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950B1 - 확장도로용 켄틸레버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확장도로용 켄틸레버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950B1
KR101970950B1 KR1020180060896A KR20180060896A KR101970950B1 KR 101970950 B1 KR101970950 B1 KR 101970950B1 KR 1020180060896 A KR1020180060896 A KR 1020180060896A KR 20180060896 A KR20180060896 A KR 20180060896A KR 101970950 B1 KR101970950 B1 KR 101970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tilever
road
steel wire
extension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은
Priority to KR102018006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변이나 도로변에 보행자용 도로 또는 자전거 도로 등을 추가로 확장하여 설치하기 위한 확장도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두께의 옹벽에 대응하여 켄틸레버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고정수단 및 상기 켄틸레버에 작용하는 편하중으로부터 켄틸레버의 고정단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한 지지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도로 혹은 교량 등의 주변에 확장 도로 또는 확장 인도 등을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의 확장 도로 혹은 확장 인도를 시공하기 위한 켄틸레버를 옹벽 등에 신속하고 견고하고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고정브라켓의 폭 조절구조를 통해 상기 옹벽의 두께와 관계없이 켄틸레버를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켄틸레버의 고정단이 하측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켄틸레버의 고정 설치력이 증대되는 것이며, 상기 켄틸레버의 자유단에 대하여 인장응력을 지속적으로 가함에 따라 상기 켄틸레버의 자유단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한 편하중 및 회전모멘트를 감소시켜 더욱 안전하고 견고하면서도 우수한 시공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확장도로용 켄틸레버 설치구조 {Cantilever installation structure for extension roads}
본 발명은 하천변이나 도로변에 보행자용 도로 또는 자전거 도로 등을 추가로 확장하여 설치하기 위한 확장도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확장도로를 시공하기 위해 옹벽 등을 이용하여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켄틸레버의 고정 및 지지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상기 다양한 두께를 갖는 옹벽 또는 지지블록 등에 상기의 켄틸레버를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켄틸레버에 작용하는 편하중으로부터 더욱 우수한 버팀력을 갖도록 한 확장도로용 켄틸레버 설치구조에 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여가 시간이 늘어나고 그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산책이나 자전거 등을 이용한 활동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둘레길이나 산책로 혹은 자전거 도로가 무수히 생겨나고 있는 실정으로서, 신규로 설치되는 교량이나 도로 등에는 이와 같은 여가활동을 위한 보행자용 도로 혹은 자전거 도로가 비교적 잘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었던 시절에 만들어진 기존의 교량이나 도로 등은 여가활동을 위한 보행자용 도로 혹은 자전거 도로가 활성화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별도의 작업을 통해 보행자 혹은 자전거를 위한 확장도로를 신설하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확장도로는 도로 양측에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로를 침범하지 않고도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나 경사지 혹은 도로주변이 협소한 경우에는 외팔보 형태로 된 켄틸레버를 지지블록에 연속적으로 고정 설치하여서 상기 켄틸레버 상에 상판을 올려 보행자용 도로 혹은 자전거용 도로가 완성되도록 시공하고 있는 것이다.
