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147B1 - 신축 데크모듈과 확장인도 및 이를 이용한 교량 - Google Patents
신축 데크모듈과 확장인도 및 이를 이용한 교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2147B1 KR101302147B1 KR1020120049125A KR20120049125A KR101302147B1 KR 101302147 B1 KR101302147 B1 KR 101302147B1 KR 1020120049125 A KR1020120049125 A KR 1020120049125A KR 20120049125 A KR20120049125 A KR 20120049125A KR 101302147 B1 KR101302147 B1 KR 1013021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pansion
- extension
- bracket
- top plate
- brid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신축 이음된 교량이나 자전거 도로 또는 산책로 등의 상판과 같은 데크시설물이 신축된다 하더라도 장선과 이에 설치된 발판 및, 난간이 설치된 난간 베이스는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지 않는 신축 데크모듈과 확장인도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이 개시된다. 상기 신축 데크모듈은 서로 이웃하는 발판과 발판 사이로 보행자의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보행자가 보다 안전하게 교량이나 자전거 도로 또는 산책로 등을 따라 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상판의 신축으로 인하여 상기 난간이 비틀리는 등의 파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확장인도는 모듈화된 상기 신축 데크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신축 데크모듈을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서는 미리 제작된 신축 데크모듈만 교량이나 자전거 도로 또는 산책로 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판에 결합만 하면 됨으로써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교량은 제1 신축 이음 플레이트와 제2 신축 이음 플레이트가 서로 포개진 형태로 신축 이음부가 형성되어 상기 교량 상판이 신축된다 하더라도 상기 신축 이음부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차량이 상기 신축 이음부를 통과할 시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차량이 상기 교량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축 데크모듈과 확장인도 및 이를 이용한 교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화되어 교량이나 자전거 도로 또는 산책로의 폭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는 신축 데크모듈과, 상기 신축 데크모듈을 자전거 도로 또는 산책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하여 형성되는 확장 인도와, 상기 확장 인도를 이용한 교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라 함은 시내나 강을 사람이나 차량 등이 건널 수 있게 만든 다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설치하고자 하는 환경이나 특성 및 용도에 다라 다양한 공법에 의해 시공된다.
이러한 교량 중에서 최근에 시공된 교량에는 인도가 함께 설치되어 있으나, 차량의 이동을 주요 목적으로 한 예전의 교량에는 사람이 다닐 수 있는 인도가 설치되지 않은 교량이 다수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도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교량의 양측에 교량 확장 인도를 설치되어 보행자가 교량을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교량 확장 인도는 교량 상판의 신축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없어 교량 상판의 신축 시 교량과 발판을 연결하는 브래킷에 하중이 가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상기 교량 상판의 신축에 대응하여 신축될 수 있는 확장 인도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확장인도의 예로서, "대한민국특허공보 0998202호(2010.11.29.)"에 "교량 확장 인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교량 확장 인도는 교량 상판의 신축 시 브래킷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문제점은 해결하였으나, 상기 교량 상판의 신축 시 상기 교량 상판과 연동되어 장선 또한 신축을 하게 됨으로써 상기 장선의 신축 연결부위의 양측에 위치한 발판 사이가 상기 교량 상판의 신축에 의하여 넓게 벌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발판 사이가 벌어지게 됨에 따라 보행자가 상기 확장 인도를 통해 교량을 건널 시 상기 벌어진 발판 사이로 보행자의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교량 확장 인도는 브래킷에 설치된 난간은 상기 교량 상판 및 브래킷의 신축에 전혀 대응할 수 없으므로 상기 장선 및 브래킷이 상기 교량 상판과 연동되어 신축되면 상기 난간이 비틀리는 등의 파손 현상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량 확장 인도는 모든 구성 부품들을 시공 현장에서 교량에 조립하여야 함으로써 시공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축 이음된 교량이나 자전거 도로 또는 산책로의 상판 등과 같은 데크시설물의 신축 시에도 서로 이웃하는 발판과 발판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상기 상판의 신축에 의하여 난간이 비틀리는 등의 파손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신축 데크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축 데크를 모듈화시킴으로써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확장인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이웃하는 교량 상판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 이음부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 교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데크모듈은 신축 이음된 상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확장용 브래킷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확장용 브래킷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장선과, 상기 장선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판 및, 상기 상판의 신축 시 상기 장선은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지 않고 상기 확장용 브래킷만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장선을 신축 연결하는 제1 신축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1 신축 연결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 중 중앙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에 상기 장선을 고정시키는 고정단 및, 상기 중앙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을 제외한 상기 확장용 브래킷이 상기 상판의 신축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 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장선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1 가동단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신축 연결수단은 상기 상판의 신축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신축 데크모듈의 확장용 브래킷이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 중 양측 끝단에 위치한 한 쌍의 확장용 브래킷과 이웃하는 신축 데크모듈의 장선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가동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1, 2 가동단은 상기 확장용 브래킷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확장용 브래킷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의 신축 시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상기 장선을 따라 이동 가능 하도록 내측에 상기 장선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가이드 브래킷과,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양측면에 상기 상판의 신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장 홀 및, 상기 가이드 브래킷이 상기 장선과 분리되지 않고 상기 장선을 따라 상기 상판의 신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장선과 장 홀을 관통하여 상기 장 홀과 장선을 서로 연결하는 가이드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고정단은 상기 중앙부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확장용 브래킷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장선이 고정되는 고정패드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축 데크모듈은 상기 상판의 신축 시 상기 확장용 브래킷에 설치되는 난간은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지 않고 상기 확장용 브래킷만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난간을 신축 연결하는 제2 신축 연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2 신축 연결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의 끝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부에 상기 난간이 설치되는 난간 베이스와, 상기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 중 중앙부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에 상기 난간 베이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단 및, 상기 