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640B1 -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 - Google Patents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4640B1 KR101604640B1 KR1020150163222A KR20150163222A KR101604640B1 KR 101604640 B1 KR101604640 B1 KR 101604640B1 KR 1020150163222 A KR1020150163222 A KR 1020150163222A KR 20150163222 A KR20150163222 A KR 20150163222A KR 101604640 B1 KR101604640 B1 KR 1016046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bridge
- fixing bracket
- bracket
- suppor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1965 increased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2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10000000614 Ribs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250 Clear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2 clear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에 관한 것으로서, 받침데크를 받침하는 고정브라켓을 원판을 절곡방식으로 일체화되게 형성하여 인도교를 제조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의 구조적 설계에 의해 구속력 및 수평력을 증대시키며, 인도교의 설치환경에도 구애됨이 없이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조의 편리성과 작업공정의 단순화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설치표면 정리단계(S1)와; 앵커볼트 고정단계(S2)와; 고정브라켓 성형단계(S3)와; 상기 고정브라켓 성형단계(S3)를 통해 성형된 고정브라켓을 상기 앵커볼트에 의해 설치표면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 고정단계(S4)와; 고정브라켓의 상단 길이방향에 복수의 각관을 안착시키는 각관 안착단계(S5)와; 고정브라켓의 일단에 난간을 고정하는 난간 고정단계(S6); 및 고정브라켓 상에 안착된 각관의 상단에 사람 또는 자전거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받침데크를 고정하는 받침데크 고정단계(S7)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 성형단계(S3)에서 받침보는 원판과; 상기 원판의 상단에 일정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절단홈; 및 상기 원판의 상단 및 하단을 일정폭 절곡시켜 상단에서 일정깊이를 가지는 다수의 삽입공이 형성되도록 절곡면에 의한 절곡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설치표면 정리단계(S1)와; 앵커볼트 고정단계(S2)와; 고정브라켓 성형단계(S3)와; 상기 고정브라켓 성형단계(S3)를 통해 성형된 고정브라켓을 상기 앵커볼트에 의해 설치표면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 고정단계(S4)와; 고정브라켓의 상단 길이방향에 복수의 각관을 안착시키는 각관 안착단계(S5)와; 고정브라켓의 일단에 난간을 고정하는 난간 고정단계(S6); 및 고정브라켓 상에 안착된 각관의 상단에 사람 또는 자전거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받침데크를 고정하는 받침데크 고정단계(S7)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 성형단계(S3)에서 받침보는 원판과; 상기 원판의 상단에 일정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절단홈; 및 상기 원판의 상단 및 하단을 일정폭 절곡시켜 상단에서 일정깊이를 가지는 다수의 삽입공이 형성되도록 절곡면에 의한 절곡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데크를 받침하는 고정브라켓을 원판을 절곡방식으로 일체화되게 형성하여 인도교를 제조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의 구조적 설계에 의해 구속력 및 수평력을 증대시키며, 인도교의 설치환경에도 구애됨이 없이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조의 편리성과 작업공정의 단순화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하천, 호수, 해협, 저수지 등을 가로질러 시공되어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과 같은 구조물로서, 이러한 교량은 교대와 교각과 이들 상부에 걸쳐져 설치되는 거더 및 상판으로 이루어진 상부 구조물로 구성된다.
상기한 교량은 차량의 통행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통행을 위한 인도가 함께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인도는 자전거 또는 사람들이 보행하는 길로서, 이는 교량 설치시 별도의 방법에 의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통행을 위한 차도의 폭이 확보된 상태에서 가장자리를 난간 등으로 구획시켜 이를 인도로 사용하고 있다.
즉, 교량에서 차도의 폭이 비교적 넓은 경우, 별도의 보행로를 구획시켜 차도와 인도를 엄격하고 안전하게 분리하여 설치하지만 그렇지않은 경우, 차도의 가장자리에 난간을 설치하여 차도와 인도가 함께 설치된다.
