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320B1 -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 - Google Patents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320B1
KR101615320B1 KR1020150138597A KR20150138597A KR101615320B1 KR 101615320 B1 KR101615320 B1 KR 101615320B1 KR 1020150138597 A KR1020150138597 A KR 1020150138597A KR 20150138597 A KR20150138597 A KR 20150138597A KR 101615320 B1 KR101615320 B1 KR 101615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girder
sub
bottom plat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Priority to KR1020150138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3/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 G01B13/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및 법면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부에 일정간격으로 앙카볼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메인거더와, 상기 메인거더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서브거더와,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과, 바닥판의 안정감과 보행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양측 서브거더 사이 하면부에 설치되는 보조지지대로 이루어진 지지구조물; 상기 서브거더의 상부면에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며 설치되는 복수 개의 각관과, 상기 서브거더의 외측부 가장자리에 연결 설치되는 보호난간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면과 서브거더의 끝단 하부면에 경사지게 설치하여 충격을 흡수하여 구조물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지주수단으로 이루어진 지지보강 구조물; 상기 각관의 상면에 설치되어 보행자 또는 자전거의 왕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면 홈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클립으로 형성된 바닥부; 상기 서브거더의 타단에 상측부가 교량 쪽으로 향하여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굽혀지도록 설치된 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바닥판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안전수단이 더 보강될 수 있는 처짐 제한 경보장치; 가 더 포함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 {The construct ability and safety improvements with footbridge}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또는 법면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부에 다수의 지지구조물로 설치되는 인도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라 함은 하천·호수·해협·저수지 등의 어떤 곳의 위로 건너다니도록 만든 시설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설치하고자하는 환경이나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공법에 의해 시공된다.
상기 교량은 다수의 교각, 상판, 교좌 및 난간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교량은 차량의 통행뿐만 아니라 일반 보행자의 통행을 위한 인도가 함께 설치된다.
이러한 교량에 설치되는 인도는 별도의 방법에 의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차량 통행을 위한 차도의 폭이 확보된 상태에서 가장자리를 난간 등으로 구획시켜 이를 인도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기존 교량에 차도와 인도가 구분되지 않을 경우, 교량의 가장자리로 보행자가 보행하게 되면, 차량과 보행자에게 모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교량에 인도를 설치하고자 기존 교량을 철거하고 다시 시공할 경우,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최근에는 기존 설치된 교량의 외측으로 인도를 확장형성하기 위한 인도교 설치구성이 제안되고 있다.
종래 교량에 인도를 별도로 가설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090400호가 제시된 바 있으며, 상기의 선행기술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로의 비탈면이 시작되는 측변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지지말뚝을 지중에 수직으로 매설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말뚝의 두부에 접합시켜 지상으로 소정량 돌출되는 확장인도교 지지블록을 형성하는 단계와; 인도 및 자전거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노폭을 갖는 확장인도교를 상기 확장 지지블록에 외팔보 형태로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행기술은 다수의 지지말뚝을 지중에 매설하고, 지지말뚝의 두부에 확장인도교 지지블록을 형성하는 한편, 확장인도교 지지블록에 외팔보 형태로 확장인도교를 설치함에 따라 시공단계 및 설치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외팔보 구간에서의 균열 및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법면 및 옹벽에 인도를 별도로 가설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122681호가 제시된 바가 있으며, 상기 선행기술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복수의 교량 받침대와, 상기 교량 받침대 위에 고정 설치되는 거치식 브라켓과, 상기 거치식 브라켓 위에 고정되는 복수의 사각-아연 도각관과, 상기 거치식 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되는 난간 지지 각형 강관과, 상기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보행자용 난간과, 복수의 사각-아연 도각관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바닥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행기술은 시공성과 설치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지만, 바닥재 위로 보행자가 통행하거나 자전거가 주행할 경우, 바닥재에 가해지는 충격이 외부로 분산 및 흡수되지 못하므로 바닥재에 흔들림과 소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보행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하천을 따라 하상도로, 녹지공원 및 운동시설 등이 조성되는데, 교량자체에는 배수시설이 갖추어져 있으나, 인도교에는 배수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차량 및 보행자에게 낙수가 떨어지거나 겨울철에는 얼음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04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2681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교량 