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229B1 - 안전성이 강화된 교량용 작업 발판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강화된 교량용 작업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229B1
KR102524229B1 KR1020220129301A KR20220129301A KR102524229B1 KR 102524229 B1 KR102524229 B1 KR 102524229B1 KR 1020220129301 A KR1020220129301 A KR 1020220129301A KR 20220129301 A KR20220129301 A KR 20220129301A KR 102524229 B1 KR102524229 B1 KR 102524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rizontal
bridge
horizontal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민희
Original Assignee
황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민희 filed Critical 황민희
Priority to KR1020220129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이 강화된 교량용 작업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 거더에 설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안정적인 설치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어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 거더(100)의 하부 플렌지(110) 측면에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는 교량용 작업 발판에 있어서, 일정 길이를 이루는 수평 프레임(10)과; 상기 수평 프레임(10)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되, 길이 가변 조절이 가능한 수직 프레임(20)과;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 구성된 수평 지지대(30)와; 상기 수평 지지대(30)에 구성되어 교량 거더(100)의 하부 플렌지(110) 상면에 대한 가압 고정이 이루어지는 가압 고정구(40)와; 상기 수평 프레임(10) 상부에 안착 거치가 이루어지는 타공발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성이 강화된 교량용 작업 발판{Working platform for bridges with enhanced safety}
본 발명은 교량용 작업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시공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거더 사이에 설치되는 작업 발판의 설치 구조 개선을 통하여 시공성 및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전성이 강화된 교량용 작업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시공 과정에서는 I자형 철재 빔으로 교량용 거더의 기초(이하 "거더용 철재 빔"이라 함)를 만들고, 거더용 철재 빔과 철재 빔 사이에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여 교량을 완성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교량의 길이와 폭, 하중 등에 맞추어 설계된 거더용 철재 빔을 지상에서 완성하여 교량 설치장소로 이동시킨다.
설치장소로 이동된 거더용 철재 빔을 크레인을 사용하여 교각 위에 설치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거더용 철재 빔이 교각 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히 배열된 형태가 된다.
그리고, 나란히 배열된 거더용 철재 빔 상부와 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을 완성하는데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서는 거더용 철재 빔과 철재 빔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거푸집 설치작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작업 시 양쪽에 위치된 거더용 철재 빔 사이를 차단하는 형태로 작업용 발판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용 발판을 이용해서 거더용 철재 빔의 측면에도 철근을 위치시키고 거푸집을 설치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의 작업용 발판은 단순히 거더에 거치된 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안정적인 설치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강풍이나 진동 발생시 작업자의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 발생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83186호(2009.02.04.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68682호(2012.07.19.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교량용 작업 발판의 설치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안정적인 설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과정에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토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 거더의 하부 플렌지 측면에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는 교량용 작업 발판에 있어서, 일정 길이를 이루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되, 길이 가변 조절이 가능한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 구성된 수평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에 구성되어 교량 거더의 하부 플렌지 상면에 대한 가압 고정이 이루어지는 가압 고정구와; 상기 수평 프레임 상부에 안착 거치가 이루어지는 타공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수평 프레임이 길이 조절 가능하게 안내되는 프레임 안내부가 구비된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부 프레임의 연결 구조를 이루되, 상기 프레임 안내부에는 수평 프레임의 위치 고정을 위한 제1조절볼트가 체결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제2조절볼트에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교량용 작업 발판은, 교량 거더에 설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안정적인 설치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어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작업 