중앙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을 제외한 상기 확장용 브래킷이 상기 상판의 신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난간 베이스를 신축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1 가동단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 신축 연결수단은 상기 상판의 신축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신축 데크모듈의 확장용 브래킷이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 중 양측 끝단에 위치한 한 쌍의 확장용 브래킷과 이웃하는 신축 데크모듈의 난간 베이스를 신축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가동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2 신축 연결수단의 상기 제1, 2 가동단은 상기 상판의 신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상기 난간 베이스에 형성되는 장 홀 및, 상기 확장용 브래킷이 상기 난간 베이스와 분리되지 않고 상기 난간 베이스를 따라 상기 상판의 신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장 홀을 관통하여 상기 난간 베이스와 확장용 브래킷을 서로 연결하는 가이드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확장용 브래킷 중 양측 끝단부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에 설치된 제1 가동단의 가이드 연결부재와 상기 제2 가동단의 가이드 연결부재에는, 상기 제1, 2 가동단의 가이드 연결부재에 의해 관통되어 연결되는 가이드 장 홀이 형성된 연결 플레이트가 체결되어 상기 상판이 신축된다 하더라도 서로 이웃하는 난간 베이스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2 신축 연결수단의 상기 고정단은 상기 난간 베이스를 관통하여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 중 중앙부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에 상기 난간 베이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인도는 신축 연결된 상판의 측면부에 복수개가 상기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신축 데크모듈 및 상기 신축 데크모듈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난간을 포함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신축 데크모듈은 신축 이음된 상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확장용 브래킷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확장용 브래킷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장선과, 상기 장선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판 및, 상기 상판의 신축 시 상기 장선은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지 않고 상기 확장용 브래킷만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장선을 신축 연결하는 제1 신축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신축 데크모듈은 상기 상판의 신축 시 상기 확장용 브래킷에 설치되는 난간은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지 않고 상기 확장용 브래킷만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난간을 신축 연결하는 제2 신축 연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교량 상판과, 서로 이웃하는 상기 교량 상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교량 상판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서로 이웃하는 교량 상판을 신축 이음하는 신축 이음부 및, 상기 교량 상판의 측면부에 상기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확장인도를 포함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신축 이음부는 일정 간격 이격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교량 상판 중 일측에 위치한 교량 상판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교량 상판이 이격된 거리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에 설치되는 제1 신축 이음 플레이트와, 상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교량 상판 중 타측에 위치한 교량 상판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교량 상판이 이격된 거리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신축 이음 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에 설치되는 제2 신축 이음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신축 이음부는 상기 제2 신축 이음 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확장인도는 상기 교량 상판의 측면부에 복수개가 상기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신축 데크모듈 및, 상기 신축 데크모듈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난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축 데크모듈은 신축 이음된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확장용 브래킷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확장용 브래킷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장선과, 상기 장선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판 및, 상기 교량 상판의 신축 시 상기 장선은 상기 교량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지 않고 상기 확장용 브래킷만 상기 교량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장선을 신축 연결하는 제1 신축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신축 데크모듈은 상기 교량 상판의 신축 시 상기 확장용 브래킷에 설치되는 난간은 상기 교량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지 않고 상기 확장용 브래킷만 상기 교량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난간을 신축 연결하는 제2 신축 연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축 데크모듈은 신축 이음된 교량이나 자전거 도로나 산책로의 상판 등과 같은 데크시설물의 신축 시 상기 장선은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지 않고 상기 확장용 브래킷만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장선을 신축 연결하는 상기 제1 신축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신축 이음된 상판이 신축된다 하더라도 상기 장선의 상부에 설치되는 서로 이웃하는 발판과 발판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축 데크모듈은 서로 이웃하는 발판과 발판 사이로 보행자의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보행자가 보다 안전하게 교량이나 자전거 도로 또는 산책로 등을 따라 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신축 데크모듈은 상기 상판의 신축 시 상기 확장용 브래킷의 상부 끝단에 설치되는 난간은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지 않고 상기 확장용 브래킷만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난간을 신축 연결하는 제2 신축 연결수단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상판의 신축 시 상기 확장용 브래킷만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고 상기 난간은 이동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신축 이음된 상판의 신축으로 인하여 상기 난간이 비틀리는 등의 파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인도는 일정폭과 길이로 모듈화된 상기 신축 데크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신축 데크모듈을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서는 미리 제작된 신축 데크모듈만 교량이나 자전거 도로 또는 산책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이음된 상판에 결합만 하면 됨으로써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교량은 제1 신축 이음 플레이트와 제2 신축 이음 플레이트가 서로 포개진 형태로 형성된 신축 이음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교량 상판이 신축된다 하더라도 상기 신축 이음부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차량이 상기 신축 이음부를 통과할 시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차량이 상기 교량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란 교량의 신축 이음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교량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축 데크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A의 확대도
도 6은 도 3의 B의 확대도
도 7은 도 4의 C의 확대도
도 8은 도 4의 D의 확대도
도 9는 도 4의 E의 확대도
도 10은 도 4의 F의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란 교량의 신축 이음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교량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축 데크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A의 확대도
도 6은 도 3의 B의 확대도
도 7은 도 4의 C의 확대도
도 8은 도 4의 D의 확대도
도 9는 도 4의 E의 확대도
도 10은 도 4의 F의 확대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란 교량의 신축 이음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10)은, 교량 상판(11), 신축 이음부(12), 확장인도(13)를 포함한다.
