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262B1 -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262B1
KR100812262B1 KR1020070006127A KR20070006127A KR100812262B1 KR 100812262 B1 KR100812262 B1 KR 100812262B1 KR 1020070006127 A KR1020070006127 A KR 1020070006127A KR 20070006127 A KR20070006127 A KR 20070006127A KR 100812262 B1 KR100812262 B1 KR 100812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ng form
prevention device
fall prevention
fal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진
Original Assignee
다산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산건설(주) filed Critical 다산건설(주)
Priority to KR1020070006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폼패널과, 이 폼패널의 바깥쪽에 고정 결합되는 수평요크와 수직요크를 가지는 요크로 구성되는 갱폼과; 상기 요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지지부와, 상기 고정부와 수직지지부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지지부를 가지는 한 쌍의 고정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고정지지대에 수직 상태와 수평 상태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와,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가지는 추락방지대와, 상기 추락방지대를 수직상태와 수평상태로 유지하는 수직 및 수평상태 유지수단으로 구성되는 추락방지장치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여, 슬래브 거푸집의 설치, 철근의 설치, 내부 거푸집의 설치, 콘크리트의 타설 과정에서는 추락방지대를 수직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이들 작업에 하등의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갱폼 타이를 해체하고 갱폼을 인양하기 전에 미리 추락방지대를 수평상태로 유지시켜 갱폼의 추락요인이 발생하더라도 추락방지대가 벽체나 슬래브 또는 벽체용 철근 등에 걸리게 되어 갱폼의 추락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Device for preventing falling of gang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추락방지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안쪽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추락방지장치가 접힌 상태를 안쪽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갱폼과 추락방지장치의 분해 상태를 안쪽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추락방지장치의 부분 분해 상태를 안쪽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추락방지장치가 적용된 갱폼의 바깥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6은 추락방지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안쪽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추락방지장치가 접힌 상태를 안쪽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추락방지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안쪽에서 본 측면도,
도 9는 추락방지장치가 접힌 상태를 안쪽에서 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폼패널 20 : 요크
100 : 고정지지대 110 : 고정부
120 : 수직지지부 130 : 수평지지부
200 : 추락방지대 210 : 회동부재
220 : 연결부재
111,23 : 고정볼트공 141 : 고정볼트
150,211 : 힌지공 151 : 힌지핀
121,131,212 : 위치고정핀공 161 : 위치고정핀
본 발명은 갱폼(gangform)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갱폼의 추락요인이 발생하더라도 갱폼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갱폼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벽체의 외부 거푸집을 구성하는 것으로, 벽체의 면적에 따라 적정 수로 구성되며, 하층의 벽체를 시공한 후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연속적으로 상층의 벽체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갱폼은 금속재 폼패널의 바깥면에 금속재 요크를 결합하여 구성되며, 크레인을 이용하여 벽체 시공 위치로 인양하여 그 하단을 하단 갱폼 타이(gangform tie)에 의해 구조물에 고정한 상태에서 중상단 갱폼 타이를 설치한 다음,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며, 벽체용 철근과 슬래브용 철근을 배근하고, 이 갱폼에 대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이격되는 내부폼을 설치하고, 갱폼과 내부폼 사이 및 슬래브 거푸집 위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벽체와 슬래브를 타설하게 된다.
하층의 벽체와 슬래브의 시공이 완료되면, 중상단 갱폼 타이를 해체하고 갱폼에 연결된 로프의 샤클(shackle)을 크레인의 후크에 건 다음, 갱폼의 하단을 구조물에 고정한 하단 갱폼 타이를 해체하고 갱폼을 크레인에 의해 상층으로 인양한다.
이때 적어도 갱폼의 하단을 구조물에 고정하는 하단 갱폼 타이를 해체하기 전에 갱폼에 연결된 로프의 샤클(shackle)을 크레인의 후크에 걸어야 한다.
