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231B1 - 시스템 비계 - Google Patents

시스템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231B1
KR102074231B1 KR1020190032496A KR20190032496A KR102074231B1 KR 102074231 B1 KR102074231 B1 KR 102074231B1 KR 1020190032496 A KR1020190032496 A KR 1020190032496A KR 20190032496 A KR20190032496 A KR 20190032496A KR 102074231 B1 KR102074231 B1 KR 102074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agonal
horizontal
flang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승
주현수
전상욱
Original Assignee
이해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승 filed Critical 이해승
Priority to KR1020190032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0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ends of members only, e.g. for connecting members in end-to-end re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 비계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볍고 내부식성이 높은 자재를 이용하여 내구성과 수명을 높인 부재로 이루어진 시스템 비계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 비계는, 경량화된 수직재, 수평재, 및 대각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재와 상기 수평재는 직육면체 형태를 이룬다.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는 부식이 심한 환경에서 내구성이 높고, 비중이 작은 재료를 채택하여 보다 사용이 편리하고, 수평재와 대각재 간의 충돌이 없어 결합이 용하며, 파이프와 각 구성요소를 연결하는 연결 부위가 구멍을 뚫고 핀을 삽입하지 않아도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설계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구조를 유지하고, 각 부재간 탈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스템 비계 {System Scaffold}
본 발명은 시스템 비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볍고 내부식성이 높은 자재를 이용하여 내구성과 수명을 높인 부재로 이루어진 시스템 비계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이나 건축 공사현장, 조선소 등의 높은 곳에서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 가설물의 용도로 건설작업용 비계를 설치하는데, 건설작업용 비계를 통해 작업자가 각종 자재를 운반하거나 작업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비계는 작업자의 안전과 직결되어있는 부재이기 때문에 비계의 기본적인 안정성 확보가 필요하며, 이에 추가로 비계를 경량화 하여 사용에 있어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다수 있어왔다. 그에 관련된 발명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55372호 "시스템 비계"(이하 선행문헌) 가 있다.
선행문헌의 비계의 구성물들은 철재 파이프내부에 경량재의 코어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경량화 된다. 그러나 철재 내부에 경량재 코어를 삽입하는 방식은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파이프에 비해 제작 방식이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철재를 사용하는 파이프를 기본 베이스로 하는 경우, 바닷가와 같이 철의 부식이 쉬운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예를 들어, 발전소 건설 현장 등), 철 부식으로 인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어렵고 잦은 교체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55372호 "시스템 비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 비계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주 구성을 기존의 철강재보다 내부식성이 높은 재질을 채택하여 부식이 심한 환경에서 비계의 내구성을 높이는 시스템 비계를 제공함에 있다.
시스템 비계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주 구성을 기존의 철강재보다 비중이 작은 재료를 채택하여 보다 사용이 편리한 시스템 비계를 제공함에 있다.
시스템 비계의 한 옆면에 결합된 대각재와 수평재간에 유격이 존재하여 수평재와 대각재 간의 충돌이 없어 결합이 용이한 시스템 비계를 제공함에 있다.
파이프와 각 구성요소를 연결하는 연결 부위가 구멍을 뚫고 핀을 삽입하지 않아도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설계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 비계를 제공함에 있다.
플랜지와 쐐기를 통해 각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각 부재간 탈착이 용이한 시스템 비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는 다수개의 수직재 파이프, 다수개의 상기 수직재 파이프를 연결하는 다수의 파이프 연결부, 상기 파이프 연결부에 끼워지되 상기 수직재 파이프 사이에 위치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수직재와 수평재 파이프, 상기 수평재 파이프의 양단에 결합하는 복수의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 상기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에 일체형으로 포함되는 수평재 쐐기를 포함하는 수평재와 대각재 파이프, 상기 대각재 파이프의 양단에 결합하는 복수의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 상기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에 일체형으로 포함되는 대각재 쐐기를 포함하는 대각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재 파이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와, 상기 대각재 파이프는, 철강재보다 비중이 낮고 철강재에 비해 내부식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와 상기 수평재 쐐기와 상기 대각재 쐐기는 상기 수직재 파이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와, 상기 대각재 파이프에 비해 강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되,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일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재와 상기 수평재가 결합되어 직육면체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 연결부는, 상부에 공간이 존재하는 기둥 형태이며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재 파이프의 일단 내부에 끼워지는 수직재 삽입부,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와 연결되는 중앙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판(Plane)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는 일단에 상기 수평재 파이프의 양단의 내부에 끼워지는 수평재 삽입부, 및 타단에 타 부재와 결합되는 수평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재 결합부에 상기 수평재 쐐기가 끼워지는 수평재 쐐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대각재 파이프의 양단의 내부에 끼워지고, 타단이 판(plane)으로 형성되는 대각재 삽입부, 일단이 상기 대각재 삽입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타 부재와 결합하는 대각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각재 결합부는 타단에 상기 대각재 쐐기가 끼워지는 대각재 쐐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각재 결합부는, 일단에 회전 