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202B1 - 교량 확장 인도 - Google Patents

교량 확장 인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202B1
KR100998202B1 KR1020100011530A KR20100011530A KR100998202B1 KR 100998202 B1 KR100998202 B1 KR 100998202B1 KR 1020100011530 A KR1020100011530 A KR 1020100011530A KR 20100011530 A KR20100011530 A KR 20100011530A KR 100998202 B1 KR100998202 B1 KR 100998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joist
handrail
rail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은
금창준
Original Assignee
금창준
남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창준, 남궁은 filed Critical 금창준
Priority to KR1020100011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에 확장 설치되는 인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신축에 따라 확장 인도의 구성요소인 장선 및 난간부가 신축하게 되는 교량 확장 인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교량 확장 인도는 교량의 신축을 고려하여 확장인도의 구성요소인 장선, 발판 및 난간부에 교량의 신축에 따라 신축되도록 신축연결수단을 추가한 구성이기 때문에 기존의 확장인도 보다 구조적 안정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량 확장 인도{Extension Sidewalk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에 확장 설치되는 인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신축에 따라 확장 인도의 구성요소인 장선 및 난간부가 신축하게 되는 교량 확장 인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Bridge)이라 함은 물이나 어떤 곳의 위로 건너다니도록 만든 시설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설치하고자 하는 환경이나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공법에 의해 시공된다.
이러한 교량 중에서 최근에 시공된 교량에는 인도가 함께 설치되어 있으나, 차량의 이동을 주요 목적으로 한 예전의 교량에는 사람이 다닐 수 있는 인도가 설치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예전의 교량으로 사람이 보행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교량 양측에 인도부분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며, 이러한 확장인도의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432594호 "교량용 가설인도" 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특허 제432594호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량상판(1)의 폭방향 양단에 난간이 구비되고, 난간외측에 교량용 가설인도가 설치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는 난간 외측에 위치하면서 교량상판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 일정간격으로 체결수단(15)에 의해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베이스플레이트(10)에 용접되어 교량상판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I빔브래킷(20)과, I빔브래킷(20)의 위에 고정되는 발판(30)과, I빔브래킷(20)의 외측 상단부에 체결 고정되는 보행자 보호난간(40)으로 구성된다.
이때, I빔브래킷(20)은 상부플랜지(21) 및 하부플랜지(22)와 웨브(23)로 구성되어 구조적 특성을 높이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확장 인도는 교량상판의 신축에 대해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 문제가 있다.
즉, 교량상판은 교량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로 분할하여 시공되는데, 이러한 교량상판들은 그 연결부분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교좌장치나 조인트에 의해 교량상판의 신축이나 흔들림에 적절한 유동성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의 확장 인도는 교량상판이 신축 시 교량과 발판을 연결하는 브래킷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교량신축부가 위치되는 확장인도의 브래킷과 브래킷 사이에 신축가능한 장선, 신축연결발판 및 신축 가능한 난간부를 적용하여 교량의 신축 시에 능동적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는 교량 확장 인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교량 확장 인도는 교량신축부(2)를 포함하는 교량의 교량상판(1)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 시공되는 교량용 확장인도에 있어서, 상기 교량상판(1)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구비되는 브래킷(10); 상기 다수개의 브래킷(10)의 상부면상에 구비되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열로 장착되는 장선(20); 상기 장선(20)들의 상부면에 다수 열로 체결되는 발판(30); 및 상기 다수 열로 장착되는 발판(30)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발판(30)과 다른 하나의 발판(3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장선(20)에 체결되는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천공되는 슬롯홀(52)이 형성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장선(2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51)가 상기 슬롯홀(52)을 관통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장선(20)과 