상기 교량 상판(11)은 복수개가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신축 이음부(12)는 상기 서로 이웃하는 상기 교량 상판(1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교량 상판(11)을 신축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신축 이음부(12)는 상기 서로 이웃하는 교량 상판(11)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서로 이웃하는 교량 상판(11)을 신축 이음한다. 따라서, 상기 신축 이음부(11)는 차량이 상기 신축 이음부(12)를 통과할 시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안전하게 차량이 상기 신축 이음부(12)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확장인도(13)는 상기 교량 상판(11)의 측면부, 즉 상기 교량 상판(11)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측면부나 상기 교량 상판(11)의 양측면부에 상기 교량 상판(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됨으로써 상기 확장인도(13)를 따라 보행자가 보다 안전하게 교량을 보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신축 이음부(12)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신축 이음부(12)는 제1 지지부(120), 제1 신축 이음 플레이트(121), 제2 지지부(122), 제2 신축 이음 플레이트(1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부(120)는 상기 일정 간격 이격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교량 상판(11) 중 일측에 위치한 교량 상판(11)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 신축 이음 플레이트(121)는 상기 제1 지지부(120)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신축 이음 플레이트(121)는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장 시 상기 제1 신축 이음 플레이트(121)와 이웃하는 교량 상판(11)과 상기 제1 신축 이음 플레이트(121)와의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교량 상판(11)이 이격된 거리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신축 이음 플레이트(121)는 적어도 상기 서로 이웃하는 교량 상판(11)이 이격된 거리에서 상기 서로 마주하는 교량 상판(11)이 최대로 신장하는 길이를 차감한 길이 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지지부(122)는 상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교량 상판(11) 중 타측에 위치한 상기 교량 상판(11)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2 신축 이음 플레이트(123)는 상부면이 상기 제1 신축 이음 플레이트(121)의 하부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1 신축 이음 플레이트(12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122)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신축 이음 플레이트(123) 또한 상기 제1 신축 이음 플레이트(121)와 마찬가지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교량 상판(11)이 이격된 거리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신축 이음 플레이트(123)는 적어도 상기 서로 이웃하는 교량 상판(11)이 이격된 거리에서 상기 서로 마주하는 교량 상판(11)이 최대로 신장하는 길이를 차감한 길이 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신축 이음 플레이트(123)는 상기 제1 신축 이음 플레이트(121)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축 이음부(12)는 상기 제2 신축 이음 플레이트(123)를 지지할 수 있는 보강부재(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124)는 직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상기 제2 지지부재(122)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강부재(124)의 일측면은 상기 제2 지지부재(122)에 용접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부재(124)의 상부면은 상기 제2 신축 이음 플레이트(123)의 하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강부재(124)의 상부면 또한 상기 제2 신축 이음 플레이트(123)의 하부면에 용접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교량(10)의 신축 이음부(12)는 제1 신축 이음 플레이트(121)와 제2 신축 이음 플레이트(123)가 서로 포개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교량 상판(11)이 신축된다 하더라도 상기 신축 이음부(12)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이 상기 신축 이음부(12)를 통과할 시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안전하게 차량이 상기 신축 이음부(12)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확장인도(13)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확장인도(13)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교량 상판(11)에 설치되는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확장인도(13)는 교량 상판(11) 뿐만 아니라 신축 이음된 자전거 도로의 상판이나 산책로 등의 상판 등과 같은 데크시설물에는 모두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확장인도(13)는 신축 데크모듈(130)과 난간(131)을 포함한다.