기존 교량에 차도와 인도가 구분되지 않을 경우, 교량의 가장자리로 사람이 보행하게 되면, 차량과 보행자에게 모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교량에 인도를 설치하고자 기존 교량을 철거하고 다시 시공할 경우,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최근에는 기존 설치된 교량에 인도를 별도로 가설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교량에 인도교를 가설하는 방법으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090400호가 제시된 바 있으며, 이는 도로의 비탈면이 시작되는 측변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지지말뚝을 지중에 수직으로 매설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말뚝의 두부에 접합시켜 지상으로 소정량 돌출되는 확장인도교 지지블록을 형성하는 단계와, 인도 및 자전거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노폭을 갖는 확장인도교를 상기 확장인도교 지지블록에 외팔보형태로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의 다른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 제1122681호는 복수의 교량 받침대와, 상기 교량받침대 위에 고정 설치되는 거치식 브라켓과, 상기 거치식 브라켓 위에 고정되는 복수의 사각-아연 도각관과, 상기 거치식 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되는 난간 지지 각형 강관과, 상기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보행자용 난간과, 복수의 사각-아연 도각관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바닥재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25031호는,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에 있어서, 교량(10)의 상면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 형성된 연석(11)의 외측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교량(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 구비되는 고정브라켓(110)과, 상기 고정브라켓(11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연석(11)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브라켓(110)을 교량(10) 방향으로 당김시켜 항상 긴장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장력 유지수단(130)과, 상기 고정브라켓(110)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각 일단과 타단이 고정브라켓(110)의 상면에 안착되어 자전거 또는 보행자의 왕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데크부(13)가 상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되, 교량(10)의 요동 또는 온도변화에 대응되게 가변되는 것에 의해 데크부(1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교량(1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장선부(150)로 구성된다.
상기한 선행기술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이 운행되는 차도가 구성된 기존의 교량의 양단 또는 일단에 자전거 또는 사람이 보행할 수 있도록 인도교를 부설시킨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측면에 부설되는 인도교는, 교량(10)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0)과, 상기 고정브라켓(20)의 상단에 고정되는 각관(30)과, 상기 각관(30)의 상단에 안착되고 다수의 체결수단(42)에 의해 고정되는 받침데크(40), 및 상기 고정브라켓(20)의 끝단에 고정되는 난간(5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20)은 'I'형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량(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20)의 하단은 보의 설계에 따라 일정각도 기울어져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20)의 상단에 고정되는 각관(30)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아연도금 처리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각관(30)은 고정브라켓(20)의 상단에 안착시킨 후 상기 각관(30)과 고정브라켓(20)이 맞닿는 부위에 용접방식에 의한 용접부위(32)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교량 확장용 인도교 또는 보도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고정브라켓은 구조 설계상 외팔보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단에 발생하는 휨모멘트와 전단력을 통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브라켓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인도교에 사용되는 고정브라켓은 8mm 두께의 철판을 이용하여, 상판과, 하판 및 중앙 지지대로 이루어진 'I'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각각의 상판과, 하판 및 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해 용접방식으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용접방식으로 용착시킬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고른 평탄면을 형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열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상판과, 하판 및 지지대로 구성된 'I'형상의 고정브라켓을 제조하는 제조시간의 추가로 인해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고정브라켓에 고정된 각관이 외부환경에 의해 쉽게 부식됨으로써, 고정력을 상실하여 인도교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고정브라켓에 각관을 고정하기 위해 용접방식으로 고정할 때 용접방식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각관에 도금된 도금층이 녹아져 벗겨짐으로써, 각관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 경우, 외부환경 즉, 비나 눈 등의 수분이 상기 각관의 도금층이 벗겨진 부분에 부식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인도교에 작용하중이나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용접부위가 쉽게 파손됨으로써, 상기 고정브라켓에 각관의 고정력이 상실된다.