제공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제공 수단의 회전축은 상기 대각재 결합부와 상기 대각재 삽입부의 연결축과 일치하며, 상기 회전 제공 수단은 나사결합이고 결합되는 나사의 축이 상기 회전제공수단의 회전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재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수평재는 상기 수직재와 수직을 이루되 상기 수평재의 양단의 상기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가 상기 플랜지와 연결되고, 상기 대각재는 상기 수직재 및 상기 수평재와 수직이 아닌 각도를 이루되 상기 대각재의 양단의 상기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가 상기 플랜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 비계의 옆면에서, 다수 개의 상기 수평재가 평행하게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시스템 비계의 옆면과 평행하며 상기 시스템 비계의 외곽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평면 상에 상기 대각재가 위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파이프 연결부와 상기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와 상기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는 상기 플랜지 및 상기 수평재 쐐기, 상기 대각재 쐐기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재의 상기 파이프 연결부와 상기 수평재와 상기 대각재의 상기 플랜지 연결부는 상기 수직재 파이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와, 상기 대각재 파이프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 연결부와 상기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와 상기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는 상기 수직재 삽입부와, 상기 수평재 삽입부와, 상기 대각재 삽입부 각각의 외면 둘레를 따라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재 파이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와, 상기 대각재 파이프의 단부가 압착되어 상기 체결홈에 압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상기 중앙부는 상기 플랜지와 용접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플랜지와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 연결부와 상기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와 상기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는 각각 상기 수직재 파이프, 상기 수평재 파이프, 및 상기 대각재 파이프와 용접되어 결합되거나, 또는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 비계의 제작 방법은 상기 수직재와 상기 수평재와 상기 대각재를 제작하는 개체 제작 단계와, 상기 개체 제작 단계에서 제작된 상기 수직재와 상기 수평재와 상기 대각재를 조립하는 조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립단계는 상기 수평재 쐐기가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에 끼워지고, 고정되는 수평-수직 결합 단계와, 상기 대각재 쐐기가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에 끼워지고, 고정되는 대각-수직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체 제작 단계는, 상기 수직재 파이프 중 어느 하나인 제 1 파이프 일단에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일단을 끼우는 제 1 조립 단계,
상기 파이프 연결부에 상기 플랜지를 끼우거나 결합하는 플랜지 조립 단계,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타단에 또 다른 상기 수직재 파이프 중 어느 하나인 제 2 파이프의 일단을 끼우는 제 2 조립 단계,
제 1 조립단계 이후에 시행되며,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일단이 상기 제 1 파이프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파이프의 단부를 압착하여 상기 제 1 파이프의 단부가 상기 파이프 연결부 둘레에 형성된 체결홈에 압입되는 제 1 압착 단계,
제 2 조립단계 이후에 시행되며,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일단이 상기 제 2 파이프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파이프의 단부를 압착하여 상기 제 2 파이프의 단부가 상기 파이프 연결부 둘레에 형성된 체결홈에 압입되는 제 2 압착 단계,
를 포함하는 수직재 제작 단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의 양단부에 상기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를 끼우는 수평재 조립 단계,
상기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가 상기 수평재 파이프에 끼워진 부분을 압착하여 상기 수평재 파이프가 상기 체결홈에 압입되는 수평재 압착 단계,
를 포함하는 수평재 제작 단계와,
상기 대각재 삽입부와 상기 대각재 결합부 사이를 상기 회전 제공 수단으로 연결하여 상기 대각재 결합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 조립 단계,
상기 대각재 파이프의 양단부에 상기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를 끼우는 파이프-플랜지 연결부 조립 단계,
상기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가 상기 대각재 파이프에 끼워진 부분을 압착하여 상기 대각재 파이프가 상기 체결홈에 압입되는 대각재 압착 단계,
를 포함하는 대각재 제작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압착 단계와 상기 제 2 압착 단계와 상기 수평재 압착단계와 상기 대각재 압착단계에서 상기 수직재 파이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와, 상기 대각재 파이프의 단부에 돌출이 형성된 돌출지그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지그의 돌출의 곡률반경이 상기 체결홈의 곡률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압착 단계와 상기 제 2 압착 단계와 상기 수평재 압착단계와 상기 대각재 압착단계에서, 상기 수직재 파이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와, 상기 대각재 파이프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돌출지그를 설치하고 상기 돌출지그가 설치된 반대 편에는 상기 수직재 파이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와, 상기 대각재 파이프가 고정되며, 표면이 평편한 지그를 설치하여, 상기 수직재 파이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와, 상기 대각재 파이프를 회전시켜 가며 2회 이상 압착 공정을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압착 단계와 상기 제 2 압착 단계와 상기 수평재 압착단계와 상기 대각재 압착단계에서, 상기 수직재 파이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와, 상기 대각재 파이프의 상부 그리고 하부에 상기 돌출지그를 설치하여 상기 수직재 파이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와, 상기 대각재 파이프를 1회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는, 시스템 비계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주 구성을 기존의 철강재보다 내부식성이 높은 재질을 채택하여 부식이 심한 환경에서 비계의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시스템 비계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주 구성을 기존의 철강재보다 비중이 작은 재료를 채택하여 보다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시스템 비계의 한 옆면에 결합된 대각재와 수평재간에 유격이 존재하여 수평재와 대각재 간의 충돌이 없어 결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파이프와 각 구성요소를 연결하는 연결 부위가 구멍을 뚫고 핀을 삽입하지 