그러나 갱폼 타이를 해체하는 작업자와 샤클을 크레인 후크에 걸어주는 작업자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들 작업자간의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샤클을 크레인 후크에 걸기 전에 갱폼 타이를 해체하게 될 경우 갱폼의 추락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정상적으로 갱폼을 인양하는 경우에도 인양되는 갱폼의 흔들림에 의해 갱폼과 주변의 구조물 간의 간섭이나 충돌에 의하여 갱폼의 추락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갱폼의 추락 요인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갱폼이 구 조물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갱폼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폼패널과, 이 폼패널의 바깥쪽에 고정 결합되는 수평요크와 수직요크를 가지는 요크로 구성되는 갱폼과; 상기 요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지지부와, 상기 고정부와 수직지지부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지지부를 가지는 한 쌍의 고정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고정지지대에 수직 상태와 수평 상태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와,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가지는 추락방지대와, 상기 추락방지대를 수직상태와 수평상태로 유지하는 수직 및 수평상태 유지수단으로 구성되는 추락방지장치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추락방지대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면서 갱폼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위치로 이동시키고, 갱폼의 하단을 하단 갱폼 타이에 의해 구조물에 고정함과 아울러 중상단 갱폼 타이를 설치하는 제1 단계; 추락방지대를 수직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2 단계; 슬래브용 철근과 벽체용 철근을 배근하고, 내부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3 단계; 갱폼의 폼패널과 내부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4 단계;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슬래브용 거푸집과 내부 거푸집을 해체하는 제5 단계; 추락방지대가 수 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제6 단계; 갱폼에 연결된 로프에 고정된 샤클에 크레인 로프의 후크를 거는 제7 단계; 먼저 갱폼의 중상단 갱폼 타이를 해체한 다음, 하단 갱폼 타이를 해체하고, 크레인으로 추락방지장치가 설치된 갱폼을 다음 층으로 인양하는 제8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추락방지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안쪽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추락방지장치가 접힌 상태를 안쪽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갱폼과 추락방지장치의 분해 상태를 안쪽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추락방지장치의 부분 분해 상태를 안쪽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추락방지장치가 적용된 갱폼의 바깥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6은 추락방지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안쪽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추락방지장치가 접힌 상태를 안쪽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추락방지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안쪽에서 본 측면도, 도 9는 추락방지장치가 접힌 상태를 안쪽에서 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서 GF는 갱폼이고, DPF는 추락방지장치를 보인 것이다.
상기 갱폼(GF)은 금속재로 된 폼패널(10)과, 이 폼패널(10)의 바깥쪽에 고정 결합되는 요크(20)로 구성된다.
상기 폼패널(10)은 한 층의 벽체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벽체의 구 조에 따라 적절한 폭을 가지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폼패널(10)은 평판형으로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부분이나 구석 부분에 대응하여 절곡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크(20)는 수평요크(21)와 이에 직교하는 수직요크(22)로 구성된다.
상기 폼패널(10)은 금속판체로 구성되며, 수평요크(21)와 수직요크(22)는 금속재 사각파이프로 구성된다.
상기 추락방지장치(DPF)는 상기 요크(20)에 고정되는 고정부(110)와, 이 고정부(1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지지부(120)와, 상기 고정부(110)와 수직지지부(120)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지지부(130)를 가지는 한 쌍의 고정지지대(100)와; 상기 한 쌍의 고정지지대(100)에 수직 상태와 수평 상태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210)와,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2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20)를 가지는 추락방지대(200)와, 상기 추락방지대(200)를 수직상태와 수평상태로 유지하는 수직 및 수평상태 유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10)와 수직지지부(120)는 하나의 사각파이프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지지부(130)는 상기 고정부(110)와 수직지지부(120)의 경계부에 수평상태로 용접되는 