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716Y1 - 건축용 시스템 비계 - Google Patents

건축용 시스템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716Y1
KR200479716Y1 KR2020150003617U KR20150003617U KR200479716Y1 KR 200479716 Y1 KR200479716 Y1 KR 200479716Y1 KR 2020150003617 U KR2020150003617 U KR 2020150003617U KR 20150003617 U KR20150003617 U KR 20150003617U KR 200479716 Y1 KR200479716 Y1 KR 200479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hole
joint
clamp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남종합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남종합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남종합건설
Priority to KR2020150003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7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7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 E04G1/0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 E04G1/06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comprising members with rod-like or tubular portions fitting together end to end, with or without separate connecting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시스템 비계가 개시되는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이음구에 의해 수직연결되는 복수개의 강관수직재와 상기 강관수직재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강관수평재를 갖는 건축용 비계에 있어서, 상기 이음구(10)는, 상기 이음구(10)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개의 강관수직재(20)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끼워지는 상부연결부(11)와 하부연결부(12)가 상부와 하부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상부연결부(11)와 하부연결부(12)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연결부(11)에 끼워지는 강관수직재(20)의 하단(21)이 안착되어 지지되고 하부연결부(12)에 끼워지는 강관수직재(20)의 상단(22)이 걸려 밀착고정되는 단턱부(13)를 포함하고, 상기 단턱부(13)의 외면에는 내측에 걸이구멍(31)이 각각 관통되는 복수개의 연결편(32)을 갖는 강관연결구(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강관수평재(40)의 끝단에는 상기 단턱부(13)의 외면에 구비되는 강관연결구(30)에 연결되는 연결클램프(5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클램프(50)는, 상기 강관연결구(30)의 복수개의 연결편(32) 내측에 각각 관통되는 걸이구멍(31) 중 어느 하나의 걸이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제1가이드구멍(51)이 관통된 상부절개부(52)와 상기 제1가이드구멍(51)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제2가이드구멍(53)이 관통된 하부절개부(54)와 상기 상부절개부(52)와 하부절개부(54)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연결편(32) 중 어느 하나의 연결편이 인입되는 인입공간부(55)를 갖는 클램프몸체(50a)와; 상기 클램프몸체(50a)에 힌지핀(61)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핀(61)에 의해 상기 강관연결구(30)측으로 힌지회동될 때 상기 상부절개부(52)의 제1가이드구멍(51)을 지나 상기 걸이구멍(31)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절개부(54)의 제2가이드구멍(53)에 걸어지는 회동고리(60); 상기 강관연결구(30)의 내측 중앙에는 제2결합구멍(35)이 더 통공되고 상기 제2결합구멍(35)의 내면에는 나사체결홈부(36)가 더 구비되며, 상기 이음구(10)의 단턱부(13) 외면에는 상기 나사체결홈부(36)가 나사체결되는 나사체결돌부(14)가 더 구비되어 상기 강관연결구(30)와 상기 이음구(10)의 단턱부(13)는 상기 나사체결홈부(36)와 나사체결돌부(14)의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 고정되고, 상기 이음구(10)의 단턱부(13) 외면 하단에는 상기 강관연결구(30)의 나사체결홈부(36)가 상기 나사체결돌부(14)에 나사체결될 때 상기 강관연결구(30)가 이음구(10)의 단턱부(13) 하단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70); 상기 연결클램프(50)의 연결대(510)가 끼워지는 상기 강관수평재(40)의 끝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체결구멍(420)이 더 통공되고, 상기 강관수평재(40)의 끝단에 끼워지는 상기 연결클램프(50)의 연결대(510)에는 상기 2개의 체결구멍(420)에 대응되는 연결구멍(512)이 더 통공되며, 상기 2개의 체결구멍(420)과 상기 연결구멍(512)에 끼워져 체결되는 체결구(8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축용 시스템 비계{system scaffold for architecture}