않아도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설계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플랜지와 쐐기를 통해 각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각 부재간 탈착이 용이한 시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시스템 비계의 일 구성요소에 대한 사시도 및 그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직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직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평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수평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대각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대각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대각재의 회전 제공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의 각 부재의 조립에 대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체결을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의 각 부재의 조립에 대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체결에 대한 시스템 비계의 제작방법의 제 1 실시 예의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의 각 부재의 조립에 대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체결에 대한 시스템 비계의 제작방법의 제 2 실시 예의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로, 이하로, 도 2를 참조하여 시스템 비계(1000)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1000)는 길이방향 축 방향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수직재 파이프(110), 다수개의 수직재 파이프(110)를 연결하는 다수의 파이프 연결부(120), 파이프 연결부(120)에 끼워지되 수직재 파이프(110) 사이에 위치하는 플랜지(130)를 포함하는 수직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재(100)는 길이방향 축으로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하나의 파이프에 플랜지를 끼우는 종래의기술에 비해 플랜지(130)의 위치를 고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발명의 시스템 비계(1000)는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수평재 파이프(210), 수평재 파이프(210)의 양단에 결합하는 복수의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220),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220)에 일체형으로 포함되는 수평재 쐐기(230)를 포함하는 수평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재(200)는 길이방향 축의 수직 방향으로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수평재 파이프(210)에 구멍을 뚫지 않아도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220)와 결합을 이룰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수직재(100)와 수평재(200)는 직육면체 형태를 이루어 시스템 비계(1000)의 개략적인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 축의 수직 방향과 수평방향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대각재 파이프(310), 대각재 파이프(310)의 양단에 결합하는 복수의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320),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320)에 일체형으로 포함되는 대각재 쐐기(330)를 포함하는 대각재(300); 를 포함할 수 있다. 대각재(300)는 길이방향 축의 수직 방향, 그리고 수평방향으로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대각재 파이프(310)에 구멍을 뚫지 않아도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220)와 결합을 이룰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시스템 비계(1000) 구성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들의 구성과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수직재(100)에 포함된 연결부재는 파이프 연결부(120)와 플랜지(130)가 있으며, 이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파이프 연결부(120)는 내부에 공간이 존재하는 기둥 형태이며, 파이프 연결부(120)의 양단에 구비되고 수직재 파이프(110)의 일단 내부에 끼워지는 수직재 삽입부(121)를 포함할 수 있고, 파이프 연결부(120)는 중앙에 플랜지(130)와 연결되는 중앙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재 삽입부(121)가 포함됨으로써 수직재(100)는 다수개의 수직재 파이프(110)가 연결되어 형성된 형태일 수 있으며 중앙부(122)를 포함함으로써 파이프 연결부(120), 수직재 파이프(110)와 플랜지(130)간의 연결을 고정시켜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플랜지(130)는 판(Plane)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에 수평재 쐐기(230), 대각재 쐐기(33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수평재(200)에 포함된 연결부재는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220)가 있으며, 이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220)는 일단에 수평재 파이프(210)의 양단의 내부에 끼워지는 수평재 삽입부(221), 및 타단에 타 부재와 결합되는 수평재 결합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평재 결합부(222)는 수평재 쐐기(230)가 끼워지는 수평재 쐐기홀(222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220)는 수평재 파이프(210) 양단에 끼워져 결합할 수 있으며, 수평재(200)는 타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대각재(300)에 포함된 연결부재는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320)가 있으며, 이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320)는 일단이 대각재 파이프(310)의 양단의 내부에 끼워지고, 타단이 판(plane)으로 형성되는 대각재 삽입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대각재 삽입부(321)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타 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대각재 결합부(3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대각재 결합부(322)는 타단에 대각재 쐐기(330)가 끼워지는 대각재 쐐기홀(322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320)는 대각재 파이프(310) 양단에 끼워져 결합할 수 있으며, 대각재(300)는 타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추가적으로, 대각재(300)는 대각재 결합부(322)의 일단에 회전 제공 수단(321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회전 제공 수단(321a)의 회전축은 대각재 결합부(322)와 대각재 삽입부(321) 간의 연결축과 일치하며, 회전 제공 수단(321a)은 나사결합일 수 있다. 이 때, 결합되는 나사의 축이 상기 회전제공수단의 회전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대각재 쐐기홀(322a)과 대각재 파이프(310)간의 각도를 보다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어 타 부재와 대각재(300)간의 결합 각도를 임의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하로, 상술한 시스템 비계(1000)의 구성들의 배치와 결합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10을 참조한다.
