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681B1 -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681B1
KR101122681B1 KR1020110101785A KR20110101785A KR101122681B1 KR 101122681 B1 KR101122681 B1 KR 101122681B1 KR 1020110101785 A KR1020110101785 A KR 1020110101785A KR 20110101785 A KR20110101785 A KR 20110101785A KR 101122681 B1 KR101122681 B1 KR 101122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ste aluminum
aluminum plate
steel pipe
reinforcing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1020110101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8Reinforceme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천시 보행자나 자전거 탑승자의 안전한 통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노면을 갖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는, 강철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철판과, 상기 철판 위에 형성되는 무정형의 얇은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사를 갖는 바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ENLATGED FOOTBRIDGE AND BICYCLE ROAD ESTABLISHED IN SLOPE AND BREAST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천시 보행자나 자전거 탑승자의 안전한 통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노면을 갖고, 굴곡 및 높이의 변화가 심한 곳에 별도의 벤딩없이 설치가능한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갖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등의 바닥재 노면의 포장재로서는 무기 재료인 석재와 시멘트를 혼합한 콘크리트를 사용하거나 일부 컬러콘, 투수콘, 아스콘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중 콘크리트 성형 제품은 강도가 너무 높아 착지면의 충격이 크고, 콘크리트 보도 블록 및 컬러콘 등은 경도 및 내열성, 내후성은 우수하지만 약한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는 등의 취약점이 있었으며, 탄성감이 없어 보행시의 느낌이 딱딱하고 충격 흡수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 탄성을 갖는 포장재를 사용하는 것인데, 종래 탄성 포장 방법으로는 탄성 포장재로 폐타이어나 폐고무 등이 재활용되어 사용되는 고무 탄성 포장재를 이용한 포장재들이 제안되어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포장재는 수축 팽창 계수나 내후성 등의 물성이 접착제(바인더)와 서로 달라 내구성이 떨어지고, 비가 올 경우 포장재가 벗겨지거나 찢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고무 탄성 포장재의 경우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여름철에는 타이어 냄새가 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폐우레탄칩을 탄성 포장재로 사용하는 것인데, 이렇게 폐우레탄칩을 탄성 포장재로 사용할 경우에도 탄성층과 기층면과의 분리 및 이탈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었으며, 우천시 빗물이 탄성층에 수막을 형성하여 보행자나 자전거가 탄성층에서 미끄러져서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등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굴곡이 있는 도로가 있을 경우에는 그 굴곡에 맞추어서 별도의 밴딩 작업을 해야만 했다. 하지만, 이러한 별도의 밴딩 작업을 할 경우에는 추가적인 밴딩 작업에 의해,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등의 시공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밴딩 작업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우천시 보행자나 자전거 탑승자의 안전한 통행을 도모할 수 있는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노면을 갖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굴곡 및 높이의 변화가 심한 곳에 별도의 밴딩을 하지 않고도 설치가능한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갖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는, 상면에는 실선으로 발포된 무정형의 얇은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사를 구비하고, 하면의 중심부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트렌치(trench) 형상을 갖는 폐알루미늄판과, 상기 폐알루미늄판의 외측면 및 하면의 단면 프로파일(profile)에 상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폐알루미늄판과 결합하는 보강용 철판을 갖는 바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는, 상기 트렌치의 내측면과, 이에 상응하는 보강용 철판의 단면 사이에는 고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알루미늄판의 하면에 상응하는 상기 보강용 철판의 상면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는, 상면 및 측면에 복수의 오목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상면의 오목부 및 상기 측면의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 및 상기 측면이 절곡된 형상인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는, 교량의 슬래브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 및 웨브와, 상기 교량의 슬래브 외측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웨브는 I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교량의 측면에 결합되는 거치식 브라켓과, 상기 거치식 브라켓의 상부 플레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사각-아연 도각관과, 상기 거치식 브라켓의 상부 플레이트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난간 지지 각형 강관과, 상기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보행자용 난간과, 복수개의 상기 사각-아연 도각관의 상부에, 상기 사각-아연 도각관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바닥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재는, 상면에는 실선으로 발포된 무정형의 