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372B1 - 시스템 비계 - Google Patents

시스템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372B1
KR101355372B1 KR1020130038888A KR20130038888A KR101355372B1 KR 101355372 B1 KR101355372 B1 KR 101355372B1 KR 1020130038888 A KR1020130038888 A KR 1020130038888A KR 20130038888 A KR20130038888 A KR 20130038888A KR 101355372 B1 KR101355372 B1 KR 101355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ore
vertical member
vertical
horizont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두철
조승현
김명호
김명준
박종현
Original Assignee
피앤케이에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앤케이에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앤케이에코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7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공사시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시스템 비계에 관한 것으로, 수직재와, 상기 수직재에 대하여 측부에 연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수평재를 구비한 시스템 비계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10)는 경량화를 위하여 철재 파이프(11) 내부에 경량재의 코어(13)가 충전되고 일측 단부에는 결합축부(15)가 제공된 한편 타측 단부에는 다른 수직재의 결합축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수용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재(20)는 상기 수직재(10)에서와 같이 철재 파이프(21) 내부에 경량재의 코어(22)가 충전되어 경량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비계의 외형의 철의 두께를 최대한 줄이고 경량재 코어를 내부에 충전시킴으로써 시스템 비계의 중량을 감소시키면서도 강도를 향상시켜서 경량화할 수 있고, 고가의 철의 사용량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가격경쟁력을 가질 수 있으며, 시스템 비계의 설치와 해체가 수직재에 대해 수평재를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을 용이하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직재에 대한 수평재의 연결각도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브라켓을 수평재에서 인출가능하도록 하여 수평재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설치시 작업 현장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여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스템 비계{System Scaffolding}
본 발명은 건축공사시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시스템 비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경량, 고강성 비계파이프를 이용하여 시스템 비계의 무게를 경량화하고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 비계파이프간 연결부위의 회전이 가능하여 자유도를 높인 시스템 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는 건설, 건축 등 산업현장에서 쓰이는 가설 발판이나 시설물 유지 관리를 위하여 사람이나 장비, 자재 등을 올려 작업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하는 가시설물을 뜻하는 것으로, 특히 시스템 비계는 임의로 설치할 수 있는 강관 비계와 달리, 구조계산을 통하여 규격화되어 조립할 수 있도록 제작된 비계로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높은 비계이다.
건설현장에서 비계를 설치할 때 건물 외벽에 다수의 수직 비계를 서로 평행하게 높이 방향으로 결합설치하고 아울러 다수의 수평 비계를 상기 수직 비계에 걸쳐 수평방향으로 결합설치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격자형으로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비계는 변형방지를 위해 두께가 두꺼운 고강도의 스틸 파이프를 이용하여 제작하게 됨으로 무게가 무거워 운반 및 설치가 불편하였다.
종래 비계의 예로서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2-0004756호에는 수직재에 다수개의 브라켓과 슬롯으로 이루어진 연결구가 사용목적에 따라 임의 간격으로 용접되어 설치되며, 수평재는 수평재양단부의 상단면과 하단면이 "ㄷ" 형상이 이루어지고 연결수단의 경사면을 브라켓의 경사에 맞춰 브라켓의 슬롯에 끼워 넣어 수직재의 연결구에 설치되어 수직재와 수평재를 연결하는 시스템비계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특허 제10-1224183호에는 수직재와 수평재(100B)가 상호 연결되어 수평수직방향으로 다단 설치되는 조립식 시스템비계로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재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홀을 갖는 결합판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재와 다기능판넬이 체결부재로 연결되어 설치되되,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홀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일치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과 상기 체결홈를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핀에 의해 고정되어 상호 연결되는 한편, 상기 다기능판넬이 설치되는 체결부재는 외측으로 'ㄴ'자 형태로 절곡된 판넬용체결부재고정핀이 형성되고, 상기 다기능판넬은 다기능판넬고정핀홀이 형성된 판이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계 구조는 수직재에 대한 수평재의 연결위치가 고정되어 현장의 작업 상황에 따라 수평재를 수직재에 대하여 각도를 변경하여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수직재와 수평재가 무거운 철재 파이프로 되어 작업이 어렵고 자재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자재의 경량화가 요망되었다.