수직재(100)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수평재(200)는 수직재(100)와 수직을 이루되 수평재(200)의 양단의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220)가 플랜지(130)와 연결되고, 대각재(300)는 수직재(100) 및 수평재(200)와 수직이 아닌 각도를 이루되 대각재(300)의 양단의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320)가 플랜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직재(100)와 수평재(200)는 직육면체 형태를 이룰 수 있고, 대각재(300)는 직육면체의 옆면에 대각선으로 설치되어 시스템 비계(1000)의 구조를 더욱 지지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시스템 비계(1000)의 각 구성들이 배치될 시, 시스템 비계의 옆면에서 수평재(200)와 대각재(300)가 동일 평면에 존재한다면, 수평재(200)와 대각재(300)는 교차되어 교차점에서의 수평재 파이프(210)와 대각재 파이프(310)를 압연해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 비계(1000)의 옆면에 다수 개의 수평재(200)가 평행하게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시스템 비계(1000)의 옆면과 평행하며 시스템 비계(1000)의 외곽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평면상에 대각재(300)가 위치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시스템 비계(1000)를 구성할 시, 추가적인 공정 없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로, 시스템 비계(1000)의 각 구성의 재질과 그에 따른 결합방식에 대해서 설명하며,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1이 참조될 수 있다.
수직재 파이프(110)와, 수평재 파이프(210)와, 대각재 파이프(310)는 기존의 시스템 비계(1000)에 비해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1000)를 경량화하거나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1000)의 내부식성을 높이기 위해 철강재보다 비중이 작은 자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철강재에 비해 내부식성이 높은 자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예로 수직재 파이프(110)와, 수평재 파이프(210)와, 대각재 파이프(310)의 재질은 알루미늄 합금(alloy)일 수 있다. 수직재 파이프(110)와, 수평재 파이프(210)와, 대각재 파이프(310)의 자재로 알루미늄 합금(alloy)을 사용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시스템 비계(1000)의 무게는 철강재를 사용하였을 때에 비해서 약 70%가량 경량 될 수 있고, 부식의 위험이 있는 해안가에서 건설 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어 시스템 비계(1000)의 안전성과 수명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합금(alloy)를 사용할 경우 강(steel)에 비하여 늘어나는 성질 즉, 연성이 높고, 기계적 성질이 낮기 때문에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요구하는 시스템 비계의 안전 기준 즉, 시스템 비계를 사용함에 있어 국가에서 요구하는 충분한 강도를 만족하기 위해 시스템 비계(1000) 구성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인 플랜지(130)와 수평재 쐐기(230)와 대각재 쐐기(330)의 재질은 수직재 파이프(110)와, 수평재 파이프(210)와, 대각재 파이프(310)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되, 수직재 파이프(110)와, 수평재 파이프(210)와, 대각재 파이프(310)에 비해 강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예로 철강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위 문단에서 설명한 재질 조건을 기본으로, 위에 설명되지 않은 파이프 연결부(120)와,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220)와,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320)의 재질의 종류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는 수직재 파이프(110)와, 수평재 파이프(210)와, 대각재 파이프(310)와 각각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120)와,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220)와,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320)간의 결합방식에 있어 다양한 실시 예를 제시하고자 하며, 이하 문단에서는 각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로, 파이프 연결부(120)와,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220)와,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320)가 플랜지(130)와 수평재 쐐기(230)와 대각재 쐐기(33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이하 경우 1)와, 수직재 파이프(110)와, 수평재 파이프(210)와, 대각재 파이프(3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이하 경우 2)로 나누어 각각의 결합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결합 방식의 제 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11을 참조한다. 도 11의 (a)는 수직재(100)의 결합방식, (b)는 수평재(200)의 결합방식, (c)는 대각재(300)의 결합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결합 방식의 제 1 실시 예는 경우 1과 경우 2에서 모두 채택할 수 있다. 제 1 실시 예에서, 파이프 연결부(120)와,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220)와,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320)는 수직재 삽입부(121)와, 수평재 삽입부(221)와, 대각재 삽입부(321) 각각의 외면 둘레를 따라 체결홈이 형성되고 수직재 파이프(110)와, 수평재 파이프(210)와, 대각재 파이프(310)의 단부가 압착되어 상기 체결홈에 압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홀은 보다 단단한 결합을 이루기 위해 수직재 파이프(110)와, 수평재 파이프(210)와, 대각재 파이프(3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 될 수 있다. 결합 방식의 제 1 실시 예는 수직재 파이프(110)와, 수평재 파이프(210)와, 대각재 파이프(310)와 파이프 연결부(120)와,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220)와,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320) 간의 재질적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제작방법이 단순하며 단단한 결합을 형성 할 수 있다. 또한, 용접 또는 나사결합과 같이 연결되는 두 부재간의 마모, 손실 없이 결합할 수 있다.
