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345B1 -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6345B1 KR101116345B1 KR1020110104592A KR20110104592A KR101116345B1 KR 101116345 B1 KR101116345 B1 KR 101116345B1 KR 1020110104592 A KR1020110104592 A KR 1020110104592A KR 20110104592 A KR20110104592 A KR 20110104592A KR 101116345 B1 KR101116345 B1 KR 1011163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ams
- bridge
- support
- spacing
- hol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372 Accident at work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는, 교량용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2개 이상의 빔(2)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로서, 상기 2개 이상의 빔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2개 이상의 빔 상면에 걸쳐 거치되는 거치대(110)와; 상기 빔의 양측에 각각 대응되어 상기 하나의 빔을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2개 이상의 빔에 맞는 수량으로 상기 거치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12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내부에 양측이 관통되는 거치대 수용홀(121a)이 구비된 틀 형태로서 상기 거치대를 둘레부를 감싸면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격조정틀(121), 상기 간격조정틀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빔의 둘레부에 지지되는 지지부(122), 상기 간격조정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간격조정틀과 지지부를 상기 거치대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구(123)를 포함하여, 상기 빔의 폭에 맞도록 상기 지지대들의 간격을 미세 조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교각을 시공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시공된 교각들 상부에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빔(2)을 거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거치된 다수의 빔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다수의 빔 상부에 교량의 상부 구조물을 시공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단계에서는, 2개의 빔을 상기 교각 위에 거치하고, 상기 2개의 빔 위에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를 거치한 후 상기 한 쌍의 지지대(120)를 상기 빔의 양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빔(2)의 둘레부에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2개의 빔을 각각 지지함과 아울러 근접되는 빔들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도 2와 도 3은 선행기술에 따른 교량용 빔의 시공을 위한 빔 거치용 안전 지지대의 시공 상태 사시도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의 작용 상태도.
110 : 거치대, 120 : 지지대
121 : 간격조정틀, 122 : 지지부
123 : 고정구, 124 : 인양고리
Claims (6)
- 교량용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2개 이상의 빔(2)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로서,
상기 2개 이상의 빔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2개 이상의 빔 상면에 걸쳐 거치되는 거치대(110)와;
상기 빔의 양측에 각각 대응되어 상기 하나의 빔을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2개 이상의 빔에 맞는 수량으로 상기 거치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12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내부에 양측이 관통되는 거치대 수용홀(121a)이 구비된 틀 형태로서 상기 거치대를 둘레부를 감싸면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격조정틀(121), 상기 간격조정틀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빔의 둘레부에 지지되는 지지부(122), 상기 간격조정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간격조정틀과 지지부를 상기 거치대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구(123)를 포함하여, 상기 빔의 폭에 맞도록 상기 지지대들의 간격을 미세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크레인을 포함하는 인양기에 연결되어 인양되도록 하는 인양고리(124)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빔과 대향되는 상기 거치대와 상기 지지대의 면에 고정되는 탄성패드(111,125)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와 대향되는 상기 간격조정틀의 면에 설치되는 탄성패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2)의 빔(2) 대향부에는 상기 빔(2)이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입구로 갈수록 벌어지는 경사형 유도부(1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
-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교각을 시공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시공된 교각들 상부에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빔(2)을 거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거치된 다수의 빔에 청구항 1에 의한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100)를 설치하여 상기 빔을 지지함과 아울러 빔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다수의 빔 사이에 크로스 빔을 설치하거나 상기 다수의 빔 상부에 교량의 상부 구조물을 시공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의 과정 중에 상기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100)를 탈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단계에서는, 2개의 빔을 상기 교각 위에 거치하고, 상기 2개의 빔 위에 청구항 1에 의한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를 거치한 후 상기 한 쌍의 지지대(120)를 상기 빔의 양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빔(2)의 둘레부에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2개의 빔을 각각 지지함과 아울러 근접되는 빔들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4592A KR101116345B1 (ko) | 2011-10-13 | 2011-10-13 |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4592A KR101116345B1 (ko) | 2011-10-13 | 2011-10-13 |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16345B1 true KR101116345B1 (ko) | 2012-03-09 |