얇은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사를 구비하고, 하면의 중심부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트렌치(trench) 형상을 갖는 폐알루미늄판과, 상기 폐알루미늄판의 외측면 및 하면의 단면 프로파일(profile)에 상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폐알루미늄판과 결합하는 보강용 철판을 구비하며, 상기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은, 상면 및 측면에 복수의 오목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상면의 오목부 및 상기 측면의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 및 상기 측면이 절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는, 상기 트렌치의 내측면과, 이에 상응하는 보강용 철판의 단면 사이에는 고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알루미늄판의 하면에 상응하는 상기 보강용 철판의 상면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의 시공 방법은, 옹벽의 법면에 천공 구멍을 형성하고, 이 천공 구멍 내부 끝단에 연성의 콘크리트를 넣은 후, 강선을 삽입하여 교량의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S100)와, 상기 슬래브 외측에 앵커 매입홀을 천공하는 단계(S200)와, 천공된 상기 앵커 매입홀에 케미컬 액을 주입하는 단계(S300)와, 상기 케미컬 액(120)이 주입된 상기 앵커 매입홀에 앵커 볼트를 설치하는 단계(S400)와, 상기 슬래브로부터 상기 앵커 볼트가 돌출한 부위에 거치식 브라켓을 체결 및 고정하는 단계(S500)와, 상기 거치식 브라켓의 상부 플레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사각-아연 도각관을 설치하는 단계(S600)와, 상기 거치식 브라켓의 상부 플레이트의 외측 단부에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설치하는 단계(S700)와, 상기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의 상부에 보행자용 난간(170)을 설치하는 단계(S800)와, 복수개의 상기 사각-아연 도각관의 상부에, 상기 사각-아연 도각관과 수직 방향으로 바닥재(180)를 설치하는 단계(S90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재는, 상면에는 실선으로 발포된 무정형의 얇은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사를 구비하고, 하면의 중심부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트렌치(trench) 형상을 갖는 폐알루미늄판과, 상기 폐알루미늄판의 외측면 및 하면의 단면 프로파일(profile)에 상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폐알루미늄판과 결합하는 보강용 철판을 구비하며, 상기 나간 지지 각형 강관은, 상면 및 측면에 복수의 오목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상면의 오목부 및 상기 측면의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 및 상기 측면이 절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의 시공 방법은, 상기 트렌치의 내측면과, 이에 상응하는 보강용 철판의 단면 사이에는 고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알루미늄판의 하면에 상응하는 상기 보강용 철판의 상면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천시 보행자나 자전거 탑승자의 안전한 통행을 도모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노면을 갖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굴곡이 있는 도로에서, 별도의 밴딩을 하지 않고도 설치가 가능한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갖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노면을 조립한 사시도.
도 1의 (b)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노면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굴곡 및 높이의 변화가 심한 곳에 별도의 벤딩없이 설치가능한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노면을 갖고, 굴곡 및 높이의 변화가 심한 곳에 별도의 벤딩없이 설치가능한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갖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노면을 갖고, 굴곡 및 높이의 변화가 심한 곳에 강선 앵글을 별도의 벤딩없이 설치가능한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의 시공 방법에서, 옹벽의 법면에 강선을 이용하여 교량의 슬래브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노면 및 굴곡 및 높이의 변화가 심한 곳에 별도의 벤딩없이 설치가능한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갖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를 조립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노면 및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갖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노면 및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갖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를 조립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노면 및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갖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미끄럼 방지 노면을 조립한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미끄럼 방지 노면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의 (a) 및 도 1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미끄럼 방지 노면은, 상면에는 실선으로 발포된 무정형의 얇은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사(182)를 구비하고, 하면의 중심부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트렌치(trench) 형상을 갖는 폐알루미늄판(181)과, 폐알루미늄판(181)의 외측면 및 하면의 단면 프로파일(profile)에 상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폐알루미늄판(181)과 결합하는 보강용 철판(183)을 갖는 바닥재(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폐알루미늄판(181)은 다른 산업 분야에서 이미 사용된 알루미늄판을 재활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폐알루미늄판(181)과 보강용 철판(183)을 결합하여 바닥재(180)를 형성함으로써, 보강용 철판(183)이 바닥재(180)의 강한 발판 역할을 