상기 신축 데크모듈(130)은 상기 교량 상판(11)의 측면부에 복수개가 상기 교량 상판(11)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신축 데크모듈(130)은 상기 교량 상판(11)의 일측면부 또는 타측면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측면부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교량 상판(11)의 양측면부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난간(131)은 상기 신축 데크모듈(130)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 데크모듈(130) 외부로 보행자가 떨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난간(131)은 지지부재(131a)와 연결부재(131b)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131a)는 상기 교량(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신축 데크모듈(130)의 끝단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재(131a)로는 목재나 합성목재, 금속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31b)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131a)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재(131b)는 상기 지지부재(131a)의 상하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펜스(fence)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재(131b)로는 목재나 합성목재, 금속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축 데크모듈(1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신축 데크모듈(130) 또한 상기 확장인도(13)와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교량 상판(11)에 설치되는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신축 데크모듈(130)은 교량 상판(11) 뿐만 아니라 신축 이음된 자전거 도로의 상판이나 산책로 등의 상판과 같은 데크시설물에는 모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교량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축 데크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신축 데크모듈(130)은 확장용 브래킷(1300), 장선(1310), 발판(1320), 제1 신축 연결수단(1330)을 포함한다.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은 신축 이음된 교량 상판(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의 측면부가 복수개의 고정부재(1300b)에 의해 상기 교량 상판(11)의 측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의 상부면에는 연장부(1300a)가 더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1300a) 또한 복수개의 고정부재(1300b)에 의해 상기 교량 상판(11)의 상부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을 보다 견고하게 상기 교량 상판(11)에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교량 상판(11)에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00b)로는 앵커볼트 및 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앵커볼트는 상기 교량 상판의 제작 시 상기 교량 상판(11)에 일부가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선(1310)은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장선(1310)으로는 각형강관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판(1320)은 상기 장선(1310)의 상부에 복수개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발판(1320)은 교량(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상기 장선(1310)에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로 이웃하는 발판(1320)과 발판(1320) 사이에는 되도록 이면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발판(1320)은 목재나 합성목재, 금속판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판(1320)은 상기 장선(1310)의 상부에 복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재로는 스크루 피스, 나사 못, 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축 연결수단(1330)은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 시 상기 장선(1310)은 상기 교량 상판(11)과 연동되어 이동되지 않고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만 상기 교량 상판(11)과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과 상기 장선(1310)을 신축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신축 연결수단(1330)은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 시 상기 장선(1310)은 상기 교량 상판(11)과 연동되어 이동되지 않고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만 상기 교량 상판(11)과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과 장선(1310)을 신축 연결함으로써 상기 교량 상판(11)이 신장된다 하더라도 상기 장선(1310)이 이동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장선(13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서로 이웃하는 발판(1320)과 발판(132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축 데크모듈(130)은 제2 신축 연결수단(1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신축 연결수단(1340)은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 시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의 상부 끝단에 설치되는 난간(131)은 상기 교량 상판(11)과 연동되어 이동되지 않고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만 상기 교량 상판(11)과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과 상기 난간(131)을 신축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신축 연결수단(1340)은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 시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만 상기 교량 상판(11)과 연동되어 이동되고 상기 난간(131)은 이동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으로 인하여 상기 난간(131)이 비틀리는 현상 등의 파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인도(13)는 일정폭과 길이로 모듈화된 상기 신축 데크모듈(130)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신축 데크모듈(130)을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서는 미리 제작된 신축 데크모듈(130)만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량 상판(11)에 결합만 하면 됨으로써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 신축 연결수단(13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신축 연결수단(1330)은 고정단(1331) 및 복수개의 제1 가동단(1332)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단(1331)은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1300) 중 중앙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1300)에 상기 장선(1310)을 고정시킨다.
상기 복수개의 제1 가동단(1332)은 상기 중앙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1300)을 제외한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이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과 상기 장선(1310)을 연결한다.
한편, 상기 제1 신축 연결수단(1330)은 한 쌍의 제2 가동단(13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가동단(1333)은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신축 데크모듈(130)의 확장용 브래킷(1300)이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1300) 중 양측 끝단에 위치한 한 쌍의 확장용 브래킷(1300)과 이웃하는 신축 데크모듈(130)의 장선(1310)을 연결한다.