체결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장선(20)을 기준으로 상대 운동하는 신축연결발판(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선(20)은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연결되되, 상기 어느 하나의 장선(20) 단부와 이웃하는 또 다른 장선(20')의 단부는 교량신축부(2)의 신축에 따라 신축되도록 제 1신축연결수단(60)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신축연결발판(50)은 상기 제 1신축연결수단(60)과 대응되는 위치상의 어느 하나의 장선(20)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신축연결수단(60)은 일단부가 상기 장선(20)의 어느 한 단부 내면 또는 외면에 끼워져 용접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장선(20)의 바깥쪽으로 일정거리 연장 형성되는 제 1연결재(60a); 을 포함하고, 상기 장선(20)의 다른 한 단부는 이웃하는 장선(20')의 단부에 노출 형성되는 제 1연결재(60a)에 끼워져, 교량신축부(2)의 신축되는 거리만큼 슬라이드 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10)들의 연장단에는 난간부(40);가 장착되며, 상기 난간부(40)는 상기 브래킷(10) 상부면에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난간장선(41)과, 상기 난간장선(41)의 상면에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장착되는 난간지주(42) 및 상기 난간지주(42) 각각에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난간레일(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난간장선(41) 및 난간레일(43)은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연결되되, 상기 난간장선(41) 및 난간레일(43)의 단부와, 이웃하는 난간장선(41) 및 난간레일(43)의 단부는 교량신축부(2)의 신축에 따라 신축되도록 제 2신축연결수단(65)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신축연결수단(65)은 일단부가 상기 난간장선(41)의 어느 한 단부 내면 또는 외면에 끼워져 용접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난간장선(41)의 바깥쪽으로 일정거리 연장 형성되는 제 2연결재(65a); 및 일단부가 상기 난간레일(43)의 어느 한 단부 내면 또는 외면에 끼워져 용접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난간레일(43)의 바깥쪽으로 일정거리 연장 형성되는 제 3연결재(65b); 를 포함하며, 상기 난간장선(41)의 다른 한 단부는 이웃하는 난간장선 (41')의 단부에 노출 형성되는 제 2연결재(65a)에 끼워져, 교량신축부(2)의 신축되는 거리만큼 슬라이드 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난간레일(43)의 다른 한 단부는 이웃하는 난간레일(43')의 단부에 노출 형성되는 제 3연결재(65b)에 끼워져, 교량신축부(2)의 신축되는 거리만큼 슬라이드 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 인도는 상측이 상기 난간장선(41)의 외측단부에 체결되며, 하측이 상기 브래킷(10)의 하단방향 연장 되고,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마감재(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재(70)는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연결되되, 상기 난간장선(41)의 일단과 타단 이격거리 만큼 이격 설치되며, 어느 한 마감재(70)와 이웃하는 마감재(70)는 상기 난간장선(41)의 신축거리만큼 신축되도록 마감연결수단(80);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연결수단(80)은 일단부가 상기 마감재(70)의 어느 한 단부의 내면 또는 외면에 체결되고, 타단부가 이웃하는 마감재(70')의 단부에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체결되는 마감연결재(81)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재(70)의 어느 한 단부와 이웃하는 마감재(70')의 단부는 상기 마감연결재(81)가 슬라이드 됨에 따라 이격거리가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브래킷(10)은 상기 교량신축부(2)와는 이격 설치되며, 상기 난간지주(42)는 상기 브래킷(10)과 대응되는 위치상의 난간장선(41)과 체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신축연결수단(60, 65)은 브래킷(10)과 이웃하는 브래킷(1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선(20)의 일측 단부와 이웃하는 장선(20')의 타측 단부의 이격거리는 3~7mm 이고, 상기 난간장선(41)의 일측 단부와 이웃하는 난간장선(41')의 타측 단부의 이격거리 및 상기 난간레일(43)의 일측 단부와 이웃하는 난간레일(43')의 타측 단부의 이격거리는 상기 장선(20)의 일측 단부와 이웃하는 장선(20')의 타측 단부의 이격거리와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10)의 교량상판(1)과의 체결단은 교량상판(1)의 상면과 측면에 맞닿아 체결되도록 "ㄱ"자형으로 굴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교량 확장 인도는 교량의 신축을 고려하여 확장인도의 구성요소인 장선, 발판 및 난간부에 교량의 신축에 따라 신축되도록 신축연결수단을 추가한 구성이기 때문에 기존의 확장인도 보다 구조적 안정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확장 인도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확장 인도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확장 인도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확장 인도 부분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확장 인도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발판을 제외한 확장 인도의 평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 1신축연결 수단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 1신축연결수단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신축연결발판 단면도(伸)