결합 방식의 제 2 실시 예는 경우 1에서 채택할 수 있다. 결합 방식의 제 2 실시 예에 있어서, 파이프 연결부(120)와 플랜지(130)는 동일 재질이므로 중앙부(122)는 플랜지(130)와 용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두 부재(파이프 연결부(120), 플랜지(130))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는 추가적인 부재 없이 용이하게 결합을 이룰 수 있다.
결합 방식의 제 3 실시 예는 경우 1에서 채택할 수 있다. 결합 방식의 제 3 실시 예에 있어서, 파이프 연결부(120)와 플랜지(130)는 동일 재질이므로 중앙부(122)는 플랜지(130)와 나사결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두 부재(파이프 연결부(120)와 플랜지(130))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는 추가적인 부재 없이 용이하게 결합을 이룰 수 있으며, 조립과 분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결합 방식의 제 4 실시 예는 경우 2에서 채택할 수 있다. 결합 방식의 제 4 실시 예에 있어서, 파이프 연결부(120)와,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220)와,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320)는, 수직재 파이프(110)와, 수평재 파이프(210)와, 대각재 파이프(310)와 용접되어 결합할 수 있다. 이는 두 부재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는 추가적인 부재 없이 용이하게 결합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합 방식의 제 5 실시 예는 경우 2에서 채택할 수 있다. 결합 방식의 제 5 실시 예에 있어서, 파이프 연결부(120)와,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220)와,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320)는, 수직재 파이프(110)와, 수평재 파이프(210)와, 대각재 파이프(310)와 나사결합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는 두 부재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는 추가적인 부재 없이 용이하게 결합을 이룰 수 있으며, 조립과 분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후술할 시스템 비계(1000)의 제작방법은 상기 결합 방식의 제 1 실시 예를 채택했을 때 적용될 수 있는 제작방법이다. 또한, 후술할 제작방법을 통해 지지 가능한 하중은 높이면서, 자체적인 무게는 경량되고, 내부식성이 높은 시스템 비계(1000)를 제공하는 바이다.
시스템 비계(1000)의 제작방법은,
수직재(100)와 수평재(200)와 대각재(300)를 제작하는 개체 제작 단계와,
상기 개체 제작 단계에서 제작된 수직재(100)와 수평재(200)와 대각재(300)를 조립하는 조립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체 제작 단계는, 수직재 파이프(110) 중 어느 하나인 제 1 파이프 일단에 파이프 연결부(120)의 일단을 끼우는 제 1 조립 단계, 파이프 연결부(120)에 플랜지를 끼우거나 결합하는 플랜지 조립 단계, 파이프 연결부(120)의 타단에 또 다른 수직재 파이프(110) 중 어느 하나인 제 2 파이프의 일단을 끼우는 제 2 조립 단계, 제 1 조립단계 이후에 시행되며, 파이프 연결부(120)의 일단이 제 1 파이프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 1 파이프의 단부를 압착하여 제 1 파이프의 단부가 파이프 연결부(120) 둘레에 형성된 체결홈에 압입되는 제 1 압착 단계, 제 2 조립단계 이후에 시행되며, 파이프 연결부(120)의 일단이 제 2 파이프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 2 파이프의 단부를 압착하여 제 2 파이프의 단부가 파이프 연결부(120) 둘레에 형성된 체결홈에 압입되는 제 2 압착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재(100) 제작 단계와,
수평재 파이프(210)의 양단부에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220)를 끼우는 수평재 조립 단계,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220)가 수평재 파이프(210)에 끼워진 부분을 압착하여 수평재 파이프(210)가 체결홈에 압입되는 수평재 압착 단계를 포함하는 수평재(200) 제작 단계와,
대각재 삽입부(321)와 대각재 결합부(322) 사이를 회전 제공 수단(321a)으로 연결하여 대각재 결합부(322)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320) 조립 단계, 대각재 파이프(310)의 양단부에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320)를 끼우는 파이프-플랜지 연결부 조립 단계,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320)가 대각재 파이프(310)에 끼워진 부분을 압착하여 대각재 파이프(310)가 체결홈에 압입되는 대각재 압착 단계를 포함하는 대각재(300) 제작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 단계는, 수평재 쐐기(230)가 플랜지(130)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에 끼워지고, 고정되는 수평-수직 결합 단계와, 대각재 쐐기(330)가 플랜지(130)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에 끼워지고, 고정되는 대각-수직 결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수평재 결합부(222)는 수평재 쐐기홀(222a)에 수직방향으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대각재 결합부(322)는 대각재 쐐기홀(322a)에도 수직방향으로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에 플랜지(130)의 판(Plane)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수평재 쐐기(230)와 대각재 쐐기(330)가 플랜지(130)에 끼워지고,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2차적으로 힘을 가하여 수평재 쐐기(230)와 대각재 쐐기(330)는 플랜지(1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압착 단계와 상기 제 2 압착 단계와 상기 수평재 압착 단계와 상기 대각재 압착 단계에서, 수직재 파이프(110)와, 수평재 파이프(210)와, 대각재 파이프(310)의 단부에 돌출이 형성된 돌출지그가 위치되고, 상기 돌출지그의 돌출의 곡률반경이 상기 체결홈의 곡률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돌출을 통해 체결홈에 수직재 파이프(110)와, 수평재 파이프(210)와, 대각재 파이프(310)가 용이하게 압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압착 단계와 상기 제 2 압착 단계와 상기 수평재 압착 단계와 상기 대각재 압착 단계에서의 제 1 실시 예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수직재 파이프(110)와, 수평재 파이프(210)와, 대각재 파이프(31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에 돌출지그를 설치하고 돌출지그가 설치된 반대 편에는 수직재 파이프(110)와, 수평재 파이프(210)와, 대각재 파이프(310)가 지지되되, 표면이 평편한 지그를 설치하여, 수직재 파이프(110)와, 수평재 파이프(210)와, 대각재 파이프(310)를 회전시켜 가며 2회 이상 압착 공정을 시행할 수 있다. 