이로 인해, 인도교에 구성된 고정브라켓의 각관 고정력이 상실됨에 따라 수평력을 받아줄 수 있는 힘을 잃어버리며, 그로 인해 발생되는 상기 각관의 상단에 고정된 받침데크가 쉽게 파손 또는 손상됨으로써, 잦은 보수 또는 교체를 실시하여야 하는 유지보수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단에 고정되는 각관은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단부에 안착된 상태로 용접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각관의 상단에 고정되는 받침데크와 상기 고정브라켓 사이의 간격이 상기 각관의 높이만큼 이격된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각관의 높이 만큼 고정브라켓과 받침데크의 간격에 의해 받침데크를 통행하는 보행자 또는 자전거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충격파가 상기 고정브라켓과 받침데크의 간격만큼 증폭됨으로써, 하중과 수평력의 상실로 상기 받침데크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받침데크의 일부분이 파손될 경우, 여기를 지나가는 보행자 또는 자전거가 걸려 넘어지게 됨으로써, 보행자 또는 자전거 운전자가 상해를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데크를 받침하는 고정브라켓을 절곡방식으로 일체화되게 형성하여 인도교를 제조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의 구조적 설계에 의해 구속력 및 수평력을 증대시키며, 인도교의 설치환경에도 구애됨이 없이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조의 편리성과 작업공정의 단순화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브라켓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각관을 포함하는 교량 확장용 인도교를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용접에만 의존하던 방식에 의해 각관의 도금층이 벗겨져 부식이 발생되며, 그로 인한 수평력 손실로 파생되는 데크 및 인명손실 발생을 방지하여 상기 고정브라켓과 각관의 고정력을 일체화시켜 수평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브라켓과 각관 사이에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패킹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각관의 상단에 고정되는 받침데크를 통해 작용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기 각관의 고정력 및 수평력이 상실되지 않도록 하는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도교를 설치하고자 하는 표면을 정리하는 설치표면 정리단계와; 상기 설치표면 정리단계를 통해 설치표면이 정리되면 복수의 앵커볼트를 고정하는 앵커볼트 고정단계와;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단에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받침보를 형성하는 고정브라켓 성형단계와; 상기 고정브라켓 성형단계를 통해 성형된 고정브라켓을 상기 앵커볼트에 의해 설치표면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 고정단계와; 상기 고정브라켓 고정단계를 통해 고정된 고정브라켓의 상단 길이방향에 복수의 각관을 안착시키는 각관 안착단계와; 상기 각관 안착단계를 통해 고정브라켓의 상단에 복수의 각관이 안착되면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단에 난간을 고정하는 난간 고정단계; 및 상기 난간 고정단계를 통해 난간의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브라켓 상에 안착된 각관의 상단에 사람 또는 자전거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받침데크를 고정하는 받침데크 고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 성형단계에서 받침보는 원판과; 상기 원판의 상단에 일정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절단홈; 및 상기 원판의 상단 및 하단을 일정폭 절곡시켜 상단에서 일정깊이를 가지는 다수의 삽입공이 형성되도록 절곡면에 의한 절곡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받침보에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각관을 받침함으로써, 상기 각관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 용접에만 의존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수평력을 증대시켜 받침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받침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브라켓에는, 받침보 및 받침판의 받침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브라켓과 각관 사이에는, 상기 각관에 작용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여 고정력 및 수평력을 증폭시키도록 하는 패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보는, 절곡방식에 의해 구성되어 이를 상호 맞대응시킴으로써, 'ㅁ' 또는 'I'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받침데크를 받침하는 고정브라켓을 절곡방식으로 일체화되게 형성하여 인도교를 제조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의 구조적 설계에 의해 인도교의 설치환경에 구애됨이 없이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조의 편리성과 작업공정의 단순화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브라켓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각관을 포함하는 교량 확장용 인도교를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용접에만 의존하던 방식에 의해 각관의 도금층이 벗겨져 부식이 발생되며, 그로 인한 수평력 손실로 파생되는 데트 및 인명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고정브라켓과 각관의 고정력 및 수평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브라켓과 각관 사이에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패킹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각관의 상단에 고정되는 받침데크를 통해 작용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기 각관의 고정력 및 수평력이 상실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일례를 보인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교량 확장용 인도교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교량 확장용 인도교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교량 확장용 인도교의 설치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절곡상태를 보인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교량 확장용 인도교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교량 확장용 인도교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절개지의 인도교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인도교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일례를 보인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교량 확장용 인도교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교량 확장용 인도교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교량 확장용 인도교의 설치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절곡상태를 보인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교량 확장용 인도교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교량 확장용 인도교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절개지의 인도교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인도교의 개략적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의 인도교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10)의 일단에 고정되는 앵커볼트(100)와, 상기 앵커볼트(100)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교량(10)의 일단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00)과,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상단에 안착되는 복수의 각관(300)과, 상기 각관(300)의 상단에 고정되는 받침데크(400) 및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끝단에 고정되는 난간(500)을 포함한다.