도 8b는 본 발명의 신축연결발판 단면도(縮)
도 9a는 본 발명의 난간부 정면도(伸)
도 9b는 본 발명의 난간부 정면도(縮)
도 10a는 본 발명의 마감재 및 마감연결재 사시도
도 10b는 도 10의 분해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마감재 종단면도
도 11b는 본 발명의 마감연결재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브래킷 사시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확장 인도는 교량 상측에 형성되는 교량상판(1)의 폭 방향 양단에 난간이 구비된 교량의 상기 난간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교량상판(1)에 일정간격으로 체결수단(15)에 의해 고정되고, 교량상판(1)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브래킷(10); 상기 브래킷(10)의 상면에 수직으로 다수 열 고정되는 장선(20); 상기 장선(20)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발판(30); 및 상기 브래킷(10)의 외측 상단부에 체결 고정되는 난간부(40); 로 이루어진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10)은 상기 교량상판(1)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10)은 상부플랜지(11), 베이스 플레이트(12), 하부플랜지(13) 및 웨브(1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10)의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구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I빔의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브래킷(10)을 일단이 상기 교량상판(1)에 체결되고, 타단이 교량상판(1)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브래킷(10)의 재료는 금속으로 하되, 바람직하게는 스틸 용융 아연 도금으로 제작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10)은 주물 제작할 수 있으며, 상부플랜지(11), 베이스 플레이트(12), 하부플랜지(13) 그리고 웨브(14)를 상호 용접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랜지(11)는 교량상판(1)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랜지(11)의 일단에는 다수의 체결공(11a)이 형성되어 상기 교량상판(1)의 단부 상면에 체결수단(15)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랜지(11)의 하면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단이 용접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는 교량의 난간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교량상판(1)의 단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체결수단(15)이 체결될 수 있는 다수의 체결공(12a)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브래킷(10)의 일단은 "ㄱ"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교량상판(1)의 단부 상면의 공간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난간(1a)의 지주와 지주 사이에 상기 상부플랜지(11)의 상면을 삽입시켜, 교량 난간의 폭방향 내측에 체결 수단(15)을 통해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 수단(15)은 주입식 케미컬 앵커(Chemical Anch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입식 케미컬 앵커는 고하중 부담 능력이 좋고, 내 진동성에 뛰어난 장점이 있다.
상기 브래킷(10)은 교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웨브(14)의 높이가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브래킷(10)의 상부면상에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열의 장선(20)이 용접 고정된다. 상기 장선(20)은 상기 브래킷(10)과 함께 격자 형태를 설정하여 그 위에 올려질 발판(30)의 초석이 된다. 상기 장선(20)은 교량상판(1)의 낱개 길이만큼으로 잘라 사용되는 것이 적당하나, 교량상판(1)이 너무 길 경우 더 짧게 잘라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교량상판(1)의 연결부위 즉 교량신축부(2)에는 상기 장선(20)을 서로 이격 연결시키는 제 1신축연결수단(6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교량신축부(2)가 위치하는 브래킷(10)과 이웃하는 브래킷(10') 사이에는 상기 장선(20)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는 교량신축부(2)의 신축에 따라 상기 장선(20)과 이웃하는 장선(20')의 연결부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장선(20)의 단부와 이웃하는 장선(20')의 단부는 제 1신축연결수단(60)을 통해 연결시킬 수 있다.
제 1신축연결수단(6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선(20)의 단부와 이웃하는 장선(20')의 단부에는 제 1연결재(6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재(60a)는 상기 장선(20)과 그 단면형상을 같이 하되, 외면이 상기 장선(20)의 내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연결재(60a)는 일단이 상기 장선(20)의 타단 내면에 끼워져 용접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재(60a)는 타단이 상기 장선(20)의 타단 외측으로 일정 거리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웃하는 장선(20')의 일단은 내면이, 상기 장선(20)의 타단에 노출되는 제 1연결재(60a)의 외면에 끼워져, 슬라이드 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1연결재(60a)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선(20)의 외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장선(20)의 외면에 끼워질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상기 