이는 돌출지그에 무리를 가하지 않는 선에서 안정적으로 압착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수평재(200)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압착 단계의 제 2 실시 예에 대해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수직재 파이프(110)와, 수평재 파이프(210)와, 대각재 파이프(310)의 상부 그리고 하부에 돌출지그를 설치하여 수직재 파이프(110)와, 수평재 파이프(210)와, 대각재 파이프(310)를 1회 압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는 압착 공정을 1회로 단축하여 효과적으로 압착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수평재(200)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하나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시스템 비계
100 : 수직재
110 : 수직재 파이프
120 : 파이프 연결부
121 : 수직재 삽입부 122 : 중앙부
130 : 플랜지
200 : 수평재
210 : 수평재 파이프
220 :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
221 : 수평재 삽입부 222 : 수평재 결합부
222a : 수평재 쐐기홀
230 : 수평재 쐐기
300 : 대각재
310 : 대각재 파이프
320 :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
321 : 대각재 삽입부 321a : 회전 제공 수단
322 : 대각재 결합부 322a : 대각재 쐐기홀
330 : 대각재 쐐기

Claims (20)

  1. 다수개의 수직재 파이프, 다수개의 상기 수직재 파이프를 연결하는 다수의 파이프 연결부, 상기 파이프 연결부에 끼워지되 상기 수직재 파이프 사이에 위치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수직재;
    수평재 파이프, 상기 수평재 파이프의 양단에 결합하는 복수의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 상기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에 일체형으로 포함되는 수평재 쐐기를 포함하는 수평재;
    대각재 파이프, 상기 대각재 파이프의 양단에 결합하는 복수의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 상기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에 일체형으로 포함되는 대각재 쐐기를 포함하는 대각재;
    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재 파이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와, 상기 대각재 파이프는, 철강재보다 비중이 낮고, 철강재에 비해 내부식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와 상기 수평재 쐐기와 상기 대각재 쐐기는, 상기 수직재 파이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와, 상기 대각재 파이프에 비해 강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되,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일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재와 상기 수평재가 결합되어 직육면체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연결부는,
    내부에 공간이 존재하는 기둥 형태이며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재 파이프의 일단 내부에 끼워지는 수직재 삽입부,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와 연결되는 중앙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판(Plane)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는,
    일단에 상기 수평재 파이프의 양단의 내부에 끼워지는 수평재 삽입부, 및
    타단에 타 부재와 결합되는 수평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재 결합부에 상기 수평재 쐐기가 끼워지는 수평재 쐐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대각재 파이프의 양단의 내부에 끼워지고, 타단이 판(plane)으로 형성되는 대각재 삽입부,
    일단이 상기 대각재 삽입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타 부재와 결합하는 대각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각재 결합부는 타단에 상기 대각재 쐐기가 끼워지는 대각재 쐐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대각재 결합부는,
    일단에 회전 제공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제공 수단의 회전축은 상기 대각재 결합부와 상기 대각재 삽입부의 연결축과 일치하며, 상기 회전 제공 수단은 나사결합이고 결합되는 나사의 축이 상기 회전제공수단의 회전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수평재는 상기 수직재와 수직을 이루되 상기 수평재의 양단의 상기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가 상기 플랜지와 연결되고,
    상기 대각재는 상기 수직재 및 상기 수평재와 수직이 아닌 각도를 이루되 상기 대각재의 양단의 상기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가 상기 플랜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비계의 옆면에서,
    다수 개의 상기 수평재가 평행하게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시스템 비계의 옆면과 평행하며 상기 시스템 비계의 외곽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평면 상에 상기 대각재가 위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연결부와 상기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와 상기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는,