하고, 실선으로 발포된 무정형의 얇은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사(182)를 구비한 탄성을 갖는 재질의 폐알루미늄판(181)이 넘어져도 다치지 않는 바닥재(180) 노면의 포장재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180)는 폐알루미늄판(181)의 상면에 실선으로 발포된 무정형의 얇은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사(182)가 촘촘하게 형성되어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어린이나 노약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180)의 노면에서 넘어져도 다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180)는 트렌치의 내측면과, 이에 상응하는 보강용 철판(183)의 단면 사이에는 고무(184)를 더 포함하며, 폐알루미늄판(181)의 하면에 상응하는 보강용 철판(183)의 단면에는 복수의 관통홀(18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트렌치의 내측면과, 이에 상응하는 보강용 철판(183)의 단면 사이에 고무(184)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폐알루미늄판(181) 및 보강용 철판(183)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알루미늄판(181)의 하면에 상응하는 보강용 철판(183)의 단면에는 복수의 관통홀(18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우천시에 복수의 바닥재(180)들 사이로 스며드는 빗물이 고이지 않고, 배수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180)는 합성 목재와는 달리 우천시에도 썩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폴리우레탄과는 달리 벗겨지거나 부서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180)로 사용하는 폐알루미늄판(181)은 다른 산업 분야에서 이미 사용된 알루미늄판을 재활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된 합성 목재와는 달리 친환경적이며,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곡 및 높이의 변화가 심한 곳에 강선 앵글을 별도의 벤딩없이 설치가능한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은 상면 및 측면에 복수의 오목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면의 오목부 및 측면의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및 측면이 절곡된 형상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면 및 측면이 절곡된 형상의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은 상면 및 측면에 복수의 오목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상면의 오목부 및 상기 측면의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이 굴곡 될 시에 상면 및 측면의 오목부에 의해 신축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즉, 굴곡이 있는 도로에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를 설치할 경우, 별도의 밴딩을 하지 않고도,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의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면 및 측면의 오목부를 구비함으로써, 상하 및 좌우 굴곡이 심한 교량에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은 후술하는 난간이 같이 맞물려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며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의 굴곡 시 신축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난간이 굴곡 시 신축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므로, 매우 안전한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노면을 갖고, 굴곡 및 높이의 변화가 심한 곳에 별도의 벤딩없이 설치가능한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갖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노면을 갖고, 굴곡 및 높이의 변화가 심한 곳에 별도의 벤딩없이 설치가능한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갖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의 시공 방법은, 옹벽의 법면에 천공 구멍을 형성하고, 이 천공 구멍 내부 끝단에 연성의 콘크리트를 넣은 후, 강선(120)을 삽입하여 교량의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S100)와, 슬래브(100) 외측에 앵커 매입홀(110)을 천공하는 단계(S200)와, 천공된 앵커 매입홀(110)에 케미컬 액(120)을 주입하는 단계(S300)와, 케이컬액(120)이 주입된 앵커 매입홀(110)에 앵커 볼트(130)를 설치하는 단계(S400)와, 앵커 볼트(130)가 슬래브(100)로부터 돌출한 부위에 거치식 브라켓(140)을 체결 및 고정하는 단계(S500)와, 사각-아연 도각관(150)을 설치하는 단계(S600)와,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을 설치하는 단계(S700)와, 보행자용 난간(170)을 설치하는 단계(S800)와, 바닥재(180)를 설치하는 단계(S900)를 포함한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노면을 갖고, 굴곡 및 높이의 변화가 심한 곳에 강선 앵글을 별도의 벤딩없이 설치가능한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의 시공 방법에서, 옹벽의 법면에 강선을 이용하여 교량의 슬래브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옹벽(111)의 법면 및 콘크리트를 이용한 슬래브(100)에 천공 구멍(미도시)을 형성하고, 이 천공 구멍 내부 끝단에 연성의 콘크리트(112)를 넣은 후, 강선(120)을 삽입한다. 이후, 슬래브(100)의 측면에 거치식 브라켓 및 보행자용 난간을 장착함으로써,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를 완성하게 된다. 여기서, 연성의 콘크리트(112)가 굳으면 강성의 콘크리트(112)로 되어 강선(120)을 강하게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홍수 등에 의해 옹벽(111)이 침식되더라도, 강성의 콘크리트(112)가 강선(120)을 강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교량의 슬래브(100)는 안전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옹벽(111)의 법면에 강선(120)을 이용하여 교량의 슬래브(100)를 형성한 후,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노면을 갖고, 굴곡 및 높이의 변화가 심한 곳에 강선 앵글을 별도의 벤딩없이 설치가능한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를 설치하게 된다.