제 1연결재(60a)는 상기 장선(20)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하기 위해 상부면이 삭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발판(3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제 1신축연결수단(60)으로 인해 교량신축부(2)가 신축 할 경우 교량신축부(2)의 교량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브래킷(10)의 이격거리가 신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장선(20)의 단부와 이웃하는 장선(20')의 단부의 연결부가 슬라이드 되기 때문에 브래킷(10)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1신축연결수단(60)은 교량신축부(2)에 대응되는 위치상에 구비될 수 있으나, 교량신축부(2)가 위치하는 브래킷(10)과 이웃하는 브래킷(10')의 사이 어떠한 공간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선(20)의 단부와 이웃하는 장선(20')의 단부 이격거리(l)는 교량신축부(2)의 신축 거리에 따라 3~7mm 일 수 있다. 이는 이격거리(l)가 3mm 보다 짧을 경우 교량의 교량신축부(2)의 신축거리에 못 미치게 되고, 이격거리(l)가 7mm 보다 길 경우 제 1신축연결수단(60)의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장선(20)의 상부에는 장선(20)에 수직한 방향으로 발판(30)이 장착된다. 상기 발판(30)은 실질적으로 보행자가 밟고 다니는 바닥판으로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하되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발판(30)은 다수 열로 장착되어 있는 장선(20) 각각에 나사 또는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발판(30)과 이웃하는 발판(30') 사이에는 신축연결발판(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축연결발판(50)은 제 1신축연결수단(60)이 구비되는 장선(20) 각각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신축연결발판(50)은 상기 신축연결발판(50)은 체결부위에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홀(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축연결발판(50)과 장선(20)을 체결하는 체결부재(51)는 상기 슬롯홀(52)을 통해 슬라이드 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장선(20)이 제 1신축연결수단(60)을 통해 슬라이드 될 때, 신축연결발판(50)과 슬라이드 되는 장선(20)을 체결하는 체결부재(51)가 슬롯홀(52)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상기 신축연결발판(50)은 상기 장선(20)이 제 1신축연결수단(60)을 통해 슬라이드 될 때, 상대운동에 의해 이웃하는 양측의 발판(30) 과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슬롯홀(52)의 길이는 상기 장선(20)의 단부와 이웃하는 장선(20')의 단부의 이격거리(l)만큼 상기 체결부재(51)가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난간부(40)는 난간장선(41), 난간지주(42) 및 난간레일(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난간장선(41)은 상기 브래킷(10)들의 연장단부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난간장선(41)은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난간장선(41)은 상기 난간지주(42)의 초석이 된다. 상기 난간지주(42)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기둥형상으로 상기 난간장선(41)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난간지주(42)는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난간지주(42)는 브래킷(10)이 체결되는 난간장선(41)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는 난간지주(42)의 하중을 브래킷(10)으로 분산시켜 난간장선(41)이 난간지주(42)로 인한 굽힘 하중을 덜 받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난간레일(43)은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난간지주(42) 각각의 상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간부(40)는 상기 난간지주(42)를 관통하여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보조레일(44)이 추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레일(44)은 다수 개가 상기 난간지주(42)의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난간부(40)의 기본 구성은 통상적으로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난간장선(41) 및 난간레일(43)은 교량상판(1)의 낱개 길이만큼으로 잘라 사용되는 것이 적당하나, 교량상판(1)이 너무 길 경우 더 짧게 잘라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제 1신축연결수단(60)이 구비되는 위치 즉 교량신축부(2)에는 다수 개로 구비되는 상기 난간지주(42) 각각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난간지주(42)에 대응하여 다수 개로 구비되는 상기 난간레일(43) 각각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 2신축연결수단(65)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교량신축부(2)가 위치하는 브래킷(10)과 이웃하는 브래킷(10') 사이에는 상기 난간지주(42) 및 난간레일(43)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는 교량신축부(2)의 신축에 따라 상기 난간장선(41)과 이웃하는 난간장선(41')의 연결부 및 상기 난간레일(43)과 이웃하는 난간레일(43')의 연결부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난간장선(41)의 단부와 이웃하는 난간장선(41')의 단부 및 난간레일(43)의 단부와 이웃하는 난간레일(43')의 단부는 제 2신축연결수단(65)을 통해 연결시킬 수 있다.