또는 법면에서 콘트리트 구조물의 외측부에 다수의 지지구조물로 인도교가 설치됨에 있어서, 시공이 조립식으로 간단하고, 결합력을 향상시켜 구조적 안전성을 갖도록 하며, 상기 인도교에서 외팔보 구간의 흔들림 및 처짐을 억제시키되, 상기 메인보의 하부면에 처짐 제한 경보장치가 구비되어, 인도교의 처짐 발생 시 관리자가 빠르게 대응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기능으로 인해 인도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여, 인도교의 아래 지나는 차량이나 보행자들에게 낙수로 인한 불편을 없애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는 교량 및 법면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서브거더와 상기 서브거더 양측 사이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보조지지대로 형성된 지지구조물; 상기 서브거더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각관과 상기 서브거더의 외측부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보호난간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부와 서브거더의 끝단 하부면에 설치되는 보강 지주수단으로 형성된 지지보강 구조물; 상기 각관의 상면에 설치되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양측면 홈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클립으로 형성된 바닥부; 상기 서브거더의 타단의 소정높이에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각관의 하부면에 처짐제한 경보장치;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교량 또는 법면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부에 다수의 지지구조물로 설치되는 인도교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미리 특정 구성요소에 설치된 볼트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하므로, 시공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빠르게 시공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판 하부면에 보조지지대가 구비됨으로써, 인도교의 흔들림을 최소화시켜 안정감과 보행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측면과 서브거더의 끝단 하부면에 보강지지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인도교에서의 하중의 분산과 함께 지지 고정력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처짐을 방지하므로 구조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판과 바닥판의 양측면에 홈을 내어 고정클립을 끼워 넣을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바닥판 사이에 생긴 틈을 통해 인도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관의 하부면에 처짐 제한 경보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인도교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처짐상태 등의 변위를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고, 그 변형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연결된 관리자 컴퓨터로 이를 알려 이에 대한 대처를 시행할 수 있어 인도교의 안전수단이 더 보강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거더와 서브거더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A-A‘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지지대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의 측면도 (a: 거치식, b: 부착식)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지주수단 실시 예 (a: 확장 전, b: 확장 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판 실시 예
도 9는 도 6의 B부분 확대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처짐 제한 경보장치 실시 예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 또는 법면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부에 다수의 지지구조물로 설치되는 인도교에 있어서, 시공이 조립식으로 간단하고, 외팔보 구간의 흔들림 및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지지대 및 보강 지주수단이 설치되어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하고, 처짐 제한 경보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는 교량 및 법면에서 콘크리트 구조물(C)의 외측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메인거더(110)와 상기 메인거더(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서브거더(120)와, 상기 서브거더(120)의 하면에 설치되는 보조지지대(140)로 구성된 지지구조물(100)과 상기 서브거더(120)의 상면에 설치되는 각관(210)과, 상기 서브거더(120)의 외측부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보호난간(220)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의 측면과 서브거더(120)의 끝단 하면에 설치되는 보강 지주수단(230)으로 구성된 지지보강 구조물(200)과 상기 각관(2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바닥부(300)와 상기 서브거더(120) 타단의 소정 높이에 설치되는 프레임(400)과 상기 각관(21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처짐 제한 경보장치(50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거더(110)는 교량 및 법면에서 콘크리트 구조물(C)의 외측부에 교량(B)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메인거더(11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의 측면에 앙카볼트(111a)에 의하여 결합되는 연결측판(111)과 상기 연결측판(111)의 중앙에서 일체로 연장된 지지판(112)과, 상기 지지판(112)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판(1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측판(111)은 복수개의 볼트 홀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앙카볼트(111a)가 관통되어 콘크리트 구조물(C)의 측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연결측판(111)의 내측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과 접하는 면에 일정 깊이의 삽입홈(111b)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1b)에는 고무패드(111c)가 설치된다. 이렇게 삽입홈(111b)에 고무패드(111c)를 끼움으로써, 상기 앙카볼트(111a)에 의하여 관통된 주변으로 물이나 작은 흙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침투를 억제하여 앙카볼드(111a)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교량으로부터의 진동을 억제한다.