즉, 등록특허 제10-0948501호와 같이 경사면에 하단이 매립되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수직지주와, 수직지주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하
부 플랜지와 웨브로 이루어진 지지브래킷과, 지지브래킷의 상부 플랜지에 직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는 각형강관과, 각형강관의 상부에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바닥재 및 지지브래킷의 외측 끝단부에 고정되어 보행자를 보호하는 펜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기존 구조물의 훼손 없이 설치가 용이하여 공기를 단축하고, 공사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구조에 의해 안정성을 확보한 옹벽용 확장 인도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998202호와 같이 교량의 교량신축부가 위치되는 확장인도의 브래킷과 브래킷 사이에 신축가능한 장선, 신축연결발판 및 신축 가능한 난간부를 적용하여 교량의 신축 시에 능동적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는 교량 확장 인도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295823호와 같이 교량이나 하천 및 옹벽 또는 사면에 설치되는 도로를 연장하여 보행자 또는 자전거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확장 인도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연장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내측 단이 상기 도로에 고정되고, 외측 단이 상기 도로의 연장 방향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빔(beam)과; 상기 빔 상에 데크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복수 개 이상의 데크 프로파일( deck profile)과; 상기 데크 프로파일 상에 결합되는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와; 상기 빔의 외측 단의 바깥 측으로 위치되어 상기 빔에 고정되는 기둥에 의해 설치되는 난간 및; 상기 빔의 외측 단의 바깥 측에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와 난간 사이의 공간을 덮는 마감 프로파일을 포함하여; 상기 난간의 기둥이 상기 빔의 외측 단의 바깥 측에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도로로부터 연장되는 길이가 증가되도록 하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와 난간 사이의 공간이 상기 마감 프로파일에 의해 덮여 인도의 여유 공간이 확보되도록 한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534016호와 같이 교각의 측면에 확장구조부재를 설치하여 인도확장 구조물의 시공시 교각 측면의 상태에 구애 없이 수평된 상태의 인도를 손쉽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교량용 안도 확장 구조물의 시공기간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교량용 인도확장 구조물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이처럼, 다양한 형태의 확장 도로 또는 확장 인도는 공통적으로 도로 경계에 위치한 옹벽 또는 경계블럭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 혹은 형태의 켄틸레버(브래킷 혹은 빔 등으로 된 외팔보)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한 후,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에 반복의 지지대 및 데크 혹은 마감재를 깔아 사람이나 자전거 등이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즉, 이들 경사지용 도로 확장 장치 또는 방법들은 경사지와 도로 등을 구분하면서도 경사지에서의 토사 유실 등을 방지하기 위한 옹벽을 이용하여 확장도로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옹벽의 선단 상부면 또는 옹벽의 선단 측면을 이용하여 외팔보 형태의 켄틸레버 빔(cantilever beam)을 옹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한 후, 상기 켄틸레버의 상면에 지지관 및 바닥재를 고정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일측 혹은 양측단에 난간을 형성하여 확장도로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의 옹벽을 이용한 경사지용 확장도로는 지상에 도로 또는 도로 등의 시공이 불가능한 경우 옹벽을 이용하여 지상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상태의 확장도로를 설치함에 따라 보행자 또는 자전거 등이 간편하고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확장도로를 시공하기 위한 켄틸레버는 주지된 바와 같이 일측 끝단만이 고정되는 외팔보의 형태를 갖고 있어, 옹벽과 켄틸레버 간의 고정 설치부에는 켄틸레버에 작용하는 편하중 및 회전 모멘트에 의해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상기 켄틸레버의 일측 끝단부에 연장부 혹은 절곡 체결부 등을 구성하여 상기 켄틸레버가 옹벽의 측면 및 상면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도록 시공하고 있으나, 상기 켄틸레버의 편하중 및 회전 모멘트는 상호 간의 결속을 위한 고정볼트 혹은 켄틸레버 지지면에 지나치게 집중하여 작용하므로 상기의 고정볼트 혹은 너트에 의한 결속수단이 파괴되거나 결속력의 약화 또는 상실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이고, 상기 켄틸레버의 고정력이 약화되는 경우 확장도로에는 다양한 소음과 함께 대형 안전사고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게 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948501 (2010.03.12.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0998202 (2010.11.29.