발판 설치 상태 개략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작업발판 지지프레임 측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작업발판 지지프레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작업발판 지지프레임 분리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작업발판 지지용 수평 프레임 단면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수평 프레임 길이 조절부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작업발판 지지프레임의 거더 시공 과정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업 발판 설치 형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평 프레임 길이 조절부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작업 발판 설치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작업발판 지지프레임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작업 발판 구조를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교량용 작업 발판은 교량 거더(100)의 하부 플렌지(110) 측면에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정 길이를 이루는 수평 프레임(10)과, 상기 수평 프레임(10)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되, 길이 가변 조절이 가능한 수직 프레임(20)과,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 구성된 수평 지지대(30)와, 상기 수평 지지대(30)에 구성되어 교량 거더(100)의 하부 플렌지(110) 상면에 대한 가압 고정이 이루어지는 가압 고정구(40)와, 상기 수평 프레임(10) 상부에 안착 거치가 이루어지는 타공발판(5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 프레임(10)은 강성 보강을 위해 2개의 보강대(11,12)가 연결부(13)에 의해 상호 상하로 연결된 오뚜기 형상의 2중 파이프 구조를 이루며, 일측에는 안전 난간대(60)가 수직으로 연결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난간대 연결부(1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20)은 수평 프레임(10)이 길이 조절 가능하게 안내되는 프레임 안내부(21a)가 "U"자 형상을 이루어 구비된 하부 프레임(21)과, 상기 하부 프레임(21)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부 프레임(22)의 연결 구조를 이루되, 상기 프레임 안내부(21a)에는 수평 프레임(10)의 위치 고정을 위한 제1조절볼트(23)가 체결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22)과 대응되는 하부 프레임(21)의 상부 측에는 다수의 통공(21a)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제2조절볼트(24)에 의한 수직 프레임(2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상부 프레임(22)의 상단부에 직각 형상을 이루는 일체형 연결 구조를 이루게 되며, 상기 수평 지지대(30)에 설치가 이루어진 상기 가압 고정구(40)는 원판 형상을 이루는 가압판(41)과, 상기 가압판(41) 상부에 연결되어 수평 지지대(30)에 관통되는 형태로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는 조절 스크류(4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평 프레임(10)의 중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부(13)는 두께가 감소되는 홈 형상을 이루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안내부(21a)에는 연결부(13)에 끼움 형태로 삽입되어 지지하기 위한 보강 지지대(21b)이 일체로 용접 구비되되, 상기 보강 지지대(21b)는 반원 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루어 좌우 양측에 각각 대칭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교량용 작업 발판의 설치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작업 발판은 교량 거더(100)의 하부 플렌지(110)에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수평 프레임(10)의 일단부를 하부 플렌지(110) 저부에 위치시킴과 함께 수평 지지대(30)는 하부 플렌지(110)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압 고정구(40)를 이용한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이때에는 조절 스크류(42)를 일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가압판(41)이 서서히 하강되면서 하부 플렌지(110)를 가압하여 위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1조절볼트(23) 및 제2조절볼트(24)를 이용하여 수직 프레임(20)의 상하 높이 조절 및 수평 프레임(10)의 좌우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현장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 프레임(10)의 고정 설치가 완료되면 상부에는 타공발판(50)을 거치시킴과 함께 일단부에 구비된 난간대 연결부(15)에는 안전 난간대(60)를 수직으로 끼워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시공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교량용 작업 발판은, 수평 프레임(10)이 2개의 보강대(11,12)가 연결부(13)에 의해 상호 상하로 연결된 2중 구조를 이룸으로써 상부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며, 프레임의 설치 높이 및 길이 조절이 현장에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현장 대응력이 향상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교량용 작업 발판은, 교량 거더에 설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안정적인 설치 상태 및 상부 하중 지지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어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 안내부(21a)에는 수평 프레임(10) 중단부에 형성된 연결부(13)에 끼움 형태로 삽입되어 지지하기 위한 보강 지지대(21c)가 일정 길이를 이루어 일체로 용접 구비되되, 상기 보강 지지대(21c)는 반원 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루어 좌우 양측에 각각 대칭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프레임 안내부(21a)에 끼워지는 수평 프레임(10)은 중단의 연결부(13)가 보강 지지대(21c)에 