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186B1 - 교량의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 - Google Patents

교량의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186B1
KR100883186B1 KR1020080085751A KR20080085751A KR100883186B1 KR 100883186 B1 KR100883186 B1 KR 100883186B1 KR 1020080085751 A KR1020080085751 A KR 1020080085751A KR 20080085751 A KR20080085751 A KR 20080085751A KR 100883186 B1 KR100883186 B1 KR 100883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pipe
steel beam
scaffold
scaffol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석환
Original Assignee
정석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석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5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각 위에 설치된 하나의 거더용 철재빔 하단 플랜지의 우측 상부와 이와 인접한 거더용 철재빔의 하단 플랜지 좌측 상부에 각각 걸어놓을 수 있도록 되며 거더용 철재빔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좌측 및 우측파이프와, 상기 좌측 및 우측파이프가 각각 삽입되어 연결하는 연결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발판받침구와; 다수 개의 발판받침구가 거더용 철재빔의 하단 플랜지 상부에 걸린 상태에서 좌측파이프 사이를 덮는 형태로 좌측 파이프 상부에 고정되는 좌측발판부재와; 다수 개의 발판받침구가 거더용 철재빔의 하단 플랜지 상부에 걸린 상태에서 우측파이프 사이를 덮는 형태로 우측 파이프 상부에 고정되는 우측발판부재와; 좌측발판부재와 우측발판부재 사이의 공간을 덮는 형태로 좌측발판부재와 우측발판부재에 각각 고정되는 중앙발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거더용 철재빔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접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발판은, 견고하게 설치하면서도 설치작업이 안전하며,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다.
교량, 시공, 건설, 거푸집, 설치, 발판, 작업대

Description

교량의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Scaffold Installed between Steel Beam for Girder of Bridge}
본 발명은 I자형 철재빔으로 교량용 거더의 기초를 만들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공되는 교량의 대부분은 I자형 철재 빔으로 교량용 거더의 기초(이하 "거더용 철재빔"이라 함)를 만들고, 거더용 철재빔과 철재빔 사이에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여 교량을 완성한 형태의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교량의 길이와 폭, 하중 등에 맞추어 설계된 거더용 철재빔을 지상에서 완성하여 교량 설치장소로 이동시킨다.
설치장소로 이동된 거더용 철재빔을 크레인을 사용하여 교각 위에 설치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도 1과 같이 다수 개의 거더용 철재빔이 교각(1) 위에 나란히 배열된 형태가 된다.
나란히 배열된 거더용 철재빔 상부와 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을 완 성하는데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서는 도 2와 같이 거더용 철재빔과 철재빔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거푸집 설치작업이 요구된다.
또, 거더용 철재빔의 측면에도 철근을 위치시키고 거푸집을 설치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거더용 철재빔과 철재빔 사이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더용 철재빔의 측면에 철근 등을 위치시키는 작업에 매우 긴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 작업과정이 매우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작업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거더용 철재빔과 철재빔 사이에 작업대(발판)를 설치하기 위해 파이프구조물을 거더용 철재빔과 철재빔 사이에 설치한다.
이때 파이프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2명 이상의 작업자가 거더용 철재빔 상부에 올라서서 파이프구조물을 로프로 잡아주고, 거더용 철재빔의 하부에 있는 작업자가 안전로프 하나에 의지하여 파이프구조물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설치작업을 수행한다.
설치된 파이프구조물 위에 철판을 얹어 놓고, 그 철판에 올라서서 거더용 철재빔과 철판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판넬을 비스듬히 설치하여 작업대를 완성한다.
이때 파이프구조물 위에 얹어놓은 철판이 고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매우 조심스럽게 작업을 진행해왔다.