사각파이프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지지부(120)와 수평지지부(130)는 보강을 위하여 사각파이프로 경사지게 배치된 보강대(140)의 양단을 수직지지부(120)와 수평지지부(130)에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부재(210)는 도시예와 같이 C형강이나 채널형강 등을 사용하는 것 이 바람직하나 기타 갱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부재라면 어떠한 부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연결부재(220)는 도시예와 같이 통상적으로 백관이라고 불리는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파이프나 앵글형강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회동부재(210)와 연결부재(220)는 용접에 의해 결합할 수 있으며, 결속밴드로 결속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210)는 도시예와 같이 2개씩의 C형강으로 구성하고 그 사이에 수직지지부(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1개씩의 C형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110)와 갱폼(GF)의 수직요크(22)에는 복수개의 고정볼트공(111,23)이 천공되며, 이들 고정볼트공(111,23)에 복수개의 고정볼트(141)를 관통시키고 이들 고정볼트(141)에 고정너트(142)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수직요크(22)와 고정부(110)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부(110)와 수직지지부(120)의 경계부와 회동부재(210)의 하단에는 힌지공(150,211)이 형성되며, 이들 힌지공(150,211)에 끼워지는 힌지핀(151)에 의해 회동부재(210)가 고정지지대(1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힌지핀(151)은 통상적인 육각머리볼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육각머리볼트의 나사부에 너트(152)를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너트(152)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2개의 너트(152)를 체결하거나 통상적인 풀림방지핀(미도시)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및 수평상태 유지수단은 상기 수직지지부(120)와 수평지지부(130) 및 회동부재(210)에 각각 천공되는 위치고정핀공(121,131,212)과, 이 위치고정핀공(121,131,212)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회동부재(210)를 수직상태와 수평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위치고정핀(161)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도 10의 (a)와 같이, 추락방지대(200)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면서 갱폼(GF)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위치로 이동시키고, 갱폼(GF)의 하단을 하단 갱폼 타이(T1)(도 8 및 도 9 참조)에 의해 구조물에 고정함과 아울러 중상단 갱폼 타이(T2)(도 8 및 도 9 참조)를 설치하는 제1 단계; 도 10의 (b)와 같이, 추락방지대(200)를 수직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슬래브 거푸집(1)을 설치하는 제2 단계; 도 10의 (c)와 같이, 슬래브용 철근(2)과 벽체용 철근(3)을 배근하고, 내부 거푸집(4)을 설치하는 제3 단계; 도 10의 (d)와 같이, 갱폼(GF)의 폼패널(10)과 내부 거푸집(4) 사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제4 단계; 도 10의 (e)와 같이, 콘크리트(C)가 양생된 후 슬래브용 거푸집(1)과 내부 거푸집(4)을 해체하는 제5 단계; 도 10의 (f)와 같이, 추락방지대(200)가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제6 단계; 도 10의 (g)와 같이, 갱폼(GF)에 연결된 로프(5)에 고정된 샤클(6)에 크레인 로프(7)의 후크(8)를 거는 제7 단계; 도 10의 (h)와 같이, 먼저 갱폼(GF)의 중상단 갱폼 타이(T2)(도 8 및 도 9 참조)를 해체한 다음, 하단 갱폼 타이(T1)(도 8 및 도 9 참조)를 해체하고, 크레인으로 추락방지장치(DPF)가 설치된 갱폼(GF)을 다음 층으로 인양하는 제8 단계;를 반복하게 된다.
상기 제1 단계에서 추락방지대(200)를 수평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 2, 도 7 및 도 9와 같이, 추락방지대(200)를 수평 회동시켜 회동부재(210)의 위치고정핀공(212)과 고정지지대(100)의 수평지지부(130)의 위치고정핀공(131)이 일치되도록 한 다음 이들 위치고정핀공(212,131)에 위치고정핀(161)을 끼운다.
갱폼(GF)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위치로 이동시킴에 있어서는 갱폼(GF)에 연결된 로프(5)에 고정된 샤클(6)에 크레인 로프(7)의 후크(8)를 걸고 크레인을 이용하여 이동시킨다.
상기 제2 단계에서 추락방지대(200)를 수직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 1, 도 6 및 도 8과 같이, 위치고정핀공(212,131)에 끼워졌던 위치고정핀(161)을 빼고, 추락방지대(200)를 수직상태로 회동시켜 회동부재(210)의 위치고정핀공(212)과 수직지지부(120)의 위치고정핀공(121)을 일치시킨 다음 이들 위치고정핀공(212,121)에 위치고정핀(161)을 끼운다.
상기 제2 단계에서 슬래브 거푸집(1)의 설치와, 제3 단계에서 슬래브용 철근(2)과 벽체용 철근(3)의 배근과 내부 거푸집(4)의 설치와, 제4 단계에서 콘크리트(C)의 타설과, 제5 단계에서 슬래브용 거푸집(1)과 내부 거푸집(4)의 해체 과정은 통상적인 갱폼을 이용한 시공방법에서와 동일하다.
상기 제6 단계에서 추락방지대(200)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회동부재(210)의 위치고정핀공(212)과 고정지지대(100)의 수직지지부(120)의 위치고정핀공(121)에 끼웠던 위치고정핀(161)을 빼고, 회동부재(210)를 수평상태로 회동시켜 회동부재(210)의 위치고정핀공(212)과 수평지지부(130)의 위치고정핀공(131)을 일치시킨 다음 이들 위치고정핀공(212,131)에 위치고정핀(161)을 끼운다.