의해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하중에 의한 수평 프레임(10)의 변형 발생이 방지됨과 함께 보다 안정적인 지지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교량 거더(100)의 하부 플렌지(110) 저면에는 수평 프레임(10)의 일단부가 거치될 수 있도록 "ㄴ"형상을 이루는 프레임 지지 브라켓(70)이 매립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 지지 브라켓(70)에는 수평 프레임(10)을 가압 고정하기 위한 가압볼트(71)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발판 프레임의 설치 과정에서 수평 프레임(10)의 일단부가 프레임 지지 브라켓(70)에 거치되어질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발판 지지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특히, 프레임 지지 브라켓(70)은 교량 거더(100)의 몰탈 과정에서 선매립 형태로 매립된 구조를 이루게 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작업 발판의 추락 발생을 방지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수평 프레임(10)의 일측에는 교량 거더(100)의 하부 플렌지(110) 저면과 마찰력 증대를 위한 마찰층(10a)이 코팅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마찰층(10a)은 수산화리튬 1~10중량%, 마그네슘 클로로페니사이트 10~30중량%, 부틸고무 20~40중량%, 다이메톡시다이메틸실레인 5~30중량%, 장석분말 10~20중량%, 폴리벤즈이미다젠 1~10중량%, 활성 글루텐 1~10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의 혼합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마찰층(10a)의 형성으로 인해 수평프레임(10)이 하부 플렌지(110) 저면과 밀착력이 증대되어질 수 있게 되어 프레임의 흔들림 현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마찰층(10a)에는 수산화리튬 및 마그네슘 클로로페니사이트 성분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부틸 고무의 경화 현상을 억제함과 함께 변형 발생이 방지되고, 다이메톡시다이메틸실레인은 마찰층(10a)의 표면 평탄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장석분말은 마찰층(10a)의 밀도 강화를 통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추가 첨가된 폴리벤즈이미다젠 및 활성 글루텐은 각각 마찰층(10a)의 접착력을 증대시킴으로 외부 충격으로 인한 박리 현상이 방지됨과 함께 표면 오염이 방지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작업발판 설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작업발판 일측에 안전 난간대가 연결 설치된 형태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 8에서와같이 수평 프레임(10)의 양측에 수직 프레임(20)을 각각 연결하여 교량 거더(10) 사이를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수평 프레임 20 : 수직 프레임
30 : 수평 지지대 40 : 가압 고정구
50 : 타공발판 60 : 안전 난간대
100 : 교량 거더 110 : 하부 플렌지

Claims (7)

  1. 교량 거더(100)의 하부 플렌지(110) 측면에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는 교량용 작업 발판에 있어서,
    일정 길이를 이루는 수평 프레임(10)과;
    상기 수평 프레임(10)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되, 길이 가변 조절이 가능한 수직 프레임(20)과;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 구성된 수평 지지대(30)와;
    상기 수평 지지대(30)에 구성되어 교량 거더(100)의 하부 플렌지(110) 상면에 대한 가압 고정이 이루어지는 가압 고정구(40)와;
    상기 수평 프레임(10) 상부에 안착 거치가 이루어지는 타공발판(50);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10)은 강성 보강을 위해 2개의 보강대(11,12)가 연결부(13)에 의해 상호 상하로 연결된 오뚜기 형상의 2중 파이프 구조를 이루며, 일측에는 안전 난간대(60)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난간대 연결부(15)가 구성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20)은 수평 프레임(10)이 길이 조절 가능하게 안내되는 프레임 안내부(21a)가 "U"자 형상을 이루어 구비된 하부 프레임(21)과, 상기 하부 프레임(21)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부 프레임(22)의 연결 구조를 이루되, 상기 프레임 안내부(21a)에는 수평 프레임(10)의 위치 고정을 위한 제1조절볼트(23)가 체결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22)과 대응되는 하부 프레임(21) 측에는 다수의 통공(21b)이 형성되어 제2조절볼트(24)에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며,
    상기 연결부(13)는 두께가 감소되는 홈 형상을 이루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안내부(21a)에는 연결부(13)에 끼움 형태로 삽입되어 지지하기 위한 보강 지지대(21c)가 일체로 용접 구비되되, 상기 보강 지지대(21c)는 반원 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루어 좌우 양측에 각각 대칭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강화된 교량용 작업 발판.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 고정구(40)는 원판 형상을 이루는 가압판(41)과, 상기 가압판(41)에 연결되어 수평 지지대(30)에 관통되는 형태로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는 조절 스크류(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강화된 교량용 작업 발판.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교량 거더(100)의 하부 플렌지(110) 저면에는 수평 프레임(10)의 일단부가 거치될 수 있도록 "ㄴ"형상을 이루는 프레임 지지 브라켓(70)이 매립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 지지 브라켓(70)에는 수평 프레임(10)을 가압 고정하기 위한 가압볼트(71)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강화된 교량용 작업 발판.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10)의 일측에는 교량 거더(100)의 하부 플렌지(110) 저면과 마찰력 증대를 위한 마찰층(10a)이 코팅 형성되되, 상기 마찰층(10a)은 수산화리튬, 마그네슘 클로로페니사이트, 부틸고무, 다이메톡시다이메틸실레인, 장석분말, 폴리벤즈이미다젠, 활성 글루텐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강화된 교량용 작업 발판.