상기와 같이 철판과 판넬이 설치된 후 거더용 철재빔의 측면에 와이어를 세 우는 작업과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일부를 설치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물론, 파이프구조물 위에 철판만 얹어놓은 상태에서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안전사고가 더 많이 발생된다.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는 작업대를 구성하는 철판과 판넬 위를 부직포 등으로 덮는데 이는 작은 구멍까지도 차단하여 거더용 철재빔 밑에 있는 작업자가 다치는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거더용 철재빔과 철재빔 사이의 공간을 메우기 위한 거푸집(3)을 설치할 때는 파이프구조물 위에 얹어놓은 철판 위에 올라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거더용 철재빔과 철재빔 사이에 작업대(발판)을 설치함에 있어 매우 복잡한 작업과정을 거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렸으며, 매우 위험하여 안전사고도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어 교각과 교각을 연결하는 거더용 철재빔과 철재빔 사이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작업, 상기 거더용 철재빔의 측면에 철근 등을 설치하는 작업 등을 위한 발판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설치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교각 위에 설치된 거더용 철재빔과 철재빔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길이를 미리 설정한 후 좌측에 위치된 거더용 철재빔의 하단플랜지와 우측에 위치된 거더용 철재빔의 하단 플랜지에 발판받침구를 올려놓는 작업만으로 발판의 기초가 설치되도록 하고, 발판받침구 위에 좌측발판부재, 우측발판부재, 중앙발판부재를 올려놓고 고정시키는 작업만으로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발판이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또, 지상에서 완성하여 크레인으로 들어올린 후 거더용 철재빔과 철재빔 사이에 위치시키는 작업만으로 설치가 완료되도록 할 수도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나의 거더용 철재빔의 하단 플랜지 우측 상부와 이와 인접한 거더용 철재빔의 하단 플랜지 좌측 상부에 각각 걸어놓을 수 있도록 되며 거더용 철재빔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좌측 및 우측파 이프와, 상기 좌측 및 우측파이프가 각각 삽입되어 연결하는 연결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발판받침구를 갖는다.
또, 다수 개의 발판받침구가 거더용 철재빔의 하단 플랜지 상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좌측파이프 사이를 덮는 형태로 상기 좌측 파이프 상부에 고정되는 좌측발판부재를 갖는다.
상기 다수 개의 발판받침구가 거더용 철재빔의 하단 플랜지 상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우측파이프 사이를 덮는 형태로 상기 우측 파이프 상부에 고정되는 우측발판부재를 갖는다.
상기 좌측발판부재와 우측발판부재 사이의 공간을 덮는 형태로 상기 좌측발판부재와 우측발판부재에 각각 고정되는 중앙발판부재를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발판은, 거더용 철재빔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접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발판은, 교각 위에 설치된 거더용 철재빔과 철재빔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길이를 미리 설정한 후 좌측에 위치된 거더용 철재빔과 우측에 위치된 거더용 철재빔의 하단 플랜지에 발판받침구를 올려놓는 작업만으로 발판의 기초가 설치되고, 발판받침구 위에 좌측발판부재, 우측발판부재, 중앙발판부재를 올려놓고 고정시키는 작업만으로 견고하게 설치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판은 설치작업이 안전하며,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교량을 시공함에 있어, 교각 위에 설치된 I자형 거더용 철재빔(2)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3)과, I자형 거더용 철재빔(2)의 측면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철근 및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하여 거더용 철재빔과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판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양쪽에 위치된 거더용 철재빔(2) 사이를 차단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발판을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또, 설치 상태가 견고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오랜 연구와 노력 끝에 도 1 및 도 3과 같은 발판을 안출하였다.
도 1 및 도 3의 발판은 거더용 철재빔(2)의 하단 플래지에 얹혀지는 다수 개 의 발판받침구(10)와, 이 발판받침구(10)를 덮는 형태로 설치되는 좌측발판부재(20), 우측발판부재(30), 중앙발판부재(40)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수 개의 발판받침구(10)는, 좌측에 위치된 거더용 철재빔의 하단 플랜즈 우측 상부와 우측에 위치된 거더용 철재빔의 하단 플랜지 좌측상부에 각각 걸어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좌측파이프(11)와 우측파이프(12)를 가지고 있다.