다음,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의 설치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슬래브(100) 외측에 앵커 매입홀을 천공하고, 케미컬 액을 주입한 후, 앵커 볼트를 삽입한다. 다음, 복수의 교량 받침대(190) 상에 거치식 브라켓(140)을 고정하고, 이 거치식 브라켓(140) 위에 복수의 사각-아연 도각관(150)을 거치식 브라켓(140)과 수직으로 설치한다. 이때, 복수의 사각-아연 도각관(150)은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다음, 이 거치식 브라켓(140)의 양 측면에 보행자용 난간(170)을 설치하고, 최종적으로 복수의 사각-아연 도각관(150) 위에 바닥재(180)를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노면 및 굴곡 및 높이의 변화가 심한 곳에 별도의 벤딩없이 설치가능한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을 갖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가 완성하게 된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노면 및 굴곡 및 높이의 변화가 심한 곳에 별도의 벤딩없이 설치가능한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갖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를 조립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노면 및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갖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노면 및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갖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를 조립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노면 및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갖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복수의 교량 받침대(190)의 설치 구성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는 하나의 거치식 브라켓(140)을 두 개의 교량 받침대(190)가 지지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하나의 거치식 브라켓(140)을 하나의 교량 받침대(190)가 지지하고 있는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모두 동일하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노면 및 굴곡 및 높이의 변화가 심한 곳에 별도의 벤딩없이 설치가능한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갖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는, 복수의 교량 받침대(190)와, 복수의 교량 받침대(190) 위에 고정설치되는 거치식 브라켓(140)과, 거치식 브라켓(140) 위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사각-아연 도각관(150)과, 거치식 브라켓(140)의 상부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과,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보행자용 난간(170)과, 복수의 사각-아연 도각관(150)의 상부에, 사각-아연 도각관(150)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바닥재(18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거치식 브라켓(140)은 교량의 슬래브(100)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 및 웨브와, 교량의 슬래브(100) 외측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웨브는 I자 형상을 이루며, 하부 플레이트는 외측으로 갈수록 상부 플레이트에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체결 부재에 의해 교량의 측면에 결합된다.
또한, 바닥재(180)는, 상면에는 실선으로 발포된 무정형의 얇은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사(182)를 구비하고, 하면의 중심부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트렌치(trench) 형상을 갖는 폐알루미늄판(181)과, 폐알루미늄판(181)의 외측면 및 하면의 단면 프로파일(profile)에 상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폐알루미늄판(181)과 결합하는 보강용 철판(183)을 구비한다.
여기서, 바닥재(180)로는 기존에 사용한 합성 목재나 탄성 포장재가 아닌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노면을 갖는 바닥재(180)를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노면을 갖는 바닥재(180)의 제조 방법은, 우선 상면에는 실선으로 발포된 무정형의 얇은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사(182)를 구비하고, 하면의 중심부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트렌치(trench) 형상을 갖는 폐알루미늄판(181)을 준비한다. 이후, 폐알루미늄판(181)의 외측면 및 하면의 단면 프로파일(profile)에 상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폐알루미늄판(181)과 결합하는 보강용 철판(183)을 이용하여 폐알루미늄판(181)에 결합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폐알루미늄판(181)과 보강용 철판(183)을 결합할 때에는, 폐알루미늄판(181)의 하면과 보강용 철판(183)의 상면을 잘 맞춘 후, 볼트(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또한, 트렌치의 내측면과, 이에 상응하는 보강용 철판(183)의 단면 사이에는 고무(184)가 끼워져 있으며, 폐알루미늄판(181)의 하면에 상응하는 보강용 철판(183)의 상면에는 복수의 관통홀(18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관통홀(185)이 형성된 보강용 철판(183)은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사(182)를 구비한 폐알루미늄판(181)과 결합하여 바닥재(180)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무정형의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사(182)는 예를 들면, 솜사탕처럼 촘촘하게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무정형의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사(182)는 코팅 처리되어 있다.