Family
ID=46141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4592A Active KR101116345B1 (ko) | 2011-10-13 | 2011-10-13 |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6345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19591A (ko) | 2015-08-12 | 2017-02-22 | 김종태 | 유압 서포터 및 교량 거더 간격 정렬장치 |
KR102232907B1 (ko) | 2020-08-20 | 2021-03-26 | (주)국성건설엔지니어링 | 슬래브 일체형 psc거더 교량 구조체 |
CN112627058A (zh) * | 2020-12-11 | 2021-04-09 |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 一种多片预制梁和整体现浇桥面板组合梁的体系转换方法 |
CN114737488A (zh) * | 2022-03-29 | 2022-07-12 | 中铁六局集团有限公司 | 框架桥位移调整设备及其使用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2505B1 (ko) | 2006-03-21 | 2006-06-28 |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낙교방지와 전도방지용크로스빔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0606944B1 (ko) | 2004-12-17 | 2006-08-02 | 한국산업안전공단 | 플레이트를 이용한 psc빔의 전도방지장치 |
KR100632816B1 (ko) | 2006-06-20 | 2006-10-11 |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 아이(i)형 거더의 전도방지 안전장치 |
KR100782418B1 (ko) | 2006-12-01 | 2007-12-06 |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 빔 거치용 안전 지지대 장치 |
-
2011
- 2011-10-13 KR KR1020110104592A patent/KR10111634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6944B1 (ko) | 2004-12-17 | 2006-08-02 | 한국산업안전공단 | 플레이트를 이용한 psc빔의 전도방지장치 |
KR100592505B1 (ko) | 2006-03-21 | 2006-06-28 |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낙교방지와 전도방지용크로스빔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0632816B1 (ko) | 2006-06-20 | 2006-10-11 |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 아이(i)형 거더의 전도방지 안전장치 |
KR100782418B1 (ko) | 2006-12-01 | 2007-12-06 |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 빔 거치용 안전 지지대 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19591A (ko) | 2015-08-12 | 2017-02-22 | 김종태 | 유압 서포터 및 교량 거더 간격 정렬장치 |
KR102232907B1 (ko) | 2020-08-20 | 2021-03-26 | (주)국성건설엔지니어링 | 슬래브 일체형 psc거더 교량 구조체 |
CN112627058A (zh) * | 2020-12-11 | 2021-04-09 |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 一种多片预制梁和整体现浇桥面板组合梁的体系转换方法 |
CN114737488A (zh) * | 2022-03-29 | 2022-07-12 | 中铁六局集团有限公司 | 框架桥位移调整设备及其使用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65179B2 (ja) | 型枠装置 | |
JP5020163B2 (ja) | 張り出し床版用支保工 | |
KR101237000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시공방법 | |
KR101101208B1 (ko) | 캔틸레버부 시공을 위한 프리캐스트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 |
CN101839070A (zh) | 用钢柱对钢筋混凝土结构梁进行临时支撑加固的施工方法 | |
KR101116345B1 (ko) |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 |
JP5020162B2 (ja) | 張り出し床版用支保工 | |
KR20090001261A (ko) | 강봉을 이용한 지점부 연결구조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다경간 연속교 및 그 시공방법 | |
KR100782418B1 (ko) | 빔 거치용 안전 지지대 장치 | |
KR200226626Y1 (ko) | 교량상판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 | |
JP2014190116A (ja) | コンクリートスラブの構築方法 | |
KR20100057446A (ko) | 수직 구조체 전도 방지 장치 | |
KR101193470B1 (ko) | 교량받침 및 교량의 시공방법 | |
JP2005272116A (ja) | 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装置及びその構築方法 | |
KR102003990B1 (ko) | 교좌장치 보수용 교량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방법 | |
KR101257823B1 (ko) | 곡선빔용 전도방지장치 | |
KR100469638B1 (ko) | 피.에스.씨-빔 교량의 상판 슬래브 지지용 가시설 구조물 | |
KR100812128B1 (ko) | 철골빔용 파이프 유니트 및 그 인양방법 | |
JP7490550B2 (ja) | 吊り治具および解体方法 | |
KR100840279B1 (ko) | 슬래브거푸집 현수용 행거장치 | |
JP2016014236A (ja) | 吊足場 | |
JP2018168599A (ja) | 型枠の設置方法及び型枠用吊り具 | |
JP5794461B1 (ja) | 吊足場 | |
KR200351989Y1 (ko) |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 |
KR20080103721A (ko) | 교량 슬래브용 거푸집 지지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10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