본 고안은 건축용 시스템 비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강관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시스템 비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시스템 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비계는 층고가 높거나 중량이 큰 구조물 또는 공간형태가 다양한 건축물 및 토목공사에서 콘크리트 성형틀인 거푸집 또는 그 외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여 구조물이 안전하고 정확하게 시공되도록 하기 위해 건축용 비계를 설치할 때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를 간단하게 연결하여 설치 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 비계의 일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수직지지대(1)가 삽탈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에 설치되는 각각의 수직지지대(1)의 하단에는 회전핸들(2)을 돌림에 따라 나사식으로 높이조절이 되는 높이조절구(3)가 나사식으로 설치되며 서로 연결되는 각각의 수직지지대(1)의 상부측에는 인접하게 세워지는 또 다른 수직지지대(1)를 수평지지대(4)로서 연결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대(4)가 수평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수직지지대(1)에는 사방에 조립구멍(5)을 형성한 연결구(6)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지지대(4)의 양단에는 조립구멍(5)에 대응하는 쐐기핀구멍(7)을 형성한 결합구(8)가 설치되며 결합구(8)의 쐐기핀구멍(7)과 연결구(6)의 조립구멍(5)을 일치되게 결합구(8)를 연결구(6)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서로 일치한 쐐기핀구멍(7)과 조립구멍(5)으로 쐐기핀(9)을 끼워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수직지지대(1)를 수평지지대(4)로서 연결 설치한다.
이와 같은 종래 시스템 비계는, 수직지지대(1)에 구비되는 연결구(6)에 구비되는 조립구멍(5)에 결합구(8)에 구비되는 쐐기핀(9)를 연결함으로써 수직지지대(1)과 수평지지대(2)를 연결하기 때문에, 기존 둥근 원형을 갖고 볼트와 나사로 이루어지는 클램프에 의해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를 연결하는 작업시간에 비해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종래 시스템 비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연결구가 구비된 수직지지대와 결합구가 구비된 수평지지대를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 연결구가 구비된 수직지지대와 결합구가 구비된 수평지지대를 구입하는데에 드는 비용적인 부담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해왔던 수직지지대나 수평지지대는 모두 외부에 연결구나 클램프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관형의 강관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연결구나 클램프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를 시스템 비계로 사용할 수 없어, 시스템 비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득이 하게 연결구가 구비된 수직지지대와 결합구가 구비된 수평지지대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고 이에 따라 비용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구가 구비된 수직지지대와 결합구가 구비된 수평지지대를 시스템 비계를 설치하여 사용함에 따라 기존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사용하지 않는 기존 강관으로 이루어진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를 폐기하거나 또는 야적장에 장기간 보관하기 때문에, 장기간 야적함에 따른 부식이나 훼손이 발생되고 자원 재활용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로서, 등록특허 10-0492719호인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포켓연결부가 수직재의 외주면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용접 체결되고, 결합부가 수평재의 양단부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포켓연결부에 결합부가 결합핀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므로써 수직재와 수평재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된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포켓연결부는 다수의 단위포켓부로 구성되고 상기 단위포켓부는 철판을 V자형으로 절곡하여 만곡형태의 외측 절곡부가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부결합판과 하부결합판이 형성된 찬넬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상부결합판에는 직사삭형의 핀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결합판에는 