도 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신축 연결수단(1330)의 제1 가동단(1332)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A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의 B의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4의 C의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신축 연결수단(1330)의 제1 가동단(1332)은 베이스 플레이트(1332a), 가이드 브래킷(1332b), 장 홀(1332c) 및 가이드 연결부재(1332d)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32a)는 상기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1300) 중 중앙부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1300)을 제외한 나머지 확장용 브래킷(1300)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32a)는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는 띠형 판재로서, 상기 중앙부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1300)을 제외한 나머지 확장용 브래킷(130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32a)는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에 용접이나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래킷(1332b)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3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32a)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브래킷(1332b)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32a)의 상부면에 용접이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래킷(1332b)은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 시 상기 교량 상판(11)과 연동되어 상기 장선(13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내측에 상기 장선(13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브래킷(1332b)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그 내부에 상기 장선(13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
상기 장 홀(1332c)은 상기 가이드 브래킷(1332b)의 양측면에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연결부재(1332d)는 상기 가이드 브래킷(1332b)이 상기 장선(1310)과 분리되지 않고 상기 장선(1310)을 따라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장선(1310)과 장 홀(1332c)을 관통하여 상기 장 홀(1332c)과 장선(1310)을 서로 연결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연결부재(1332d)는 상기 장 홀(1332c)과 장선(1310)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연결부재(1332d)는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되어 상기 교량 상판(11)과 연동되어 확장용 브래킷(1300)이 이동될 시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과 연동되어 이동되는 상기 가이드 브래킷(1332b)이 장선(1310)과 분리되지 않고 상기 장선(1310)을 따라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신축 연결수단(1330)의 제2 가동단(1333)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신축 연결수단(1330)의 제2 가동단(1333)은 베이스 플레이트(1333a), 가이드 브래킷(1333b), 장 홀(1333c) 및 가이드 연결부재(1333d)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33a)는 상기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1300) 중 양측 끝단부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1300)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33a)는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는 띠형 판재로서, 상기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1300) 중 양측 끝단부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130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33a)는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에 용접이나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래킷(1333b)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3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33a)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브래킷(1333b)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33a)의 상부면에 용접이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래킷(1333b)은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 시 상기 교량 상판(11)과 연동되어 상기 장선(13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내측에 상기 장선(13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브래킷(1333b)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그 내부에 상기 장선(13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
상기 장 홀(1333c)은 상기 가이드 브래킷(1333b)의 양측면에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연결부재(1333d)는 상기 가이드 브래킷(1333b)이 상기 장선(1310)과 분리되지 않고 상기 장선(1310)을 따라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장선(1310)과 장 홀(1333c)을 관통하여 상기 장 홀(1333c)과 장선(1310)을 서로 연결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연결부재(1333d)는 상기 장 홀(1333c)과 장선(1310)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연결부재(1333d)는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되어 상기 교량 상판(11)과 연동되어 확장용 브래킷(1300)이 이동될 시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과 연동되어 이동되는 상기 가이드 브래킷(1333b)이 장선(1310)과 분리되지 않고 상기 장선(1310)을 따라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 신축 연결수단(1330)의 고정단(133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4의 D의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 신축 연결수단(1330)의 고정단(1331)은 베이스 플레이트(1331a)와 고정패드(1331b)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31a)는 상기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1300) 중 중앙부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13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31a)는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는 띠형 판재로서, 상기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1300) 중 중앙부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1300)의 상부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31a)는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에 용접이나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패드(1331b)는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31a)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장선(1310 : 도 1 참조)이 고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패드(1331b)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31a)에 용접이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선(1310)은 상기 고정패드(1331b)에 용접이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축 데크모듈(130)은 제2 신축 연결수단(13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신축 연결수단(1340)은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 시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에 설치되는 난간(131 : 도 1 참조)은 상기 교량 상판(11)과 연동되어 이동되지 않고,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만 상기 교량 상판(11)과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과 상기 난간(131)을 신축 연결한다.
상기 제2 신축 연결수단(1340)은 난간 베이스(1341), 고정단(1342), 제1 가동단(1343)을 포함한다.
상기 난간 베이스(1341)는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1300)의 끝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부에 난간(131 : 도 1 참조)이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난간 베이스(1341)는 각형 강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단(1342)은 상기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1300) 중 중앙부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1300)에 상기 난간 베이스(1341)를 고정시킨다.
상기 제1 가동단(1343)은 상기 중앙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1300)을 제외한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이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과 상기 난간 베이스(1341)를 신축 연결한다.
한편, 상기 제2 신축 연결수단(1340)은 제2 가동단(134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가동단(1344)은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신축 데크모듈(130)의 확장용 브래킷(1300)이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1300) 중 양측 끝단에 위치한 한 쌍의 확장용 브래킷(1300)과 이웃하는 신축 데크모듈(130)의 난간 베이스(1341)를 연결한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2 신축 연결수단(1340)의 제1, 2 가동단(1343, 1344)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4의 E의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2 신축 연결수단(1340)의 제1 가동단(1343)은 장 홀(1343a)과 가이드 연결부재(1343b)를 포함한다.
상기 장 홀(1343a)은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상기 난간 베이스(1341)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연결부재(1343b)는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이 상기 난간 베이스(1341)와 분리되지 않고 상기 난간 베이스(1341)를 따라 상기 교량 상판(11)의 신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장 홀(1343a)을 관통하여 상기 난간 베이스(1341)와 확장용 브래킷(1300)을 서로 연결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연결부재(1343b)는 상기 장 홀(1343a)을 통해 상기 난간 베이스(1341)를 관통도록 중앙부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1300)을 제외한 나머지 확장용 브래킷(1300)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연결부재(1343b)의 볼트는 중앙부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1300)을 제외한 나머지 확장용 브래킷(1300)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2 가동단(1344)은 장 홀(1344a)과 가이드 연결부재(1344b)를 포함한다.