또, 좌측파이프(11)와 우측파이프(12)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13)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거더용 철재빔과 철재빔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좌측파이프(11)와 우측파이프(12)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없다면 본 발명의 발판을 여러 공사현장에서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좌측파이프(11)와 우측파이프(12) 사이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거리조절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판받침구(10)의 부피는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좌측파이프(11)와 우측파이프(12)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13)를 가지며, 이 연결파이프(13)에 의해서 좌측파이프(11)와 우측파이프(12)의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한다.
즉, 도 5와 같이 좌측파이프(11)와 우측파이프(12)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13)에 의해 좌측파이프(11)와 우측파이프(12)가 연결되도록 하되 좌측파이 프(11)와 우측파이프(12)가 삽입되어 좌, 우로 이동되는 이동홈(13a)을 통해 좌측파이프(11)와 우측파이프(12)를 연결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좌측파이프(11)와 우측파이프(12)를 이동홈(13a)을 따라 전, 후진 시키면 좌측파이프(11)와 우측파이프(12)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3의 좌측발판부재(20)는 다수 개의 발판받침구(10)가 거더용 철재빔의 하단 플랜지 상부에 걸린 상태에서 좌측파이프(11) 사이를 덮는 형태로 놓여서 좌측파이프(11)에 고정되고 작업자가 올라서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좌측발판부재(20)가 좌측파이프(11)를 덮는 형태가 되어야 하는 이유는 작업 과정에서 작은 물체라도 지상으로 떨어져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좌측발판부재(20) 위에 작업자가 올라서서 이동할 수 있어야 하므로 좌측발판부재(20)는 철판을 절곡하거나 철판을 맞대어 놓고 용접한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3의 우측발판부재(30)는 다수 개의 발판받침구(10)가 거더용 철재빔의 하단플랜지 상부에 걸린 상태에서 우측파이프(12) 사이를 덮는 형태로 놓여서 우측파이프(12)에 고정되고 작업자가 올라서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우측발판부재(30)가 좌측파이프(11)를 덮는 형태가 되어야 하는 이유는 작업 과정에서 작은 물체라도 지상으로 떨어져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우측발판부재(30) 위에 작업자가 올라서서 이동할 수 있어야 하 므로 우측발판부재(30)는 철판을 절곡하거나 철판을 맞대어 놓고 용접한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3의 중앙발판부재(40)는, 좌측발판부재(20)와 우측발판부재(30) 사이의 공간을 덮는 형태로 놓여서 좌측발판부재(20)와 우측발판부재(30)에 각각 고정되고 작업자가 올라서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중앙발판부재(40) 위에 작업자가 올라서서 이동할 수 있어야 하므로 중앙발판부재(40)는 철판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판받침구(10)의 상부를 좌측발판부재(20), 우측발판부재(30), 중앙발판부재(40)를 사용해서 덮는 이유는 좌측파이프(11)와 우측파이프(12)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본 발명에서와 같은 구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또,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발판을 설치하는 방법에는 지상에서 발판을 조립한 후 크레인 등으로 들어올려 설치하는 방법과, 교각 위에 설치된 거더용 철재빔 위에서 발판을 조립하는 설치방법이 있다.
발판을 지상에서 완전히 조립한 뒤 이 조립된 발판을 크레인 등의 장비로 들어올려 거더용 철재빔과 철재빔 사이로 투입시켜 설치하는 방법에서는 조립된 발판이 설치 위치에 정확하게 놓이도록 해야 한다.
이 방법은 도 3과 같이 각각 조립된 발판을 도 6과 같이 여러 개 연속으로 연접되게 설치하여 거더용 철재빔과 철재빔 사이를 메우는 방식이다.
교각에 설치된 거더용 철재빔 위에서 발판을 조립하여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거더용 철재빔과 철재빔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서 발판받침구(10)의 좌측파이프(11)와 우측파이프(12) 사이의 거리를 지상에서 미리 조절해놓는다.