상기 제7 단계에서 샤클(6)에 후크(8)를 거는 과정과 제8 단계에서 갱폼(GF)을 인양하는 과정은 상술한 제1 단계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갱폼(GF)에 추락방지장치(DPF)가 결합되어 있으나 슬래브 거푸집(1)의 설치, 철근(2,3)의 설치, 내부 거푸집(4)의 설치, 콘크리트(C)의 타설 과정에서는 추락방지대(200)를 수직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이들 작업에 하등의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먼저 갱폼(GF)의 중상단 갱폼 타이(T2)를 해체한 다음, 하단 갱폼 타이(T1)를 해체하고, 크레인으로 추락방지장치(DPF)가 설치된 갱폼(GF)을 다음 층으로 인양하는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는 중상단 갱폼 타이(T2)와 하단 갱폼 타이(T1)를 해체하기 전에 이미 제6 단계에서 추락방지대(200)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고 있으므로 한 작업자가 갱폼(GF)에 연결된 로프(5)의 샤클(6)을 크레인 로프(7)의 후크(8)에 걸기 전에 다른 작업자가 갱폼 타이(T1,T2)를 모두 해체한 경우에도 추락방지대(200)가 벽체(W)나 슬래브(S) 또는 벽체용 철근(3) 등에 걸리게 되므로 갱폼(GF)이 바닥으로 추락하는 사고의 발생이 방지된다.
그 외에도 정상적으로 갱폼(GF)을 인양하는 과정에서 인양되는 갱폼(GF)의 흔들림에 의해 갱폼(GF)과 주변의 구조물 간의 간섭이나 충돌에 의하여 갱폼(GF)의 추락요인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수평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추락방지대(200)가 벽체(W)나 슬래브(S) 또는 벽체용 철근(3) 등에 걸리게 되므로 갱폼(GF)이 바닥으로 추락하는 사고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의하면 수직상태 또는 수평상태로 유지되는 추락방지대를 구비하여 슬래브 거푸집의 설치, 철근의 설치, 내부 거푸집의 설치, 콘크리트의 타설 과정에서는 추락방지대를 수직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이들 작업에 하등의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갱폼 타이를 해체하고 갱폼을 인양하기 전에 미리 추락방지대를 수평상태로 유지시켜 갱폼의 추락요인이 발생하더라도 추락방지대가 벽체나 슬래브 또는 벽체용 철근 등에 걸리게 되어 갱폼의 추락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폼패널(10)과, 이 폼패널(10)의 바깥쪽에 고정 결합되는 수평요크(21)와 수직요크(22)를 가지는 요크(20)로 구성되는 갱폼과;
    상기 요크(20)에 고정되는 고정부(110)와, 이 고정부(1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지지부(120)와, 상기 고정부(110)와 수직지지부(120)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지지부(130)를 가지는 한 쌍의 고정지지대(100)와, 상기 한 쌍의 고정지지대(100)에 수직 상태와 수평 상태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210)와,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2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20)를 가지는 추락방지대(200)와, 상기 추락방지대(200)를 수직상태와 수평상태로 유지하는 수직 및 수평상태 유지수단으로 구성되는 추락방지장치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120)와 수평지지부(130)는 보강대(140)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요크(22)와 고정부(110)에 천공되는 복수개의 고정볼트공(23,111)과, 이들 고정볼트공에 관통되는 고정볼트(141)와, 이 고정볼트(141)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와 수직지지부(120)의 경계부와 회동부재(210)의 하단에는 형성되는 힌지공(150,211)과, 이들 힌지공(150,211)에 끼워지는 힌지핀(15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및 수평상태 유지수단은 상기 수직지지부(120)와 수평지지부(130) 및 회동부재(210)에 각각 천공되는 위치고정핀공(121,131,212)과, 이 위치고정핀공(121,131,212)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회동부재(210)를 수직상태와 수평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위치고정핀(16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6. 추락방지대(200)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면서 갱폼(GF)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위치로 이동시키고, 갱폼(GF)의 하단을 하단 갱폼 타이(T1)에 의해 구조물에 고정함과 아울러 중상단 갱폼 타이(T2)를 설치하는 제1 단계;
    추락방지대(200)를 수직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슬래브 거푸집(1)을 설치하는 제2 단계;
    슬래브용 철근(2)과 벽체용 철근(3)을 배근하고, 내부 거푸집(4)을 설치하는 제3 단계;
    갱폼(GF)의 폼패널(10)과 내부 거푸집(4) 사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제 4 단계;
    콘크리트(C)가 양생된 후 슬래브용 거푸집(1)과 내부 거푸집(4)을 해체하는 제5 단계;
    추락방지대(200)가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제6 단계;