상기 서브거더(120)는 복수개의 메인거더(110)의 상면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서브거더 상부면(121)과 서브거더 하부면(122), 그리고 상기 서브거더 상부면(121)과 서브거더 하부면(122)의 중앙부를 이어주는 서브거더 수직면(12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서브거더(120)는 상기 메인거더(110)의 상판(113)에 바로 볼트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서브거더 브라켓(124)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서브거더 하부면(121)을 감싸고 동시에 상기 서브거더 수직면(123)을 가압하는 서브거더 브라켓(124)이 메인거더(110)의 상판(113)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거더(110)의 상판(113)과 서브거더 하부면(122)을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메인거더(110)의 상판(113)과 서브거더 하부면(122)의 연결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레일(130)은 상기 서브거더(12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면에는 상부 슬라이딩홈(131)이 교량(B)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면에는 하부 슬라이딩홈(132)이 교량(B)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 슬라이딩홈(131)과 하부 슬라이딩홈(132)에는 각각 이탈방지턱(131a, 132a)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지지대(140)는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첨부된 도면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310)의 하면부에 고정 설치되되, 교량(B)의 길이방향으로 각각의 서브거더(120)사이에 ‘/’와‘\’의 지그재그의 형태로 교차시켜 설치됨으로써, 하중분산과 함께 구조물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보조지지대(140)는 상기 바닥판(310)에 바로 용접 또는 볼트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서브거더(120)의 측면에 보조지지대(140)의 각각의 양쪽 끝면에 접하여 용접 또는 볼트 체결됨으로써, 바닥판(310)의 안정감과 보행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조지지대(140)의 재질 및 위치는 시공자의 선택에 의하여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각관(210)은 단면이 사각형인 봉 형태의 구성요소로서, 상기 서브거더(120)의 타단과 상기 레일(130) 사이에 일정간격을 이루며 복수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각관(210)의 하부면에는 이탈방지턱(211a)이 구비된 볼트머리 끼움홈(211)이 형성되어 상기 서브거더(120)와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310)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틀로써의 기능을 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서브거더(120)의 서브거더 상부면(121)에는 각관 고정용 볼트(121a)가 구비되는데, 이 때 상기 각관 고정용 볼트(121a)는 볼트머리가 상측을 향하도록 한다. 이 각관 고정용 볼트(121a)의 볼트머리가 상기 각관(210)의 하부면에 형성된 볼트머리 끼움홈(211)에 슬라이딩 끼움되며, 상기 각관(210)의 이탈방지턱(211a)이 각관 고정용 볼트(121a)의 볼트머리가 각관(210)의 볼트머리 끼움홈(2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호난간(220)은 상기 레일(130)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지주(221)와 상기 지주(221)사이에 설치되는 수평봉(222)으로 구성되고, 걷는 보행자나 자전거의 주행 시에 안정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지주(221)는 교량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이고, 상기 레일(130)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평봉(222)에 의하여 관통되는 복수개의 수직봉(221a)과, 상기 수직봉(221a)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난간 플랜지(221b)로 구성된다.
상기 난간 플랜지(221b)는 상기 레일(130)의 상면과 접하게 되는데, 이 난간 플랜지(221b)에는 난간 고정용 볼트(221c)가 구비되고, 상기 난간 고정용 볼트(221c)의 볼트머리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하측으로 향한 난간 고정용 볼트(221c)의 볼트머리는 상기 레일(130)의 상부 슬라이딩 홈(131)에 슬라이딩 끼움되고, 상기 레일(130)의 상부 슬라이딩 홈(131)에 구비된 상부 이탈방지턱(131a)은 상기 난간 고정용 볼트(221c)의 볼트머리가 상부 슬라이딩홈(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보호난간(220)과 레일(130)의 상호 간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지주(221)는 일정간격으로 레일(130)의 상면에 배치되는데, 이렇게 지주(221)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면 지주(221)의 난간 플랜지(221b)도 일정간격으로 배치됨에 따라, 난간 플랜지(221b)와 접촉되지 않는 레일(130)의 나머지 부분의 상부 슬라이딩 홈(131)은 외부로 노출된다. 