KR1020220129301A 2022-10-11 2022-10-11 안전성이 강화된 교량용 작업 발판 KR102524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301A KR102524229B1 (ko) 2022-10-11 2022-10-11 안전성이 강화된 교량용 작업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301A KR102524229B1 (ko) 2022-10-11 2022-10-11 안전성이 강화된 교량용 작업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4229B1 true KR102524229B1 (ko) 2023-04-24

Family

ID=8614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301A KR102524229B1 (ko) 2022-10-11 2022-10-11 안전성이 강화된 교량용 작업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229B1 (ko)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321A (ko) * 2000-12-21 2002-06-27 오풍영 안전발판 시스템
KR20040028221A (ko) * 2002-09-30 2004-04-03 성수복 피.에스.씨-빔 교량의 상판 슬래브 지지용 가시설 구조물
KR20050100118A (ko) * 2004-04-13 2005-10-18 (주)삼아이엔지 건축물의 외부 구조물 지지장치
KR20070025483A (ko) * 2005-09-02 2007-03-08 이상열 교량 건설용 일체식 동바리
KR100883186B1 (ko) 2008-09-01 2009-02-11 정석건설 주식회사 교량의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
KR20100032214A (ko) * 2008-09-17 2010-03-25 김진곤 알피에프빔교량용 안전망설치구
KR20100011672U (ko) * 2009-05-22 2010-12-01 주식회사 엠앤디 피시빔 교량용 작업로설치구
KR20120051373A (ko) * 2010-11-12 2012-05-22 김재현 강성 개선 구조 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8682B1 (ko) 2010-01-28 2012-07-27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거더에 설치되는 작업발판 지지대
KR101355372B1 (ko) * 2012-10-10 2014-01-24 피앤케이에코 주식회사 시스템 비계
KR101615320B1 (ko) * 2015-10-01 2016-05-11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
KR20200065267A (ko) * 2018-11-30 2020-06-09 김덕기 비계용 파이프 길이조절 구조
KR102314430B1 (ko) * 2021-02-03 2021-10-19 주식회사 에스티 교량 종방향 점검시설
KR102330219B1 (ko) * 2021-03-23 2021-11-22 주식회사다우스 진동제어 플레이트가 구비된 서포트 브라켓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321A (ko) * 2000-12-21 2002-06-27 오풍영 안전발판 시스템
KR20040028221A (ko) * 2002-09-30 2004-04-03 성수복 피.에스.씨-빔 교량의 상판 슬래브 지지용 가시설 구조물
KR20050100118A (ko) * 2004-04-13 2005-10-18 (주)삼아이엔지 건축물의 외부 구조물 지지장치
KR20070025483A (ko) * 2005-09-02 2007-03-08 이상열 교량 건설용 일체식 동바리
KR100883186B1 (ko) 2008-09-01 2009-02-11 정석건설 주식회사 교량의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
KR20100032214A (ko) * 2008-09-17 2010-03-25 김진곤 알피에프빔교량용 안전망설치구
KR20100011672U (ko) * 2009-05-22 2010-12-01 주식회사 엠앤디 피시빔 교량용 작업로설치구
KR101168682B1 (ko) 2010-01-28 2012-07-27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거더에 설치되는 작업발판 지지대
KR20120051373A (ko) * 2010-11-12 2012-05-22 김재현 강성 개선 구조 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55372B1 (ko) * 2012-10-10 2014-01-24 피앤케이에코 주식회사 시스템 비계
KR101615320B1 (ko) * 2015-10-01 2016-05-11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
KR20200065267A (ko) * 2018-11-30 2020-06-09 김덕기 비계용 파이프 길이조절 구조
KR102314430B1 (ko) * 2021-02-03 2021-10-19 주식회사 에스티 교량 종방향 점검시설
KR102330219B1 (ko) * 2021-03-23 2021-11-22 주식회사다우스 진동제어 플레이트가 구비된 서포트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6284B2 (ja) 鋼製筋違内蔵型の交換可能な高エネルギー散逸プレハブ式プレストレスト耐震壁
JP5020163B2 (ja) 張り出し床版用支保工
KR102080492B1 (ko)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JP5020162B2 (ja) 張り出し床版用支保工
CN113279582A (zh) 一种用于悬挑并下挂式现浇板的吊挂施工方法
KR101736680B1 (ko) 가로보를 이용한 교량상부구조물의 측면인상장치 및 이를 적용한 교량받침의 교체방법
CN2823315Y (zh) 一种用于桥梁支座的楔形垫板
KR102524229B1 (ko) 안전성이 강화된 교량용 작업 발판
CN210659200U (zh) 一种高层建筑电梯井作业平台
JP2008215042A (ja) Rc床版2主桁橋の合成方法
JP2744955B2 (ja) ゲルバー橋ヒンジ部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KR102206783B1 (ko) Psc 스플라이스드 거더교의 임시고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sc 스플라이스드 거더교의 시공방법
JP2003082618A (ja) 橋梁耐震補強方法
CN209114884U (zh) 一种高空钢结构现场拼装用h型钢轨道式胎架
KR100487574B1 (ko) 강연선과 새들로 지지되는 거더형 브라켓을 이용한상부구조물 인상공법 및 장치
KR200254666Y1 (ko) 강재교량의 상판 하부에 설치되는 영구비계 구조
CN110700122A (zh) 一种用于矩形独柱墩桥梁的抗倾覆加固结构
KR200378428Y1 (ko) 일체형 교좌장치
CN218813219U (zh) 一种钢混结合梁桥面板三角托架
JP6382091B2 (ja) 張出しスラブの補強工法
KR102151567B1 (ko) 강합성 교량
KR200497116Y1 (ko) 무해체 거푸집용 철근 안전고정장치
CN220203497U (zh) 一种钢梁加固楼板的预应力装置
CN212836706U (zh) 仓库预制钢筋砼整浇结构楼面卸货坑处的模板支撑结构
KR102546964B1 (ko) 교량의 캔틸레버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