상기 장 홀(1344a)은 교량 상판(11)의 신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상기 제1 가동단(1343)의 장 홀(1343a)이 형성된 난간 베이스(1341)와 이웃하는 난간 베이스(1341)의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연결부재(1344b)는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1300) 중 양측 끝단부에 위치한 한 쌍의 확장용 브래킷(1300)이 상기 제1 가동단(1343)의 장 홀(1343a)이 형성된 난간 베이스(1341)와 이웃하는 난간 베이스(1341)와 분리되지 않고 상기 난간 베이스(1341)를 따라 교량 상판(11)의 신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장 홀(1344b)을 관통하여 상기 난간 베이스(1341)와 확장용 브래킷(1300)을 서로 연결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연결부재(1344b)는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1300) 중 양측 끝단부에 위치한 한 쌍의 확장용 브래킷(1300)에 고정된 복수개의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 중 양측 끝단부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1300)에 설치된 제1 가동단(1343)의 가이드 연결부재(1343b)와, 상기 제2 가동단(1344)의 가이드 연결부재(1344b)에는, 상기 제1,2 가동단(1343, 1344)의 가이드 연결부재(1343b, 1344b)에 의해 관통되어 연결되는 가이드 장 홀(1345a)이 형성된 연결 플레이트(1345)가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 플레이트(1345)는 서로 인접 한 난간 베이스(1341)를 신축 연결하는 플레이트로서 상기 교량 상판(11)이 신축, 특히 신장된다 하더라도 서로 이웃하는 난간 베이스(1341)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2 신축 연결수단(1340)의 고정단(134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도 4의 F의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2 신축 연결수단(1340)의 고정단(1342)은 고정부재(1342a) 및 고정 플레이트(1342b)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1342a)는 상기 난간 베이스(1341)를 관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1300) 중 중앙부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1300)에 상기 난간 베이스(1341)를 고정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재(1342a)는 상기 난간 베이스(1341)를 관통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1300) 중 중앙부에 위치한 상기 확장용 브래킷(1300)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볼트와 상기 볼트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342b)는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난간 베이스(1341)의 상부에 안착되되 상기 난간 베이스(1341)를 관통한 복수개의 볼트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복수개의 볼트에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고정 플레이트(1342)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교량 (11) : 교량 상판
(12) : 신축 이음부 (13) : 확장인도
(120) : 제1 지지부 (121) : 제1 신축 이음 플레이트
(122) : 제2 지지부 (123) : 제2 신축 이음 플레이트
(124) : 보강부재 (130) : 신축 데크모듈
(131) : 난간 (1300) : 확장용 브래킷
(1310) : 장선 (1320) : 발판
(1330) : 제1 신축 연결수단 (1340) : 제2 신축 연결수단
(12) : 신축 이음부 (13) : 확장인도
(120) : 제1 지지부 (121) : 제1 신축 이음 플레이트
(122) : 제2 지지부 (123) : 제2 신축 이음 플레이트
(124) : 보강부재 (130) : 신축 데크모듈
(131) : 난간 (1300) : 확장용 브래킷
(1310) : 장선 (1320) : 발판
(1330) : 제1 신축 연결수단 (1340) : 제2 신축 연결수단
Claims (19)
- 신축 이음된 상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
상기 확장용 브래킷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확장용 브래킷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장선;
상기 장선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판; 및
상기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 중 중앙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에 상기 장선을 고정시키는 고정단과, 상기 중앙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을 제외한 상기 확장용 브래킷이 상기 상판의 신축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 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장선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1 가동단을 포함하여, 상기 상판의 신축 시 상기 장선은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지 않고 상기 확장용 브래킷만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장선을 신축 연결하는 제1 신축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신축 데크모듈.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축 연결수단은,
상기 상판의 신축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신축 데크모듈의 확장용 브래킷이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 중 양측 끝단에 위치한 한 쌍의 확장용 브래킷과 이웃하는 신축 데크모듈의 장선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가동단을 더 포함하는 신축 데크모듈.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가동단은,
상기 확장용 브래킷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확장용 브래킷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의 신축 시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상기 장선을 따라 이동 가능 하도록 내측에 상기 장선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가이드 브래킷;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양측면에 상기 상판의 신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장 홀; 및
상기 가이드 브래킷이 상기 장선과 분리되지 않고 상기 장선을 따라 상기 상판의 신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장선과 장 홀을 관통하여 상기 장 홀과 장선을 서로 연결하는 가이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신축 데크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은,
상기 중앙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확장용 브래킷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장선이 고정되는 고정패드를 포함하는 신축 데크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신축 시 상기 확장용 브래킷에 설치되는 난간은 상기 교량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지 않고 상기 확장용 브래킷만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난간을 신축 연결하는 제2 신축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신축 데크모듈.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축 연결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의 끝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부에 상기 난간이 설치되는 난간 베이스;