등록번호 10-1224183 (2013년01월22일 공고) 실용신안공개번호 20-2012-0004756 (2012년07월02일 공개)
본 발명은 시스템 비계를 구성하는 수직 비계 및 수평 비계에서 두께를 최대한 줄인 중공형의 금속재로 비계의 외부몸체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에 목재가 충전되어 시스템 비계를 경량화 하면서도 비강도를 향상시킨 시스템 비계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평 비계를 수직 비계에 대하여 작업시 필요에 따라 임의의 각도에서도 자유로이 조립할 수 있도록 개선된 연결구조를 갖는 시스템 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비계는 수직재와, 상기 수직재에 대하여 측부에 연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수평재를 구비한 시스템 비계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는 경량화를 위하여 철재 파이프 내부에 경량재의 코어가 충전되고 일측 단부에는 결합축부가 제공된 한편 타측 단부에는 다른 수직재의 결합축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재는 상기 수직재에서와 같이 철재 파이프 내부에 경량재의 코어가 충전되어 경량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재를 수직재에 결합하여 비계를 조립하기 위한 연결수단은 수평재의 양단부에 제공되어 수직재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개의 홀의 조립위치에 대응하여 회동가능하도록 된 연결용 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은 철재 파이프의 단부 내측에 코어 외측으로 삽입되어 배치되는 삽입부와 철재 파이프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서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된 상하부 사이에는 회전판이 핀에 의해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수직재의 홀에 결합되도록 그 자유단부면에서 직경방향 내측으로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는 헤드가 "T"자형으로 양측으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T볼트와, 상기 T볼트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에 맞물리는 너트로 구성된다. 상기 T볼트의 헤드의 두께는 수직재의 홀의 폭보다 작은 한편, 헤드의 길이는 수직재의 홀(16)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수평재의 브라켓은 회전판의 자유단부면에 제공되는 체결부가 두개의 걸고리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수직재에 형성된 장공형태로 상하로 인접하여 형성된 두개의 홀들에 끼워져 맞물리는 두개의 걸고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고리는 2개의 ㄱ자형 돌기 형상으로 하방으로 절곡된 부분이 수직선에 대해 내측으로 5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재의 철재 파이프에 형성된 홀에 대응하여 코어에는 상기 홀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수용하도록 요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재의 철재 파이프 내부에 제공되는 경량재로 된 코어는 상기 철재 파이프 내측에 제공되는 알루미늄합금의 프로파일 속에 충전될 수 있다.
알루미늄합금의 프로파일이 수직재의 철재 파이프에 형성된 홀에 대응하여 코어에 형성된 요홈부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비계는, 관형의 수직재와, 상기 수직재에 대하여 측부에 연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관형의 수평재를 구비한 시스템 비계에 있어서,
상기 수평재를 수직재에 결합하여 비계를 조립하기 위한 연결수단은 상기 수평재의 양단부에 제공되며 수직재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개의 홀의 조립위치에 대응하여 회동가능하도록 된 연결용 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관형의 수평재의 단부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삽입부와 수평재의 단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서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된 상하부 사이에는 회전판이 핀에 의해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수직재의 홀에 결합되도록 그 자유단부면에서 직경방향 내측으로 체결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는 헤드가 "T"자형으로 양측으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T볼트와, 상기 T볼트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에 맞물리는 너트로 구성되며, 상기 T볼트의 헤드의 두께는 수직재의 홀의 폭보다 작은 한편, 헤드의 길이는 수직재의 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의 체결부는, 회전판의 자유단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수직재에서 상하로 인접하여 형성된 두개의 홀들에 끼워져 맞물리는 두개의 걸고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의 외형의 철의 두께를 최대한 줄이고 경량재 코어를 내부에 충전시킴으로써 시스템 비계의 중량을 감소시키면서도 강도를 향상시켜서 경량화할 수 있다.
또, 고가의 철의 사용량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가격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시스템 비계의 설치와 해체가 수직재에 대해 수평재를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을 용이하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직재에 대한 수평재의 연결각도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브라켓을 수평재에서 인출가능하도록 하여 수평재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설치시 작업 현장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여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비계의 수직재에 대한 사시도 및 그 요부확대단면도.