상기 핀삽입홈 보다 더 넓은 다각형의 핀안내홈이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핀은 일측만이 기울어지는 쐐기형태로 구성하되, 그 하단에 스토퍼가 형성되어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포켓연결부의 단위포켓부에 상기 결합부가 감싸지도록 연결되어 결합핀이 끼움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 역시 포켓연결부가 수직재의 외주면에 용접에 의해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재의 외주면에 포켓연결부를 일일이 용접작업에 의해 용접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평재의 단부에 포켓연결부에 연결되는 결합부가 역시 수평재의 단부와 용접작업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재의 단부에 일일이 결합부를 용접작업에 의해 용접하여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492719호(2005.05.24.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0666440호(2007.01.03. 등록)
본 고안은 기존 사용해왔던 강관의 수직재와 수평재를 그대로 사용하되 시스템 비계로 사용하도록 하여 설치시간의 단축은 물론 작업효율성을 얻을 수 있으며 시스템 비계를 새롭게 구입하지 않고 기존 강관의 수직재와 수평재를 그대로 이용하도록 하여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경제적인 효율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시스템 비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건축용 시스템 비계는,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이음구에 의해 수직연결되는 복수개의 강관수직재와 상기 강관수직재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강관수평재를 갖는 건축용 비계에 있어서, 상기 이음구는, 상기 이음구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개의 강관수직재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끼워지는 상부연결부와 하부연결부가 상부와 하부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부연결부와 하부연결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연결부에 끼워지는 강관수직재의 하단이 안착되어 지지되고 하부연결부에 끼워지는 강관수직재의 상단이 걸려 밀착고정되는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턱부의 외면에는 내측에 걸이구멍이 각각 관통되는 복수개의 연결편을 갖는 강관연결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강관수평재의 끝단에는 상기 단턱부의 외면에 구비되는 강관연결구에 연결되는 연결클램프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클램프는, 상기 강관연결구의 복수개의 연결편 내측에 각각 관통되는 걸이구멍 중 어느 하나의 걸이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제1가이드구멍이 관통된 상부절개부와 상기 제1가이드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제2가이드구멍이 관통된 하부절개부와 상기 상부절개부와 하부절개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연결편 중 어느 하나의 연결편이 인입되는 인입공간부를 갖는 클램프몸체와; 상기 클램프몸체에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핀에 의해 상기 강관연결구측으로 힌지회동될 때 상기 상부절개부의 제1가이드구멍을 지나 상기 걸이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절개부의 제2가이드구멍에 걸어지는 회동고리; 상기 강관연결구의 내측 중앙에는 제2결합구멍이 더 통공되고 상기 제2결합구멍의 내면에는 나사체결홈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이음구의 단턱부 외면에는 상기 나사체결홈부가 나사체결되는 나사체결돌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강관연결구와 상기 이음구의 단턱부는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 고정되고, 상기 이음구의 단턱부 외면 하단에는 상기 강관연결구의 나사체결홈부가 상기 나사체결홈부에 나사체결될 때 상기 강관연결구가 이음구의 하단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 상기 연결클램프의 연결대가 끼워지는 상기 강관수평재의 끝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체결구멍이 더 통공되고, 상기 강관수평재의 끝단에 끼워지는 상기 연결클램프의 연결대에는 상기 2개의 체결구멍에 대응되는 연결구멍이 더 통공되며, 상기 2개의 체결구멍과 상기 연결구멍에 끼워져 체결되는 체결구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강관연결구의 내측 중앙에는 제1결합구멍이 더 통공되고, 상기 강관연결구의 제1결합구멍이 상기 이음구의 단턱부 외면에 끼움 결합된 후 용접작업에 의해 구비되는 용접부에 의해 상기 이음구의 단턱부와 상기 강관연결구가 결합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나아가, 상기 연결클램프에는 상기 강관수평재의 끝단 내부측으로 끼워지는 연결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연결클램프의 연결대의 외면에는 