    상기 플랜지 및 상기 수평재 쐐기, 상기 대각재 쐐기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의 상기 파이프 연결부와 상기 수평재와 상기 대각재의 상기 플랜지 연결부는,
    상기 수직재 파이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와, 상기 대각재 파이프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연결부와 상기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와 상기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는,
    상기 수직재 삽입부와, 상기 수평재 삽입부와, 상기 대각재 삽입부 각각의 외면 둘레를 따라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재 파이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와, 상기 대각재 파이프의 단부가 압착되어 상기 체결홈에 압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상기 중앙부는,
    상기 플랜지와 용접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플랜지와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연결부와 상기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와 상기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는,
    각각 상기 수직재 파이프, 상기 수평재 파이프, 및 상기 대각재 파이프와 용접되어 결합되거나, 또는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15. 제 12항의 특징을 가지는 상기 시스템 비계의 제작 방법은,
    상기 수직재와 상기 수평재와 상기 대각재를 제작하는 개체 제작 단계와,
    상기 개체 제작 단계에서 제작된 상기 수직재와 상기 수평재와 상기 대각재를 조립하는 조립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제작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단계는,
    상기 수평재 쐐기가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에 끼워지고, 고정되는 수평-수직 결합 단계와,
    상기 대각재 쐐기가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에 끼워지고, 고정되는 대각-수직 결합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제작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 제작 단계는,
    상기 수직재 파이프 중 어느 하나인 제 1 파이프 일단에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일단을 끼우는 제 1 조립 단계,
    상기 파이프 연결부에 상기 플랜지를 끼우거나 결합하는 플랜지 조립 단계,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타단에 또 다른 상기 수직재 파이프 중 어느 하나인 제 2 파이프의 일단을 끼우는 제 2 조립 단계,
    제 1 조립단계 이후에 시행되며,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일단이 상기 제 1 파이프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파이프의 단부를 압착하여 상기 제 1 파이프의 단부가 상기 파이프 연결부 둘레에 형성된 체결홈에 압입되는 제 1 압착 단계,
    제 2 조립단계 이후에 시행되며,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일단이 상기 제 2 파이프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파이프의 단부를 압착하여 상기 제 2 파이프의 단부가 상기 파이프 연결부 둘레에 형성된 체결홈에 압입되는 제 2 압착 단계,
    를 포함하는 수직재 제작 단계;
    상기 수평재 파이프의 양단부에 상기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를 끼우는 수평재 조립 단계,
    상기 수평재 플랜지 연결부가 상기 수평재 파이프에 끼워진 부분을 압착하여 상기 수평재 파이프가 상기 체결홈에 압입되는 수평재 압착 단계,
    를 포함하는 수평재 제작 단계;
    상기 대각재 삽입부와 상기 대각재 결합부 사이를 상기 회전 제공 수단으로 연결하여 상기 대각재 결합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 조립 단계,
    상기 대각재 파이프의 양단부에 상기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를 끼우는 파이프-플랜지 연결부 조립 단계,
    상기 대각재 플랜지 연결부가 상기 대각재 파이프에 끼워진 부분을 압착하여 상기 대각재 파이프가 상기 체결홈에 압입되는 대각재 압착 단계,
    를 포함하는 대각재 제작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제작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착 단계와 상기 제 2 압착 단계와 상기 수평재 압착단계와 상기 대각재 압착단계에서,
    상기 수직재 파이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와, 상기 대각재 파이프의 단부에 돌출이 형성된 돌출지그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지그의 돌출의 곡률반경이 상기 체결홈의 곡률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제작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착 단계와 상기 제 2 압착 단계와 상기 수평재 압착단계와 상기 대각재 압착단계에서,
    상기 수직재 파이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와, 상기 대각재 파이프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돌출지그를 설치하고 상기 돌출지그가 설치된 반대 편에는 상기 수직재 파이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와, 상기 대각재 파이프가 고정되며, 표면이 평편한 지그를 설치하여, 상기 수직재 파이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와, 상기 대각재 파이프를 회전시켜 가며 2회 이상 압착 공정을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제작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착 단계와 상기 제 2 압착 단계와 상기 수평재 압착단계와 상기 대각재 압착단계에서,
    상기 수직재 파이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와, 상기 대각재 파이프의 상부 그리고 하부에 상기 돌출지그를 설치하여 상기 수직재 파이프와, 상기 수평재 파이프와, 상기 대각재 파이프를 1회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제작 방법.