도 2는 도 1의 수직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의 일부절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수평재의 일측 단부에 대한 부분단면도.
도 5는 도 1의 수직재의 다른 실시예로서 사각형 윤곽을 갖는 수직재의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수평재의 다른 실시예로서, 사각형 윤곽을 갖는 수평재의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수직재의 변형예의 사시도.
도 8은 도 3의 수평재의 변형예로서 도 7의 수직재에 결합하기 위한 걸고리 형태의 브라켓을 갖는 수평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에서 수평재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된 또 다른 실시예의 수평재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수평재에서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
도 11은 도 9에서 단부가 인출되어 길이가 증가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시스템비계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비계의 수직재(10)에 대한 사시도 및 그 요부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2는 상기 수직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의 일부절결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20)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수평재의 일측 단부에 대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의 수직재(10)는 종래 시스템 비계의 수직재 보다 두께가 얇은 철재 파이프(11) 내부에 경량재로 된 코어(13)를 충전시키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의 프로파일(12)이 철재 파이프속에 일체화되어 제공된 경량화 구조로 되며, 상기 수직재의 일측 단부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철재 파이프 내부에 코어가 제공된 결합축부(15)가 상기 철재 파이프(11) 속으로 일정 길이 삽입되어 결합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재의 타측 단부는 상기 철재 파이프에서 코어와 프로파일이 없이 속이 빈 중공형상의 수용부(14)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수직재는 결합축부를 다른 수직재의 수용부에 끼워 결합시켜 조립할 수 있다. 상기 결합축부(15)의 자유단부에는 마감재로서 철재의 덮개(17)가 나사(18)로 코어(13)에 고정된다. 상기 철재 파이프(11)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재를 결합할 수 있도록 장공 형태의 홀(16)들이 복수개소,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 4개소에 형성되고, 상기 코어(13)의 외측에는 상기 홀(16)의 내측에서 수직재의 길이방향으로 요홈부(19)가 형성된다. 수평재와의 결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과 4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20)는 상기한 수직재(10)에서와 같이 종래 시스템 비계의 수직재 보다 두께가 얇은 철재 파이프(21) 내부에 코어(22)가 충전되어 경량화되며, 양 단부에는 각각 수평재를 수직재에 대하여 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재(10)의 홀(16)의 위치에 대응하여 회동가능하도록 된 연결용 브라켓(30)이 제공된다. 상기 브라켓(30)은 철재 파이프(21)의 단부 내측에 코어 외측으로 삽입되어 배치되는 삽입부(31)와 철재 파이프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지지부(32)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은 수평재의 철재 파이프에 통상의 체결수단이나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끼워져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브라켓은 스틸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32)에서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된 상하부 사이에는 회전판(33)이 핀(34)에 의해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33)에는 그 자유단부면에서 직경방향 내측으로 체결부가 제공되며, 상기 체결부는 헤드가 "T"자형으로 양측으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T볼트(35)와, 상기 T볼트(35)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에 맞물리는 너트(36)로 구성된다. 상기 T볼트(35)의 헤드의 두께는 수직재의 홀(16)의 폭보다 작은 한편, 헤드의 길이는 수직재의 홀(16)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수평재(20)는 그 양측단부에 제공된 T볼트(35)의 헤드를 수직으로 되게 하여 헤드의 폭부분으로 수직재에 장공 형태로 형성된 홀(16)에 끼운 다음 헤드가 수평이 되게 수평재를 돌려서 배치하고, T볼트에 제공된 너트(36)를 돌려서 수직재의 철재 파이프(11)에 대하여 맞물리게 함으로써 T볼트의 헤드가 홀(16)이 형성된 수직재의 철재 파이프(11) 내측에 맞물려 수평재가 수직재에 안정되게 결합되어 조립된다. T볼트를 수직재의 홀(16)에 끼우면, T볼트는 코어의 요홈부(19)에 속에 배치된다.