한편,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은, 상면 및 측면에 복수의 오목부(162a, 162b)를 가짐과 아울러 상면의 오목부(162b) 및 측면의 오목부(162a)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및 측면이 절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거치식 브라켓(140)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폭(도면에서 상하 방향)이 교량의 슬래브(100)의 외측 방향에 접근함에 따라 점차 커지는 구조를 이루며, 이에 따라 하부 플레이트의 장축과 상부 플레이트의 장축은 서로 경사져 있다. 이러한 상부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형상 구조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가 거치식 브라켓(140)의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렛대 역할을 수행하므로, 거치식 브라켓(140)에 작용하는 수직 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거치식 브라켓(140)은 주물 방법에 의해 제조되거나,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를 용접하는 방법에 의해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고 있는 거치식 브라켓(140)은 이에 하지 않고, 그 재질이나 형상은 거치식 브라켓(140)의 일단 측면부에 후술하는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을 부착시킬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고 당해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서 취사선택할 수 있는 정도면 좋다.
다음, 사각-아연 도각관(150)은 50×50×3.2t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200×100×4.5t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면 및 측면에 복수의 오목부(162a, 162b)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상면의 오목부(162b) 및 상기 측면의 오목부(162a)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 및 상기 측면이 절곡된 형상이다.
또한,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의 상면에 형성된 위치 결정 돌기부(161)를 이용하여 보행자용 난간(170)을 부착하게 된다. 즉, 보행자용 난간(170)의 위치 결정홈(미도시)에 위치 결정 돌기부(161)를 삽입한 후, 난간 체결 너트를 이용하여 난간 체결 볼트를 난간 체결 홈(163)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에 보행자용 난간(170)을 부착하게 된다.
한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사각-아연 도각관(150)과 바닥재(180)는 볼트(미도시)를 이용하여 결합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180)는 폐알루미늄판(181)의 상면에 실선으로 발포된 무정형의 얇은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사(182)가 촘촘하게 형성되어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어린이나 노약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180)의 노면에서 넘어져도 다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180)는 트렌치의 내측면과, 이에 상응하는 보강용 철판(183)의 단면 사이에는 고무(184)를 더 포함하며, 폐알루미늄판(181)의 하면에 상응하는 보강용 철판(183)의 단면에는 복수의 관통홀(18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트렌치의 내측면과, 이에 상응하는 보강용 철판(183)의 단면 사이에 고무(184)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폐알루미늄판(181) 및 보강용 철판(183)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알루미늄판(181)의 하면에 상응하는 보강용 철판(183)의 단면에는 복수의 관통홀(18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우천시에 복수의 바닥재(180)들 사이로 스며드는 빗물이 고이지 않고, 배수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180)는 합성 목재와는 달리 우천시에도 썩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폴리우레탄과는 달리 벗겨지거나 부서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180)로 사용하는 폐알루미늄판(181)은 다른 산업 분야에서 이미 사용된 알루미늄판을 재활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된 합성 목재와는 달리 친환경적이며,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면 및 측면이 절곡된 형상의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은 상면 및 측면에 복수의 오목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상면의 오목부 및 상기 측면의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이 굴곡 될 시에 상면 및 측면의 오목부에 의해 신축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즉, 굴곡이 있는 도로에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를 설치할 경우, 별도의 밴딩을 하지 않고도,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의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면 및 측면의 오목부를 구비함으로써, 상하 및 좌우 굴곡이 심한 교량에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은 후술하는 난간이 같이 맞물려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며 난간 지지 각형 강관(160)의 굴곡 시 신축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난간이 굴곡 시 신축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므로, 매우 안전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이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함이 자명하다.