나사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클램프의 연결대가 끼워지는 강관수평재의 끝단 내면에는 상기 나사돌기가 나사체결되는 나사홈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본 고안은 일반 강관수직재와 강관수평재를 그대로 사용하여 건축용 시스템 비계로 활용할 수 있음에 따라 시스템 비계에 의해 얻어지는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효율성의 향상을 그대로 얻을 수 있으며 일반 강관수직재와 강관수평재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시스템 비계로 사용함에 있어서의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시스템 비계가 설치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시스템 비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구성요부 중 하나인 클램프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분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건축용 시스템 비계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연결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건축용 시스템 비계는,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이음구에 의해 수직연결되는 복수개의 강관수직재와 상기 강관수직재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강관수평재를 갖는 건축용 비계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이음구에 의해 수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강관수직재와 복수개의 강관수직재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강관수평재로 이루어진 건축용 비계에 사용되어 왔던 기존 강관수직재와 강관수평재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시스템 비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이음구(10)는, 상기 이음구(10)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개의 강관수직재(20)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끼워지는 상부연결부(11)와 하부연결부(12)가 상부와 하부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상부연결부(11)와 하부연결부(12)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연결부(11)에 끼워지는 강관수직재(20)의 하단(21)이 안착되어 지지되고 하부연결부(12)에 끼워지는 강관수직재(20)의 상단(22)이 걸려 밀착고정되는 단턱부(13)를 포함하고, 상기 단턱부(13)의 외면에는 내측에 걸이구멍(31)이 각각 관통되는 복수개의 연결편(32)을 갖는 강관연결구(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강관수평재(40)의 끝단에는 상기 단턱부(13)의 외면에 구비되는 강관연결구(30)에 연결되는 연결클램프(5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강관연결구(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연결편(32)이 강관연결구(30)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어 구비되며 이 때 연결편(32)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강관연결구(30)와 상기 이음구(10)의 단턱부(13)는 서로에 대해 일체로 구비되거나 또는 이음구(10)의 단턱부(13)에 강관연결구(30)가 끼워진 후 서로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클램프(50)는, 클램프몸체(50a)와 회동고리(6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회동고리(60)는, 강관연결구(30)에 연결클램프(50)의 클램프몸체(50a)가 인입되어 끼워진 후 연결클램프(50)와 강관연결구(30)를 고정하는 수단이다.
상기 클램프몸체(50a)는, 상기 강관연결구(30)의 복수개의 연결편(32) 내측에 각각 관통되는 걸이구멍(31) 중 어느 하나의 걸이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제1가이드구멍(51)이 관통된 상부절개부(52)와 상기 제1가이드구멍(51)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제2가이드구멍(53)이 관통된 하부절개부(54)와 상기 상부절개부(52)와 하부절개부(54)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연결편(32) 중 어느 하나의 연결편이 인입되는 인입공간부(55)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인입공간부(55)는 상기 강관연결구(30)의 복수개의 연결편(32) 중 어느 하나의 연결편(32)이 인입되어 끼워지는 공간으로 상기 상부절개부(52)와 하부절개부(54) 사이에 벌어진 공간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절개부(52)의 끝단부는 상향으로 절곡된 호형지게 형성하고 상기 하부절개부(54)의 끝단부는 하향으로 절곡된 호형지게 형성하여 줌에 따라 인입공간부(55)측으로 강관연결구(30)의 연결편(32)이 끼워질 때 상부절개부(52) 또는 하부절개부(54)의 끝단부에 의해 걸려 간섭됨을 방지한다.
상기 제1가이드구멍(51)과 제2가이드구멍(53)은 상기 회동고리(50)가 강관연결구(30)측으로 회동할 때 끼워져 걸어지는 수단이다.