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95823 (2013.08.06.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34016 (2015.06.30.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다양한 두께의 옹벽에 대응하여 켄틸레버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고정수단 및 상기 켄틸레버에 작용하는 편하중으로부터 켄틸레버의 고정단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한 지지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확장도로를 시공하기 위한 켄틸레버의 고정 설치가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옹벽의 3면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동시에 지지수단을 통해 켄틸레버의 편하중을 지지하므로 확장도로의 안정성 및 사용 수명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확장도로용 켄틸레버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옹벽을 전,후면과 상면을 이용하여 확장도로용 켄틸레버가 옹벽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게 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옹벽에 고정되는 켄틸레버의 하부 일측이 상기 옹벽의 전면으로부터 고정 지지되게 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옹벽의 전,후면 및 상면과 상기 켄틸레버의 일측 끝단을 서로 연결 및 고정하는 한 쌍의 절곡브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옹벽의 전면과 켄틸레버의 하부 일측을 연결 및 고정하는 절곡봉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 혹은 교량 등의 주변에 확장 도로 또는 확장 인도 등을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의 확장 도로 혹은 확장 인도를 시공하기 위한 켄틸레버를 옹벽 등에 신속하고 견고하고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고정브라켓의 폭 조절구조를 통해 상기 옹벽의 두께와 관계없이 켄틸레버를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켄틸레버의 고정단이 하측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켄틸레버의 고정 설치력이 증대되는 것이며, 상기 켄틸레버의 자유단에 대하여 인장응력을 지속적으로 가함에 따라 상기 켄틸레버의 자유단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한 편하중 및 회전모멘트를 감소시켜 더욱 안전하고 견고하면서도 우수한 시공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켄틸레버 설치구조를 보인 전체 시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켄틸레버 설치구조에 적용되는 고정브라켓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켄틸레버 설치구조에 적용되는 고정브라켓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켄틸레버 설치구조의 지지수단을 보인 시공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켄틸레버 설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켄틸레버 설치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따른 켄틸레버 설치구조에서의 작용 설명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켄틸레버 설치구조를 보인 전체 시공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켄틸레버 설치구조에 적용되는 고정브라켓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켄틸레버 설치구조에 적용되는 고정브라켓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켄틸레버 설치구조의 지지수단을 보인 시공 확대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켄틸레버 설치구조는 옹벽(100)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고자 하는 켄틸레버(200)를 한 쌍의 절곡브라켓(11)(11')으로 이루어진 고정수단(10)과, 절곡봉체(21)에 의한 지지수단(20)을 통해 상기의 옹벽(100)에 견고하고 손쉽게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의 고정수단(10)은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된 한 쌍의 절곡브라켓(11)(11')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절곡브라켓(11)(11')은 각기 수직부(12)와 수평부(13)를 갖고 대향 중첩되는 것인데 상기의 수직부(12)에는 다수의 수평슬릿공(14)(14')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부(13)에는 다수의 수직슬릿공(15)(15')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수직부(12)는 서로 대향 위치되고 상기 각각의 수평부(13)는 상,하로 중첩되는 것으로 이들 한 쌍의 절곡브라켓(11)(11')을 옹벽(100)의 선단에 올려놓아 상기 옹벽(100)의 전면과 후면 및 상면에 밀착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지지수단(20)은 금속재로 된 절곡봉체(21)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의 절곡봉체(21)는 옹벽(100)의 전면을 이용하여 삽입 고정되는 수평앵커부(22)와 상기 켄틸레버(200)의 하부 일측을 관통하여 삽입되게 한 수직고정부(23)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의 절곡봉체(21)에 의해 켄틸레버(200)의 일측 하부를 옹벽(100)의 전면으로부터 받쳐주는 역할을 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켄틸레버(200)의 