크플레이트(2)의 일체성이 향상된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선트러스와 고정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절곡부(333)에서 절곡된 한 쌍의 고정바(4)는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즉, 도 8의 실시예에서 파형 래티스(33)의 상부 절곡부(333)에서 절곡된 고정바(4)는 데크플레이트(2)의 산부(22) 상면에서 단부가 만나는 한 쌍을 상호 밀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선트러스(3)의 절점을 일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크플레이트(2)의 산부(22)에 고정되는 고정바(4)를 강선트러스(3)의 절점에서 연장되도록 구성 가능하므로, 더욱 견고한 3차원 트러스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보와 본 발명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는 두께가 두꺼우므로, 층고 절감 측면에서 보(1)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10의 (a)와 같이 강선트러스(3)의 상현재(32) 하부 또는 측면에 거치용 앵글(6)을 결합하고, 거치용 앵글(6)을 보(1)의 상부플랜지에 거치하여 보(1)에 본 발명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를 결합할 수 있다.
또는 TSC보의 경우 도 10의 (b)와 같이 보(1) 측면에 거치부(7)를 결합하고, 거치부(7) 상부에 본 발명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를 얹어 보(1)와 결합할 수 있다.
도 11은 고정바와 데크플레이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4)는 상현재(32)의 외측에서 하향 절곡된 후 데크플레이트(2)의 산부(22)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2)의 산부(22)에는 길이 방향으로 리브(22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4)의 수평 절곡된 부분의 하면 일측이 리브(221)의 상단에 용접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4)와 데크플레이트(2)의 용접 결합은 용접봉을 녹여 용접살을 채우는 것이 아니라 고정바(4)와 데크플레이트(2)에 순간적으로 전기를 흘려 접촉부 용융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바(4)와 데크플레이트(2)가 한 점에서 점 접촉이 되어야 용접 가능하다.
단순히 고정바(4)가 하향 절곡되어 고정바(4)의 단부가 직접 데크플레이트(2)에 접촉될 경우, 고정바(4)의 단부가 데크플레이트(2)의 넓은 면에 접촉되므로 용접 결합이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정바(4)의 하단을 수평 절곡하여 수평 절곡된 부분이 리브(221) 상단에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바(4)와 데크플레이트(2)가 점 접촉을 이루어 상호 용접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는 하부플랜지(11) 양단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각각 웨브(12)가 형성된 TSC보(1); 및 상기 TSC보(1)에 거치되는 상기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로 구성되되, 상기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의 골부(21) 및 하현재(31)는 TSC보(1)의 웨브(12)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는 최대모멘트 및 처짐을 줄이기 위하여 단부가 연속단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보(1)와의 접합부에서 강선트러스(3)의 상현재(32)는 인장력을 전달하고 하현재(31)는 압축력을 전달해야 한다.
그런데 일반 H형강 보와 같이 웨브가 플랜지 내측에 위치하는 부재는 본 발명 을 구성하는 골부(21)와 산부(22)가 교대로 형성되는 골데크플레이트(2)를 결합하고자 하면 하현재(31)를 웨브에 지지할 수 없어 보의 상부플랜지 상면에 거치시킬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보와 슬래브의 전체 춤이 커져 층고 측면에서 불리하다.
반면, 도 12와 같이, TSC보(1)는 웨브(12)가 외측에 배치되므로, 본 발명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의 하현재(31)는 물론 데크플레이트(2)의 골부(21) 단부까지 밀착 가능하다.
따라서 하현재(31)와 데크플레이트(2)의 압축력을 TSC보(1)를 통해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층고를 절감하면서도 단부를 연속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TSC보(1)의 측면에 결합된 거치부(7) 상부에 상기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를 거치하여 결합하였다.
도 13은 막음 부재가 구비된 본 발명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플레이트(2) 하면의 이웃하는 골부(21) 사이에는 막음 부재(8)를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막음 부재(8)는 인접하는 골부(21) 사이를 차단하여, 트러스데크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인접하는 골부(21)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1: 보, TSC보 11: 하부플랜지
12: 웨브 2: 데크플레이트
21: 골부 22: 산부
221: 리브 3: 강선트러스
31: 하현재 32: 상현재
33: 파형 래티스 331: 하부 절곡부
332: 연결부 333: 상부 절곡부
4: 고정바 5: 스페이서
6: 거치용 앵글 7: 거치부
8: 막음 부재 B: 체결 부재

Claims (11)

  1. 골부(21)와 산부(22)가 교대로 형성된 데크플레이트(2);
    상기 골부(21)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하현재(31), 상기 하현재(31)의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상현재(32) 및 파형으로 상기 상현재(32)와 하현재(31)를 연결하도록 상현재(32)와 하현재(31)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 절곡부(331)가 하현재(31)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부 절곡부(333)는 상현재(32)의 내측에 결합되는 파형 래티스(33)로 구성되는 강선트러스(3); 및
    일측은 강선트러스(3)에 결합되고, 타측은 데크플레이트(2)의 산부(22)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바(4); 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바(4)는 파형 래티스(33)의 상부 절곡부(333)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현재(32)의 상부를 감아 외측 하부로 절곡되어 산부(22) 상면에 결합되되, 상부 절곡부(333)가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강선트러스(3)와 고정바(4)가 절점이 일치된 3차원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2. 제1항에서,
    상기 고정바(4)는 상현재(32)의 외측에서 하향 절곡된 후 데크플레이트(2)의 산부(22)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2)의 산부(22)에는 길이 방향으로 리브(22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4)의 수평 절곡된 부분의 하면 일측이 리브(221)의 상단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3. 하부플랜지(11) 양단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각각 웨브(12)가 형성된 TSC보(1); 및
    상기 TSC보(1)에 거치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의한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로 구성되되,
    상기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의 골부(21) 및 하현재(31)는 TSC보(1)의 웨브(12)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
  4. 제3항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2) 하면의 이웃하는 골부(21) 사이에는 막음 부재(8)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58336A 2016-05-12 2016-05-12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및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 KR101791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336A KR101791651B1 (ko) 2016-05-12 2016-05-12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및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336A KR101791651B1 (ko) 2016-05-12 2016-05-12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및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651B1 true KR101791651B1 (ko) 2017-10-30