상기 회동고리(60)는, 상기 클램프몸체(50a)에 힌지핀(61)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핀(61)에 의해 상기 강관연결구(30)측으로 힌지회동될 때 상기 상부절개부(52)의 제1가이드구멍(51)을 지나 상기 걸이구멍(31)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절개부(54)의 제2가이드구멍(53)에 걸어지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결클램프(50)의 클램프몸체(50a)에 구비되는 상부절개부(52)가 강관연결구(30)의 연결편(32) 상부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클램프(50)의 클램프몸체(50a)에 구비되는 하부절개부(54)가 강관연결구(30)의 연결편(32)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연결편(32)이 인입공간부(55)에 대응되게 놓이도록 한 다음, 클램프몸체(50a)를 연결편(32)측으로 밀어 연결편(32)이 인입공간부(55)에 인입되어 끼워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인입공간부(55)에 연결편(32)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회동고리(60)를 힌지핀(61)을 축으로 하여 강관연결구(30)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회동고리(60)가 상기 제1가이드구멍(51)과 걸이구멍(31)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제2가이드구멍(53)에 걸어져 위치됨에 따라 연결클램프(50)를 강관연결구(30)에 연결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강관연결구(30)가 구비되는 이음구(10)를 이용하여 기존 사용해왔던 강관수직재(20)를 이음구(10)로 연결하여 수직된 방향으로 입설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강관수평재(40)의 끝단에 연결클램프(50)가 구비됨에 따라 기존 사용해왔던 강관수평재(40)를 그대로 이용하여 강관수직재(20)에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건축용 비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 강관연결구(30)와 클램프(50)에 의해 시스템 비계로 사용함에 전혀 무리가 없어 경제적인 효율성은 물론 비계의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의 단축과 함께 작업효율성을 얻을 수 있고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강관연결구(30)의 내측 중앙에는 제1결합구멍(33)이 더 통공되고, 상기 강관연결구(30)의 제1결합구멍(33)이 상기 이음구(10)의 단턱부(13) 외면에 끼움 결합된 후 용접작업에 의해 구비되는 용접부(34)에 의해 상기 이음구(10)의 단턱부(13)와 상기 강관연결구(30)가 결합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강관연결구(30)가 이음구(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이음구(10)의 단턱부(13)에 강관연결구(30)의 제1결합구멍(33)이 끼워진 후 용접부(34)에 의해 강관연결구(30)와 이음구(10)의 단턱부(13)가 결합 고정된다.
이와 같이 강관연결구(30)가 이음구(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됨이 가능하여 이음구(10)를 새롭게 제작하지 않고 기존 사용해왔던 이음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강관연결구(30)의 내측 중앙에는 제2결합구멍(35)이 더 통공되고 상기 제2결합구멍(35)의 내면에는 나사체결홈부(36)가 더 구비되며, 상기 이음구(10)의 단턱부(13) 외면에는 상기 나사체결홈부(36)가 나사체결되는 나사체결돌부(14)가 더 구비되어 상기 강관연결구(30)와 상기 이음구(10)의 단턱부(13)는 상기 나사체결홈부(36)와 나사체결돌부(14)의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강관연결구(30)가 이음구(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이음구(10)의 단턱부(13) 외면에 구비되는 나사체결돌부(14)에 상기 강관연결구(30)의 제2결합구멍(35) 내면에 구비된 나사체결홈부(36)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강관연결구(30)가 이음구(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됨이 가능하여 이음구(10)를 새롭게 제작하지 않고 기존 사용해왔던 이음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기존 사용해왔던 이음구의 단턱부 외면에 상기 강관연결구(30)의 제2결합구멍(35) 내면에 구비된 나사체결홈부(36)가 나사체결되는 나사체결돌부(14)만을 더 가공하여 구비하면 된다.
또한, 강관연결구(30)와 이음구(10)가 서로에 대해 나사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강관연결구(30)가 이음구(10)의 단턱부(13) 하단으로부터 완전히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음구(10)의 단턱부(13) 외면 하단에는 상기 강관연결구(30)의 나사체결홈부(36)가 상기 나사체결돌부(14)에 나사체결될 때 상기 강관연결구(30)가 이음구(10)의 단턱부(13) 하단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7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토퍼(70)는, 상기 단턱부(13)의 하단 외면으로부터 더 돌출되어 상기 강관연결구(30)가 단턱부(13)의 하단측으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연장되는 것이면 족하다.