상기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 중 중앙부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에 상기 난간 베이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단; 및
상기 중앙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을 제외한 상기 확장용 브래킷이 상기 상판의 신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난간 베이스를 신축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1 가동단을 포함하는 신축 데크모듈.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축 연결수단은,
상기 상판의 신축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신축 데크모듈의 확장용 브래킷이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 중 양측 끝단에 위치한 한 쌍의 확장용 브래킷과 이웃하는 신축 데크모듈의 난간 베이스를 신축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가동단을 더 포함하는 신축 데크모듈. -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가동단은,
상기 상판의 신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상기 난간 베이스에 형성되는 장 홀; 및
상기 확장용 브래킷이 상기 난간 베이스와 분리되지 않고 상기 난간 베이스를 따라 상기 상판의 신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장 홀을 관통하여 상기 난간 베이스와 확장용 브래킷을 서로 연결하는 가이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신축 데크모듈.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용 브래킷 중 양측 끝단부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에 설치된 제1 가동단의 가이드 연결부재와 상기 제2 가동단의 가이드 연결부재에는, 상기 제1, 2 가동단의 가이드 연결부재에 의해 관통되어 연결되는 가이드 장 홀이 형성된 연결 플레이트가 체결되어 상기 상판이 신축된다 하더라도 서로 이웃하는 난간 베이스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데크모듈.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은,
상기 난간 베이스를 관통하여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 중 중앙부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에 상기 난간 베이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신축 데크모듈. - 신축 연결된 상판의 측면부에 복수개가 상기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신축 데크모듈; 및
상기 신축 데크모듈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난간을 포함하며,
상기 신축 데크모듈은,
신축 이음된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
상기 확장용 브래킷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확장용 브래킷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장선;
상기 장선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판; 및
상기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 중 중앙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에 상기 장선을 고정시키는 고정단과, 상기 중앙에 위치한 확장용 브래킷을 제외한 상기 확장용 브래킷이 상기 상판의 신축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 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장선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1 가동단을 포함하여, 상기 상판의 신축 시 상기 장선은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지 않고 상기 확장용 브래킷만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장선을 신축 연결하는 제1 신축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인도.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데크모듈은,
상기 상판의 신축 시 상기 확장용 브래킷에 설치되는 난간은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지 않고 상기 확장용 브래킷만 상기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난간을 신축 연결하는 제2 신축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확장인도. -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교량 상판;
서로 이웃하는 상기 교량 상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교량 상판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서로 이웃하는 교량 상판을 신축 이음하는 신축 이음부; 및
상기 교량 상판의 측면부에 복수개가 상기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신축 데크모듈과, 상기 신축 데크모듈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난간을 포함하여 상기 교량 상판의 측면부에 상기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확장인도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 데크모듈은,
신축 이음된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확장용 브래킷;
상기 확장용 브래킷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확장용 브래킷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장선;
상기 장선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판; 및
상기 교량 상판의 신축 시 상기 장선은 상기 교량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지 않고 상기 확장용 브래킷만 상기 교량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장선을 신축 연결하는 제1 신축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교량.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이음부는,
일정 간격 이격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교량 상판 중 일측에 위치한 교량 상판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교량 상판이 이격된 거리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에 설치되는 제1 신축 이음 플레이트;
상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교량 상판 중 타측에 위치한 교량 상판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교량 상판이 이격된 거리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신축 이음 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에 설치되는 제2 신축 이음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이음부는,