이로써 종래 수평재 연결시 수직재에 연결부재를 설치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에서는 T볼트의 사용으로 볼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전체적인 수직재나 수평재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현장의 상황에 따라 수평재를 수직재에 대하여 각도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비계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도 1의 단면이 원형인 수직재와 도 3의 단면이 원형인 수평재의 다른 실시예로서, 단면이 사각인 수직재(10')와 수평재(20')를 각각 보여주며, 상기 수직재(10')와 수평재(20')의 다른 구조는 수직재(10)와 수평재(2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사각 단면을 갖는 수평재를 사용할 수 있어 비계 발판을 보다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연결용 브라켓으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수직재에 대해 사각의 단면을 갖는 수평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7과 도 8은 각각 도 1의 수직재와 도 6의 수평재의 변형예로서의 수직재의 장공 형태의 홀(16)을 인접하여 두개를 형성하고, 수평재의 브라켓(30)은 회전판(33)의 자유단부면에 제공되는 체결부가 두개의 걸고리(37)가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로 됨으로써, 장공형태의 홀(16)들에 두개의 걸고리(37)를 홀의 상측으로 삽입한 다음 걸고리가 홀의 하단에 걸쳐지게 함으로써 수평재가 수직재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조립된다. 상기 걸고리는 2개의 ㄱ자형 돌기 형상으로 하방으로 절곡된 부분이 수직선에 대해 내측으로 5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걸고리들을 수직재의 홀에 끼울 때 삽입이 용이하고 잘 빠지지 않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수평재에서 브라켓의 상부에 핀 형태의 가이드부(39)가 예를들어 나사결합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는 회전판(33)의 T볼트나 걸고리의 기준 위치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에서 수평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며,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재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평재(40)의 철재 파이프(41)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프로파일(42)이 배치되고, 그 프로파일 내부에는 코어(48)가 제공되어 경량화되어 있는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재의 프로파일이 코어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프로파일과 코어가 중앙에서 분리되어 프로파일과 코어를 수평재의 양측 자유단부에서 각각 인출하여 수평재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증가시킬 수 있도록 된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수평재(40)의 철재 파이프(41)의 양 단부에는 상부면 또는 상부면과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길다란 길이조절용 장공(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철재 파이프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프로파일(42)에는 상기 길이조절용 장공(43)이 형성된 철재 파이프의 저면측에 대향된 표면에 스터드볼트(44)가 고정부(4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는 프로파일에 용접되거나 볼트와 같은 통상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며, 스터드볼트는 상기 고정부에 용접된다. 또한 상기 스터드볼트는 길이조절용 장공(43)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고 상기 길이조절용 장공(43)의 폭 보다 넓은 직경의 와셔(46)를 배치하고, 너트(47)로 체결하여 프로파일을 철재 파이프(41)에 대하여 위치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철재 파이프의 길이조절용 장공(43)과 프로포일의 스터드볼트(44)가 도면에서는 상면에만 제공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동일한 구조가 상면과 저면측에 각각 제공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파일 외측의 자유단부에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수직재에 수평재를 조립하기 위한 T볼트나 걸고리 형태의 결합구를 구비한 브라켓(30)이 제공된다.