본 고안의 상기 연결클램프(50)에는 상기 강관수평재(40)의 끝단 내부측으로 끼워지는 연결대(51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클램프(50)와 강관수평재(40)가 서로에 대해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기존 사용해왔던 강관수평재(40)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시스템 비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연결클램프(50)에 구비되는 연결대(510)를 기존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파이프형태의 강관수평재(40)의 끝단 내부측으로 끼워줌에 따라 기존 사용해왔던 강관수평재(40)에 연결클램프(50)를 연결할 수 있어, 강관수평재(40)에 연결된 연결클램프(50)를 이음구(10)에 구비되는 강관연결구(30)에 연결할 수 있어 시스템 비계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연결클램프(50)의 연결대(510)의 외면에는 나사돌기(511)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클램프(50)의 연결대(510)가 끼워지는 강관수평재(40)의 끝단 내면에는 상기 나사돌기(511)가 나사체결되는 나사홈부(41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대(510)의 외면에 나사돌기(511)가 더 구비되고 이 연결대(510)가 끼워지는 강관수평재(40)의 끝단 내면에 나사홈부(41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대(510)의 나사돌기(511)를 강관수평재(40)의 끝단 내면에 구비된 나사홈부(410)에 나사체결할 수 있어 연결클램프(50)를 강관수평재(40)에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연결 후 연결클램프(50)가 강관수평재(4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클램프(50)의 연결대(510)가 끼워지는 상기 강관수평재(40)의 끝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체결구멍(420)이 더 통공되고, 상기 강관수평재(40)의 끝단에 끼워지는 상기 연결클램프(50)의 연결대(510)에는 상기 2개의 체결구멍(420)에 대응되는 연결구멍(512)이 더 통공되며, 상기 2개의 체결구멍(420)과 상기 연결구멍(512)에 끼워져 체결되는 체결구(8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클램프(50)의 연결대(510)를 상기 강관수평재(40)의 끝단 내면에 끼우되 상기 강관수평재(40)에 통공된 2개의 체결구멍(420)에 상기 연결대(510)의 연결구멍(512)를 맞춘 후, 상기 체결구(80)가 연결구멍(512)과 2개의 체결구멍(420)을 관통하도록 끼우면 상기 연결클램프(50)와 강관수평재(4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이음구 11 : 상부연결부
12 : 하부연결부 13 : 단턱부
14 : 나사체결돌부 20 : 강관수직재
21 : 강관수직재 하단 22 : 강관수직재 상단
30 : 강관연결구 31 : 걸이구멍
32 : 연결편 33 : 제1결합구멍
34 : 용접부 35 : 제2결합구멍
36 : 나사체결홈부 40 : 강관수평재
50 : 연결클램프 50a : 클램프몸체
51 : 제1가이드구멍 52 : 상부절개부
53 : 제2가이드구멍 54 : 하부절개부
55 : 인입공간부 60 : 회동고리
61 : 힌지핀 70 : 스토퍼부
80 : 체결구 410 : 나사홈부
420 : 체결구멍 510 : 연결대
511 : 나사돌기 512 : 연결구멍

Claims (6)

  1.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이음구에 의해 수직연결되는 복수개의 강관수직재와 상기 강관수직재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강관수평재를 갖는 건축용 비계에 있어서,
    상기 이음구(10)는,
    상기 이음구(10)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개의 강관수직재(20)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끼워지는 상부연결부(11)와 하부연결부(12)가 상부와 하부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상부연결부(11)와 하부연결부(12)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연결부(11)에 끼워지는 강관수직재(20)의 하단(21)이 안착되어 지지되고 하부연결부(12)에 끼워지는 강관수직재(20)의 상단(22)이 걸려 밀착고정되는 단턱부(13)를 포함하고,