    갱폼(GF)에 연결된 로프(5)에 고정된 샤클(6)에 크레인 로프(7)의 후크(8)를 거는 제7 단계;
    먼저 갱폼(GF)의 중상단 갱폼 타이(T2)를 해체한 다음, 하단 갱폼 타이(T1)를 해체하고, 크레인으로 추락방지장치(DPF)가 설치된 갱폼(GF)을 다음 층으로 인양하는 제8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070006127A 2007-01-19 2007-01-19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812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127A KR100812262B1 (ko) 2007-01-19 2007-01-19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127A KR100812262B1 (ko) 2007-01-19 2007-01-19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262B1 true KR100812262B1 (ko) 2008-03-13

Family

ID=3939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127A KR100812262B1 (ko) 2007-01-19 2007-01-19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2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77B1 (ko) * 2008-05-21 2010-09-15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갱폼 추락 방지장치
KR100999176B1 (ko) * 2008-04-25 2010-12-07 주식회사 미래에스에프이 갱폼 어셈블리
KR102317241B1 (ko) 2021-01-28 2021-10-26 (주)지앤에스 건물 개구부에서의 추락방지를 위한 장치 및 추락방지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806Y1 (ko) 2006-06-02 2006-09-08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갱폼 추락방지 브라켓
KR200428173Y1 (ko) 2006-07-18 2006-10-11 권택철 갱폼 추락방지장치
KR100660426B1 (ko) 2006-01-13 2006-12-22 박춘오 갱폼 추락방지구
KR200435107Y1 (ko) 2006-09-29 2007-01-09 주식회사 근하기공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426B1 (ko) 2006-01-13 2006-12-22 박춘오 갱폼 추락방지구
KR200425806Y1 (ko) 2006-06-02 2006-09-08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갱폼 추락방지 브라켓
KR200428173Y1 (ko) 2006-07-18 2006-10-11 권택철 갱폼 추락방지장치
KR200435107Y1 (ko) 2006-09-29 2007-01-09 주식회사 근하기공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176B1 (ko) * 2008-04-25 2010-12-07 주식회사 미래에스에프이 갱폼 어셈블리
KR100982277B1 (ko) * 2008-05-21 2010-09-15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갱폼 추락 방지장치
KR102317241B1 (ko) 2021-01-28 2021-10-26 (주)지앤에스 건물 개구부에서의 추락방지를 위한 장치 및 추락방지 시스템
KR20220041033A (ko) 2021-01-28 2022-03-31 (주)지앤에스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KR20220041034A (ko) 2021-01-28 2022-03-31 (주)지앤에스 안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875B1 (ko) 서포터의 드럽장치
KR100812262B1 (ko)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CN108086697B (zh) 一种预埋件吊装精准定位装置及吊装精准定位方法
KR200413527Y1 (ko) 갱폼 추락방지구
KR102327935B1 (ko) 갱폼추락방지 안전장치
KR100660426B1 (ko) 갱폼 추락방지구
JP3977400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構築方法
JP6661142B1 (ja) 吊り足場
JP3889676B2 (ja) スリップフォーム工法
JP5437876B2 (ja) 鉄道rcラーメン構造高架橋の構築工程における支持部材の解体撤去方法
JP4027170B2 (ja) 外部足場装置及び外部足場装置の施工方法
KR100883186B1 (ko) 교량의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
KR100982277B1 (ko) 갱폼 추락 방지장치
KR101636407B1 (ko) 벽돌 현가 시공용 매립브라켓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조적방법
KR100570261B1 (ko) 강교용 가설브래킷 및 그 시공방법
JP2815043B2 (ja) リフトアップフォーム装置
JP2013129961A (ja) 鉄骨階段の仮止め固定方法と、鉄骨階段支持用のパイプサポート
KR200459397Y1 (ko) 갱 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지지브라켓 구조
KR200435107Y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KR102059081B1 (ko) 강교용 가설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비계 설치공법
JPS6322269Y2 (ko)
JP2961299B2 (ja) ケーソン用内足場とその架設方法および解体方法
KR200410995Y1 (ko) 갱폼 고정 수단
KR200433916Y1 (ko) 매립 지지콘의 커플링을 이용한 벽면 시공용 갱폼 낙하방지 구조
KR200432806Y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