상기 인도교는 교량(10)의 일단에 고정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교량이나 절개지 또는 도로 등의 일측에 사람 또는 자전거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곳이면 어느 곳이든 설치 가능한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교량(10)의 일단에 설치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인도교의 설치공법을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표면 정리단계(S1)와, 앵커볼트 고정단계(S2)와, 고정브라켓 성형단계(S3)와, 고정브라켓 고정단계(S4)와, 각관 안착단계(S5)와, 난간 고정단계(S6), 및 받침데크 고정단계(S7)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표면 정리단계(S1)는 인도교를 설치하고자 하는 교량(10)의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이다. 이는, 고정브라켓(200)이 설치되는 표면에 형성된 레이턴스 또는 기타 돌출물들을 정리시켜 평탄한 표면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받침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앵커볼트 고정단계(S2)는 상기 설치표면 정리단계(S1)를 통해 교량(10)의 표면이 정리되면, 고정브라켓(2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앵커볼트(100)를 고정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교량(10)의 표면에 일정깊이의 설치공을 천공한 후 앵커볼트(100)를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앵커볼트(100)의 확고한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케미칼을 주입시켜 상기 앵커볼트(100)가 상기 교량(10)에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상기 케미칼 주입을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 성형단계(S3)는 일정두께를 가지는 철판을 절곡시켜 고정브라켓(200)을 성형한다.
상기 고정브라켓(200)은 앵커볼트(100)가 삽입되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210)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210)에 일단이 고정되고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받침보(2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10)는 교량(10)의 설치된 복수의 앵커볼트(100) 각각이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보(22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10)의 일단에 밀착된 후 용접과 같은 융착방식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받침보(2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철판으로 절곡시켜 형성한다.
즉, (a)와 같이, 상단(232)은 수평이고, 하단(234)은 일정각도 기울어진 형상의 철판으로 절단하여 원판(230)을 형성한다. 이 경우, 경사진 하단(234)은 외팔보의 구조적 설계에 의해 경사진 것으로서, 경우에 따라서 상기 상단(232)과 같이 수평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b)와 같이, 상기 원판(230)의 상단(232)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깊이를 가지는 다수의 절단홈(236)을 형성한다. 상기 절단홈(236)의 깊이는 각관(300)의 삽입깊이 및 절곡길이를 고려하여 계산한다.
(c)와 같이, 상기 상단(232) 및 하단(234)을 일정폭을 가지도록 절곡하는 절곡면(238)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원판(230)에서 절곡면(238)을 형성한 'ㄷ'형상이 형성된다.
(d)와 같이, 상기 상단(232)의 절곡면(238) 하단에 상기 절단홈(236)과 일치하도록 'U'형상의 받침판(224)을 용접방식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최종 받침보(22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받침보(220)를 하나의 철판으로 구성된 원판(230)을 통해 절곡방식으로 성형함으로써, 보강강도를 증폭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종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 예컨대, 종래에는 8mm의 철판을 사용하였다면, 본 발명의 받침보(220)는 6mm의 두께를 사용하여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함으로써, 제조단가 및 제조시간을 단축하여, 제조 경쟁력을 강화한다.