    상기 단턱부(13)의 외면에는 내측에 걸이구멍(31)이 각각 관통되는 복수개의 연결편(32)을 갖는 강관연결구(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강관수평재(40)의 끝단에는 상기 단턱부(13)의 외면에 구비되는 강관연결구(30)에 연결되는 연결클램프(5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클램프(50)는,
    상기 강관연결구(30)의 복수개의 연결편(32) 내측에 각각 관통되는 걸이구멍(31) 중 어느 하나의 걸이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제1가이드구멍(51)이 관통된 상부절개부(52)와 상기 제1가이드구멍(51)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제2가이드구멍(53)이 관통된 하부절개부(54)와 상기 상부절개부(52)와 하부절개부(54)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연결편(32) 중 어느 하나의 연결편이 인입되는 인입공간부(55)를 갖는 클램프몸체(50a)와;
    상기 클램프몸체(50a)에 힌지핀(61)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핀(61)에 의해 상기 강관연결구(30)측으로 힌지회동될 때 상기 상부절개부(52)의 제1가이드구멍(51)을 지나 상기 걸이구멍(31)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절개부(54)의 제2가이드구멍(53)에 걸어지는 회동고리(60);
    상기 강관연결구(30)의 내측 중앙에는 제2결합구멍(35)이 더 통공되고 상기 제2결합구멍(35)의 내면에는 나사체결홈부(36)가 더 구비되며, 상기 이음구(10)의 단턱부(13) 외면에는 상기 나사체결홈부(36)가 나사체결되는 나사체결돌부(14)가 더 구비되어 상기 강관연결구(30)와 상기 이음구(10)의 단턱부(13)는 상기 나사체결홈부(36)와 나사체결돌부(14)의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 고정되고, 상기 이음구(10)의 단턱부(13) 외면 하단에는 상기 강관연결구(30)의 나사체결홈부(36)가 상기 나사체결돌부(14)에 나사체결될 때 상기 강관연결구(30)가 이음구(10)의 단턱부(13) 하단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70);
    상기 연결클램프(50)의 연결대(510)가 끼워지는 상기 강관수평재(40)의 끝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체결구멍(420)이 더 통공되고,
    상기 강관수평재(40)의 끝단에 끼워지는 상기 연결클램프(50)의 연결대(510)에는 상기 2개의 체결구멍(420)에 대응되는 연결구멍(512)이 더 통공되며, 상기 2개의 체결구멍(420)과 상기 연결구멍(512)에 끼워져 체결되는 체결구(8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연결구(30)의 내측 중앙에는 제1결합구멍(33)이 더 통공되고,
    상기 강관연결구(30)의 제1결합구멍(33)이 상기 이음구(10)의 단턱부(13) 외면에 끼움 결합된 후 용접작업에 의해 구비되는 용접부(34)에 의해 상기 이음구(10)의 단턱부(13)와 상기 강관연결구(30)가 결합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램프(50)에는 상기 강관수평재(40)의 끝단 내부측으로 끼워지는 연결대(51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램프(50)의 연결대(510)의 외면에는 나사돌기(511)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클램프(50)의 연결대(510)가 끼워지는 강관수평재(40)의 끝단 내면에는 상기 나사돌기(511)가 나사체결되는 나사홈부(41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
  6. 삭제
KR2020150003617U 2015-06-05 2015-06-05 건축용 시스템 비계 KR200479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617U KR200479716Y1 (ko) 2015-06-05 2015-06-05 건축용 시스템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617U KR200479716Y1 (ko) 2015-06-05 2015-06-05 건축용 시스템 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716Y1 true KR200479716Y1 (ko) 2016-02-29

Family

ID=5544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617U KR200479716Y1 (ko) 2015-06-05 2015-06-05 건축용 시스템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716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5746A (zh) * 2018-05-17 2018-09-07 杨松州 一种带接头杆件