KR1020190032496A 2019-03-21 2019-03-21 시스템 비계 KR102074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496A KR102074231B1 (ko) 2019-03-21 2019-03-21 시스템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496A KR102074231B1 (ko) 2019-03-21 2019-03-21 시스템 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231B1 true KR102074231B1 (ko) 2020-02-06

Family

ID=69569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496A KR102074231B1 (ko) 2019-03-21 2019-03-21 시스템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2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203A (ko) 2020-07-17 2022-01-25 정경호 무대 설치용 시스템 비계
KR20240010181A (ko) 2022-07-15 2024-01-23 주식회사 엠케이엔지니어링 시스템 비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586U (ko) * 1998-04-15 1999-11-15 백병삼 파이프 연결구
KR200236337Y1 (ko) * 2001-04-06 2001-10-11 박영진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
JP2012197609A (ja) * 2011-03-22 2012-10-18 Heiwa Giken Kk 先行手摺り
KR101355372B1 (ko) 2012-10-10 2014-01-24 피앤케이에코 주식회사 시스템 비계
KR200479716Y1 (ko) * 2015-06-05 2016-02-29 주식회사 성남종합건설 건축용 시스템 비계
JP3204261U (ja) * 2016-03-04 2016-05-26 Krh株式会社 足場材
KR101821935B1 (ko) * 2017-12-03 2018-01-25 주식회사백상 보강재를 이용한 고강도 경량 시스템 비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586U (ko) * 1998-04-15 1999-11-15 백병삼 파이프 연결구
KR200236337Y1 (ko) * 2001-04-06 2001-10-11 박영진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
JP2012197609A (ja) * 2011-03-22 2012-10-18 Heiwa Giken Kk 先行手摺り
KR101355372B1 (ko) 2012-10-10 2014-01-24 피앤케이에코 주식회사 시스템 비계
KR200479716Y1 (ko) * 2015-06-05 2016-02-29 주식회사 성남종합건설 건축용 시스템 비계
JP3204261U (ja) * 2016-03-04 2016-05-26 Krh株式会社 足場材
KR101821935B1 (ko) * 2017-12-03 2018-01-25 주식회사백상 보강재를 이용한 고강도 경량 시스템 비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203A (ko) 2020-07-17 2022-01-25 정경호 무대 설치용 시스템 비계
KR20240010181A (ko) 2022-07-15 2024-01-23 주식회사 엠케이엔지니어링 시스템 비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8265B1 (en) Space frame construction assembly
US4974986A (en) Connector for variable-shape spaceframe structural system
KR102074231B1 (ko) 시스템 비계
CN210621741U (zh) 中心筒构件、具有其的中心筒和塔筒基础
JP2017218851A (ja) 構造材用継手および構造体
TWI751278B (zh) 臨時支架
JP5709150B1 (ja) 組立式足場
KR102096868B1 (ko) 수직재
KR200404527Y1 (ko)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
KR102074227B1 (ko) 수평재
JP6672347B2 (ja) 杭頭接合構造
KR102096866B1 (ko) 대각재
AU597834B2 (en) Structural member
JP5594758B2 (ja) 柱継手構造
JP6396356B2 (ja) 地中埋設された容積構造体の補強構造
CN210013541U (zh) 一种塔柱调直装置及其系统
JP2002146779A (ja) 杭の接続構造
CN221824226U (zh) 一种桁架连接结构及展架
WO2012053987A2 (en) Multiple vertex joint adapter
JP2677517B2 (ja) 組立家屋の結合構造
CN214329386U (zh) 可拆卸钢管束连接组件及钢管束组件
KR101877907B1 (ko) 다축 연결용 조인트
CN210887597U (zh) 一种方便装拆的建筑框架结构组件
JP6340535B2 (ja) グレーチング及びグレーチングユニット
CN215715997U (zh) 一种房屋拼装钢结构的绿色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