이렇게 외부로 노출된 상부 슬라이딩 홈(131)에는 먼지와 이물질 등이 축적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먼지와 이물질 등의 축적을 방지하기 위하여 난간 플랜지(221b)와 난간 플랜지(221b) 사이의 상부 슬라이딩 홈(131)에는 홈덮개(131b)를 슬라이딩 끼움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먼지와 이물질 등의 축적 방지뿐 만 아니라 보행자들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거더(120)의 서브거더 상부면(121) 끝단에는 레일 고정용 볼트(121b)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 고정용 볼트(121b)는 레일(130)과 서브거더(1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볼트머리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서브거더 상부면(121)에 설치된다. 이 레일 고정용 볼트(121b)의 볼트머리는 상기 레일(130)의 하부 슬라이딩 홈(132)에 슬라이딩 끼움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130)에 형성된 하부 슬라이딩 홈(132)에 구비되는 하부 이탈방지턱(132a)은 상기 레일 고정용 볼트(121b)의 볼트머리가 레일(130)의 하부 슬라이딩 홈(13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평봉(22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봉(221a)을 가로지르는 봉 형태로 구성되되, 지주(221)사이에 설치되어 보호난간(220)의 전체적인 미감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대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구조물(교량의 연석)의 조건에 따라 거치식 또는 부착식과 같이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보강 지주수단(230)은 교량 및 법면의 측면에 고정 설치를 위한 제 1체결부(231)와, 상기 서브거더(120)의 끝단 하부면(122)에 고정 설치를 위한 제 2체결부(232)와, 상기 보강 지주수단(230)의 길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길이조절부(233), 구조물의 변형되는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스트레인 게이지(234)로 구성되며, 교량 및 법면의 측면에서 서브거더(120)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경사지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게 되어 구조물의 처짐을 방지 및 하중분산과 함께 지지 고정력 증대로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체결부(231)는 상기 길이조절부(233)의 일측 단부에 끼워 결합되어 볼트로 고정 설치하고, 교량 및 법면의 측면에 앙카볼트(231a)로 고정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체결부(231)는 서브거더(120)의 길이에 따라 교량 및 법면의 측면부에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2체결부(232)는 상기 길이조절부(233)의 일측 단부에 끼워 결합되어 볼트로 고정 설치하고, 서브거더(120) 끝단 서브거더 하부면(122)에 체결부 고정용 볼트(232a)로 고정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체결부(232)의 고정위치는 서브거더(120)의 끝단 서브거더 하부면(12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바닥판(310)의 중앙이나 레일(130)의 하부면 등 시공자의 선택에 의하여 위치가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길이조절부(2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부(233)의 상부면에 각도 및 길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일정간격의 길이조절용 홈(233b)을 다수 개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길이 및 각도를 시공자의 선택에 의하여 원하는 길이 및 각도를 맞춰 길이 조절용 볼트(233a)로 고정시켜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23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체결부(232)와 상기 길이조절부(233) 사이 또는 시공자의 선택에 의하여 원하는 위치에 맞춰 설치하게 된다.
상기 바닥판(310)은 각관(210)의 상면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통로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교량(B)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단면형태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 측면에 홈(311)을 내어 상기 고정클립(312)을 끼워 넣을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310)의 재질은 목재로 구성하거나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스틸재질로 구성할 수 있고, 비 또는 눈으로 인해 생긴 물이 바닥판(310) 사이에 생긴 틈(313)을 통해 빗물이 고정클립(312)의 물받이부(312b)로 유입되어 상기 집수구(314)로 모여 배수시킴과 아울러 보행자의 위험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클립(312)은 바닥판(310)의 양측 사이에 끼우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을 도 8의 단면형상과 같이 제작한 후, 바닥판(310)의 사이마다 연속해서 배치하여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클립(312)의 양측에 바닥판(310)이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부(312a)와 물을 받을 수 있는 물받이부(312b)가 일체로 형성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는 교량(B)의 상면을 통행하는 차량으로부터 흙탕물과 같은 오염물이 바닥부(300)쪽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서브거더(120)타단의 소정 높이에 프레임(400)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400)에 오염물 방지판(410)을 설치하게 된다.