CN108868088A (zh) * 2018-08-31 2018-11-23 浙江新盛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可变换移动的三向伸缩式脚手架及其使用方法
KR102051777B1 (ko) * 2019-06-10 2019-12-03 김만석 고압 변전소 내의 변전설비 설치 및 점검을 위한 절연접지형 비계장치
CN110593113A (zh) * 2019-09-26 2019-12-20 南昌大学 一种便携带伸缩式抗压抗弯支架及安装方法
KR102074231B1 (ko) * 2019-03-21 2020-02-06 이해승 시스템 비계
KR102096868B1 (ko) * 2019-03-21 2020-04-06 이해승 수직재
KR102100383B1 (ko) 2019-12-10 2020-04-13 (주)휴하리 배관 내부 점검용 시스템 비계
CN111058613A (zh) * 2020-01-09 2020-04-24 中国华冶科工集团有限公司 一种圆管连接辅助装置
KR102572456B1 (ko) * 2023-02-03 2023-08-29 이태규 타일시공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86669A1 (en) * 2011-05-17 2014-03-27 Peter Rogers Glued ledger hea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86669A1 (en) * 2011-05-17 2014-03-27 Peter Rogers Glued ledger head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5746A (zh) * 2018-05-17 2018-09-07 杨松州 一种带接头杆件
CN108868088A (zh) * 2018-08-31 2018-11-23 浙江新盛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可变换移动的三向伸缩式脚手架及其使用方法
CN108868088B (zh) * 2018-08-31 2023-11-28 浙江新盛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可变换移动的三向伸缩式脚手架及其使用方法
KR102074231B1 (ko) * 2019-03-21 2020-02-06 이해승 시스템 비계
KR102096868B1 (ko) * 2019-03-21 2020-04-06 이해승 수직재
KR102051777B1 (ko) * 2019-06-10 2019-12-03 김만석 고압 변전소 내의 변전설비 설치 및 점검을 위한 절연접지형 비계장치
CN110593113A (zh) * 2019-09-26 2019-12-20 南昌大学 一种便携带伸缩式抗压抗弯支架及安装方法
CN110593113B (zh) * 2019-09-26 2024-03-29 南昌大学 一种便携带伸缩式抗压抗弯支架及安装方法
KR102100383B1 (ko) 2019-12-10 2020-04-13 (주)휴하리 배관 내부 점검용 시스템 비계
CN111058613A (zh) * 2020-01-09 2020-04-24 中国华冶科工集团有限公司 一种圆管连接辅助装置
CN111058613B (zh) * 2020-01-09 2021-06-08 中国华冶科工集团有限公司 一种圆管连接辅助装置
KR102572456B1 (ko) * 2023-02-03 2023-08-29 이태규 타일시공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716Y1 (ko) 건축용 시스템 비계
KR101763077B1 (ko) 비계용 가설발판 고정장치
KR20160019717A (ko) 가설구조물용 수직재와 횡재의 연결구조
KR20160142928A (ko) 시스템 비계
KR101236184B1 (ko) 팬던트 조립방식의 대형 보일러 노내 비계시스템
CN112482720A (zh) 一种承插式钢管脚手架及其施工方法
KR101004010B1 (ko) 파이프 연결 작업용 클램프
CN108443587B (zh) 一种装配式吊架及其装配工艺
CN111852316B (zh) 一种船用落地梯
CN215760279U (zh) 一种承插式钢管脚手架
JP2011006972A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梁の補強方法
KR101575091B1 (ko) 시스템 서포트용 대각재
KR100777130B1 (ko) 천장 거푸집 패널 프레임 결합용 헤드프레임의 결합구조
CN208907303U (zh) 一种便于安装拆卸的建筑工程用木模板
CN203769327U (zh) 高塔混凝土泵管固定装置
CN205935625U (zh) 一种建筑支架用连接环
KR101016057B1 (ko) 철골 콘크리트 건축물의 철근 배근 장치
CN205804922U (zh) 一种新型预埋工具式脚手架连墙件
KR101120705B1 (ko) 안전 난간대 장치
CN211773828U (zh) 一种钢构厂房的拼接式基座
CN104481127A (zh) 一种刚性连接高强模板支承体系
CN211992588U (zh) 一种用于槽钢的t形夹具
CN215519494U (zh) 一种钢柱高空对接结构
KR20180079696A (ko) 시스템 비계용 단관 연결구 및 단관 연결구조
CN203905455U (zh) 建筑工程用的脚手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