고정 지지력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켄틸레버(200)가 고정 설치될 옹벽(100)의 선단에 대하여 각기 수직앵커볼트(101)와 수평앵커볼트(102)를 미리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이들 수직앵커볼트(101)는 중첩된 수평부(13)에 형성된 수직슬릿공(15)(15')으로 삽입되게 하고 상기 수평앵커볼트(102)는 수직부(12)에 형성된 수평슬릿공(14)(14')으로 각각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돌출된 앵커볼트에 각기 체결너트(103)를 견고하게 나사 결합함에 따라 상기 절곡브라켓(11)(11')은 옹벽(100)의 선단 정면과 배면 및 상면을 동시에 감싸며 강력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옹벽(100)의 정면에 위치하는 절곡브라켓(11)(11')의 수직부(12)에는 켄틸레버(200)의 끝단면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켄틸레버(200)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수평앵커볼트(102)에 체결너트(103)를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수평앵커볼트(102)에는 절곡브라켓(11)(11')의 수직부(12)와 켄틸레버(200)가 동시에 삽입 및 고정되면서, 결국 상기 절곡브라켓(11)(11')을 이용한 켄틸레버(200)의 고정 설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 설치된 켄틸레버(200)는 편하중 및 회전모멘트가 켄틸레버(200)의 끝단면을 통해 고정수단(10)으로 전달될 것이고, 상기 고정수단(10)은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절곡브라켓(11)(11')에 의해 옹벽(100)의 전면 및 후면과 상면에 밀착되어 있어 종래에 비해 증가된 응력분산면적을 얻을 수 있는 것이고 그로 인해 더욱 향상된 응력분산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평앵커부(22)가 옹벽(100)의 전면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절곡봉체(21)는 상기 수직고정부(23)가 고정수단(10)에 결합되어 있는 켄틸레버(200)의 일측 하부를 관통하여 삽입될 것이고, 상기 수직고정부(23)에는 각기 상,하 이격된 고정너트(24)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고정너트(24)는 켄틸레버(200)의 받침구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너트(24)는 상기 수직고정부(23)가 켄틸레버(200)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하의 고정너트(24)로 인해 상기 절곡봉체(21)와 켄틸레버(200)는 서로 견고한 조립 상태를 연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켄틸레버(200)에 편하중 및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절곡봉체(21)에 의한 지지수단(20)은 절곡브라켓(11)(11')에 작용하는 편하중을 분산시키는 동시에 켄틸레버(200)를 지지하는 받침구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절곡브라켓(11)(11')이 받게 될 집중하중을 분산시켜 절곡브라켓(11)(11') 자체 및 체결부에 대한 파손이나 부러짐 혹은 균열 등의 문제점을 완화 및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 본 발명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전기한 켄틸레버(200)의 상면에 켄틸레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강선삽입관(201)(20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수단(10)의 절곡브라켓(11)(11') 중 중첩된 수직부(12) 중 상측에 위치될 수직부(12)의 상면에 한 쌍의 강선유도관(16)(16')을 고정 형성하며, 상기 수직부(12)의 끝단에는 상향 돌출의 수직지지부(17)를 형성하여 된 것이다.
이에 상기 켄틸레버(200)의 강선삽입관(201)(201') 끝단으로부터 "U"자 형태로 된 인장강선(300)을 삽입하여 상기의 인장강선(300)이 강선삽입관(201)(201') 및 강선유도관(16)(16')을 거쳐 수직지지부(17)를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지지부(17)를 관통하여 돌출된 인장강선(300)의 끝단에 로드셀(301)을 삽입한 상태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조정너트(302)를 견고하게 나사 체결함에 따라 상기 안징강선(300)에 대한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정너트(302)를 회전시켜 상기 인장강선(300)에 인장력이 부여되도록 하면, 상기 인장강선(300)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켄틸레버(200)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의 힘을 유발하게 될 것이고, 이러한 상향 인장력은 상기 켄틸레버(200)에는 편하중 및 회전모멘트에 대항하는 반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정너트(302)의 조임방향 회전으로 인해 상기 인장력은 더욱 증가되면서 상기 켄틸레버(200)에 작용하는 편하중을 상쇄 또는 감쇄시키게 되는 것으로, 상기 켄틸레버(200)에 의한 확장 도로 또는 확장 인도에 허용되는 하중의 크기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확장 도로 또는 확장 인도의 내구성이나 사용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의 로드셀(301)은 수직지지부(17)와 조정너트(302)의 사이에 위치하여 인장강선(300)에 작용하는 인장력으로 인한 압축 상태를 연출하게 될 것이고, 상기 로드셀(301)을 이용한 압축 강도의 측정을 통해 상기 인장강선(300)에 일정한 수준의 인장력이 부여될 수 있도록 조정함에 따라 확장 도로 또는 확장 인도 전체가 고른 편하중 및 회전 모멘트를 갖고 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주기적으로 상기 로드셀(301)에 작용하는 압축응력을 측정하여 