제 2신축연결수단(65)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난간지주(42)의 단부와 이웃하는 난간지주(42')의 단부에는 제 2연결재(65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간레일(43)의 단부와 이웃하는 난간레일(43')의 단부에는 제 3연결재(65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재(65a)는 상기 난간장선(41)과 그 단면형상을 같이 하되, 외면이 상기 난간장선(41)의 내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연결재(65a)는 일단이 상기 난간장선(41)의 타단 내면에 끼워져 용접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재(65a)는 타단이 상기 난간장선(41)의 타단 외측으로 일정 거리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웃하는 난간장선(41')의 일단은 내면이, 상기 난간장선(41)의 타단에 노출되는 제 2연결재(65a)의 외면에 끼워져, 슬라이드 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3연결재(65b)는 상기 난간레일(43)과 그 단면형상을 같이 하되, 외면이 상기 난간레일(43)의 내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연결재(65b)는 일단이 상기 난간레일(43)의 타단 내면에 끼워져 용접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연결재(65b)는 타단이 상기 난간레일(43)의 타단 외측으로 일정 거리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웃하는 난간레일(43')의 일단은 내면이, 상기 난간레일(43)의 타단에 노출되는 제 3연결재(65b)의 외면에 끼워져, 슬라이드 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보조레일(44)은 상기 난간지주(42)를 관통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교량신축부(2)의 신축여부와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제 2신축연결수단(65)으로 인해 교량신축부(2)가 신축 할 경우 교량신축부(2)의 교량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브래킷(10)의 이격거리가 신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난간장선(41)의 단부와 이웃하는 난간장선(41')의 단부의 연결부 및 난간레일(43)의 단부와 이웃하는 난간레일(43')의 단부의 연결부가 슬라이드 되기 때문에 브래킷(10)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2신축연결수단(65)은 교량신축부(2)에 대응되는 위치상에 구비될 수 있으나, 교량신축부(2)가 위치하는 브래킷(10)과 이웃하는 브래킷(10')의 사이 어떠한 공간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난간장선(41)의 단부와 이웃하는 난간장선(41')의 단부 이격거리 및 상기 난간레일(43)의 단부와 이웃하는 난간레일(43')의 단부 이격거리는 상기 장선(20)의 단부와 이웃하는 장선(20')의 단부 이격거리와 일치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난간장선(41)의 교량 폭방향 외측면에는 마감재(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감재(70)는 난간장선(41) 및 브래킷(10)의 연장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아 난간장선(41) 및 브래킷(10)을 보호하고 미관(美觀)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마감재(70)는 내구성이 보장되고, 녹이 슬지 않는 재료가 적당하며, 방수 가능한 페인트 재질로 코팅하여 마무리 할 수 있다.
상기 마감재(70)는 판체형상으로 상면(70a), 측면(70b), 하면(70c), 하측면(70d)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70b)의 상단부가 상기 난간장선(41)과 맞닿아 나사 또는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면(70a)은 상기 측면(70b)에서 교량 폭방향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난간장선(41)의 상면에 맞닿게 된다. 상기 측면(70b)의 하단부는 상기 브래킷(10) 보다 낮게 연장형성 되며, "U" 자형으로 절곡 형성된다. 절곡 형성되는 상기 측면(70b)의 하단은 교량 폭방향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하면(70c)과 상기 하면(70c)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하측면(70b)이 형성된다. 상기 마감재(70)는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재(70)는 상기 난간장선(41)의 단부와 이웃하는 난간장선(41')의 단부 이격거리 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감재(70) 역시 교량신축부(2)의 신축에 따라 이격거리가 신축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일 것이다.
또한, 상기 마감재(70)와 이웃하는 마감재(70')는 마감연결수단(80)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마감재(70)와 마감재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마감연결수단(80) 역시 교량의 교량신축부(2)의 신축을 고려한 구성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마감연결수단(80)은 마감연결재(8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감연결재(81)는 상기 마감재(70)의 하단부와 이웃하는 마감재(70')의 하단부에 끼워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감연결재(81)는 상기 마감재(70)의 하단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밑판(81a)과 상기 밑판(81a)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양측판(81b, 81c)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감연결재(81)일 일단부는 밑판(81a)이 마감재(70)의 하면(70c)과, 일측판(81b)이 상기 하측면(70d)과, 타측판(81c)이 상기 측면(70b)에 맞닿도록 끼워질 수 있다. 또한 타단부는 밑판(81a)이 이웃하는 마감재(70')의 하면(70c)과, 일측판(81b)이 상기 하측면(70d)과, 타측판(81c)이 상기 측면(70b)에 맞닿도록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마감연결재(81)의 일단은 상기 마감재(70)의 측면(70b)에 볼트(80b) 결합되고, 타단은 이웃하는 마감재(70')의 측면(70b)에 제 2슬롯홀(82)을 구비하여 타단이 제 2슬롯홀(82)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볼트(80a)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감재(70)의 단부와 이웃하는 마감재(70')의 단부는 상기 마감연결재(81)를 통해 이격거리가 신축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 : 교량상판 2 : 교량신축부
10 : 브래킷
20 : 장선
30 : 발판
40 : 난간부 41 : 난간장선
42 : 난간지주 43 : 난간레일
50 : 신축연결발판
60 : 제 1신축연결수단 60a : 제 1연결재
65 : 제 2신축연결수단 65a : 제 2연결재
65c : 제 3연결재
70 : 마감재
80 : 마감연결수단 81 : 마감연결재

Claims (12)

  1. 삭제
  2. 교량신축부(2)를 포함하는 교량의 교량상판(1)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 시공되는 교량용 확장인도에 있어서,