100 : 슬래브
140 : 거치식 브라켓
150 : 사각-아연 도각관
160 : 난간 지지 각형 강관
161 : 위치 결정 돌기부
162a, 162b : 오목부
163 : 난간 체결 홈
170 : 보행자용 난간
180 : 바닥재
181 : 폐알루미늄판
182 : 알루미늄사
183 : 보강용 철판
184 : 고무
185 : 관통홀

Claims (7)

  1. 상면에는 실선으로 발포된 무정형의 얇은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사를 구비하고, 하면의 중심부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트렌치(trench) 형상을 갖는 폐알루미늄판과,
    상기 폐알루미늄판의 외측면 및 하면의 단면 프로파일(profile)에 상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폐알루미늄판과 결합하는 보강용 철판을 갖는 바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의 내측면과, 이에 상응하는 보강용 철판의 단면 사이에는 고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알루미늄판의 하면에 상응하는 상기 보강용 철판의 상면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3. 상면 및 측면에 복수의 오목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상면의 오목부 및 상기 측면의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 및 상기 측면이 절곡된 형상인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4. 교량의 슬래브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 및 웨브와, 상기 교량의 슬래브 외측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웨브는 I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교량의 측면에 결합되는 거치식 브라켓과,
    상기 거치식 브라켓의 상부 플레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사각-아연 도각관과,
    상기 거치식 브라켓의 상부 플레이트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난간 지지 각형 강관과,
    상기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보행자용 난간과,
    복수개의 상기 사각-아연 도각관의 상부에, 상기 사각-아연 도각관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바닥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재는, 상면에는 실선으로 발포된 무정형의 얇은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사를 구비하고, 하면의 중심부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트렌치(trench) 형상을 갖는 폐알루미늄판과, 상기 폐알루미늄판의 외측면 및 하면의 단면 프로파일(profile)에 상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폐알루미늄판과 결합하는 보강용 철판을 구비하며,
    상기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은, 상면 및 측면에 복수의 오목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상면의 오목부 및 상기 측면의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 및 상기 측면이 절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의 내측면과, 이에 상응하는 보강용 철판의 단면 사이에는 고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알루미늄판의 하면에 상응하는 상기 보강용 철판의 상면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6. 옹벽의 법면에 천공 구멍을 형성하고, 이 천공 구멍 내부 끝단에 연성의 콘크리트를 넣은 후, 강선을 삽입하여 교량의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S100)와,
    상기 슬래브 외측에 앵커 매입홀을 천공하는 단계(S200)와,
    천공된 상기 앵커 매입홀에 케미컬 액을 주입하는 단계(S300)와,
    상기 케미컬 액(120)이 주입된 상기 앵커 매입홀에 앵커 볼트를 설치하는 단계(S400)와,
    상기 슬래브로부터 상기 앵커 볼트가 돌출한 부위에 거치식 브라켓을 체결 및 고정하는 단계(S500)와,
    상기 거치식 브라켓의 상부 플레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사각-아연 도각관을 설치하는 단계(S600)와,
    상기 거치식 브라켓의 상부 플레이트의 외측 단부에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을 설치하는 단계(S700)와,
    상기 난간 지지 각형 강관의 상부에 보행자용 난간(170)을 설치하는 단계(S800)와,
    복수개의 상기 사각-아연 도각관의 상부에, 상기 사각-아연 도각관과 수직 방향으로 바닥재(180)를 설치하는 단계(S90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재는, 상면에는 실선으로 발포된 무정형의 얇은 고강도 탄성 알루미늄사를 구비하고, 하면의 중심부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트렌치(trench) 형상을 갖는 폐알루미늄판과, 상기 폐알루미늄판의 외측면 및 하면의 단면 프로파일(profile)에 상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폐알루미늄판과 결합하는 보강용 철판을 구비하며,
    상기 나간 지지 각형 강관은, 상면 및 측면에 복수의 오목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상면의 오목부 및 상기 측면의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 및 상기 측면이 절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의 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의 내측면과, 이에 상응하는 보강용 철판의 단면 사이에는 고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알루미늄판의 하면에 상응하는 상기 보강용 철판의 상면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의 시공 방법.