좀 더 자세히 설면하면, 교량(B)의 가장자리 외측부 위에 설치된 서브거더(120)의 타단에 상측부가 교량(B) 쪽으로 향하여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굽혀진 프레임(400)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400)처럼 상측부가 상기 교량(B) 쪽으로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굽혀진 오염물 방지판(410)을 설치한다. 이렇게 교량(B) 쪽으로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흙탕물과 같은 오염물이 바닥부(300)쪽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400)과 오염물 방지판(410)은 서브거더(120)의 타단에 그 위치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교량의 가장자리 외측부나 교량에 인접한 바닥판(310)의 상면 등 시공자의 선택에 의하여 위치가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처짐 제한 경보장치(50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거더 상부면(121)의 끝단에 교량(B)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각관(210)의 하부면에 고정설치를 위한 제 3체결부(510)와 상기 바닥판(310)의 중앙부 하부면에 설치된 각관(210)의 하부면에 고정설치를 위한 제 4체결부(520)로 형성되되, 상기 처짐제한 경보장치(50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체로 구성된 측정용액체(530)의 내부에 측정용액(540)이 수용되며, 상기 측정용액체(530)의 양단부에는 눈금(570)이 구비되어, 인도교의 처짐 발생 시 이를 진단하는 처짐 센서부(571)와, 인도교의 처짐을 감지하여 인지시키는 관리자 컴퓨터(580)로 구성된다.
상기 측정용액체(530)의 양측에는 인도교에서의 각 시설물들의 변형이 발생 시 측정용액체(530)가 제 3체결부(510)와 제 4체결부(520)에서 변형에 따라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제 3체결부(510), 제 4체결부(520)와 체결되는 부분에 장공(550)을 형성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측정용액체(530)의 상부에는 내부에 측정용액(54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뚜껑체(560)를 설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처짐 제한 경보장치(500)는 교량이 설치되는 지반의 변화 및 교좌 장치의 변형 등 여러 이유로 인도교의 외팔보 구간에서 처짐이 발생하는 등의 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서브거더 상부면(121)의 끝단에 교량(B)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각관(210)의 하부면에 고정설치를 위한 제 3체결부(510)와 상기 바닥판(310)의 중앙부 하부면에 설치된 각관(210)의 하부면에 고정설치를 위한 제 4체결부(520)사이에 고정된 상태의 측정용액체(53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투명체로 된 측정용액체(530) 내부에 수용된 측정용액(54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측정용액체(530)의 양단부에 표시된 눈금(570)에 기울어진 기울기가 표시되게 된다.
이에 따라 눈금(570)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측정용액(540)에 잠겨있던 처짐 센서부(571)가 인도교의 처짐으로 변위가 발생되면서, 측정용액(540)이 일측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측정용액(540)의 높이가 처짐 센서부(571)보다 낮게 위치되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에 연결된 관리자 컴퓨터(580)로 신호를 송출하여 관리자에게 이를 인지시켜 그에 대한 대처방안을 시행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지지구조물 110: 메인거더
111: 연결측판 111a: 앙카볼트
111b: 삽입홈 111c: 고무패드
112: 지지판 113: 상판
113a: 이탈방지단턱 113b: 각관 고정용 볼트
120: 서브거더 121: 서브거더 상부면
121a: 각관 고정용 볼트 121b: 레일 고정용 볼트
122: 서브거더 하부면 123: 서브거더 수직면
124: 서브거더 브라켓 130: 레일
131: 상부 슬라이딩 홈 131a: 상부 이탈방지턱
131b: 홈덮개 132: 하부 슬라이딩 홈
132a: 하부 이탈방지턱 140: 보조지지대
200: 지지보강 구조물 210: 각관
211: 볼트머리 끼움홈 211a: 이탈방지턱
220: 보호난간 221: 지주
221a: 수직봉 221b: 난간 플랜지
221c: 난간 고정용 볼트 222: 수평봉
230: 보강 지주수단 231: 제 1체결부
231a: 앙카볼트 232: 제 2체결부
232a: 체결부 고정용 볼트 233: 길이 조절부
233a: 길이 조절용 볼트 233b: 길이 조절용 홈