상기 조정너트(302)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켄틸레버(200)에 작용하는 편하중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유지 및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의 인장강선(300)은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하 유동이 가능한 켄틸레버(200)의 자유단에서 가장 큰 상향 인장응력 연출할 것이므로 편하중이 극심하게 작용하는 켄틸레버(200)에서 가장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반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특히, 상기 켄틸레버(200)의 끝단과 면접되는 일측 절곡브라켓(11)(11')의 수직부(12)에는 각기 수직연장부(18)와 수평받침부(19)를 연장 형성함에 따라 상기 켄틸레버(200)에 작용하는 편하중으로부터 상기 고정수단(10)이 더욱 강력한 지지력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수직부(12)의 하단이 연장 형성된 하측연장부(18)로 인해 옹벽(100)의 전면에 대한 밀착 면적을 증대시켜 상기 수직연장부(18)의 길이에 따라 지지력이 비례적으로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 수직부(12)의 하단으로부터 켄틸레버(200)를 향하는 횡방향의 수평받침부(19)를 돌출 형성함에 따라 상기 수평받침부(19)에 의해 켄틸레버(200)의 하부면을 지지해주도록 하여 상기 켄틸레버(200)를 통해 고정수단(10)에 작용하는 편하중을 더욱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켄틸레버 설치구조는 다양한 두께의 옹벽에 대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켄틸레버(200)를 고정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켄틸레버(200)의 고정력을 극대화시켜 더욱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확장 도로 또는 확장 인도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고정수단 11,11' : 절곡브라켓
12 : 수직부 13 : 수평부
14,14' : 수평슬릿공 15,15' : 수직슬릿공
16,16' : 강선유도관 17 : 수직지지부
18 : 수직연장부 19 : 수평받침부
20 : 지지수단 21 : 절곡봉체
22 : 수평앵커부 23 : 수직고정부
24 : 고정너트
100 : 옹벽 101 : 수직앵커볼트
102 : 수평앵커볼트 103 : 체결너트
200 : 켄틸레버 201,201' : 강선삽입관
300 : 인장강선 301 : 로드셀
302 : 조정너트

Claims (5)

  1. 서로 대향하는 수직부(12)와 수평부(13)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절곡브라켓(11)(11')에 의해 옹벽(100)의 전,후면과 상면을 이용하여 확장도로용 켄틸레버(200)의 일측 끝단이 옹벽(100)의 선단 전면에 밀착 고정되게 하고, 상기 확장도로용 켄틸레버(200)의 하부 일측은 옹벽(100)에 고정된 절곡봉체(21)에 의해 체결 및 지지되도록 한 확장도로용 켄틸레버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켄틸레버(20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한 한 쌍의 강선삽입관(201)(201')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브라켓(11)(11') 중 켄틸레버(200)의 끝단과 면접되는 절곡브라켓(11)(11')에는 수평부(13)에 상기 강선삽입관(201)(201')과 연속하도록 형성되는 강선유도관(16)(16')과 수평부(13)의 끝단으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되는 수직지지부(17)를 형성하여, 상기 켄틸레버(200)의 강선삽입관(201)(201') 끝단으로부터 삽입되는 "U"자 형태의 인장강선(300)이 상기 강선삽입관(201)(201')을 거쳐 강선유도관(16)(16')으로의 삽입 및 수직지지부(17)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하되,
    상기 돌출된 인장강선(300)의 끝단에는 로드셀(301)을 조정너트(302)에 의해 결합 고정하여 상기 조정너트(302)의 조임에 따라 상기 인장강선(300)을 통해 켄틸레버(200)에 상향 인장력이 부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도로용 켄틸레버 설치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60896A 2018-05-29 2018-05-29 확장도로용 켄틸레버 설치구조 KR101970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896A KR101970950B1 (ko) 2018-05-29 2018-05-29 확장도로용 켄틸레버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896A KR101970950B1 (ko) 2018-05-29 2018-05-29 확장도로용 켄틸레버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950B1 true KR101970950B1 (ko) 2019-04-23

Family

ID=6628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896A KR101970950B1 (ko) 2018-05-29 2018-05-29 확장도로용 켄틸레버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95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327A (ko) * 2020-05-13 2020-06-02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
KR102216347B1 (ko) 2020-09-03 2021-02-17 주식회사 태하 응력증대수단이 구비된 확장형 더블웹 켄틸레버
CN113056589A (zh) * 2019-10-28 2021-06-29 安尼木业株式会社 适用于扩展式人行天桥的悬臂型支撑装置
KR102307943B1 (ko) * 2020-07-21 2021-09-30 조우일 캔틸레버 교량의 착탈식 지지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캔틸레버 교량의 시공방법