작업자는 공사 현장에 따라 수평재에서 단부에 브라켓이 제공된 프로파일을 철재 파이프에서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한 다음, 해당 위치에서 프로파일에 고정되어 철재 파이프의 길이조절용 장공(43)을 관통하여 돌출된 스터드볼트(44)에 와셔(46)를 끼우고 너트(47)로 체결하여 인출된 프로파일이 철재 파이프에 대하여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로써, 수평재의 길이를 다양한 현장 환경에 맞춰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도 현장환경에 적합하게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수직재의 철재 파이프내에 제공되는 프로파일은 관형태로 코어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요홈부에만 배치되도록 단면이 요홈 형태를 이루는 길다란 부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은 철재의 파이프 내측에 배치한 상태로 인발공정을 통해 일체화될 수 있으며, 혹은 프로파일을 철재 파이프속에 배치한 다음 그 속에 목재 칩 또는 분말을 접착제와 함께 혼합된 상태로 넣고 압착하여 경량재 코어가 프로파일내에서 일체화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프로파일을 사용하지 않고 철재 파이프내에 목재 칩이나 분말을 접착제와 함께 충전시키고 T볼트나 걸고리를 결합하기 위한 요홈부가 형성되게 코어를 배치하여 압착시켜 일체화할 수도 있음 또한 당연하다. 또한, 상기 코어는 경량화를 위해 상기한 목재 대신에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나, 복합재, 합성수지재, 기포 콘크리트, 화산재 등과 같은 경량 재료를 사용할 수 있음도 자명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비계의 사용상태도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는 베이스잭(50)에 수직재(10)를 장착하고 그 위에 다른 수직재를 삽입방식으로 연결하여 수직재의 길이를 연장하고, 그 수직재들 사이에는 수평재(20)를 그 단부에 제공된 체결부로 수직부에 조립하여 간편하게 비계를 조립할 수 있으며, 특히 수평재의 체결부가 회전판에 의해 조립각도를 조정가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수평재를 수직재에 대하여 경사지게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고, 단부에 제공된 브라켓을 인출하여 수평재 보다 길게 하여 대각선방향으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비계의 수직재와 수평재는 철재 파이프내에 경량재로 충전되어 전체적인 시스템 비계의 중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조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10 : 수직재 11, 21 : 철재 파이프
13 : 코어 14 : 수용부
15 : 결합축부 16 : 홀
20 : 수평재 30 : 브라켓
32 : 지지부 33 : 회전판
34 : 핀 35 : T볼트
36 : 너트 37 : 걸고리

Claims (11)

  1. 수직재와, 상기 수직재에 대하여 측부에 연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수평재를 구비한 시스템 비계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10)는 경량화를 위하여 철재 파이프(11) 내부에 경량재의 코어(13)가 충전되되, 다른 수직재와의 연결을 위해, 철재 파이프(11)의 일측 단부에는 코어(13)가 철재 파이프(11)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돌출된 단부의 강도 보강을 위해 상기 코어(13)의 돌출부위를 포함하여 상기 철재 파이프(11)의 종단부 내주면과 코어(13) 외주면 사이로 결합축부(15)가 소정길이 인입되게 설치되고, 철재 파이프(11)의 타측 단부에는 코어(13)가 내측으로 소정길이 들어가게 충전되어 수용부(14)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1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직사각형 모양의 요홈이 90도 간격으로 길게 형성되어 철재 파이프(11)와의 사이에 중공의 요홈부(19)가 형성되며, 또한 철재 파이프(11)에는 수평재(20)를 결합하기 위해 요홈부(19)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홀(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재(20)는 철재 파이프(21) 내부에 경량재의 코어(22)가 충전되고, 철재 파이프(21)의 양단에는 회동가능한 연결용 브라켓(30)이 설치되되, 상기 연결용 브라켓(30)은 철재 파이프(21)의 단부 내측과 코어 외측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삽입부(31)와 철재 파이프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지지부(3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32)에서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된 상하부 사이에는 회전판(33)이 핀(34)에 의해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33)에는 상기 수직재의 홀(16)에 결합되도록 그 자유단부면에서 직경방향 내측으로 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헤드가 "T"자형으로 양측으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T볼트(35)와, 상기 T볼트(35)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에 