234: 스트레인 게이지 300: 바닥부
310: 바닥판 311: 홈
312: 고정클립 312a: 끼움부
312b: 물받이부 313: 틈
314: 집수구 400: 프레임
410: 오염물 방지판 500: 처짐 제한 경보장치
510: 제 3체결부 520: 제 4체결부
530: 측정용액체 540: 측정용액
550: 장공 560: 뚜껑체
570: 눈금 571: 처짐 센서부
580: 관리자 컴퓨터 B: 교량
C: 콘크리트 구조물

Claims (6)

  1. 교량 및 법면에서 콘크리트 구조물(C)의 외측부에 일정간격으로 앙카볼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메인거더(110)와, 상기 메인거더(11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서브거더(120)와, 상기 서브거더(120)의 상면에 교량(B)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130)과, 바닥판(310)의 안정감과 보행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양측 서브거더(120)사이 하면부에 설치되는 보조지지대(140)로 이루어진 지지구조물(100);
    상기 서브거더(120)의 상부면에 교량(B)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며 설치되는 복수 개의 각관(210)과, 상기 서브거더(120)의 외측부 가장자리에 연결 설치되는 보호난간(220)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B)의
    측면과 서브거더(120)의 끝단 하부면에 경사지게 설치하여 충격을 흡수하여 구조물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지주수단(230)으로 이루어진 지지보강 구조물(200);
    상기 각관(210)의 상면에 설치되어 보행자 또는 자전거의 왕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닥판(310)과, 상기 바닥판(310)의 양측면 홈(3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클립(312)으로 이루어진 바닥부(300);
    상기 서브거더(120)의 타단에 상측부가 교량(B)쪽으로 향하여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굽혀지도록 설치된 프레임(400); 및
    상기 각관(21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처짐 제한 경보장치(500);
    를 포함하고,
    상기 처짐제한 경보장치(500)는
    상기 서브거더상부면(121)의 끝단에 교량(B)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각관(210)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를 위한 제 3체결부(510)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310)의 중앙부에 설치된 각관(210)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를 위한 제 4체결부(520)가 형성되되,
    상기 처짐제한 경보장치(50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체로 형성된 측정용액체(530)의 내부에는 측정용액(540)이 수용되며, 상기 측정용액체(530)의 양단부에는 눈금(570)이 구비되어, 상·하 방향의 처짐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거더(110)의 상부면과 서브거더(120)의 하부면은 ‘∧’의 형태를 갖도록 하여 메인거더(110)의 상부면과 서브거더(120)의 하부면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대(140)는
    상기 바닥판(310)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되, 교량(B)의 길이방향으로 각각의 서브거더(120) 측면에 /’와‘\’의 형태를 교차시켜 지그재그의 형태를 갖도록 하여 상기 보조지지대(140)와 상기 바닥판(310)의 하부면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지주수단(230)은
    콘크리트 구조물(C)의 측면에 고정 설치를 위한 제 1체결부(231)가 형성되고,
    서브거더(120)의 끝단 하부면에 고정 설치를 위한 제 2체결부(232)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 지주수단(230)의 중간 부분에 길이조절부(233)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보강 지주수단(230)의 길이 및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300)는
    상기 바닥판(310)은 상기 각관(210)의 상면에 위치하며, 교량(B)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양측면에 홈(311)을 내어 상기 고정클립(312)을 끼워 넣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되,
    바닥판(310)사이에 생긴 틈(313)을 통해 물을 받을 수 있는 물받이부(312b)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교.