상기 제2 신축 이음 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교량. - 삭제
- 삭제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데크모듈은,
상기 교량 상판의 신축 시 상기 확장용 브래킷에 설치되는 난간은 상기 교량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지 않고 상기 확장용 브래킷만 상기 교량 상판과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확장용 브래킷과 상기 난간을 신축 연결하는 제2 신축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교량.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9125A KR101302147B1 (ko) | 2012-05-09 | 2012-05-09 | 신축 데크모듈과 확장인도 및 이를 이용한 교량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9125A KR101302147B1 (ko) | 2012-05-09 | 2012-05-09 | 신축 데크모듈과 확장인도 및 이를 이용한 교량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2147B1 true KR101302147B1 (ko) | 2013-09-10 |
Family
ID=49454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9125A KR101302147B1 (ko) | 2012-05-09 | 2012-05-09 | 신축 데크모듈과 확장인도 및 이를 이용한 교량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2147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5525B1 (ko) | 2013-11-28 | 2014-03-17 | 주식회사 태하 | 경사지용 확장 인도 구조물 |
KR101428742B1 (ko) * | 2013-11-28 | 2014-08-11 | 주식회사 태하 | 도로용 확장 인도 구조물 |
KR101428748B1 (ko) * | 2013-11-28 | 2014-09-23 | 주식회사 태하 |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
KR101455631B1 (ko) * | 2013-11-08 | 2014-10-28 | 이경표 | 프리모멘트 더블형강 빔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구조체 |
KR101604640B1 (ko) * | 2015-04-15 | 2016-03-18 | 플랜에이(주) |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 |
KR101931989B1 (ko) | 2018-09-11 | 2019-03-20 | 가온조경건설 주식회사 | 자세 조정이 용이한 지지형 외팔보 및 이를 적용한 구조물 |
KR102090329B1 (ko) * | 2018-11-08 | 2020-04-20 | 주식회사 남경에스텍 | 교량용 인도 설치구조 |
KR102289911B1 (ko) | 2021-04-08 | 2021-08-13 | 주식회사 원스케이프 | 금속재 박스 구조물용 환기 구조체 |
KR102401684B1 (ko) | 2021-06-29 | 2022-05-25 | (주)이알코리아 | 수직 및 수평으로 강도 보상이 발휘되는 교량 점검시설 설치용 복합 이종소재 난간지지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5444Y1 (ko) * | 2003-08-29 | 2003-12-06 |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 신축이음장치 |
KR100998202B1 (ko) * | 2010-02-08 | 2010-12-07 | 금창준 | 교량 확장 인도 |
KR101187657B1 (ko) * | 2012-02-15 | 2012-10-05 | 주식회사 흥화 | 교량용 가설인도 |
-
2012
- 2012-05-09 KR KR1020120049125A patent/KR1013021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5444Y1 (ko) * | 2003-08-29 | 2003-12-06 |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 신축이음장치 |
KR100998202B1 (ko) * | 2010-02-08 | 2010-12-07 | 금창준 | 교량 확장 인도 |
KR101187657B1 (ko) * | 2012-02-15 | 2012-10-05 | 주식회사 흥화 | 교량용 가설인도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5631B1 (ko) * | 2013-11-08 | 2014-10-28 | 이경표 | 프리모멘트 더블형강 빔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구조체 |
KR101375525B1 (ko) | 2013-11-28 | 2014-03-17 | 주식회사 태하 | 경사지용 확장 인도 구조물 |
KR101428742B1 (ko) * | 2013-11-28 | 2014-08-11 | 주식회사 태하 | 도로용 확장 인도 구조물 |
KR101428748B1 (ko) * | 2013-11-28 | 2014-09-23 | 주식회사 태하 |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
KR101604640B1 (ko) * | 2015-04-15 | 2016-03-18 | 플랜에이(주) |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 |
KR101931989B1 (ko) | 2018-09-11 | 2019-03-20 | 가온조경건설 주식회사 | 자세 조정이 용이한 지지형 외팔보 및 이를 적용한 구조물 |
KR102090329B1 (ko) * | 2018-11-08 | 2020-04-20 | 주식회사 남경에스텍 | 교량용 인도 설치구조 |
KR102289911B1 (ko) | 2021-04-08 | 2021-08-13 | 주식회사 원스케이프 | 금속재 박스 구조물용 환기 구조체 |
KR102401684B1 (ko) | 2021-06-29 | 2022-05-25 | (주)이알코리아 | 수직 및 수평으로 강도 보상이 발휘되는 교량 점검시설 설치용 복합 이종소재 난간지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2147B1 (ko) | 신축 데크모듈과 확장인도 및 이를 이용한 교량 | |
KR101271446B1 (ko) |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 |
KR100987061B1 (ko) | 교량 상부구조물 확장구조 및 방법 | |
KR101687733B1 (ko) |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 | |
KR100998202B1 (ko) | 교량 확장 인도 | |
KR101678849B1 (ko) | 출렁거림 및 비틀림 억제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케이블 교량 | |
KR100998631B1 (ko) | 교량용 가설인도 | |
KR101102937B1 (ko) |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 |
KR101549065B1 (ko) | 데크로드 및 목교 시스템 | |
KR101349948B1 (ko) | 가설 인도교 | |
KR101727124B1 (ko) | 행어를 이용한 교량용 보도 및 그 시공 방법과, 경관용 인도교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290296B1 (ko) | 교량 점검로 접근용 계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89048B1 (ko) | 가설벤트를 이용한 조립식 고하중 안전계단 | |
KR101473157B1 (ko) |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 |
KR101116740B1 (ko) | 공동구를 구비한 교측보도교 | |
KR101523005B1 (ko) | 확장형 인도교 | |
KR100995857B1 (ko) | 교량용 가설인도의 받침부재 | |
KR200439417Y1 (ko) | 조립식 난간 | |
KR101295823B1 (ko) |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1553355B1 (ko) | 가설인도 | |
KR20140090041A (ko) | 확장형 보행통로 시설물 및 그의 시공 방법 | |
JP3991067B1 (ja) | 鉄道ホーム間仮設橋 | |
KR101375525B1 (ko) | 경사지용 확장 인도 구조물 | |
KR101178814B1 (ko) | 지역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난간 또는 펜스 | |
JP6590512B2 (ja) | 階段仮設足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