이렇게 조절된 다수 개의 발판받침구(10)를 거더용 철재빔과 철재빔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때 작업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좌측에 위치된 거더용 철재빔에 올라선 작업자가 갈고리 등을 이용하여 발판받침구(10)의 좌측을 지지하고, 우측에 위치된 거더용 철재빔에 올라선 작업자가 갈고리 등을 이용하여 발판받침구(10)의 우측을 지지하면서 발판받침구(10)를 서서히 이동시켜 각각의 발판받침구(10)가 거더용 철재빔의 하단 플랜지 상부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
다수 개의 발판받침구(10)가 설치된 이후에는 발판받침구(10)의 설치방법에서와 같이 갈고리 등을 사용하여 좌측발판부재(20), 우측발판부재(30), 중앙발판부재(40)를 발판받침구(10) 위에 올려놓고 좌측발판부재(20), 우측발판부재(30), 중앙발판부재(40)를 고정시킨다.
이때 여러 개를 연속으로 고정시켜 거더용 철재빔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접되어 설치된 형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좌측발판부재(20), 우측발판부재(30), 중앙발판부재(40)를 고정하는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좌측파이프(11)와 좌측발판부재(20)에 각각 핀구멍을 형성하고 이 핀구멍에 핀을 꽂아 좌측발판부재(20)가 좌측파이프(11)에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우측파이프(12)와 우측발판부재(30)에 각각 핀구멍을 형성하고 이 핀구멍에 핀을 꽂아 우측발판부재(30)가 우측파이프(12)에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또, 중앙발판부재(40)가 좌측발판부재(20) 및 우측발판부재(30)에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도 핀을 사용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볼트를 사용하는 방식이 안전성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좌측파이프(11)와 우측파이프(12)에 볼트가 체결되는 너트홀(11a, 12a)이 형성되어 있고, 좌측발판부재(20)와 우측발판부재(30)에는 상기 너트홀에 대응되는 볼트통과홈(21, 3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통과홈(21, 31)을 통해 너트홀(11a, 12a)에 볼트를 체결하면 좌측파이프(11)에 좌측발판부재(20)가 고정되고, 우측파이프(12)에 우측발판부재(30)가 고정된다.
좌측발판부재(20)와 중앙발판부재(40)가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이나, 우측발판부재(30)가 중앙발판부재(40)에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너트홀과 볼트를 사용한 방식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좌측파이프(11)와 우측파이프(12)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이므로 좌측발판부재(20)와 중앙발판부재(40), 우측발판부재(30)와 중앙발판부재(40)가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은 상기와 같은 거리 조절에 탄력적으로 대응될 수 있는 것이어야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서는 도 3과 같은 구조가 있다.
도 3의 좌측발판부재(20)와 우측발판부재(30)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체결구(22, 32)가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중앙발판부재(40)에는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위치설정홈(41, 4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발판부재(40)가 좌측발판부재(20)와 우측발판부재(30)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여 고정된다.
즉, 좌측발판부재(20)와 우측발판부재(30) 사이의 간격이 넓고 좁음에 관계없이 중앙발판부재(40)의 위치설정홈(41, 42)을 통해 좌측발판부재(20)와 우측발판부재(30)의 볼트체결구(22, 32)에 볼트를 체결하여 조이는 작업을 통해 좌측발판부재(20), 우측발판부재(30), 중앙발판부재(4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좌측발판부재(20) 및 우측발판부재(30)나 중앙발판부재(40) 위에 작업자가 올라서서 이동할 때 하중이 가해지게 되는데 이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지 않으면 출렁거리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발판받침구(10)를 여러 개 설치할 경우 출렁거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지만 그러한 경우에는 작업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판받침구(10)와 좌측발판부재(20) 및 우측발판부재(30) 사이에 위치하며, 거더용 철재빔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발판부재들 사이에 작용하는 하중을 거더용 철재빔의 길이방향으로 분산되도록 하는 멍에재(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발판받침구(10) 위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놓여서 발판받침구(10)와 발판받침구(10) 사이의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는 멍에재(50)를 설치하고, 그 위에 좌측발판부재(20)와 우측발판부재(30)가 올려져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멍에재(50)가 설치되면 발판받침구(10)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작업시간도 더욱 단축할 수 있다.