맞물리는 너트(36)로 구성되며, 상기 T볼트(35)의 헤드의 두께는 수직재의 홀(16)의 폭보다 작은 한편, 헤드의 길이는 수직재의 홀(16)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재의 연결용 브라켓(30)은 회전판(33)의 자유단부면에 제공되는 체결부가 두개의 걸고리(37)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수직재에 장공형태로 상하로 인접하여 형성된 두개의 홀(16)들에 끼워져 맞물리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37)는 2개의 ㄱ자형 돌기 형상으로 하방으로 절곡된 부분이 수직선에 대해 내측으로 5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의 철재 파이프(11) 내부에 제공되는 경량재로 된 코어(13)는 상기 철재 파이프(11) 내측에 제공되는 알루미늄합금의 프로파일(12) 속에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8. 제 7항에 있어서, 알루미늄합금의 프로파일(12)이 수직재의 철재 파이프에 형성된 홀(16)에 대응하여 코어에 형성된 요홈부(19)에만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9. 수직재와, 상기 수직재에 대하여 측부에 연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수평재를 구비한 시스템 비계에 있어서,
    상기 수평재는 경량재의 코어(48)가 내부에 충전된 알루미늄 프로파일(42)이 철재 파이프(41)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프로파일(42)과 코어(48)는 중앙에서 분리되어 분리된 프로파일과 코어를 수평재의 양측 자유단부 방향으로 각각 인출하여 수평재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철재 파이프(41)의 양 단부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다란 길이조절용 장공(43)이 형성되며, 상기 프로파일(42)은 길이조절용 장공(43)을 통해 스터드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가압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한편, 상기 철재 파이프(41)의 양단에는 회동가능한 연결용 브라켓(30)이 설치되되, 상기 연결용 브라켓(30)은 철재 파이프(41)의 단부 내측과 코어(48) 외측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31)와 철재 파이프(41)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지지부(3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32)에서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된 상하부 사이에는 회전판(33)이 핀(34)에 의해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33)에는 상기 수직재의 홀(16)에 결합되도록 그 자유단부면에서 직경방향 내측으로 T볼트(35) 또는 두개의 걸고리(37)로 이루어지는 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038888A 2012-10-10 2013-04-09 시스템 비계 KR101355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2697 2012-10-10
KR1020120112697 2012-10-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5372B1 true KR101355372B1 (ko) 2014-01-24

Family

ID=50146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888A KR101355372B1 (ko) 2012-10-10 2013-04-09 시스템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372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158B1 (ko) 2014-08-13 2015-04-08 (주)미래엔지니어링 곡선형 연장구조를 갖는 비계시스템
GB2527362A (en) * 2014-06-20 2015-12-23 Najum Waheed Chaudhry Interconnected channel grove pillar and stud bar pillar construction
KR101782291B1 (ko) * 2017-04-04 2017-09-26 서경도 비계용 길이가변형 보강프레임
KR101782292B1 (ko) * 2017-04-04 2017-09-26 정건양 비계용 각도조절형 보강프레임
KR101821935B1 (ko) * 2017-12-03 2018-01-25 주식회사백상 보강재를 이용한 고강도 경량 시스템 비계
KR102074227B1 (ko) 2019-03-21 2020-02-06 이해승 수평재
KR102074231B1 (ko) 2019-03-21 2020-02-06 이해승 시스템 비계
KR102096868B1 (ko) 2019-03-21 2020-04-06 이해승 수직재
KR102096866B1 (ko) 2019-03-21 2020-04-06 이해승 대각재
KR20200065267A (ko) * 2018-11-30 2020-06-09 김덕기 비계용 파이프 길이조절 구조
EP3670785A1 (de) * 2018-12-21 2020-06-24 Peri Gmbh Anschlusskopf für das rohrprofil eines modulgerüstbauteils in form einer vertikaldiagonalen und vertikaldiagonale
KR20220050468A (ko) * 2020-10-16 2022-04-25 이세영 경량 시스템 비계