KR102367426B1 (ko) 2021-07-20 2022-02-25 주식회사 태하 경사조정블럭을 갖는 확장 인도교용 강관형 켄틸레버
KR102441988B1 (ko) 2021-08-26 2022-09-08 김민중 도로 확장 시공 구조 및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225Y1 (ko) * 2001-09-10 2001-12-24 강신량 로드셀을 구비한 와이어 텐션장치
JP2007247276A (ja) * 2006-03-16 2007-09-27 Takenaka Komuten Co Ltd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と柱の圧着接合構造および圧着接合構法
KR100843306B1 (ko) * 2007-06-26 2008-07-03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측 보도교 고정장치
KR100948501B1 (ko) 2009-07-10 2010-03-23 (주) 태평양지질 옹벽용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998202B1 (ko) 2010-02-08 2010-12-07 금창준 교량 확장 인도
KR101295823B1 (ko) 2012-01-20 2013-08-12 주식회사 알엠앤에코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50015699A (ko) * 2013-08-01 2015-02-11 장유배 조립식 도로확장장치
KR101534016B1 (ko) 2014-11-25 2015-07-08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교량용 인도확장 구조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225Y1 (ko) * 2001-09-10 2001-12-24 강신량 로드셀을 구비한 와이어 텐션장치
JP2007247276A (ja) * 2006-03-16 2007-09-27 Takenaka Komuten Co Ltd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と柱の圧着接合構造および圧着接合構法
KR100843306B1 (ko) * 2007-06-26 2008-07-03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측 보도교 고정장치
KR100948501B1 (ko) 2009-07-10 2010-03-23 (주) 태평양지질 옹벽용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998202B1 (ko) 2010-02-08 2010-12-07 금창준 교량 확장 인도
KR101295823B1 (ko) 2012-01-20 2013-08-12 주식회사 알엠앤에코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50015699A (ko) * 2013-08-01 2015-02-11 장유배 조립식 도로확장장치
KR101534016B1 (ko) 2014-11-25 2015-07-08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교량용 인도확장 구조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6589A (zh) * 2019-10-28 2021-06-29 安尼木业株式会社 适用于扩展式人行天桥的悬臂型支撑装置
KR20200061327A (ko) * 2020-05-13 2020-06-02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
KR102361339B1 (ko) * 2020-05-13 2022-02-11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
KR102307943B1 (ko) * 2020-07-21 2021-09-30 조우일 캔틸레버 교량의 착탈식 지지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캔틸레버 교량의 시공방법
KR102216347B1 (ko) 2020-09-03 2021-02-17 주식회사 태하 응력증대수단이 구비된 확장형 더블웹 켄틸레버
KR102367426B1 (ko) 2021-07-20 2022-02-25 주식회사 태하 경사조정블럭을 갖는 확장 인도교용 강관형 켄틸레버
KR102441988B1 (ko) 2021-08-26 2022-09-08 김민중 도로 확장 시공 구조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0950B1 (ko) 확장도로용 켄틸레버 설치구조
KR102024209B1 (ko) 교량 및 옹벽 확장 인도교
JP5020163B2 (ja) 張り出し床版用支保工
KR200432594Y1 (ko) 교량용 가설 인도
KR101604640B1 (ko)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
KR101615320B1 (ko)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
JP5388318B2 (ja) 橋梁補強構造及び橋梁補強方法
KR102216347B1 (ko) 응력증대수단이 구비된 확장형 더블웹 켄틸레버
KR101618746B1 (ko) 시공성이 개선되게 한 확장 인도교의 조립식 거더 구조
KR102367426B1 (ko) 경사조정블럭을 갖는 확장 인도교용 강관형 켄틸레버
JP2003213972A (ja) フェンス構造体
KR102332409B1 (ko) 작용 하중에 대한 반력이 발생되게 한 지주식 인도교용 강관 거더
KR100945041B1 (ko) 교량 확장용 보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확장공법
JP3844861B2 (ja) 構築物のケーブル補強構造
KR101801370B1 (ko) 전단응력이 향상된 자전거도로용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5334883B2 (ja) 防護柵
KR100436747B1 (ko)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교량의 보수보강장치 및 방법
KR20200013911A (ko)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903442B1 (ko) 안전 난간의 지지 구조물
JP4111962B2 (ja) 防護柵
KR101428748B1 (ko)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KR101819624B1 (ko) 교량확장형 데크부재 아치 인도교
KR102401684B1 (ko) 수직 및 수평으로 강도 보상이 발휘되는 교량 점검시설 설치용 복합 이종소재 난간지지장치
KR102612849B1 (ko) 높이조절 및 오차보정이 가능하고 브라켓 파일보강캡이 결합된 지주식 인도교
JP5750180B2 (ja) 防護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