Family

ID=6030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336A KR101791651B1 (ko) 2016-05-12 2016-05-12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및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6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8706A (zh) * 2018-06-15 2018-10-19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三角形空间桁架及大跨度无立柱温室
CN110241960A (zh) * 2019-06-28 2019-09-17 上海欧本钢结构有限公司 一种基于钢板片上弦的钢筋桁架叠合板
CN112900885A (zh) * 2021-03-16 2021-06-04 中铁二十局集团第六工程有限公司 钢筋桁架楼承板的安装方法、存放方法及钢筋桁架楼承板
CN114517563A (zh) * 2022-03-14 2022-05-20 易建网科技有限公司 新型桁架结构
KR102411199B1 (ko) * 2021-05-25 2022-06-23 (주)씨지스플랜 둥근 모서리를 가지는 데크 플레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336Y1 (ko) * 2001-04-12 2001-10-11 임한식 콘크리트 타설용 기초구조재
KR101393468B1 (ko) * 2012-06-05 2014-05-13 이창남 트러스데크의 강선트러스 단부 연속성 확보 구조
KR101555313B1 (ko) * 2014-04-18 2015-09-23 정경진 보춤이 높은 보 형성을 위한 역트러스근이 배근된 개량형 데크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336Y1 (ko) * 2001-04-12 2001-10-11 임한식 콘크리트 타설용 기초구조재
KR101393468B1 (ko) * 2012-06-05 2014-05-13 이창남 트러스데크의 강선트러스 단부 연속성 확보 구조
KR101555313B1 (ko) * 2014-04-18 2015-09-23 정경진 보춤이 높은 보 형성을 위한 역트러스근이 배근된 개량형 데크플레이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8706A (zh) * 2018-06-15 2018-10-19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三角形空间桁架及大跨度无立柱温室
CN108668706B (zh) * 2018-06-15 2024-05-07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三角形空间桁架及大跨度无立柱温室
CN110241960A (zh) * 2019-06-28 2019-09-17 上海欧本钢结构有限公司 一种基于钢板片上弦的钢筋桁架叠合板
CN110241960B (zh) * 2019-06-28 2024-06-07 上海欧本钢结构有限公司 一种基于钢板片上弦的钢筋桁架叠合板
CN112900885A (zh) * 2021-03-16 2021-06-04 中铁二十局集团第六工程有限公司 钢筋桁架楼承板的安装方法、存放方法及钢筋桁架楼承板
KR102411199B1 (ko) * 2021-05-25 2022-06-23 (주)씨지스플랜 둥근 모서리를 가지는 데크 플레이트
CN114517563A (zh) * 2022-03-14 2022-05-20 易建网科技有限公司 新型桁架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651B1 (ko)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및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
KR100908507B1 (ko) 에이치형강과 성형강판을 이용한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KR101783035B1 (ko) 역삼각 트러스 거더 삽입형 데크
KR101136582B1 (ko) 무용접 철근트러스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1203978B1 (ko) 교량의 상부 구조물
KR200426483Y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패널의 데크 플레이트
KR101182044B1 (ko) ㄷ자형 부재로 구성된 조립형 강재 보를 이용한 합성보
KR101533576B1 (ko) 반채움 pc 트러스보강재 합성보
JP2006316580A (ja) 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及びその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を使用した橋梁構築方法
KR100870070B1 (ko)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KR101836325B1 (ko)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KR101222320B1 (ko) ㄷ자형 부재와 역티자형 부재를 조립한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100891933B1 (ko) 티형 강재를 이용한 합성보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구조물 시공방법
KR101395198B1 (ko) 슬림플로어용 강조립보 및 이를 이용한 슬림플로어 합성구조
KR20050054407A (ko) ㄱ형강 콘크리트구조
KR101429527B1 (ko) 복합보 접합부 구조
KR100870068B1 (ko)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KR101458875B1 (ko) 플레이트-각관 조립철골보에 의한 슬림플로어 합성구조
KR101346019B1 (ko) 휨성능이 향상된 강합성 보의 시공방법
KR102186162B1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장스팬용 데크플레이트
KR102005970B1 (ko) 강합성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272119B1 (ko) 연속 지점부의 강성이 증대된 교량용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거더
KR101738244B1 (ko) 트러스보강 조립보
KR20180022255A (ko) 보의 단부 마구리면을 형틀 지지부로 하는 모멘트 접합 구조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KR101249600B1 (ko) 고정부재를 이용해 데크플레이트가 강재 보에 매달린 형태로 결합된 합성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