    상기 교량상판(1)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구비되는 브래킷(10);
    상기 다수개의 브래킷(10)의 상부면상에 구비되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열로 장착되는 장선(20);
    상기 장선(20)들의 상부면에 다수 열로 체결되는 발판(30); 및
    상기 다수 열로 장착되는 발판(30)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발판(30)과 다른 하나의 발판(3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장선(20)에 체결되는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천공되는 슬롯홀(52)이 형성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장선(2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51)가 상기 슬롯홀(52)을 관통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장선(20)과 체결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장선(20)을 기준으로 상대 운동하는 신축연결발판(50);을 포함하며,
    상기 장선(20)은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연결되되, 상기 어느 하나의 장선(20) 단부와 이웃하는 또 다른 장선(20')의 단부는 교량신축부(2)의 신축에 따라 신축되도록 제 1신축연결수단(60)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신축연결발판(50)은 상기 제 1신축연결수단(60)과 대응되는 위치상의 어느 하나의 장선(20)과 체결되어 상기 장선(20)이 제 1신축연결수단(60)을 통해 슬라이드 될 때 상기 신축연결발판(50)의 상대운동에 의해 신축연결발판(50)과 이웃하는 양측의 발판(30)과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확장 인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신축연결수단(60)은
    일단부가 상기 장선(20)의 어느 한 단부 내면 또는 외면에 끼워져 용접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장선(20)의 바깥쪽으로 일정거리 연장 형성되는 제 1연결재(60a); 을 포함하고,
    상기 장선(20)의 다른 한 단부는 이웃하는 장선(20')의 단부에 노출 형성되는 제 1연결재(60a)에 끼워져, 교량신축부(2)의 신축되는 거리만큼 슬라이드 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확장 인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0)들의 연장단에는 난간부(40);가 장착되며,
    상기 난간부(40)는 상기 브래킷(10) 상부면에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난간장선(41)과, 상기 난간장선(41)의 상면에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장착되는 난간지주(42) 및 상기 난간지주(42) 각각에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난간레일(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확장 인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장선(41) 및 난간레일(43)은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연결되되, 상기 난간장선(41) 및 난간레일(43)의 단부와, 이웃하는 난간장선(41) 및 난간레일(43)의 단부는 교량신축부(2)의 신축에 따라 신축되도록 제 2신축연결수단(65)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확장 인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신축연결수단(65)은
    일단부가 상기 난간장선(41)의 어느 한 단부 내면 또는 외면에 끼워져 용접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난간장선(41)의 바깥쪽으로 일정거리 연장 형성되는 제 2연결재(65a); 및
    일단부가 상기 난간레일(43)의 어느 한 단부 내면 또는 외면에 끼워져 용접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난간레일(43)의 바깥쪽으로 일정거리 연장 형성되는 제 3연결재(65b); 를 포함하며,
    상기 난간장선(41)의 다른 한 단부는 이웃하는 난간장선 (41')의 단부에 노출 형성되는 제 2연결재(65a)에 끼워져, 교량신축부(2)의 신축되는 거리만큼 슬라이드 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난간레일(43)의 다른 한 단부는 이웃하는 난간레일(43')의 단부에 노출 형성되는 제 3연결재(65b)에 끼워져, 교량신축부(2)의 신축되는 거리만큼 슬라이드 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확장 인도.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인도는
    상측이 상기 난간장선(41)의 외측단부에 체결되며, 하측이 상기 브래킷(10)의 하단방향 연장 되고,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마감재(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확장 인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70)는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연결되되,
    상기 난간장선(41)의 일단과 타단 이격거리 만큼 이격 설치되며, 어느 한 마감재(70)와 이웃하는 마감재(70)는 상기 난간장선(41)의 신축거리만큼 신축되도록 마감연결수단(80);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확장 인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연결수단(80)은
    일단부가 상기 마감재(70)의 어느 한 단부의 내면 또는 외면에 체결되고, 타단부가 이웃하는 마감재(70')의 단부에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체결되는 마감연결재(81)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재(70)의 어느 한 단부와 이웃하는 마감재(70')의 단부는 상기 마감연결재(81)가 슬라이드 됨에 따라 이격거리가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확장 인도.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브래킷(10)은 상기 교량신축부(2)와는 이격 설치되며, 상기 난간지주(42)는 상기 브래킷(10)과 대응되는 위치상의 난간장선(41)과 체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신축연결수단(60, 65)은 브래킷(10)과 이웃하는 브래킷(1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확장 인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선(20)의 일측 단부와 이웃하는 장선(20')의 타측 단부의 이격거리는 3~7mm 이고, 상기 난간장선(41)의 일측 단부와 이웃하는 난간장선(41')의 타측 단부의 이격거리 및 상기 난간레일(43)의 일측 단부와 이웃하는 난간레일(43')의 타측 단부의 이격거리는 상기 장선(20)의 일측 단부와 이웃하는 장선(20')의 타측 단부의 이격거리와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확장 인도.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0)의 교량상판(1)과의 체결단은 교량상판(1)의 상면과 측면에 맞닿아 체결되도록 "ㄱ"자형으로 굴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확장 인도.