  6. 삭제
KR1020150138597A 2015-10-01 2015-10-01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 KR101615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597A KR101615320B1 (ko) 2015-10-01 2015-10-01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597A KR101615320B1 (ko) 2015-10-01 2015-10-01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320B1 true KR101615320B1 (ko) 2016-05-11

Family

ID=5602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597A KR101615320B1 (ko) 2015-10-01 2015-10-01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32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125B1 (ko) * 2017-02-24 2017-09-18 이정범 조립식 확장 인도교
KR101849660B1 (ko) 2017-06-27 2018-04-17 (주)태평양기술산업 절벽부 브라켓 확장인도 구조물 및 절벽부 브라켓 확장인도 구조물 설치공법
KR102057323B1 (ko) 2019-09-27 2019-12-19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부착식 또는 거치식 확장형 인도교
KR102122085B1 (ko) * 2019-10-28 2020-06-12 (주)애니우드 캔틸레버형 받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확장형 인도교
KR102166857B1 (ko) 2020-04-24 2020-10-16 다산기업 주식회사 변위 알림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교량 점검 안전 시설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219006B1 (ko) 2020-07-09 2021-02-23 김진희 교량용 자전거도로 구조물
CN113928974A (zh) * 2021-10-15 2022-01-14 宝钢湛江钢铁有限公司 一种高架钢轨检修安全装置
KR102524229B1 (ko) * 2022-10-11 2023-04-24 황민희 안전성이 강화된 교량용 작업 발판
CN117848270A (zh) * 2024-03-07 2024-04-09 中铁二十二局集团第四工程有限公司 一种隧道施工用掘进角度测量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631B1 (ko) * 2010-04-19 2010-12-07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교량용 가설인도
KR101104297B1 (ko) * 2011-03-28 2012-01-11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 및 단경간과 다경간 프리플렉스 거더 시공방법
KR101349948B1 (ko) * 2013-10-01 2014-01-14 (주)신화금속 가설 인도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631B1 (ko) * 2010-04-19 2010-12-07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교량용 가설인도
KR101104297B1 (ko) * 2011-03-28 2012-01-11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 및 단경간과 다경간 프리플렉스 거더 시공방법
KR101349948B1 (ko) * 2013-10-01 2014-01-14 (주)신화금속 가설 인도교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125B1 (ko) * 2017-02-24 2017-09-18 이정범 조립식 확장 인도교
KR101849660B1 (ko) 2017-06-27 2018-04-17 (주)태평양기술산업 절벽부 브라켓 확장인도 구조물 및 절벽부 브라켓 확장인도 구조물 설치공법
KR102057323B1 (ko) 2019-09-27 2019-12-19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부착식 또는 거치식 확장형 인도교
KR102122085B1 (ko) * 2019-10-28 2020-06-12 (주)애니우드 캔틸레버형 받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확장형 인도교
WO2021085659A1 (ko) * 2019-10-28 2021-05-06 (주)애니우드 확장형 인도교를 위한 캔틸레버형 받침장치
CN113056589A (zh) * 2019-10-28 2021-06-29 安尼木业株式会社 适用于扩展式人行天桥的悬臂型支撑装置
KR102166857B1 (ko) 2020-04-24 2020-10-16 다산기업 주식회사 변위 알림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교량 점검 안전 시설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219006B1 (ko) 2020-07-09 2021-02-23 김진희 교량용 자전거도로 구조물
CN113928974A (zh) * 2021-10-15 2022-01-14 宝钢湛江钢铁有限公司 一种高架钢轨检修安全装置
CN113928974B (zh) * 2021-10-15 2024-01-23 宝钢湛江钢铁有限公司 一种高架钢轨检修安全装置
KR102524229B1 (ko) * 2022-10-11 2023-04-24 황민희 안전성이 강화된 교량용 작업 발판
CN117848270A (zh) * 2024-03-07 2024-04-09 中铁二十二局集团第四工程有限公司 一种隧道施工用掘进角度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320B1 (ko)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
KR100998631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102024209B1 (ko) 교량 및 옹벽 확장 인도교
KR100958301B1 (ko) 배수성이 향상된 교량용 집수구
KR101970950B1 (ko) 확장도로용 켄틸레버 설치구조
KR101271446B1 (ko)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KR200468253Y1 (ko) 교량 및 법면의 확장형 인도교
KR20130082052A (ko) 교량용 확장 인도교
KR101604640B1 (ko)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
KR200432594Y1 (ko) 교량용 가설 인도
KR101618746B1 (ko) 시공성이 개선되게 한 확장 인도교의 조립식 거더 구조
KR101122681B1 (ko)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
KR101337024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 겸용 배수장치
KR100945041B1 (ko) 교량 확장용 보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확장공법
KR101681939B1 (ko) 강관 지주를 이용한 자주식 확장 브라켓 인도교
JP6961303B2 (ja) 排水溝
KR101252766B1 (ko) 도로 확장형 보조교량
KR20100057559A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 겸용 배수장치
KR101600986B1 (ko) 포장재의 내구성이 우수한 확장형 인도교
KR101801370B1 (ko) 전단응력이 향상된 자전거도로용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447143B1 (ko) 캔틸레버식 확장형 보도 및 자전거 도로
JP4068795B2 (ja) 排水溝構造
KR101718139B1 (ko) 측구 설치형 차량 방호울타리 보강 구조
KR101302148B1 (ko) 하천횡단 및 확장용 인도교
JP3328802B2 (ja) 橋梁における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