WO2022117365A1 (de) * 2020-12-02 2022-06-09 Peri Ag Geländerholm, modulgerüst, verfahren zum errichten eines modulgerüsts sowie verwendung eines geländerholms in einem modulgerüst
KR102524229B1 (ko) * 2022-10-11 2023-04-24 황민희 안전성이 강화된 교량용 작업 발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291Y1 (ko) * 2000-09-14 2001-02-15 주식회사동성진흥 건축공사용 방음, 분진 및 낙하물 차단 패널
KR20120119146A (ko) * 2011-04-20 2012-10-30 (주)영광산업개발 경량 안전시스템용 비계 파이프
KR101224183B1 (ko) * 2012-04-18 2013-01-22 신성컨트롤(주) 조립식 시스템비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291Y1 (ko) * 2000-09-14 2001-02-15 주식회사동성진흥 건축공사용 방음, 분진 및 낙하물 차단 패널
KR20120119146A (ko) * 2011-04-20 2012-10-30 (주)영광산업개발 경량 안전시스템용 비계 파이프
KR101224183B1 (ko) * 2012-04-18 2013-01-22 신성컨트롤(주) 조립식 시스템비계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7362A (en) * 2014-06-20 2015-12-23 Najum Waheed Chaudhry Interconnected channel grove pillar and stud bar pillar construction
WO2016024697A1 (ko) * 2014-08-13 2016-02-18 (주)미래엔지니어링 곡선형 연장구조를 갖는 비계시스템
KR101510158B1 (ko) 2014-08-13 2015-04-08 (주)미래엔지니어링 곡선형 연장구조를 갖는 비계시스템
KR101782291B1 (ko) * 2017-04-04 2017-09-26 서경도 비계용 길이가변형 보강프레임
KR101782292B1 (ko) * 2017-04-04 2017-09-26 정건양 비계용 각도조절형 보강프레임
KR101821935B1 (ko) * 2017-12-03 2018-01-25 주식회사백상 보강재를 이용한 고강도 경량 시스템 비계
KR20200065267A (ko) * 2018-11-30 2020-06-09 김덕기 비계용 파이프 길이조절 구조
KR102153187B1 (ko) * 2018-11-30 2020-09-07 김덕기 비계용 파이프 길이조절 구조
CN111350344A (zh) * 2018-12-21 2020-06-30 Peri有限公司 用作立式对角件的模块化脚手架组件的管型材的连接头及立式对角件
EP3670785A1 (de) * 2018-12-21 2020-06-24 Peri Gmbh Anschlusskopf für das rohrprofil eines modulgerüstbauteils in form einer vertikaldiagonalen und vertikaldiagonale
CN111350344B (zh) * 2018-12-21 2022-11-11 Peri有限公司 用于立式对角件的管型材的连接头及立式对角件
KR102096866B1 (ko) 2019-03-21 2020-04-06 이해승 대각재
KR102096868B1 (ko) 2019-03-21 2020-04-06 이해승 수직재
KR102074231B1 (ko) 2019-03-21 2020-02-06 이해승 시스템 비계
KR102074227B1 (ko) 2019-03-21 2020-02-06 이해승 수평재
KR20220050468A (ko) * 2020-10-16 2022-04-25 이세영 경량 시스템 비계
KR102443721B1 (ko) * 2020-10-16 2022-09-14 이세영 경량 시스템 비계
WO2022117365A1 (de) * 2020-12-02 2022-06-09 Peri Ag Geländerholm, modulgerüst, verfahren zum errichten eines modulgerüsts sowie verwendung eines geländerholms in einem modulgerüst
KR102524229B1 (ko) * 2022-10-11 2023-04-24 황민희 안전성이 강화된 교량용 작업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372B1 (ko) 시스템 비계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KR100817326B1 (ko) 갱폼일체식 낙하물방지망 설치구조 및 방법
CN108756241B (zh) 一种剪力墙外侧悬挑楼板模板支设装置
KR101020061B1 (ko) 파이프 서포트용 수평재 연결캡
CN102251586A (zh) 梁挂接件、建筑框架结构及安装方法
CN102277907A (zh) 建筑框架结构的梁柱连接件
CN102261130A (zh) 建筑框架结构的挂接件及建筑框架结构
CN101761223A (zh) 一种脚手架组件的安装方法
KR200464661Y1 (ko) 조립식 가로등주
CN102277905A (zh) 一种梁挂接件、建筑框架结构及安装方法
KR101281159B1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WO2013088848A1 (ja) 仮設足場
CN1022430C (zh) 组合型钢管脚手架
RU84886U1 (ru) Модульная секция лестницы
KR200497674Y1 (ko)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KR200497673Y1 (ko)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JP2000073561A (ja) 外部支柱の設置方法
RU149048U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ая лестница
CN217480840U (zh) 一种平台装置
CN205296805U (zh) 轨道式可移动电动吊篮
CN212176550U (zh) 一种锥壳型屋顶支模体系
CN219240952U (zh) 一种装配式建筑墙体钢结构骨架
JP5891982B2 (ja) 耐力壁の接合構造
KR102390999B1 (ko) 선조립 대구경 철근 모듈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