KR1020100011530A 2010-02-08 2010-02-08 교량 확장 인도 KR100998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530A KR100998202B1 (ko) 2010-02-08 2010-02-08 교량 확장 인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530A KR100998202B1 (ko) 2010-02-08 2010-02-08 교량 확장 인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8202B1 true KR100998202B1 (ko) 2010-12-07

Family

ID=43512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530A KR100998202B1 (ko) 2010-02-08 2010-02-08 교량 확장 인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202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841B1 (ko) 2011-01-24 2011-05-17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인도용 석교
KR101083304B1 (ko) 2011-05-16 2011-11-14 (주)에이치앤디건설 보호벽을 포함하는 해안가용 확장 보도
KR101187657B1 (ko) * 2012-02-15 2012-10-05 주식회사 흥화 교량용 가설인도
KR101190707B1 (ko) * 2012-03-08 2012-10-12 (주)에이치앤디건설 신축을 수용하는 데크 로드
KR101302147B1 (ko) * 2012-05-09 2013-09-10 김문경 신축 데크모듈과 확장인도 및 이를 이용한 교량
CN103882814A (zh) * 2014-04-02 2014-06-25 南京工业大学 一种桥梁拓宽用复合材料结构体系
KR101413058B1 (ko) * 2012-07-25 2014-06-30 삼성물산 주식회사 케이블 교량의 박스 거더
KR101553355B1 (ko) * 2013-04-10 2015-09-15 (주)보훈건설 가설인도
CN105803924A (zh) * 2016-03-16 2016-07-27 中铁工程设计咨询集团有限公司 客货共线铁路简支t梁人行道组合结构及组合方法
CN105803923A (zh) * 2016-03-16 2016-07-27 中铁工程设计咨询集团有限公司 城际铁路简支t梁人行道组合结构及组合方法
KR101757427B1 (ko) * 2016-09-01 2017-07-26 휴먼이엔씨주식회사 강관을 이용한 친환경 켄틸레버 인도교 및 그 인도교의 형성 방법
KR101792440B1 (ko) * 2016-10-17 2017-11-02 주식회사 세인 산책로용 목재 데크
KR101950303B1 (ko) 2018-05-29 2019-02-20 주식회사 승은 확장도로용 데크 지지관 고정구조
KR101970950B1 (ko) 2018-05-29 2019-04-23 주식회사 승은 확장도로용 켄틸레버 설치구조
KR102012155B1 (ko) 2019-03-12 2019-08-19 박상선 조립식 교량보도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교량보도 시공방법
KR102090329B1 (ko) 2018-11-08 2020-04-20 주식회사 남경에스텍 교량용 인도 설치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013Y1 (ko) * 1998-12-21 2001-02-01 이구택 철재 교량난간용 신축이음구조
KR200275867Y1 (ko) 2002-02-22 2002-05-16 주식회사 케이.알 방호벽용 신축이음장치
JP2004092341A (ja) 2002-09-04 2004-03-25 Tohoku Regional Constr Bureau Moc 伸縮装置
KR100918828B1 (ko) * 2009-04-20 2009-09-25 (주)신화금속 신축되는 교량용 가설인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013Y1 (ko) * 1998-12-21 2001-02-01 이구택 철재 교량난간용 신축이음구조
KR200275867Y1 (ko) 2002-02-22 2002-05-16 주식회사 케이.알 방호벽용 신축이음장치
JP2004092341A (ja) 2002-09-04 2004-03-25 Tohoku Regional Constr Bureau Moc 伸縮装置
KR100918828B1 (ko) * 2009-04-20 2009-09-25 (주)신화금속 신축되는 교량용 가설인도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841B1 (ko) 2011-01-24 2011-05-17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인도용 석교