또한, 상기 받침보를 절곡방식으로 일체화 성형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각각의 구역에 맞춰 철판을 절단한 후 전체면을 용접방식으로 접합할 경우, 용접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고, 또한 열에 의해 철판 재질 자체의 조직을 변형시켜 구조적 강도를 약화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절곡방식에 의해 절곡된 받침보(220)는 상단 및 하단 각각이 일정길이 절곡된 'ㄷ'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보(220)는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깊이를 가지고 내측에 각관(300)이 삽입되는 삽입공(22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222)에 삽입된 각관(300)의 하단을 받침하는 받침판(22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 고정단계(S4)는 상기 고정브라켓 성형단계(S3)를 통해 성형된 고정브라켓(200)을 교량(10)의 표면에 고정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교량(10)의 표면에 고정된 복수의 앵커볼트(100) 각각에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고정플레이트(210)에 형성된 체결공이 삽입되도록 한 후 너트를 조임시킴으로써, 상기 교량(10)의 표면에 고정브라켓(200)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교량(10)의 표면과 고정브라켓(200)의 고정플레이트(210) 사이에 고무를 구성하여, 상기 고무의 마찰력과 진동 흡수력에 의해 상기 교량(10)에 대하여 고정브라켓(200)의 고정력이 증폭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각관 안착단계(S5)는 상기 고정브라켓 고정단계(S4)를 통해 교량(10)의 표면에 고정브라켓(200)의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상단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공(222) 각각에 각관(300)을 삽입시켜 고정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삽입공(222)에 삽입되는 각관(300)은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구성된 받침판(224)에 의해 삽입공(222)에 삽입된 각관(300)의 하단을 받침함으로써,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삽입공(222)과 상기 각관(300) 사이에 패킹(310)을 위치시켜 상기 삽입공(222)과 각관(300) 사이에 완전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각관(3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패킹(310)은 충격흡수력을 가지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됨으로써, 보행자 또는 자전거의 통행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각관(300)에 전달되어도 상기 패킹(310)에서 진동을 흡수하여, 고정브라켓(200)에 작용하는 진동이 미미하다.
또한, 상기 각관(300)을 고정브라켓(200)의 삽입공(222)에 삽입시킨 후 상기 고정브라켓(200)과 각관(300) 사이를 용접에 의해 고정시켜 고정력이 증폭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 직결볼트로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각관(300)의 고정력이 증폭되도록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난간 고정단계(S6)는 상기 각관 안착단계(S5)를 통해 고정브라켓(200) 상에 각관(300)의 안착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끝단에 난간을 고정하는 단계이다.
이는,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난간(500)의 복수의 난간대를 고정한 후 복수의 난간대 사이에 난간봉을 고정함으로써, 난간(5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난간(500)은 사용목적 및 설치장소에 따라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데크 고정단계(S7)는 상기 난간 고정단계(S6)를 통해 고정브라켓(200)의 일단에 난간(500)의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브라켓(200) 상에 고정된 각관(300)의 상단에 받침데크(400)를 고정하는 단계이다.
이는, 상기 고정브라켓(200) 상에 고정된 각관(300)에 받침데크(400)를 안착시킨 후 직결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받침데크(400)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받침보를 절곡방식으로 성형함으로써, 인도교의 설치목적 및 설치조건에 맞춰 다양한 형태의 인도교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조건하에 받침보를 설치할 경우, 종래에는 기성품인 'I' 또는 'H'빔을 절단하거나 또는 다수의 철판을 절단시킨 후 용접 등에 의해 제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성형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받침보는 절곡방식으로 성형함으로써, 성형시간 단축과 제조의 편리성 및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킨다.
<제2실시 예>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의 고정브라켓(20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데크(400)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받침력 증강 및 각관(300)에 대한 받침력을 증강시키기 위해 받침보(220)와 받침판(224)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226)를 포함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리브(226)는 상기 받침보(220)의 받침력을 증폭하도록 상단 및 하단(232)(234)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성하거나 또는 다수의 받침판(2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받침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받침보(220)의 받침력 및 고정력을 증폭하도록 하는 구성이면 개수 또는 형상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 가능하다.
<제3실시 예>
제1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 예의 고정브라켓(2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받침보(220)를 맞대응되도록 고정시켜 'ㅁ'형상의 받침보(220)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즉, 'ㄷ'형상의 상기 받침보(220)에서 상단(232) 및 하단(234)의 절곡면(238)들이 상호 맞대응되도록 위치시킨 후 맞닿는 부분을 용접에 의한 융착 고정방식으로 고정시킴으로써, 'ㅁ'형상의 받침보(220)를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ㅁ'형상의 받침보(220)는 각관(300)과의 접촉면적을 증폭시켜 상기 각관(300)의 받침력을 증강시킬 뿐만 아니라 고정브라켓(200)의 고정력을 증폭시킴으로써, 대형 인도교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제4실시 예>
제1 내지 제3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4실시 예의 고정브라켓(200)의 받침보(2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을 상호 맞대응시켜 'I'형상으로 형성한다.