KR1020110101785A 2011-10-06 2011-10-06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 KR101122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785A KR101122681B1 (ko) 2011-10-06 2011-10-06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785A KR101122681B1 (ko) 2011-10-06 2011-10-06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2681B1 true KR101122681B1 (ko) 2012-03-09

Family

ID=4614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785A KR101122681B1 (ko) 2011-10-06 2011-10-06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68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930B1 (ko) * 2013-09-24 2014-12-24 박준남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
KR20160025167A (ko) * 2014-08-27 2016-03-08 양성모 도시 공원과 생태하천에 적용되는 데크의 체결 구조
KR101600986B1 (ko) 2015-06-30 2016-03-11 오석건설 주식회사 포장재의 내구성이 우수한 확장형 인도교
KR101757427B1 (ko) * 2016-09-01 2017-07-26 휴먼이엔씨주식회사 강관을 이용한 친환경 켄틸레버 인도교 및 그 인도교의 형성 방법
CN112609560A (zh) * 2020-12-18 2021-04-06 浙江鼎盛交通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施工的可移动桥式车辆通行系统
KR102589977B1 (ko) 2023-07-31 2023-10-16 주식회사 지에스웹 데크로드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데크로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28B1 (ko) 2008-09-04 2009-06-09 (주)신승이앤씨 비탈면에 형성된 인도 및 그 시공 방법
KR100952237B1 (ko) 2009-07-10 2010-04-09 (주) 태평양지질 옹벽용 확장 인도
KR101034694B1 (ko) 2009-11-10 2011-05-16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건축용 불연 금속매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28B1 (ko) 2008-09-04 2009-06-09 (주)신승이앤씨 비탈면에 형성된 인도 및 그 시공 방법
KR100952237B1 (ko) 2009-07-10 2010-04-09 (주) 태평양지질 옹벽용 확장 인도
KR101034694B1 (ko) 2009-11-10 2011-05-16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건축용 불연 금속매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930B1 (ko) * 2013-09-24 2014-12-24 박준남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
KR20160025167A (ko) * 2014-08-27 2016-03-08 양성모 도시 공원과 생태하천에 적용되는 데크의 체결 구조
KR101638239B1 (ko) * 2014-08-27 2016-07-08 양성모 도시 공원과 생태하천에 적용되는 데크의 체결 구조
KR101600986B1 (ko) 2015-06-30 2016-03-11 오석건설 주식회사 포장재의 내구성이 우수한 확장형 인도교
KR101757427B1 (ko) * 2016-09-01 2017-07-26 휴먼이엔씨주식회사 강관을 이용한 친환경 켄틸레버 인도교 및 그 인도교의 형성 방법
CN112609560A (zh) * 2020-12-18 2021-04-06 浙江鼎盛交通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施工的可移动桥式车辆通行系统
KR102589977B1 (ko) 2023-07-31 2023-10-16 주식회사 지에스웹 데크로드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데크로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681B1 (ko)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
US7690862B2 (en) Quick connect transit boarding platform panel
US8439596B1 (en) Textured tile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JP7017880B2 (ja) 道路橋の防水排水構造
JP2016037746A (ja) 道路橋の埋設継手構造とその施工法
KR200468253Y1 (ko) 교량 및 법면의 확장형 인도교
JP3168841U (ja) 道路橋の排水装置
KR101415522B1 (ko) 신축 이음부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장 슬래브가 연장된 교량
CA2720230C (en) Drain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0911839B1 (ko) 지하차도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90112451A (ko) 탄성보강재를 이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신축이음 시공방법
JP4823082B2 (ja) 更生パネル、それを用いた更生方法、および更生された構造物
KR101600986B1 (ko) 포장재의 내구성이 우수한 확장형 인도교
JP5388733B2 (ja) 簡易排水部材、簡易排水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560189B1 (ko)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JP4927681B2 (ja) 舗装構造
KR100958410B1 (ko) 하천 옹벽 및 교량 상판의 통행 도로
KR100508773B1 (ko) 시트파일을 이용한 가교 상판 및 그것의 시공방법
JP2006028796A (ja) 道路の段差解消構造
JP3370847B2 (ja) コンクリート製路側壁
JP2004169375A (ja) 排水溝構造
JP5873303B2 (ja) 橋梁用伸縮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757427B1 (ko) 강관을 이용한 친환경 켄틸레버 인도교 및 그 인도교의 형성 방법
KR101089664B1 (ko) 유도배수관 및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조인트 누수 방지 공법
JP2005201027A (ja) 路面設置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9