KR101083304B1 (ko) 2011-05-16 2011-11-14 (주)에이치앤디건설 보호벽을 포함하는 해안가용 확장 보도
KR101187657B1 (ko) * 2012-02-15 2012-10-05 주식회사 흥화 교량용 가설인도
KR101190707B1 (ko) * 2012-03-08 2012-10-12 (주)에이치앤디건설 신축을 수용하는 데크 로드
KR101302147B1 (ko) * 2012-05-09 2013-09-10 김문경 신축 데크모듈과 확장인도 및 이를 이용한 교량
KR101413058B1 (ko) * 2012-07-25 2014-06-30 삼성물산 주식회사 케이블 교량의 박스 거더
KR101553355B1 (ko) * 2013-04-10 2015-09-15 (주)보훈건설 가설인도
CN103882814A (zh) * 2014-04-02 2014-06-25 南京工业大学 一种桥梁拓宽用复合材料结构体系
CN105803924A (zh) * 2016-03-16 2016-07-27 中铁工程设计咨询集团有限公司 客货共线铁路简支t梁人行道组合结构及组合方法
CN105803923A (zh) * 2016-03-16 2016-07-27 中铁工程设计咨询集团有限公司 城际铁路简支t梁人行道组合结构及组合方法
CN105803923B (zh) * 2016-03-16 2017-12-29 中铁工程设计咨询集团有限公司 城际铁路简支t梁人行道组合结构及组合方法
KR101757427B1 (ko) * 2016-09-01 2017-07-26 휴먼이엔씨주식회사 강관을 이용한 친환경 켄틸레버 인도교 및 그 인도교의 형성 방법
KR101792440B1 (ko) * 2016-10-17 2017-11-02 주식회사 세인 산책로용 목재 데크
KR101950303B1 (ko) 2018-05-29 2019-02-20 주식회사 승은 확장도로용 데크 지지관 고정구조
KR101970950B1 (ko) 2018-05-29 2019-04-23 주식회사 승은 확장도로용 켄틸레버 설치구조
KR102090329B1 (ko) 2018-11-08 2020-04-20 주식회사 남경에스텍 교량용 인도 설치구조
KR102012155B1 (ko) 2019-03-12 2019-08-19 박상선 조립식 교량보도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교량보도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202B1 (ko) 교량 확장 인도
KR100998631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101271446B1 (ko)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KR101349948B1 (ko) 가설 인도교
KR101102937B1 (ko)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KR101727124B1 (ko) 행어를 이용한 교량용 보도 및 그 시공 방법과, 경관용 인도교 및 그 시공 방법
KR101290296B1 (ko) 교량 점검로 접근용 계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302147B1 (ko) 신축 데크모듈과 확장인도 및 이를 이용한 교량
KR200432594Y1 (ko) 교량용 가설 인도
KR102122981B1 (ko)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KR102023449B1 (ko) 난간용 앵커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난간
KR20150025031A (ko)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
KR101511290B1 (ko) 조립식 데크를 갖는 안전통로 시설물
KR101295823B1 (ko)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00111580A (ko) 공동구를 구비한 교측보도교
KR200361531Y1 (ko) 3단 분리형 교량유지관리 점검대
KR102090329B1 (ko) 교량용 인도 설치구조
JP2008214930A (ja) 鉄道ホーム間仮設橋
KR100918828B1 (ko) 신축되는 교량용 가설인도
KR101185431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100977482B1 (ko) 기존 도로 법면부에 설치가 용이한 보도교
KR101457633B1 (ko) 높낮이 조절 및 경사로에 대응되는 틸팅기능을 갖는 보도용 난간
JPH0544202A (ja) 橋梁高欄補修用足場構造及び橋梁高欄補修用足場の吊り金具構造
JP2019148156A (ja) 排水溝ユニ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813701B1 (ko) 조립식 교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