즉, 'ㄷ'형상으로 형성된 받침보(220)의 수직면을 맞대응시켜 'I'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즉, 제1 내지 제4실시 예와 같이, 받침보(220)를 'ㄷ', 'ㅁ', 'I'형상에 일정깊이를 가지고 각관(300)이 일정깊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공(222)을 형성함으로써, 용접과 같이 별도의 고정방식을 구현하지 않고도 상기 각관(300)의 고정력 및 외팔보의 구조적 하중에 대한 응력을 증폭하는 것이다.
<제5실시 예>
제1 내지 제4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5실시 예의 인도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일측에 설치한다. 이 경우, 현장에서는 '보도교'라 칭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인도교는 직선형뿐만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형과 같은 곡선형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이는, 인도교의 고정브라켓(200)을 구성하는 받침보(220)를 철판을 절곡한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유선형의 인도교(또는 '보도교')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종래와 같이 'I' 또는 'H'빔을 절단하여 형성할 경우, 제조의 시간과 제조공정 등이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에 따른 타당성이 맞지않기 때문에 구현이 어렵다.
한편, 상기 인도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200)의 받침보(220) 하단에 절개지의 지면에 대한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기둥을 설치할 수 있다.
즉, 인도교는 교량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사람 또는 자전거 등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설치하고자 하는 곳이면 어디든 설치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교량 확장용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앵커볼트 200: 고정브라켓
210: 고정플레이트 220: 받침보
222: 삽입공 224: 받침판
226: 리브 230: 원판
232: 상단 234: 하단
236: 절단홈 238: 절곡면
300: 각관 310: 패킹
400: 받침데크 500: 난간
210: 고정플레이트 220: 받침보
222: 삽입공 224: 받침판
226: 리브 230: 원판
232: 상단 234: 하단
236: 절단홈 238: 절곡면
300: 각관 310: 패킹
400: 받침데크 500: 난간
Claims (6)
- 인도교를 설치하고자 하는 표면을 정리하는 설치표면 정리단계와, 상기 설치표면 정리단계를 통해 설치표면이 정리되면 복수의 앵커볼트를 고정하는 앵커볼트 고정단계와,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단에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받침보를 형성하는 고정브라켓 성형단계와, 상기 고정브라켓 성형단계를 통해 성형된 고정브라켓을 상기 앵커볼트에 의해 설치표면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 고정단계와, 상기 고정브라켓 고정단계를 통해 고정된 고정브라켓의 상단 길이방향에 복수의 각관을 안착시키는 각관 안착단계와, 상기 각관 안착단계를 통해 고정브라켓의 상단에 복수의 각관이 안착되면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단에 난간을 고정하는 난간 고정단계; 및 상기 난간 고정단계를 통해 난간의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브라켓 상에 안착된 각관의 상단에 사람 또는 자전거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받침데크를 고정하는 받침데크 고정단계를 통해 인도교를 설치하는 인도교의 설치공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 성형단계(S3)는, 절곡방식에 의해 받침보(220)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보(220)는, 일정두께의 원판(230)의 상단에 일정깊이를 가지면서 각관(300)이 삽입되는 폭을 가지도록 다수의 절단홈(236)을 형성하며;
상기 원판(230)의 절단홈(236)의 일부가 포함되도록 상단(232) 및 하단(234)을 일정폭의 절곡면(238)을 기준으로 절곡시켜 상단(232)에 각관(300)이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공(222)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보(220)에는, 상기 삽입공(222)에 삽입되는 각관(300)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수평력을 증대시켜 받침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받침판(224)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라켓(200)과 각관(300) 사이에는, 상기 각관(300)에 작용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여 고정력 및 수평력을 증폭시키도록 하는 패킹(3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교의 설치공법.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200)에는,
상기 받침판(224)의 받침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22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교의 설치공법.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보(220)는,
절곡방식에 의해 구성되어 이를 상호 맞대응시킴으로써, 'ㅁ' 또는 'I'형상 중 어느 하나;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교의 설치공법.