멍에재(50)는 철재 파이프와 같은 형태의 것으로 하중을 받쳐주고 분산시켜 주는 것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판받침구(10)의 좌측파이프(11)와 우측파이프(1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에 있어 조절된 거리가 견고하게 유지되면서 다시 조절하기 위해 고정력을 해제시키는 것도 용이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와 같이 발판받침구(10)의 연결파이프(13)에는 볼트가 삽입되며 좌측파이프(11) 및 우측파이프(12)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13b)이 형성되도록 하고, 좌측파이프(11)나 우측파이프(12)에는 볼트가 삽입, 고정되는 볼트삽입홀(11b, 12b)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연결파이프(13)가 좌측파이프(11)와 우측파이프(1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서로 연결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즉, 장홀(13b)을 통해 삽입되어 볼트삽입홀(11b, 12b)을 관통한 볼트(15)에 너트(16)를 조이는 과정을 통해 좌측파이프(11)와 우측파이프(12)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거나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판받침구(10)의 좌측파이프(11)와 우측파이프(12) 및 연결파이프는 사각의 파이프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볼트나 핀 구멍 등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고 접지면이 넓어 더 안전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발판은 교량의 설치작업 등에 필요한 발판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판이 거더용 철재빔과 철재빔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발판이 설치된 후 발판에 올라서서 거더용 철재빔과 철재빔 사이에 거푸집 등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발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발판받침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도 3과 같은 본 발명의 발판이 거더용 철재빔과 철재빔 사이를 차단하기 위해 여러 개 연속으로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교각 2. 거더용 철재빔
3. 거푸집 10. 발판받침구
11. 좌측파이프 11a. 너트홀
11b. 볼트삽입홀 12. 우측파이프
12a. 너트홀 12b. 볼트삽입홀
13. 연결파이프 13a. 이동홈
13b. 장홀 15. 볼트
16. 너트 20. 좌측발판부재
21. 볼트통과홀 22. 볼트체결구
30. 우측발판부재 31. 볼트통과홀
32. 볼트체결구 40. 중앙발판부재
41, 42. 위치설정홀 50. 멍에재

Claims (4)

  1. 교량의 교각 상부에 설치되어 교각과 교각 사이를 연결하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I자형 거더용 철재빔들 사이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올라서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교량의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에 있어서,
    하나의 거더용 철재빔의 하단 플랜지 우측 상부와 이와 인접한 거더용 철재빔의 하단 플랜지 좌측 상부에 각각 걸어놓을 수 있도록 되며 거더용 철재빔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좌측파이프(11) 및 우측파이프(12)와, 상기 좌측파이프(11) 및 우측파이프(12)가 각각 삽입되어 연결하는 연결파이프(13)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발판받침구(10)와;
    상기 다수 개의 발판받침구(10)가 거더용 철재빔의 하단 플랜지 상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좌측파이프(11) 사이를 덮는 형태로 상기 좌측 파이프(11) 상부에 고정되는 좌측발판부재(20)와;
    상기 다수 개의 발판받침구(10)가 거더용 철재빔의 하단 플랜지 상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우측파이프(12) 사이를 덮는 형태로 상기 우측 파이프(12) 상부에 고정되는 우측발판부재(30)와;
    상기 좌측발판부재(20)와 우측발판부재(30) 사이의 공간을 덮는 형태로 상기 좌측발판부재(20)와 우측발판부재(30)에 각각 고정되는 중앙발판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거더용 철재빔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접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받침구(10)와 상기 좌측발판부재(20) 및 우측발판부재(30) 사이에 위치하며 거더용 철재빔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발판부재들 사이에 작용하는 하중을 거더용 철재빔의 길이방향으로 분산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멍에재(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받침구(10)의 연결파이프(13)에는 볼트가 삽입되며 좌측파이프(12) 및 우측파이프(13)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13b)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파이프(12)나 우측파이프(13)에는 볼트가 삽입고정되는 볼트삽입홀(11b, 12b)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파이프(13)가 상기 좌측파이프(12)와 우측파이프(1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발판부재(20)와 우측발판부재(30)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체결구(22, 32)가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중앙발판부재(40)에는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 된 위치설정홈(41, 42)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발판부재(40)가 상기 좌측발판부재(20)와 우측발판부재(30)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