- 청구항 1과 청구항 3 및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설치공법을 통해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3255 | 2015-04-15 | ||
KR20150053255 | 2015-04-1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4640B1 true KR101604640B1 (ko) | 2016-03-18 |
Family
ID=5565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3222A KR101604640B1 (ko) | 2015-04-15 | 2015-11-20 |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4640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7427B1 (ko) * | 2016-09-01 | 2017-07-26 | 휴먼이엔씨주식회사 | 강관을 이용한 친환경 켄틸레버 인도교 및 그 인도교의 형성 방법 |
KR101931989B1 (ko) | 2018-09-11 | 2019-03-20 | 가온조경건설 주식회사 | 자세 조정이 용이한 지지형 외팔보 및 이를 적용한 구조물 |
KR102024209B1 (ko) * | 2019-02-20 | 2019-09-23 | 동양기업(주) | 교량 및 옹벽 확장 인도교 |
KR102090329B1 (ko) * | 2018-11-08 | 2020-04-20 | 주식회사 남경에스텍 | 교량용 인도 설치구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2147B1 (ko) * | 2012-05-09 | 2013-09-10 | 김문경 | 신축 데크모듈과 확장인도 및 이를 이용한 교량 |
-
2015
- 2015-11-20 KR KR1020150163222A patent/KR10160464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2147B1 (ko) * | 2012-05-09 | 2013-09-10 | 김문경 | 신축 데크모듈과 확장인도 및 이를 이용한 교량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7427B1 (ko) * | 2016-09-01 | 2017-07-26 | 휴먼이엔씨주식회사 | 강관을 이용한 친환경 켄틸레버 인도교 및 그 인도교의 형성 방법 |
KR101931989B1 (ko) | 2018-09-11 | 2019-03-20 | 가온조경건설 주식회사 | 자세 조정이 용이한 지지형 외팔보 및 이를 적용한 구조물 |
KR102090329B1 (ko) * | 2018-11-08 | 2020-04-20 | 주식회사 남경에스텍 | 교량용 인도 설치구조 |
KR102024209B1 (ko) * | 2019-02-20 | 2019-09-23 | 동양기업(주) | 교량 및 옹벽 확장 인도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4640B1 (ko) |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 | |
RU2431716C2 (ru) | Дорожное направляющее сооружение | |
KR101970950B1 (ko) | 확장도로용 켄틸레버 설치구조 | |
RU2413814C2 (ru) | Дорожное направляющее сооружение | |
KR101633431B1 (ko) |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130082052A (ko) | 교량용 확장 인도교 | |
KR101615320B1 (ko) |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 | |
KR101390169B1 (ko) | 아치형 인도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150025031A (ko) |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 | |
KR100945041B1 (ko) | 교량 확장용 보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확장공법 | |
KR102029425B1 (ko) | 확장 인도교 | |
KR20210035848A (ko) | 차량 제한 시스템용 수직 부재 | |
KR101673070B1 (ko) | 연속화 강관 소켓 정착장치를 통한 경사지 확장보도 | |
JP2018021330A (ja) | 橋梁用防護柵 | |
KR101571887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1718139B1 (ko) | 측구 설치형 차량 방호울타리 보강 구조 | |
JP5334883B2 (ja) | 防護柵 | |
KR101609760B1 (ko) | 경사지용 옹벽을 이용한 확장 인도 시공방법 | |
JP5519966B2 (ja) | 防護柵 | |
EP1167628B1 (en) | A road crash barrier | |
KR101428748B1 (ko) |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 |
KR101977736B1 (ko) |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 | |
JP6652462B2 (ja) | 橋梁用防護柵 | |
JP6410553B2 (ja) | 橋梁用防護柵の設置構造、橋梁用防護柵用のベース部材、橋梁用防護柵の設置工法 | |
KR102291172B1 (ko) | 인도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