KR1020080085751A 2008-09-01 2008-09-01 교량의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 KR100883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751A KR100883186B1 (ko) 2008-09-01 2008-09-01 교량의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751A KR100883186B1 (ko) 2008-09-01 2008-09-01 교량의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186B1 true KR100883186B1 (ko) 2009-02-11

Family

ID=4068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751A KR100883186B1 (ko) 2008-09-01 2008-09-01 교량의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1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229B1 (ko) 2022-10-11 2023-04-24 황민희 안전성이 강화된 교량용 작업 발판
KR102558279B1 (ko) * 2023-03-23 2023-07-24 주식회사 임성 지주식 인도교 및 데크로드 시공용 안전 작업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700B1 (ko) 2003-12-24 2004-06-09 한국스틸폼주식회사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KR200351989Y1 (ko) 2004-02-19 2004-06-10 김병화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KR200402793Y1 (ko) 2005-04-20 2005-12-06 정하동 레일방식 교량 슬라브 매달림 공중 비계장치
KR20070025483A (ko) * 2005-09-02 2007-03-08 이상열 교량 건설용 일체식 동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700B1 (ko) 2003-12-24 2004-06-09 한국스틸폼주식회사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KR200351989Y1 (ko) 2004-02-19 2004-06-10 김병화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KR200402793Y1 (ko) 2005-04-20 2005-12-06 정하동 레일방식 교량 슬라브 매달림 공중 비계장치
KR20070025483A (ko) * 2005-09-02 2007-03-08 이상열 교량 건설용 일체식 동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229B1 (ko) 2022-10-11 2023-04-24 황민희 안전성이 강화된 교량용 작업 발판
KR102558279B1 (ko) * 2023-03-23 2023-07-24 주식회사 임성 지주식 인도교 및 데크로드 시공용 안전 작업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453615U (zh) 模板支撑系统
US20090120718A1 (en) Multi-level safety net support system for high-rise construction
DE2501207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fuer die konstruktion eines gebaeudes mit mehreren stockwerken
US7896132B2 (en) Multi-level fall protection system for high-rise construction
KR101101208B1 (ko) 캔틸레버부 시공을 위한 프리캐스트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CN107227814B (zh) 一种大悬挑混凝土结构分段施工方法
CA2909214C (en) Truss girder for a weather protection roof as well as weather protection roof with several truss girders
WO2024082690A1 (zh) 一种多功能承台支护系统及施工方法
JP3181041U (ja) 橋梁用足場取付け部材
KR100883186B1 (ko) 교량의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
CN212507296U (zh) 高支模体系
JP6783011B1 (ja) 吊り足場
EA003592B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сооружения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качестве дороги или строительных лесов на склоне
KR101116345B1 (ko)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JP5075398B2 (ja) 塔状pc構造物の施工方法および緊張システム装置
KR100808291B1 (ko) 거더타입 교량용 안전장치
KR101978599B1 (ko) 갱폼 고정구
JP2913436B2 (ja) 移動式型枠工法とその工法に用いる装置
JP6842738B1 (ja) 吊り足場
KR100812262B1 (ko)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JP6661142B1 (ja) 吊り足場
KR100570261B1 (ko) 강교용 가설브래킷 및 그 시공방법
JP6495846B2 (ja) 法面のアンカー工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レールユニットセット
JP7112146B1 (ja) 移動連結吊り足場及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